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5001-5100

by 리치캣 2023. 1. 10.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5001-5100

번호                  용어                  해설

5001              삼염화인[三鹽化燐,phosphorus trichloride      ]                    적갈색의 무거운 액체이며 기관지 및 폐포(肺胞)에 자극을 줌. 농약 등에 사용함.

5002              삼원촉매장치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하나이며 질소산화물을 질소가스로 환원시키며 대기오염저감에 획기적인 기능을 한다.

5003              삼중 수소[三重水素,tritum]                       수소의 동위원소(同位元素)의 하나. 보통 수소의 3배의 무게를 가졌다. 3중수소는 수소나 중수소(重水素)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 핵융합(核融合)반응을 일으키므로 수소 폭탄의 폭약이나 융합반응로(融合反應爐)의 연료로 사용된다.

5004              삼차 처리[三次處理,tertial treatment]                     예를들면, 일차처리이차 처리를통하여  BOD 30ppm까지 정화 했으나, 그 이하까지 농도를 떨어뜨려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추가처리, 이 경우의 삼차처리는 접촉 폭기법이 좋음.⇒고도처리.

5005              삼출 ( 渗出 seepage )              표면수체가 지표나 다공질 매체로 스며들거나 또는 지반을 통하여 스며나오는 물의 이동. 즉 지하수와 지표수원과의 물의 이동을 말한다.

5006              삼층 여과[三層濾過,triple layar filter]                     예를들면, 상층은 앤슬라사이트 60, 중층은 모래 15, 하층은 세사(細砂) 7.5㎝로 되도록 구성된 여과.

5007              ·하수도고도처리설비              상은 상수도의 약자이며 가정, 공업용수 등으로 이용되는 물로서 댐으로부터 도수되어 정수장에서 처리됨. 이 정수처리과정에서 이용되는 처리설비를 의미. 상수가 각종 용도로 이용된 후 발생되는 폐수를 하수라 하며 이를 처리하는 공정이 하수도처리 설비

5008              상계관세 (Countervailing Duty)                 상계관세는 무역상대국의 덤핑 및 보조금지급상품의 수입으로 인하여 자국산업이 실질적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최혜국대우(1)나 양허수준준수(2)원칙에서 이탈하여 특정국가의 특정상품을 대상으로 별도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계관세의 대상이 되는 보조금 범위가 수출보조금에 국한되지 않고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간접적이나 심각한 무역왜곡효과를 초래하는 경우에도 상계조치를 허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경규제기준의 차이 등을 근거로 한 상계관세 부과방안도 제기되고 있다.

5009              상공경도·하공경도                    일반개요         상공경도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 산234          면적: 206,000          토지소유현황: 사유          하공경도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 산239          면적: 52,000          토지소유현황: 승봉새마을회         자연환경         지형·지질·경관          상공경도          상공경도의 지질은 한반도 최고기의 서산층군의 편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70년대까지는 철광석 광산이 존재하였음을 반영하듯 암석은 풍부한 철광함유량을 반영 붉은 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외해를 향한 서쪽 해안선에서 동쪽으로는 기반암을 덮는 사구가 발견되고 있다. 상공경도의 사구는 서해안에 생기는 일반적인 사구와는 달리 기반암을 피복하는 형태로 발달하여 있으나 두께는 상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구내에는 과거 서해안이 해수면 변화를 겪을 때 생긴 것으로 보이며, 당시 지형면의 안정기를 반영하는 고토양의 존재가 발견되고 있다. 또 하나 흥미로운 현상은 하루 동안 해풍과 육풍의 교차를 반영하여, 바람 방향의 변화를 반영하듯 사초 아래의 모래에는 원형의 무늬가 새겨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사구에는 고사리, 사초 등이 인간의 간섭을 배제한 채 자라고 있어 생태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섬이다.          하공경도          해식동이 여러개 발견되는 곳으로, 암석이 침식에는 강하나 절리가 잘 발달된 곳에서는 파랑에 의해 약한 곳을 따라 해식동이 발달한다.          육지식물·식생          개요          상공경도는 과거 광산으로 이용하였던 곳으로 섬 전체가 교란을 받아왔다. 섬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서사면은 경사가 완만하나 동사면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남쪽은 암벽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사면은 토양이나 백사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쪽 남부에는 대단위의 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사구는 능선의 정상까지 이어지고 있다.          출현종 및 주요종          조사된 식물의 종류는 총 130종이고 생육 가능한 종은 168종이다. 섬의 크기에 비하여 종 수가 비교적 적은데 이것은 인간간섭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징적인 종으로는 소사나무와 금방망이가 있다.          특기사항          식생은 좁은 단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복잡하다. 섬의 남부와 북부 말단부에는 곰솔림이 잘 발달되어 있는데 수고는 약 5m 정도이며, 피도는 80%이다. 상공경도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은 서사면의 사구식생인데 주요 구성종은 좀보리사초, 갯메꽃, 순비기나무 등이다. 그리고 상당히 넓은 면적에 고사리가 생육하고 있는데 이처럼 해안사구에 이 종이 생육하는 것은 매우 이색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사구식생의 주변에는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군락이 좁은 면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사면 중 나머지 부분은 망토군락이다. 이것은 아마도 과거 광산이 있었기 때문에 교란을 받아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동사면은 소사나무, 굴피나무, 만주고로쇠, 팥배나무 등의 활엽수로 구성된 혼효림이다. 수관층의 높이는 6m 정도이며 피도는 90% 로 비교적 높다. 임상식물의 초장은 60cm, 피도는 약 60% 정도이다.          하공경도는 관목형의 활엽수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구성종은 소사나무이고 이외에 굴피나무, 졸참나무가 일부 섞여 있다. 이 군락외에 곰솔림과 초지가 있고 굴피나무와 피나무, 벚나무 등으로 구성된 교목형 활엽수림이 서부에 일부 분포하고 있다.           육지동물          개요          상공경도와 하공경도는 승봉도 남쪽 2km 지점과 2.5km 지점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상공경도는 하공경도보다 3배쯤 큰 섬인데, 과거에는 철광석을 캐내던 광산이 있었다. 섬 앞으로 모래  벌과 돌출된 바위가 펼쳐져 있다. 산 사면은 토양이 메마른 편으로 칡덩굴과 초본류를 주로 하는 식물상을 보였고 관목과 교목이 차지하는 면적은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 여기에 머문 시간은 약 55분간이었는데 관찰된 조류 종 수는 극히 적어 3종에 불과했다.          출현종          바다직박구리(2), 직박구리(2), 멧새(1).          특기사항          직박구리는 숲속으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를 들은 것으로, 최소한의 수를 기록하였는데 더 많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해안무척추동물          개요          상공경도 암반의 상부에는 폐사한 조무래기따개비 외에 다른 생물은 없었고, 중부에는 폐사한 굴이 껍질만 붙어있었고 눈알고둥이 그 위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하부에는 대수리가 우점하여 서식하고 있었다(채집자: 최병래).          출현종          애기두드럭배말, 둥근배무래기, 개울타리고둥, 눈알고둥, 갈고둥, 맵사리, 대수리, 무늬발게          우점종          조간대 - 암 반           상층부: 조무래기따개미 전부 폐사            중층부: 굴껍질 다수 있으나 전부 폐사            눈알고둥 생체 소수 서식함            하층부: 대수리 우점           모래지역           중부: 관갯지렁이.            하부: Amphipoda 1종 다량서식           특기사항          빈약한 생물상을 보이며, 조무래기따개비와 굴이 이전에는 이 곳에 다량 서식했던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전부 폐사하였다. 전에 어떤 심각한 환경영향을 받은 것 같다.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녹조류, 홍조류 등이 번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새로운 천이가 일어나는 것 같다.          해조류          상공경도에는 구멍갈파래, 까막살, 진두발, 모란갈파래, 지누아리, 가시깃꼴진두발, 붉은부챗살, 작은구슬산호말, 우뭇가사리, 단박이 출현하였고 잎파래는 서식가능종이다.

5010              상관 (Physiognomy)                 식물군락의 외형형질을 말한다. 군락을 구성하는 식물의 형질에 의해 정해진다. 상관을 지배하는 형질은 생활형과 군락밀도이다. 특히, 우점종의 높이, 잎이 침엽인가, 광엽인가, 상록인가 등의 성질이 중요하다. 상록 광엽수림, 낙엽 침엽수림, 왜생 저목군락 등과 같이 부른다. 상관에 의한 식물군락의 유형이 식물군계이다.

5011              상관에너지[相關-,correlation energy]                     양자역학적다립자계(量子力學的多粒子系)에 있어서 1體近似(보통은 하아트리-폭트근사)로 계산한 계의 에너지와 참에너지와의 차. , 상대론에 따르는 효과는 넣지 않는다. 참에너지는 계산치보다는 반드시 낮고, 이것은 입자위치(粒子位置) 사이에 상관에 의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상관에너지를 고려해 넣은 이론으로서는 2전자문제(He원자 등)에서는 전자사이의 거리를 직접 피동함수 속에 넣는 것과 같은 방법이 유효하며, 간단한 원자나 분자에 대해서는 배치간상호작용법이 널리 사용된다. 큰 분자에서는 계산이 곤란하여 반경험적인 방법이 취해진다. 금속과 같이 큰 계에서는 전자의 집단운동을 분리하는 수단이 있다. 원자핵에 있어서는 핵자간 상호작용의 형은 미지(未知)이지만 핵자 사이의 상관(相關)은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전자계에 대한 상술의 방법 외에 이것을 취급하는 시도는 많다.→다체문제(多體問題).

5012              상대 습도[相對濕度,relative humidity]                     대기중의 수증기량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상대 습도와 수증기압이 있음.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의 양은 그 공기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며 온도가 높을수록 수증기량은 많이 함유됨. 어는 온도에 있어서 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최대의 수증기량과 실제로 함유하고 있는 수증기량과의 비를 상대 습도라 함. 상대습도는 관계습도(關係濕度)라고도 하며 일상적으로 사용됨. 일반적으로 습도라 함은 상대 습도를 가리킴.⇒절대 습도.

5013              상대 위험도[相對危險度,relative risk]                     상대위험율, 비교위험도라고도 함. 질학(疾學)에 있어 이환율이나 사망율을 비교할 때 쓰는 지표이다. 어떤 요인의 폭로를 받는 군()이 받지않은 군과 비교해서 어느정도 질병의 발생 또는 사망위험율이 높은가를 가늠하는 지표이다.

5014              상대 해면(수위)(Relative Sea Level)             측정장비가 위치하고 있는 육지의 관점에서 조위계에 의해 측정되는 해면 수위. 평균해면(수위)(MSL)는 보통 1개월 또는 1년 등 파동과 같은 일시적인 것들을 평균하여 제거할 정도로 충분히 긴 정해진 기간의 상대 해면(수위)의 평균으로서 정의된다.

5015              상대정밀도                  동일한 조건에서 동종 제품 간에 오차범위 이내의 측정값을 표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

5016              상부보호공 (Surface Protective Pipes)                     지하수 취수정으로의 오염물질 유입방지 및 부대시설 보호를 위해 설치하는 콘크리트물로 가로, 세로, 높이 각 100cm 이상 두께 15cm 이상 크기로 설치하며, 상단부의 높이는 지표면보다 30cm 이상 높게 설치한다.

5017              상쇄배출권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가 외부 배출시설 등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한 경우 이에 대한 실적을 인증받아 배출권으로 전환한 것을 말한다.

5018              상쇄제도                     외부사업 사업자가 외부사업을 통해서 발행받은 인증실적(KOC)을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 업체 등에게 판매하고, 할당대상업체는 보유 또는 구매한 외부사업 인증실적(KOC)을 상쇄배출권(KCU)으로 전환하여 배출권거래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5019              상수 처리[上水處理]                 상수처리에는 몇가지 방법이 있으며, 다음은 그 중의 한  예임. 원수(原水)중의 부유물(주로 모래)은 침전지에서 침전시키고, 프라슈믹스에서 응집제를 원수에 혼합,프로크레이터에서 응집된 것을 클러리파이어에서 침강시키며, 침강물은 벨트필터에서 탈수함. 클러리파이어로부터의 상등액(上登液)은 듀어멜메디어필터에서 여과하여 정수지로 이끌어 배수함. 듀어멜메디어필터는 모래와 앤슬라이트가 병용된 고속 여과 장치임.

5020              상수도[上水道]             수도.

5021              상수원 보호구역          수도법에 근거하여 상수원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변을 지정하여 상수원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수원 보호구역에서의 금지된 행위는 쓰레기 또는 동물의 시체류를 버리는 행위, 유영·목욕이나 세탁, 기타 수질을 오손하는 행위이다.

5022              상수원 보호구역[上水源保護區域]              수도법에 근거하여 상수원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변을 지정하여 상수원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주변을 지정하여 상수원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수원 보호구역에서의 금지된 행위는 쓰레기나 동물의 시체류를 버리는 행위, 가축의 방사ㆍ어렵 또는 조류를 포획하는 행위, 유영ㆍ목욕이나 세탁, 기타 수질을 오손하는 행위를 방지하여 먹는 샘물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호지역을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5023              상수원[上水源]             음용, 공업용등에 제공하기 위하여 취수시설을 설치한 지역의 하천, 호수, 지하수등을 말한다.

5024              상수원수 (Water Supply Source)                상수원수 1급수란 여과 등에 의한 간단한 정수처리 후 사용할 수 있는 물로서 BOD 1ppm 이하인 물이며, 상수원수 2급수는 침전, 여과 등에 의한 일반적 정수 처리 후 사용할 수 있는 물로서 BOD 3ppm 이하인 물이다. 그리고 상수원수 3급수는 전처리 등을 거친 고도의 정수처리 후 사용할 수 있는 물로서 BOD 6ppm 이하인 물을 말한다.

5025              상수원지역 지원제도                상수원지역 지원은 주민지원과 지방자치단체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민지원제도는 상수원관리지역에서 각종 규제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규제에 따른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한편 상수원 수질보호에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지금까지는 수도법에 이해 상수원보호구역에 거주하는 주민에 한하여 지원해 왔으나, 4대강특별법 제정을 통해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특별대책지역 등 상수원보호를 위해 행위규제를 받는 주민과 자발적인 노력으로 수질을 크게 개선시킨 지역주민으로 그 지원범위를 확대하였다.        주민지원사업 종류는 소득증대사업, 육영사업, 복지증진사업 등 일반지원사업, 장학금, 주택개량사업 등 직접지원사업으로 구분하며, 사업비 배분은 수계관리 위원회가 토지면적, 행위제한정도, 주민수 등에 따라 배분한다.        다음으로 상수원지역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기초시설 설치, 운영비의 일부를 수계관리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환경개선특별회계에서 지원하거나 지방양여금으로 지원하는 하수처리시설, 고도처리시설, 하수관거 등의 시설설치, 운영사업 지방비 부담분을 수계관리기금으로 지원함으로써 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환경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을 촉진하여 상수원지역 수질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수계관리기금의 지원정도는 수계별로 차이가 있다. 시설 설치비의 경우 지방비 분담분의 25~100%, 시설 운영비는 지역에 따라 전체 운영비의 50~91.2%를 지원하고 있다.

5026              상승 작용[相乘作用,synergism]                  대기오염(大氣汚染)을 예로 들면 아황산 가스와 황산 미스트를 각기 단독으로 흡입한 쪽이 현저하게 독성(毒性)이 강함. 이러한 현상을 상승 작용이라 함. 일반적으로 대기 오염은 유해가스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2종 이상의 유해 가스가 혼합되어 존재하는 경우가 많고, 그 유해도는 상승 작용이 나타남.

5027              상압증류탑, 상압증류 시설 (CDU / Crude Distillation Unit)           A-Tower, A-Column, Topper, Topping Column 이라고도 불리우며, 원유를 비등점의 차이에 따라 LPG, Naphtha, Kerosene, Diesel, B-C 유분으로 분리하는 시설.            이 시설은 원유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이 일정한 압력과 온도하에서 기체로 증발되려는 성질이 각각 다른점을 이용하며, 이에 따라 탑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높이에 따라 점차 변화시켜(상부로 갈수록 온도와의 압력이 낮아짐) 혼합되어 있는 유분을 각각의 유분으로 분리하는 시설이다.           CDU는 대기압과 비슷한 상압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상압증류탑이라 불리우며, 내부에 약 40-50여개의 단(Stage)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유는 열교환기 및 Heater(가열로)를 통해 약350℃로 가열되어 투입 됨.           각각의 Tray는 기포를 발생시키기 쉬운구조의 캡형태(Bubble Cap Tray),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 또는 밸브가 설치된 형태의(Valve Tray) 철판으로 되어 있어 윗단에서 응축되어 내려오는 액상성분과 아랫단에서 기화하여 올라오는 기상성분의 접촉을 원활히 하여 기·액 평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어 있다.

5028              상음[上音,overtone]                  발음체의 고유진동 중 기본 음보다 진동수가 큰 것의 총칭. 발음체의 기본진동수 이외에 고유진동에 의해 생기는 것이며 배음(倍音)도 상음(上音)의 일종이다.

5029              상하향류 여과[上下向流濾過]                    원수(原水)는 상하 양쪽으로부터 장치 중앙의 집수관으로 향하며 하향류는 앤슬라사이트층모래층으로, 상향류는 사리층(砂利層)→모래층으로 흘러, 어느 경우에나 조대한 여재(濾材)에서 세립 여재의 방향임. 상향류에 의한 모래층의 이동은 하향류에서 억제되므로 크리트는 불필요함. 현탁질(懸濁質)은 여층(濾層)내부에까지 침입. 포착되므로 이에 적합한 세정 방법이 필요함.

5030              상한치[上限値]             ACGIH가 규정한 허용농도(유해물질의 공중 농도의 경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순간에 불과한 짧은 시간에도 초과해서는 안되는 농도의 의미를 가짐.⇒시간 가중 평균농도단시간 폭로 한도.

5031              상향류 여과[上向流濾過]           일반적인 사여과(砂濾過)에는 공극률이 작은 부분(미세모래층)으로부터 큰 부분(조대한 모래층)으로 여과수가 이동한다는 결점이 있음.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2층여과가 개발되었고 상류층 여과는 모래 여과층의 하부로 붙어 원수(原水)를 도입하여 여과수를 상부에서 공극률이 큰 층을 부터 작은 층으로 이동하게 됨. 모래 여과층이 원수의 이동에 따라 교란(攪亂)되기 쉬우므로 격자의 다공판을 설치하여 여과층의 산란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이것이 이 방법이 가진 구조상의 결점임.

5032              상호억제작용 [相互抑制作用 allelopathy]                     각각의 식물은 고유의 독성물질을 가지고 있다. 종간의 화학적 전달물질은 하나의 종을 다른 종보다 경쟁상에서 유리하게 하는 작용을 갖게 하는데, 많은 식물들이 자가독화(autoxin)나 항독성분(antibiotic)을 갖는 유기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이 다른 식물들의 발아나 성장을 억제할 때에 상호억제라고 한다.

5033              새들[saddle]                충진물의 일종. 충전탑의 하부에서 가스를 받아 상부로부터 이 가스를 흡수하는 약액을 흘려보내는 경우에 탑내의 약액과의 접촉을 충분히 하기 위하여 탑내에 충전하는 물질. 충전물의 재질로는 과거에는 코우크스, 파쇄 암석 등이 사용되었으나 요즈음에는 랫싱링(Rasching ring)이 많이 사용됨. 충전물의 크기는 1∼3인치 전후임. 충전물을 형태로 분류하면 링모양과 새들형으로 됨. 새들형에는 인터록스, 마그마론 패킹, 스탯킹트먼 패킹등이 있음.

5034              새로운 위협 전자파                  고성능 핸드폰이나 화면이 큰 TV, 컴퓨터일수록 강한 전자파를 내보낸다. 전자파의 피해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여 무해론에서부터 암유발설까지 다양하나 몸 안의 전달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분명하다. 우리 몸은 전기자극의 형태로 두뇌의 명령을 받아 움직이고, 사고하며,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때 몸 밖에서 강한 전기파장이 발생되면 몸 안의 전자기 흐름에도 영향을 받아 두뇌의 명령이 정확하게 몸에 전달될 수 없게 된다. 만일 몸이 지속적으로 이런 전자파에 노출되면 한 가지 일에 집중 할 수가 없고, 짜증이 나며 몸이 찌뿌둥해지는 것을 느낀다.   컴퓨터는 화면 앞으로 나오는 전자파 보다 뒷면으로 나오는 전자파가 최고 7배가 강하다. 그러므로 개인용 컴퓨터를 마주보고 배치한 사무실의 경우에는 컴퓨터의 측면과 뒷면으로부터 1미터 이상 거리를 두고 자리를 배정하여야 한다. 또한 TV의 경우도 뒷면으로 나오는 전자파가 10배나 강하고 그 세기가 벽을 뚫고 다른 방까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침대를 TV가 있는 벽면에 바짝 붙이지 않거나 다른 벽면으로 두어야 한다.   전자파는 거리가 멀어 질수록 상당히 약해진다. 그러므로 TV를 시청할 때는 2미터 이상, 컴퓨터는 1미터 이상 거리를 두고 사용하면 전자파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그러나 전자렌지의 경우는 전면으로 나오는 전자파가 다른 전자제품보다 훨씬 강하므로 3미터 이상 거리를 두고 사용하여야 하며, 작동 중에 전자렌지 앞에 서 있는 것은 좋지 않다.    위험에서 벗어나려면  잘 때에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모두 빼두거나 번거로우면 전원차단 스위치를 단다. 전자파를 피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거리를 두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② TV시청 시에는 2미터 이상,  컴퓨터 모니터는 1미터 이상 충분한 거리를 두고 사용한다.   벽 뒤의 냉장고와 TV 위치를 고려하여 침대와 책상을 배치한다.   숯이나 횃불선인장을 활용하자. 전자파로 인한 불쾌감은 공기 중에 가득찬 양이온 때문인데, 숯이나 횃불선인장은 음이온을 많이 발생시켜 균형 잡힌 공기를 만들어 준다.   핸드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간단하게 통화하도록 한다.

5035              새만금 간척사업          전북 군산시와 고군산군도, 부안군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 방조제를 축조하여 간척지와 호소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2 9,000억 원의 사업비와 19년의 사업기간을 들여 2010년 방조제가 준공되었다. 공사 진행 도중 환경오염 문제가 제기되어 사업 자체에 대한 찬반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5036              새만금 사업을 반대하는 이유                   1. 정치권의 선심성 공약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환경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이러한 대형 간척사업은 오랜 시간을 두고 충분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우선 환경영향평가를 면밀히 하고 예상되는 결과를 놓고 과학자들의 충분한 연구도 뒤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현지 주민들이 결정과정에 참여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새만금 사업은 이런 과정을 생략하고 정치권의 선거공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인간에게 엄청난 재앙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런 사업이 어찌 정치인들의 득표 전략 차원에 이용되어 밀실에서 결정되어야 합니까. 주민들에게 의견을 묻고 동의를 구한 일이 전혀 없었으며, 사업이 완성되면 막연히 좋아진다는 이야기 말고는 주민의 삶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한번도 이야기 한 적이 없습니다.        2. 주민들의 삶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새만금 사업으로 방조제가 뻗어나가며 고기가 나오지 않아 빚만 늘어가 바다 일을 포기하고 주민들은 하나 둘 마을을 떠나 공사판을 떠돌고 있습니다. 바다에서 태어나 바다와 함께 산 사람이 바다를 포기하는 마음이 얼마나 아프고 고통스러운지 새만금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모를 것입니다. 갯벌에서의 1년 벌이도 안되는 보상금으로 어디서 새 삶을 시작한단 말입니까. 새만금 사업이 시작될 때만 해도 전북도민과 부안, 김제, 군산사람들은 서해안시대가 곧 열리는 줄 알았습니다. 개발에서 항상 소외되어온 사람들이라 개발이 주는 환상이 컸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지금 많은 사람들이 속았다고 생각합니다. 바다 물길이 막히면서 갯벌이 썩기 시작했고, 고기가 잡히지 않아 어민의 생존은 위협당하고 있으며 지역경제는 바닥을 기고 있습니다. 사업이 진행되면서 어업권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받은 알량한 보상금은 이미 없어진지 오래입니다. 어업권을 포기하는 댓가로 받았다고 생각한 보상금은 어업권 포기가 아니고 생존권을 포기한 댓가라는 것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논과 밭이 농민한테 목숨이라면 바다와 갯벌은 어민들 목숨입니다. 바다와 갯벌이 없어지면 어민은 생계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타지에 나간들 평생하고 살았던 일말고는 손에 익은 일이 없습니다. 평생하던 일을 하루아침에 그만두고 삶의 방식을 바꾸는 일이 쉬운 일입니까.        3. 서해안의 연안생태계가 궤멸될 수 있습니다. 새만금 갯벌은 한반도 전체 갯벌의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갯벌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 한 플랑크톤에서부터 각종 조개류, , 저서생물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민물과 짠물이 교차되는 지점인지라 더욱 많은 생물 종이 살아가고 있으며 인근 연안 어류들의 산란장입니다.        이 갯벌이 없어지면 다양한 생물종이 살아가는 터전이 없어지며 결국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끊어지게 되고 어족 자원은 줄어들어 그 영향은 서해안 전체에 미칩니다. 벌써 방조제 밖에서도 어획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4. 새만금호의 수질은 농업용수로도 어려울 것이라고 합니다. 새만금호 수질은 해제될 예정인 전주권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 을 녹지로 묶고 오염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하는 등 상류지역의 개발을 억제하지 않는다면 농업용수 환경기준인 4급수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환경부의 종합대책 대로 수질대책을 세우더라도 부영양화의 원인인 총인이 새만금호의 목표수질인 4급수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방조제가 완공되면 해류의 유속이 느려져 남해에서 번창하는 유독성 적조가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그러나 갯벌을 살릴 경우 물리적인 흡착과 미생물 분해만으로도 간척사업으로 사라질 2만㏊의 갯벌이 제거할 수 있는 유기물량이 전주와 익산 하수처리장을 합친 것보다 많은 하루 25.4t에 이를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듯 간척사업으로 생기는 새만금호의 수질을 장담할 수 없는데도 사업을 강행하려는 의도는 무엇입니까.        5. 철새 도래지가 사라집니다. 새만금 갯벌은 북쪽으로 금강하구의 영향을 받고 있고, 국내 유일의 강다운 강인 동진강과 만경강이 유입되고 있어 하구갯벌이 건강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새만금 지역이 우리나라 최대의 철새도래지임이 공식 확인되었습니다. 환경부가 2000 2 12~1일 전문가 105명이 전국 100개 주요 철새도래지에서 동시 조사한 결과, 186 118 4000마리가 관찰돼 지난해의 106 8000마리보다 13 11 6000마리가 늘었다고 4 3일 밝힌 바 있습니다. 특히 도요새의 경우 새만금 갯벌이 사라지면 멸종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6. 엄청난 환경파괴를 불러옵니다. 방조제 축조 60% 공정을 마친 현재 이 방조제를 막느라 국립공원 안의 산 하나가 통째로 사라졌습니다. 방조제 외에 138km의 방수제를 막아야 하는데 그 토석들은 다 어디서 가져오는 것입니까. 많은 문화유적과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변산반도의 산이 수십 개가 들어가고도 모자랄 판입니다. 이런 무모한 사업은 지금이라도 당장 그만 두어야 합니다.        7. 국민의 혈세를 허비하고 있습니다. 방조제 60%를 완성한 지금까지 들어간 돈만도 1 250억원 이며, 방조제를 완공하고 내부개발과 새만금호 유입수의 수질오염방지와 관리를 위해 앞으로 몇 십조원이 더 들어가야 할지 예측하기조차 어렵다고 합니다. 나라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이 사업에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듯이 국민의 혈세를 퍼부어야 합니까. 식량안보 차원에서 논을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지만 새만금 간척지의 쌀 생산량은 우리나라 전체 생산량의 0.7%밖에 되지 않습니다. 식량 안보 차원에서 의미가 없는 수치입니다. 더구나 쌀은 남아돌고 있습니다.

5037              새만금간척과 미티게이션          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신문 섭           우리나라 간척의 역사            우리나라 간척은 고려조 고종 35(1248) 안북부의 용도에 간척을 하여 백성들에게 경작하여 한 결과 몽고병이 수차례 침입하였어도 주민의 식량이 무난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의 인조, 효종, 현종, 숙종 때에는 강화도 간척사업을 국가가 시행하였고, 정조때에 민간이 간척사업을 시행했다는 기록이 있다. 1945년을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1945 8 15일 이전(평남, 평북, 황해, 전남, 전북), 1945 8 15일 이후에는 5.16혁명까지(1945~1960), 1970년대, 1980년대로 구분 할 수 있다. 우라나라의 간척사업은 이용 면에서 초기에는 농경지확보라는 단일 목적하에 시행되었던 것이 70년대부터는 농경지확보는 물론이고 공업단지조성, 수자원확보, 염해방지, 해운의 육운화 등 국민경제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효과를 얻기 위하여 간척은 하구에 실시되었다. 그 예로 낙동강하구간척, 금강하구간척, 영산강 하구간척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하구의 특성읇 ㅗ면 간석지가 잘 발달해 있어 해양생물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또한 하천수와 연안수가 만나는 하구해역은 많은 플랭크톤이 집중되기 때문에 플랭크톤을 먹으려고 물고리들이 모여들어 좋은 어장을 만든다. 이러한 좋은 어장이 형성되는 하구 해역에 간척을 하여 국토확장과 용수이용 등 지역발전에 기여한다고 하지만, 간척을 함으로써 발생되는 해양생물자원의 피해는 심각하다. 그러나 피해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간척사업에 따라 발생하는 영향(Impact)을 피하고(Avoid), 최소화(Minimize)하고, 불가피한 영향(Impact)을 어떤 방법을 통하여 피해를 받기 이전의 환경으로 재생, 복구하는 방법(Miti-gation)을 제시하여야 한다.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해역에 개발되고 있는 새만금간척사업도 간척 사업에 따른 불가피한 영향(Impact)을 새만금방조제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하여 보면,             내측(담수측)에는 간석지(갯벌)의 손실, 담수를 농업농수와 공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수질개선이 요구된다.              외측(해역)에는 간척사업에 따른 수산생물의 피해를 재생 · 복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외측(해역)의 간척사업에 따른 수산 생물의 피해를 받기 이전의 환경으로 재생, 복구하는 방법으로서 방조제 전면에 잠제를 설치하여 흐름이 어류 유생의 착저에 어느 정도 유효한가, 수산의 관점에서 Mitiga-tion의 가능성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새만금 방조제축조 전후의 조류와 밀도류(수온 · 염분), 취송류(바람)가 포함된 잔차류의 특성을 규명하고, 방조제 전면에 잠제를 설치하여 어류의 난의 이동특성에 대하여 규명하여 수산의 관점에서 mitigation의 가능성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방조제축조 후 방조제 전면에 잠제를 설치한 경우 어류 난의 이동특성은 잠제 설치 전보다 이동범위는 좁았다. 따라서 빨리 발생하는 연안성 어종 즉, 부유거리가 짧아서 좋은 연안성 어종에게는 Mitigation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잠제를 설치한 내측에 파고의 감소로 저기압 이동 · 해일 등에 대한 연안방재효과가 크다.            새만금개발의 의의와 특성            새만금간척사업은 전북의 만경강과 동진강하구에 조성되는 하구간척의 하나이다. 새만금간척사업은 하구의 간석지와 해역 일부를 육지화하여 국토확장과 염해방지, 수자원(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이용을 고도화하여 농토나 기타 산업용지로 조성하여 전북도의 발전은 물론 국민경제발전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새만금간척사업 개발의 기본방향            새만금간척사업 개발의 기본방향은 토목공학과 해양공학적 접근방법으로서 만경강과 동진강하구지역에 합당한 개발구상이 바람직하다. 기본골격은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대규모농업단지조성, 농촌형도시건설, 농수산관련 공업단지조성과 공해발생이 적은 공업단지조성, 친수관련 위락공간 확보, Mitigation의 방법으로서 대규모 어장환경조성사업 및 해양관련 관광단지조성, 농업 및 수산관련 교육문화센타건립 등이다.            갯벌문제 해결방안            본인의 연구결과 새만금축조후 가력도배수갑문 부근해역에 직경이 약 15km 정도되는 와류성 순환류가 발생되어 배수갑문에서 방출된 토사가 퇴적되므로 장기적으로 갯벌이 형성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금강배수갑문에서 방출된 토사가 비응도 왼쪽 해역에 퇴적되어 장기적으로 갯벌이 형성된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소규모 갯벌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물도 연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적조현상에 대한 예방책            적조발생은 해역의 형상과 흐름크기, 오염부하량 등의 정도에 따라 발생된다고 판단된다. 그 예가 매년 적조가 발생되는 남해안은 서해안 보다 조차가 작고(흐름이 느리고 : 대조차 약2.0mm~3.0mm), 연안이 작은 만으로 형성되어 있어 적조가 자주 발생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서해안은 남해안보다 조차가 크고(흐름이 빠르다 : 대조차 군산 5.7mm), 연안은 남해안보다 굴곡이 작아 남해와 같은 규모의 적조발생이 적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새만금간척후에 새만금해역에도 남해안과 같은 규모와 빈도로 적조발생은 되지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물리적으로 적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어도문제의 개선책            어도의 정의는 어류의 이동을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장해가 있을 때 이동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수로 또는 장치의 총칭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어류에 맞는 어도 보다 전 어종이 소상할 수 있는 어도이어야 한다. 따라서 새만금방조제에 설계된 어도는 보완이 필요하다.            아쉬운 점            새만금종합개발사업은 전북 무안군 변산면 대항리를 시점으로 고군산 군도의 신시도, 야미도와 군산시 비응도를 종점으로 하는 33km의 방조제를 축조하여 41ha의 국토를 확장하

5038              새집 증후군 방지 10계명          천연벽지 등 환경친화적인 건축자재 사용        입주전 난방을 통해 유해물질 강제 배출(베이크 아웃)        ·공기청정기·공기정화식물 등으로 오염물질 제거        알루미늄 호일이나 테이프 등으로 벽지·장판지 틈새 차단        금연 /  환기 자주하기        살균소독제·세제·화장품 등 화학물질 사용 자제        드라이클리닝한 옷 통풍이 잘되는 곳에 뒀다가 옷장에 넣기        낡은 하수 배수관 교체        새 옷과 새 가구의 유해물질에도 주의

5039              새집증후군                  집이나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사용하는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해 거주자들이 느끼는 건강상 문제 및 불쾌감을 이르는 용어이다. 새집에 사용한 여러 자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배출된다. 여기에는 벤젠·톨루엔·클로로포름·아세톤·스틸렌·포름알데히드 등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또 집을 지을 때 발생한 라돈, 석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부유세균과 같은 오염물질도 있다. 이밖에 곰팡이·바이러스와 같은 세균, 진드기, 애완동물 등의 생물도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건물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축적되면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사람이 이러한 오염에 짧은 기간 노출이 되면 두통, ··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실내공기 오염정도는 집 안팎의 환경조건, 사용한 건축자재의 종류와 공법, 환기시설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감재 대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환기를 자주하여 실내의 오염물질을 내보내고, 공기정화용품을 사용한다. 새집으로 이사갈 경우에는 이사하기 전에 보일러 등으로 실내 온도를 높인 후 환기를 시켜 휘발성 유해물질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5040              새집증후군 [Sick house syndrome]                     집이나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사용하는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해 거주자들이 느끼는 건강상 문제 및 불쾌감을 이르는 용어이다. 새집에 사용한 여러 자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배출된다. 여기에는 벤젠·톨루엔·클로로포름·아세톤·스틸렌·포름알데히드 등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또 집을 지을 때 발생한 라돈, 석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부유세균과 같은 오염물질도 있다. 이밖에 곰팡이·바이러스와 같은 세균, 진드기, 애완동물 등의 생물도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건물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축적되면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사람이 이러한 오염에 짧은 기간 노출이 되면 두통, ··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실내공기 오염정도는 집 안팎의 환경조건, 사용한 건축자재의 종류와 공법, 환기시설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감재 대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환기를 자주하여 실내의 오염물질을 내보내고, 공기정화용품을 사용한다. 새집으로 이사갈 경우에는 이사하기 전에 보일러 등으로 실내 온도를 높인 후 환기를 시켜 휘발성 유해물질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5041              새천년개발목표(MDGs)              국제사회의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2015년까지 전 인류가 함께 달성하기로 2000 '유엔 새천년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의제이다. MDGs 8대 목표는  절대빈곤 및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교육 달성  남녀평등 및 여성능력 고양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증진 ⑥ HIV/AIDS, 말라리아 및 기타 각종 질병 퇴치  지속가능한 환경보전  개발을 위한 범지구적 파트너십 구축이다. 2016년부터 SDGs(지속가능발전목표)에 의해 대체되었다.

5042              새천년생태계평가(MEA)             생태계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UN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실시한 생태계 평가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인간의 복지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과학적인 기반을 토대로 지난 50년의 생태계와 그 서비스 변화를 평가하였고 미래 50년을 전망하였다. MA 보고서 이후 G20를 중심으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 연구(TEEB : The Economics of Ecosystem Biodiversity)' 가 진행되었다. 또한 범정부 차원의 기구로서 전 세계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는 IPBES가 설립됐다.

5043              새코미꾸리                  분포, 생육지 : 한반도(임진강 및 한강 수계)         형태 특성 : 몸 길이는 15~17cm이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길다. 눈은 작고 위쪽에 붙어 있다. 눈 앞에는 둘로 갈라지고 세울 수 있는 가시가 있다. 주둥이는 길며 그 끝은 옆으로 납작하고 아래로 향해 있으며 둥글다. 입은 반원형이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다. 몸의 빛깔은 지저분한 노란색이고 등쪽은 연하며 옆구리에는 불규칙한 암갈색 구름 모양의 무늬가 있다.       생태 특성 : 하천 중ㆍ상류의 물살이 빠르고 맑은 물의 자갈 바닥에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부착조류나 수생곤충 등을 잡아먹는 것으로 추측된다. 산란기는 5~6월이다.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관상어로도 가능성이 있다.       특이사항 : 하천 중ㆍ상류의 유속이 빠른 여울의 자갈 바닥에 서식하며, 주로 부착 조류를 먹고 산다. 산란기는 5~6월로 추정된다.

5044              새활용(업사이클링) 기업           업사이클링 기업은 단순 재활용을 넘어, 더 가치 있는 쓰임새의 새로운 것을 만드는 기업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접목해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5045              색 온도[色溫度, color temperature]                     어떤 물체의 열방사의 색과 같은 색의 열방사를 하는 흑체의 온도를 말한다. 색이 같다는 것의 판정에는 어떤 파장역(波長域, 일반적으로 가시부전역)에서 휘도분광포(輝度分光布)의 합치(合致)를 조사하면 되나 실제로는 두 개의 파장역에 대해서의 휘도비가 같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2색 고온계가 많이 사용된다. 항성(恒星)의 경우는 이와 같은 뜻을 갖는 색지수가 같아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흑체, 회색체(灰色體) 이외의 물체색의 온도 Tc는 참온도 T와는 달라 대개의 경우 TcT이며 항성의 경우는 유효온도와도 다르며 스펙트럼형이 동일하면 대략 같은 값을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며 색온도는 참온도에 어느 정도 가깝다고 생각해도 좋다(        는 흑체 이외의 물체의 휘도). 또 관측 경로에서의 방사 투과율이 1이 아닌 경우에도 투과율이 파장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기만 하면 색온도는 정확하게 관측된다.

5046              색 유리[-, colored glass]                       착색한 유리의 총칭. 유기착색막을 겹붙인 것도 있으나 보통은 유리 자체가 유색인 것을 말한다. 착색기구에는 진용액에 의한 색과 콜로이드용액에 의한 색이 있다. 착색제에는 아래 표와 같은 것이 있으나, 같은 착색제라도 유리조성에 따라 색이 달라질 때가 있다. 장식, 미술품, 필터, 신호용 등에 사용된다.           표 ㅅ-7                              착색제(着色劑)                진용액(眞溶液)                콜로이드용액                ()                Au, Cu, Se, Cd(S, Se)                오렌지                다황화물(多黃化物)                Cd(S, Se)                ()                Fe2O3, Cr2O3                CdS, Ag                ()                Cr2O3, Fe2O3+FeO                ()                CoO, Feo, Cuo

5047              [,color]                 가시광선(可視光線)의 명암(明暗)과 분광조성에 대한 시각을 색감각, 색감각을 만드는 빛을 색자극이라 하고 색은 양자의 어느 쪽도 가리키나 색자극을 생기게 하는 물체의 특성을 말할 때도있다. 색감각은 심리적인 것이며 색자극과의 대응에는 개인차가 있으나 표준 관측자(觀測者)의 대응을 규정함으로써 공통의 심리ㆍ물리적 표시를 줄 수가 있다. 심리적인 색감각에는 명암(측광적 성질)에 대응하는 밝기와 분광조성(측색적 성질)에 대응하는 감각색도가 있어 후자는 색의 종류 즉 색상과 선명도(짙음도) 즉 채도로 나누어 진다. 이 세 가지의 속성에 따라 색의 시료를 많이 배열한 색표계로 표시하는 법을 현색계의 표색계법이라 한다. 적당히 선택된 세 개의 원색으로 부터 적당한 혼합비의 생기는 등색의 것이 만들어지므로 임의의 색은 이 혼합비로 표시할 수가있다. 이것을 혼합계의 색표시라 한다. 색자극을 써서 심리물리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서는 밝기에 자극치, 감각색도에 색도, 색상에 스펙트럼색의 주파장(主波長), 채도에 순도가 대응한다. 혼색계표시에는 세 개의 양()을 조합하면 되나 보통은 CIE 표색계 또는 그 변형이 사용된다. 이 표시법은 혼색은 가법혼색이지만 실용상은 흡수체에 의한 감법혼색도 되며 이들도 적당한 원색의 조합으로 실현될 때가 많다. 또한 불투명체의 표면색등의 시각은 색감각에 공간적 분포결합된 색지각이며 거리감이 확정되고 꿰뚫는 느낌이 없이 대상의 색으로서 지각할 수가 있다.

5048              색도 제거                   상수원수 색도가 높으면 정수처리과정에서 염소제와 반응하여 THMs와 같은 방암물질이 생성되므로 응집침전처리나 활성탄처리를 통하여 제거하여야 함.         1. 개 요           . 특 징             색도는 주로 자연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             토양속의 부식질로 휴믹산과 펄빅산이 주성분으로 유황색 및 황갈색 착색 발생             수돗물 수질기준 : 5도 이하            . 제거약품             응집제 : 휴믹산 제거             활성탄 : 휴믹산 및 펄빅산 모두 제거 가능             염소제 : 휴믹산 및 펄빅산을 산화하여 응집제에 의한 응집효과 상승             응집제 및 활성탄의 병합처리로 제거효과 향상            . 수질검사 시기 및 횟수             상수원수, 침전수 및 정수 : 매일 4회이상           2. 제거방법           . 응집침전처리법             색도가 높은 경우 평소보다 응집제 주입량을 증가 투입             응집처리시 pH 6 전후로 하여 제거            . 활성탄 흡착             충분한 양의 활성탄 주입(-테스트후 결정)            . 낮은 pH(6)에서 응집제와 활성탄 흡착(또는 염소제)의 병합처리가 효과적

5049              색도 표준 용액[色度標準溶液, chromatility standard solution]                    염화백금산칼륨 2.49hg과 결정 염화 코발트 2.00g을 염산(35% 이상) 200㎖에 용해, 물을 가하여 1,000㎖로 한 것의 색도를 1,000도로 함. 배수의 색도 측정에는 이 액을 희석하여 사용함.

5050              색도[色度,chromatility]              물의 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결정적인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물속에 백금이 1ppm들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색을 1도로 표시함. 색도 표준 용액은 염화백금산칼륨 2.49g 및 결정 염화 코발트 2.00g을 염산 200㎖에 용해시켜 1ℓ로 한 것을 1,000도로 하여 조제하고, 이 표준액을 희석, 검수의색과 비교함.

5051              색소 단백질 [色素蛋白質, chromoprotein]                     색소를 포흠분자족(捕欠分子族)으로 하여 결합하고 있는 복합단백질. 크로모프로테인이라고도 한다. 산화환원산소, 혈액 중의 산소운반체 또는 광생화학반응의 매체로서 생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한 것으로서 다음의 5종이 있다. (1) 철포르피린을 함유한 것.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에리트로크루오린(이상 적색), 클로로크루오린(녹색 내지 적록색. (2) 철이온을 함유하는 것. 햄에이트린(보라색), 펠리틴(갈색). (3) 구리이온을 함유한 것. 헤모시아닌, 셀룰로플라스민(이상 청색). (4) 플라빈을 함유하는 것. 황색효소,        아미노산옥시다아제, 클로로필을 함유하는 것. 로돕신(홍색), 클로로필단백질(녹색).

5052              색소 단백질[色素蛋白質, chromoprotein]                     색소를 포흠분자족(捕欠分子族)으로 하여 결합하고 있는 복합단백질. 크로모프로테인이라고도 한다. 산화환원산소, 혈액 중의 산소운반체 또는 광생화학반응의 매체로서 생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한 것으로서 다음의 5종이 있다. (1) 철포르피린을 함유한 것.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에리트로크루오린(이상 적색), 클로로크루오린(녹색 내지 적록색). (2) 철이온을 함유하는 것. 햄에이트린(보라색), 펠리틴(갈색). (3) 구리이온을 함유한 것. 헤모시아닌, 셀룰로플라스민(이상 청색). (4) 플라빈을 함유하는 것. 황색효소,        아미노산옥시다아제, 클로로필을 함유하는 것. 로돕신(홍색), 클로로필단백질(녹색).

5053              색소 레이저[色素-, dye laser]                    레이저 물질로서 유기 색소를 적당한 용매(溶媒)에 녹인 상태로 사용하는 액체 레이저의 일종.

5054              샌드 펌프 (sand pump)            토사를 포함한 물을 수송하는 내마모 재료로 된 펌프.

5055              샘플링 방법[-方法, sampling methods]                     산업 폐기물의 샘플링 방법으로 예를 들면, 랜덤 샘플링, 계통 샘플링, 이단 샘플링, 층별 샘플링, 매치 샘플링, 콘베이어 샘플링, 화차(貨車) 또는 용기 샘플링, 콘크리이트 블록 샘플링, 스토크 파일 샘플링 등이 있음.

5056              샘플링( sampling)                    어떤 대상물의 특성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 또는 시험을 하기 위해 그 대상물의 일부분을 채취하는 것, 이를테면 어느 합금재료의 조성을 알기 위해 그 소량을 깎아내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이 하여 채취한 것이 시료(sample)이며 시료는 지금 문제 삼고 있는 특성에 관해서 대상물전체를 대표하는 것이어야 한다.

5057              샘플링[sampling]          어떤 대상물의 특성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 또는 시험을 하기 위해 그 대상물의 일부분을 채취하는 것. 유출이라고도 한다. 이를테면 어느 합금재료의 조성을 알기 위해 그 소량을 깎아내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이 하여 채취한 것이 시료(sample)이며 시료는 지금 문제삼고 있는 특성에 관해서 대상물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5058              샛강 살리기 운동                     * 샛강이란?         ː- (-) [새깡/샏깡] 강의 본류(本流)에서 갈라져서 가운데에 섬을 이루고, 다시 하류에서 본류에 합쳐지는 지류(支流).         조선일보사와 문화방송 및 배달녹색연합회가 공동 추진하는 운동으로서 「샛강이 살아야 큰강이 산다.」는 취지와 상수도원으로 연결되는 샛강의 오염을 막아 맑은 물이 흐르는 강으로 만들고, 환경보전에 대한 국민 의식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 샛강 살리기 세부 실천사항          전국 l02개의 샛강과 3,847개의 샛강 지천에 대한 청결운동          샛강 오염 경로 확인, 오염 배출원 감시          샛강의 수질 검사          각 가정에서 생활수칙을 지켜 생활하수 감소의 실천 등

5059              생균제            사람 또는 동물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켜 숙주동물에게   유익한 영향을 주는 미생물제재 또는 미생물의 성분

5060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생물활성물질이라고도 함. 생체내에 존재하며 미량으로 생리현상에 영향을 주는 물질. 각종홀몬,  활성아민, 비타민등이다. 생체내에는 각종 생리기능, 생체반응, 염증등이 모두의 신체기능에 관여하고 또한 조절을 행한다. 곤충독, 농약등 주작용 성분의 많은 것이 생리활성물질이다.

5061              생명 신체의 피해에 대한 무과실 책임[生命身體一避害一無過失責任]            사업장등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로 인하여 사람의 인명 또는 신체에 피해가 발생한 때에는 당해 사업자는 그 피해를 배상하여야 함. ② 사업장 등이 2개 이상있을 경우에 어느 사업장 등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에 의하여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 것인지를 알 수 없을 때에는 각 사업자는 연대하여 그 피해를 배상하여야 함. ③ 1항의 규정에 의한 피해의 배상에 관하여 이 법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의 규정에 의함. 다만, 민법 이외의 법률에 따른 규정이 있을 때에는 그 규정에 의함.

5062              생명공학                     된장이나 간장, 요구르트 등을 만드는 전통적 발효기술도 '생물이용기술' 이라는 의미에서는 생명공학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생명공학이라고 하면 유전자 변환, 세포 융합, 대량 조직배양, 바이오리액터, 염색체 조작 등 주로 1960년대 이후에 개발된 새로운 기술을 가리킨다. 바이오 계통의 기초 과학에서 연구 수단으로 유용하다. 그러나 의료나 농업현장에서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기대치만 높은 것이 현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페론은 체내에서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이러스 감염 방지 등에 종합적인 효율을 올리고 있으나, 유전자공학에서 한 종류의 인터페론을 대량으로 만들어 내는 일이 과연 타당한지는 의문이다.

5063              생명공학기술의안전성확보를위한국제기술지침 (International Technical Guideline for Safety in Biotechnology)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생명공학 안전성 의정서'가 채택될 때까지의 임시지침으로 LMOs의 취급, 교역, 사용을 통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지속적으로 안전한 생명공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UNEP가 마련한 국제지침서를 말한다.

5064              생명윤리                     종래 '의학의 윤리'는 의사의 직업규범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 생명윤리는 뇌사, 장기 이식, 시험관 아기, 중절이나 안락사, 유전자 전환, 세포융합 등의 생명공학, 동물실험 등의 윤리적 측면을 재고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5065              생물 검정법[生物檢定法, bio-assay]                     물질의 성질을 판정하는 한 방법. 생물에 어떠한 물질을 주었을 때, 그 생물이 나타내는 반응을 관찰함으로서 그 물질을 판정하는 시험법.

5066              생물 농축 [生物濃縮, biological magnification]             물 및 토양 중에 함유된 물질은 생물체 내에 둘러싸여, 특정 물질의 농축(concentration)과 축적(accumulation)이 일어남. 그 축적량이 각각의 생물의 허용량을 초과할 때, 생물체에는 이상이 일어나게 되고 결국은 죽기에 이름. 자연계의 생물 집단은 서로 먹이 연쇄(food chain)로 결합되어 복잡한 물질 이동의 회로를 구성함. 예상 외의 장소의 생물체 내에 대량의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 있음이 나타나고 있음. 예를 들면 DDT와 같이 분해되기 어려운 염소화 탄화수소는 토양이나 물 속에 비축되어 조류(藻類)에서부터 대형 어류(魚類)에까지 수생(水生)의 먹이연쇄를 거쳐 농축됨, DDT 이외에도 먹이연쇄를 통하여 PCB, 수은, 카드뮴, 크롬, 아연, , 방사성 물질 등 자연계에 살포된 독성 물질이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

5067              생물 다양성보존협약 (Biodiversity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1987 6월 유엔환경계획 기구는 생물다양성 문제에 대한 국제적 행동계획의 수립을 결정하고, 1988, 1990년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여 국제적인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국제협약 초안이 작성되었다. 그후 여러 차례 실무회의를 거쳐 1992 6월 아르헨티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리우회의에서 각국의 정상들이 서명하였다.    목적은 생물종을 보호하고 희귀유전자의 보전, 생태계의 다양성, 생태계의 균형유지 등에 있다. 그러나 중요한 생물공학기술이 이전문제와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재정지원 문제는 합의를 보지 못하였다. 또한 미국은 미국내의 반발로 서명을 하지 않았다. 한국은 1992년 리우회의에서 가입하였다.

5068              생물 물리학[生物物理學, biophysics]                     물리학적 과학의 방법에 의해 생명현상의 기본적이고 통일적인 이해를 목표로 하는 학문분야를 말한다. 유전현상이나 생리기능의 요소적 과정을 해석하고 그 기구를 물리적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생명현상은 DNA가 갖는 정보의 발현과정이며 단백질 등의 기능적 분자의 특이적상호작용의 과정이라고 본다. 생물학적과학과 물리학적과학과의 융합에 의해서 된 학문이며 그 연구분야로서는 생체고분자생성, 분자유전, 분자생리 등이 있다.→분자생물학, 분자유전학, 분자생리학.

5069              생물 산화지법[生物酸化池法, biogical oxidation pond process]           오수(汚水)를 못에 넣어, 표면에서 용해되는 산소 또는 조류(燥類)의 동화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소를 호기성(好氣性)미생물이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응용한 처리 방법임,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못의 수면적으로 넓히고, 수심(水深) 1m이내로 하여 산소 공급을 될 수 있는 한 효과적으로 할 필요가 있음. 처리효율은 통상의 생물학적 처리에 떨어지지만 유지 관리가 극히 간단하고, 운영비도 거의 들지 않음. 일명 안정화지(安定化池)라고도 하며 래구운과 같은 것임.→산화지(酸化池)

5070              생물 시험법[生物試驗法, biological assay]                      생물학적 검정(生物學的 檢定).

5071              생물 원격측정 [生物 遠隔測定 biotelemetry]               신호를 내는 에너지원을 동물에게 부착시켜 동물의 이동이나 활동을 추적하기 위한 원격탐사방법을 말한다. 동물에 송신기를 부착하는 방법은 장파장을 내는 무선발신장치나 고주파 단파장인 방사선원도 유용하다. 생물원격측정을 사용하여 조사하는 연구자들은 포획한 동물에 송신기를 부착시키거나 혹은 체강에 이식시켜서 풀어준 동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거나 또는 심장의 박동주기를 추적할 수 있다. 예로 큰사슴, 순록, 사슴 등의 이동유형은 행동권의 크기, 섭식시간, 어린 싹을 즐기는 동물의 행동 및 개나 사람에 의한 수렵의 압박에 대한 반응 등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 지상에 있는 전파탐지기는 동물의 움직임을 탐사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곤충의 행동, 새의 이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평지의 일상측후소의 전파탐지기로도 야행성 저류의 집단 이동상을 감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 고도, 개개의 새의 비행방향도 감시할 수 있다.

5072              생물 지표[生物指標, bio-indicator, biological indicator]                 그곳에 어떤 생물이 어떻게 존재하는가, 생물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하는 생물측의 상황에서 환경상황을 유추(類推)하여 나타낼때 그것을 생물지표라 함. 생물지표는 옛날 부터 천기예보, 파종기 어군탐지등에 경험적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최근에는 여러가지 생물지표가 개발되어 환경조사에도 사용되며, 생물단위로는 1) 개체 또는 개체부분, 2) 특정종의 개체군, 3) 특정분류군을 단위로 하는 전체의 개체군, 4) 복수분류군을 조합한 개체군, 5) 특정군락내지 군집에 포함되는 전생물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는 이화학적계기로 측정키 어려운 오염물질의 상승작용의 검출등에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생물지표의 대상환경으로서는, 토양(지력, 토양수분, 토질 pH), (저질, 수질, 수온, 유속(流速), 수심 등), 대기(대기질, 풍향, 기온, 공중습도, 서리(降霜), 천후예보 등), (빛의 강약, 일장, 자외선량의 다소등), 기후(기후대, 수직분포대계절등), 경관(景觀)(삼림, 초원, 해변, 호수, 하천, 경지, 도시, 전원등), 산의높이, 식물군락, 생물지구, 자연도, 생물상의 풍부상, 병해충발생예상, 작물의 풍흉작, 환경악화, 산업입지 등을 들 수 있다. 조류의 모양, 울음소리에는 이러한 지표성을 인정할 수 있다.

5073              생물 처리 장치[生物處理裝置]                   생물을 이용한 공해 방지 장치. 활성오니(活性汚泥)처리장치, 살수 여상처리 장치, 임호프 탱크, 접촉 폭기조(曝氣槽), 회전원판 접촉 장치 등이 있음. 미생물 보유, 산소공급, BOD부하의 조정, 미생물 활성 유지 등을 만족 시켜야 함.

5074              생물 화학[生物化學, biochemistry]             화학적 지식과 방법을 갖고 생명현상의 기초적 이해를 목표로 하는 학문분야, 생체의 구성성분 물질의 특징을 짓게 하는 것이나 생합성기구 등을 추구하며 또 이들 성분상호 사이에서 생체내외에 있어서 일어나는 화학변화 및 이것에 수반되는 에너지 대사를, 생명현상과 관련시켜서 해석을 도모한다. 효소, 비타민, 호르몬 등의 관계를 연구하고   근년에는 더욱 생물물리학의 발전과 함께 분자생물학, 분자유전생화학의 면에서의 발전이 활발하게 되었다.

5075              생물 화학적 질소 제거법[生物化學的窒素除去法]              〓 생물학적 탈질법.

5076              생물 화학적 처리에 협력하는 미생물[生物化學的處理一協力一微生物]                    하수를 생물 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협력하는 미생물. 여러종류가 있음.

5077              생물경보체제 (Animate Thing Alarm System)          상수원 등 하천에 중금속·독극물 등 오염물질이 흘러 들었을 때 즉각 이를 감지, 경보를 내리는 수질 측정망이다.        바이오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불리는 이 생물경보체제의 특정원리는 물고기와 물벼룩이 급성독성물질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놓치지 않고 잡아 전자통제장치에 입력시키고 일정 한도를 넘어서면 경보를 울리게 하는 것이다.

5078              생물경제학                  경제활동을 생물의 존재에 따라 진단하는 것. 이에 따르면 경제활동이란 환경으로부터 저엔트로피 상태의 물질 및 에너지를 빌려 와 이를 필요에 따라 변환시키는 것이다. 인간은 이에 의해 소비생활을 영위하고 폐기물을 배출하는 등 고엔트로피 형태로 생태 사이클을 되돌린다. 인간의 경제활동이 자연의 변환과정을 뛰어넘는 속도로 물질과 에너지를 폐기물로 바꿔 버린다면 사회에 대한 외부비용을 증가시켜 유용한 물질 및 에너지 부족이라는 사태가 더욱 심각해진다.

5079              생물계절관측               기상청에서는 생물계절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생물계절 관측은 계절을 대표하는 여러가지 생물의 상태를 관측하여 계절의 빠르고 늦음, 지역적인 차이 등을 합리적으 로 관측하므로써 기상상황이 변하여 가는 것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생물계절관측은 식물계절과 동물계절 관측으로 구분하여 기상청이 지정한 종목에 대하여 관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지방의 지역적 특성에 따른 특수 종목에 대하여도 관측할 수 있 다. 이 관측자료는 기온의 고·저와 같은 기상 변화가 실제 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된다. 그러나 산업화, 도시화에 따라 동물의 출현이 적어지고, 또 관측자체의 임의성 때문에 동물계절 관측은 계절변화 경향을 짐작하는데만 주 로 쓰인다. 반면 식물은 기상청 산하기관에 관측목을 심어 관측하므로 상대적으로 객관적이며, 그 결과가 분석되어 '벚꽃시기발표'와 같이 이용된다.        식물계절관측의 종목은 벚꽃, 매화, 개나리, 진달래, 아카시아, 복숭아, 배나무, 코스모스, 은행나무, 단풍나무이며 관측현상은 발아, 개화, 만발, 단풍, 낙엽이다. 관측소 구내에서 관측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재 구내에 표준목이 없거나 과거에 심은 표준목이 늙고 병들어서 관측이 부적당할 경우는 새로 표준목을 심고, 그것이 관측에 적당 한 크기로 자랄때까지는 관측소 부근에 있는 식물을 표준목으로 지정하여 관측하고 있다. 관측목은 관상용이거나 과실을 수확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될 수 있는한 자연상태 그대로 보존해서 관측한다.        또한 동물계절관측의 종목은 제비, 종달새, 뻐꾹새, , 개구리, 배추흰나비, 밀잠 자리, 참매미이고, 관측현상은 초견, 종견, 초성, 종성이다. 관측소구내 혹은 부근에서 동물계절관측을 하여야 하나 어떤 동물은 매년 잘 나타나는 장소가 대략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리 관측 장소를 조사해 놓았다가 관측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동·식물 현상은 해에 따라 빨리 또는 늦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자가 과거의 현상발생시기를 대략 알고 있다가 그 시기가 되면 주의깊게 관찰하고 있다.  계절관측을 하다보면 추울때 벚꽃이 핀다든다 가을에 종달새가 우는 등 때아닌 현상이 일어날 때가 있는데, 이렇게 각종 현상이 평년(과거 30)과 전혀 다른 시기에 나타날때 이 현상을 이상현상이라고 하며 사진을 찍고 상세한 사항을 기록하여 그 원 인을 조사하고 있다. 이렇게 관측된 동·식물 계절관측 자료는 주로 레저 분야에 이 용되는데 요즈음은 이상저온, 이상고온과 같은 이상기상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자 료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5080              생물공학[生物工學,biological engineering]                     생물의 여러가지 기능을 공학적 입장에서 해석하고 동시에 생물적기능을 갖는 체계를 공학적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학문분야, 신경, 감각, 운동, 신경회로망, ()나 대사조절회로(代謝調節回路) 등을 대상으로 하고 특히 뇌의 작용의 해명에 주로 관심이 있어, 식별(識別), 기억(記憶), 의식(意識) 등의 문제에 기울리고 있다. 한편에서는 현실의 생물에 있어서 상술기능의 기본적 과정을 명확히 하고 다른 방향에서는 이들의 지식을 참고로 하여 동등의 기능을 갖는 기계를 조립하려고 한다. 전자계산기는 이러한 의미로 일종의 생물공학적기계이다. 도형을 판단하는 기계, 학습하는 기계를 전자회로강으로 만드는 시도도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 이 방향으로는 논리학과 연결하여 수학적 방법이 유효하다. 생물학의 중요분야인 동시에 공학의 신분야를 개척하는 것이다.

5081              생물군계                     열대 우림, 툰드라 등 주로 기후에 의해 다르게 형성된 생물의 군총이다. 일반적으로 동물군총보다는 식물군총에 의해 구분된다. 독특하고 고유한 식물군총은 식물이 강수량, 온도, 빛 등의 여러 기후 요인에 적응한 결과이다. 생물군계는 보통 위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적도 기준 북반구 방향으로 열대 우림, 사막, 초원, 온대 낙엽수림, 타이가, 툰드라, 빙하 순으로 분포해 있다. 때로 생물군계가 점차적으로 바뀌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전이라고 하며, 이처럼 전이로 인해 두 개의 군집이 동시에 분포하는 지역을 전이대라고 한다.

5082              생물군집[biotic community biocenosis]                     한 장소에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집합생활하는 생물군을 말하나, 생태계 개념의 생물적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 많다. 군집을 식물과 동물을 구별치 않고, 양자의 총합된 것을 강조할 때에 사용한다. 생물공동체라고도 한다. 식물만의 집합체로 생각할 때는 식물군락 또는 식물공동체라고 하고 동물은 동물군집, 동물공동체라 한다.

5083              생물권            라마르크가 만든 말. 지구상에서 생물이 존재하는 부분. 즉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영역으로 해양과 대기를 포함한 지구의 매우 얕은 표층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5084              생물권 계획 - 미니 지구           * 미니 지구란?         미국 애리조나 주에 지구 환경의 축소판을 만들어 이름 지은 '미니 지구 계획' 즉 축소판 지구 계획을 말하는 것이다. 이 미니 지구는 축구 운동장만한 넓이의 땅에 인공적으로 만든 사막, 습지, 열대우림, 열대초원, 호수 농장을 갖추고 있는데 3800종의 식물, 250종의 동물이 있다. 인공적으로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여 8명의 연구자들이 2년 동안 자급자족하면서 지내게 하였다.         * 결과         미니 지구내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지구 환경 유지가 어려움. 인공적인 쾌적한 환경이라도 자연적인 것에  미치지 못함의 증명.

5085              생물권(biosphere)                    생물체가 존재하는 지반의 부분(미생물을 포함한 식물과 동물의 생명을 지배하는곳) 대기의 하층부분과 수권 그리고 지반 부분도 포함된다.

5086              생물권보존지역            MAB 사업을 실현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이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는 뛰어난 생태계를 유네스코가 지정한 곳        한반도에는 설악산(1982), 백두산(1989), 제주도(2002), 구월산(2004) 네 곳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있음

5087              생물권역 관리 (Bioregional Management)                     생물지역의 경계를 정치적인 구분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공동체나 생태계의 지리적 한계에 의해서 구분 관리하는 통합적 접근방법을 말한다.(: 여러국가에 의해 공유되는 생태계관리)

5088              생물기상학 (Biometeorology)                    대기의 기상학적 환경과 식물, 동물 및 인간의 생체에 대해 직접 혹은 간접적 내부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을 생물 기상학이라고 한다. 여기서 환경이란, 그것이 생물에 영향을 끼치는 한 미시적, 거시적 혹은 우주적인 것 모두를 의미하고, 여러 가지 성질을 달리하는 물리적 화학적 인자에 의해서 이 환경은 나타나게 된다. 생물기상학은 야외에서 행해지는 것뿐만 아니고, 여러 가지 요인이 제어 가능한 실험실내에 있어서도 행해지고 있다. 그들의 요인은 생리적, 병리적 변화와 높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생태와 환경의 관계는 이것에 의해 명확히 되어진다. 또한 생물기상학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① 동식물 생물기상학:동식물의 계절 현상, 기상과 작물 분포와의 관계, 기온과 습도·기류 등의 악조건하에서의 가축의 내성 등을 연구한다. ② 인체생물기상학:기상 변동에 따르는 인간의 생리 상태, 기상이 급변할 때의 인체의 이상, 쾌적한 기상 조건, 요양효과(療養效果)를 높이기 위한 기상 요양지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③ 우주생물기상학:우주선의 인체에 대한 영향과 같은 우주적 규모의 환경조건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5089              생물농약                     살살충, 균 및 제초제와 같이 화합물로 된 화학적 농약 대신 사용되며 해충, 병균, 잡초의 천적(포식충, 기생충, 병원성 미생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농약의 총칭. 천연농약이라고도 한다. 또한 피레드린이나 니코틴처럼 천연에서 생산되는 동식물이나 광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그대로 이용하는 농약을 포함한다. 생물농약은 화학농약처럼 속효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대상 해충에게만 효과가 있다는 선택성을 갖는다.

5090              생물농축                     유해물질이 생물의 식물 연쇄과정을 통하여 농축되어가는 현상. 소비단계가 높아질수록 농도는 높아지며 고차원의 소비자일수록 건강피해를 받기 쉽다. 수중에서는 1회당 농축률이 높지 않아도 소비 단계가 높으므로 농축은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다. 육상에서는 거꾸로 1회당 농축률이 높다. 인간은 그 최정점에 자리잡고 있으므로 피해를 받기 쉽다. 유해물질이 환경기준을 밑도는 경우에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5091              생물농축 (biological accumulation)                     생물은 외계로부터 필요한 물질을 섭취하고 불필요한것을 방출하지만, 그것과 반대로 그 생물에 불필요한 것을 끌어들여 환경보다 높은 농도로 축적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생물농축으로서 양식굴이 동이나 아연을 수백~수만 배까지 농축하는 녹색굴의 현상은 옛날부터 알려져 있다. 농축된 물질은 먹이사슬에 의하여 윗단계 생물의 체내에 더욱 농축되고 인간에게 까지 영향을 미친다.

5092              생물농축계수               생물체에 특정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환경 중의 농도에 대한 생물체 내의 농축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계수가 높을수록 오염이 심각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093              생물다양성                  육상 및 해상 기타 수중생태계와 이를 포함한 복합 생태계 등 모든 분야의 생물체간의 변이성을 의미한다. 이는 자연생태계에서 종내와 종간의 생물적 및 유전적인 다양성을 포함한다.

5094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의 지속 가능한 이용 (Sustainable Usage of Biodiversity Factors)           현재세대 및 미래세대의 수요와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잠재력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생물다양성구성요소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5095              생물다양성 보전대책                개발논리에 밀려 뒷전으로 물러나 있던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관심이 국가차원의 주요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가 94 10 '생물다양성협약'에 가입함에 따라 98  2월까지 보고하도록 되어있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전력' 수립을 서두르고 있다. 환경관련 공무원과 학자들로  구성된 '생물다양성 협약  추진위'가 올해초 마련, 개정작업중인 시안을  중심으로 생물다양성  현황과 보전대책을 살펴본다.         - 국내 생물종 24천여종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조사된 한국의 생물종 수(미생물 제외)는 동물 17291, 식물 7317종으로 총  2468종이다. 이같은 생물종 수는 유사한 생물지리학적 조건을 갖춘 영국이나 일본에 비해 적은 편이다.            이는 지금까지 관련 조사 대부분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생물다양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대한 기초조사도 부실해 적지않은  생물종이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실제로 호랑이를 비롯한 6종은 멸종됐으며 반달가슴곰등 멸종위기종이 43, 희귀종이 110, 감소추세종이 20종에 이른다.           - 생태보전구역비율 일의 70분의 1           현재 보호지역으로는             자연환경보전지역(육지 869평방km, 바다 2302평방km)             자연생태계 보전지역(6, 91.25평방km)             자연공원(국립, 도립, 군립공원 67 7714평방km)             문화재(천연기념물)보호구역(282 693평방km)             조수보호구역(507 1131.9평방km)             상수원보호구역(383 1202평방km)등이 있다.           그러나 문화재보호구역은 문체부, 조수보호구역은 산림청등 각 보호지역별로 관리부서가 모두 달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자연경관지 보전을 위한 자연공원이나 상수원 수질보호가 목적인 상수원보호구역등도 생태계 보전과는 거리가 멀다.이들 지역중 순수하게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지정된 곳은 전 국토의 0.1%, 일본의 7.3%, 미국의 16.34%, 영국 20.4%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는 낮은 비율이다.          - 주민의견 수렴통한 보호구역 확충필요           각종 개발사업등으로 토지수요가 늘면서 서식지  자체가 줄어들고 생태계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섬처럼 고립되고 있는 현실이 생물다양성 감소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자연생태 보전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생물다양성보전의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있다. 대표적 방법은 보호지역 지정, 희귀  동식물, 멸종위기종, 깃대종  등의 서식지와 교란이 적은 생태계 등 보호가치가 있는  지역을 보호지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게 추진위원회의 방침이다. 또 인간의  간섭이 오랫동안 통제된 비무장지대와 인접 민통선 지역을 생물다양성  보전의 보고로 보호할 수 있도록 지난 7월에는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했다. 보호지역 지정에 따른 가장 큰 장애는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다. 환경부는 이를 의식해  보호지역 지정때 주민의견 수렴을 의무화하고 생업 보장과 개발지원등 경제적인 유인수단을 통한 주민들의 참여 방안을 모색중이다.           - 종자, 유전자 은행 설립 추진           생물자원을 인공적인 환경에서 보전하는 방법을  말한다. 최근 생명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생물 및  유전자원의 확보와 제공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내 인공적인 보전시설로는 동물원 13, 식물원 9, 수목원 7곳이  있다. 이곳에서 동물은 1056 32212마리가 사육되고 식물은 7351 24984개체가  재배되고 있다. 이중에는 호랑이 63마리,사자 57마리, 표범 55마리, 늑대 16마리등 맹수도 포함돼있다. 농촌진흥청  종자은행에는 250  130만개체의 식물이 보존되고 있지만 농작물을 제외한 야생식물의 종자는  전혀 수집돼 있지않다. 환경부는 인공적인  보전시설 확충의  일환으로 유전자은행과 미생물자원센터 등의 설립을 추진중이다.   생물학적 복원작업이 거의 이뤄지지않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생동물을 자연서식지로 돌려보내기 위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 외래종으로부터의 보호절실           황소개구리와 불루길의 예에서  보듯 외래종에 의한  생태계의 교란은 국내생물다양성 보전에 아주 위협적이다. 외래종은  일단 생태계로 방출되면 완전한 통제가 거의 불가능해 도입자체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외래종의 도입, 방출을 규제하는 제도적 장치마련을  서두르고 있으며 수입전에  잠재적 위험성을 사전에 확인하는 영향평가 과정도 강화하고  있다. 최근들어 다양해지고 있는 변형된 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의 확산도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에서 새로운  골칫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LMO에 대한 위해성 평가나 영향력 파악이 거의 초보적인 상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환경부는           - 국내, 국제적 허가제 및 동의제 채택            - 외래 동식물 도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도입            - LMO규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을 추진중이다.           - 생물다양성협약이란           92 5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채택됐으며 그해 6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158개국이 서명했다. 우리나라는 94 10월 가입했으며 현재 가입국수는 134개국. 목적은            - 생물다양성의 보전            -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 유전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의 공평하고 균등한 분배등으로 생물종 보전에 관한 국제협약으로는 가장 포괄적이다.           가입국은 목적에 맞는 자

5096              생물다양성 연대그룹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다자간환경협정(MEAs)의 사무국 대표들이 모인 그룹으로서 관련 협약의 이행에 있어 일관성 및 협력 강화를 모색.

5097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생물다양성협약(CBD)이 각 국가의 생물다양성정보와 가술을 모든 나라가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구축한 네트워크다. 국가별 정보 관리와 연구 능력의 차이때문에 발생하는 전 지구적인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상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구축되었으며 제8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합의되었다. 우리나라는 국가생물다양성 공유체계(CDB-CHM Korea)를 구축해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를 국내외와 공유하고 있다.

5098              생물다양성 중점지역                높은 종풍부도와 높은 고유종 분포를 보이는 지역으로, 이들 중점지역을 보전하는 것이 비슷한 크기의 다른 지역을 보전하는 것 보다 이익이라는 전제에서 지정되었다. 17개 초대형다양성 국가가 전 지구 생물다양성의 66~75%를 보유하고 있다.

5099              생물다양성 협약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은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및 유전 자원의 활용에서 얻어지는 이익의 관계국간 공평한 분배를 목적으로 1992 5월 채택되어 1993 12 29일 발효되었고 현재 163여개국이 가입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4 10 3일에 가입하여 1995 1 1일에 발효되었다. 협약은 전문과 42개조항의 본문 및 2개의 부속서로 되어 있으며 주요내용은 크게 가입국의 자국내 생물다양성 보전의무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가입국간 협력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국내적 의무로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가전략의 수립,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의 조사 및 감시, 보호지역 설정 등 현지내(in-situ) 보전조치와 종자은행 설립 등 현지외(ex-situ) 보전조치의 시행, 생물다양성보전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의 수행 등이 있다. 가입국간 협력 사항으로는 타국보유 유전자원에의 접근시 해당국의   사전승인을 받도록 하는 제도(PIC) 도입, 생명공학 등 생물다양성 보전기술을 다른 가입국에게 이전 촉진, 유전적으로 변형된 살아있는 생명체(LMOs)의 안전관리를 위한 생명공학 안정성의정서 채택 검토, 개도국의 협약이행을 위한 재정지원 조항 등이 있다. 1차 당사국회의는 1994 12월 바하마의 낫소에서 개최되었으며 제2차 당사국회의는 1995 11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되었다. 현재 생물다양성협약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생명공학안정성 의정서(Biosafety Pro-tocol) 제정문제인데 이는 협약상에 언급된 유일한 것으로서 개도국은 선진국의 생물공학 신제품 시험 시장화를 우려하고 있다. 1차 당사국 회의에서는 생명공학안전성 의정서의 제정 여부에 있어 기술이전, 이익공유 등의 내용을 규정하는 의정서 형태를 지지하는 개도국과 지침서 형태를 지지하는 미국, 일본 등 일부국가의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5100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과학적 연구 및 관련 정책적 기반을 세우고 각국의 정책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출범한 독립된 정부간기구이다. 유엔 환경 계획(UNEP)의 주도 하에 유네스코, FAO(식량농업기구) 및 유엔 개발 계획(UNDP)가 공동 설립하였다. 장기적인 목표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과 장기적 차원의 인간의 웰빙 등을 지원하는 것이다. 2012 4월 공식 출범해 2017년 기준 126개 국이 가입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2010 IPBS 설립의 기틀을 마련한 부산합의문의 채택을 주도했다.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5605946432

 

컬러링 스몰미빌딩 (20개 도시 세트) 미술교육. 창의력 발달. 해외여행. 창의력교육. 색칠공부, :

[스몰미 와 아트리트] 나만의 작은 나. 스몰미, 색다른 자기표현. smallME.

smartstore.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