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시사경제용어사전 2020 : 1901-1950

by 리치캣 2021. 1. 12.
반응형

시사경제용어사전 2020 : 1901-1950

1901|공공|외국인기업전용단지|공장용지의 저가공급 및 임대료 감면 등을 활용하여 첨단 고도기술산업을 수반한 외국인기업의 투자 촉진을 위해 1994년에 도입된 제도이다. 현재 천안ㆍ광주평동 및 대불 및 경남진사단지에 112 9천 평 규모가 외국인전용단지로 지정되어 있다. 입주업체는 임대료 및 국세ㆍ지방세 면제 또는 감면(고도기술 수반사업의 경우)의 혜택이 주어진다. 외국인기업전용공단은 외국의 고도기술 도입      연관산업으로의 파급효과를 통해 지역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존 국가산업단지 내에 외국인기업전용공단을 지정할 경우 기획재정부장관이   신규일 경우 국토해양부 장관이 지정하고 있다.                                                                                                                                                                                                                                                                                                                                                                                                                                                                                                                                                                                                                                                      

1902|공공|외국인산업연수제도|"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의 유휴인력을 중소기업현장에 근무토록 함으로써 우리의 기술을 연수시키는 한편 국내인력으로 대체가 곤란한 분야에 중소기업 인력을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 우리나라 외국인력 정책방향은 내국인으로 대체할 수 없는 전문ㆍ기술 인력에 한하여 국내취업을 허용하였으나    산업발전에 따라 1980년대부터 산업인력 부족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초 인력난이 극심하였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완화하고 외국인 불법취업자의 유입차단과 산업연수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이전 등으로 경제협력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3년에 외국인산업연수제도를 도입하였다. 외국인산업연수제도는 산업인력정책의 일환으로 범정부차원에서 추진되기 때문에 부처별로 역할분담과 조율을 거쳐 결정한다.         "

1903|공공|외국인투자등록제도|"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또는 상장하기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유가증권을 최초로 취득 또는 처분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본인의 인적사항 등을 금융감독원에 등록하는 제도이다. 외국인은 금융감독원에 투자등록을 신청하여 등록증을 발급받고 이를 증권회사에 제시함으로써 상장유가증권을 매매할 수 있다.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를 시작할 때 금융당국에 우선 등록하도록 한 제도이다.   "

1904|경제|외국환평형기금채권(Foreign Exchange Stabilization Bond)|‘외국환평형기금'의 재원조달을 위해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줄여서외평채라고도 한다. 외평채는 원화와 외화표시 두 가지로 발행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동안 원화표시로만 발행하였으나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지원 이후 부족한 외화조달을 위해 외화표시채권을 발행하였다. 해외시장에서 발행할 경우 기준금리에 발행국가의 신용도를 고려하여 가산금리가 붙는다. 2003 11월부터 원화표시 외평채는 국고채에 통합되어 발행되고 있으며, 국고채 발행대금은 공공자금관리기금을 경유하여 외국환평형기금으로 들어오도록 채권발행 방법이 변경되었다. 정부의 외화표시 외평채 발행은 정부부문의 외화조달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평채 발행시의 가산금리 수준은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채권 발행에 있어 기준금리로 작용하고 있다.

1905|경제|외부 시차|고전학파는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조절 정책에 반대하는 이유 중의 하나로 내부 시차와 외부 시차를 들고 있다. 외부 시차는 어떤 정책이 실행되는 시점과 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의 차이를 말한다. 외부 시차는 주로 정부의 적극적인 통화 정책에 반대하는 논리로 쓰인다. 통화 정책으로 이자율이 변동하더라도 대부분의 기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통화 정책이 투자와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최소 6개월이 소요된다. 경기 조절을 위한 통화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에는 이미 경제 상황이 바뀌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경기를 미세 조정하려는 통화 정책이 오히려 경기 변동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906|경제|외부효과(External Effect, Externalities)|어떤 사람의 행위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에 보상을 지급하거나 지급받지 않는 것. "                                                                                                                                                                                                                                                                                                                                                                                                                                                                                                                                                                                                             

외부효과는 외부불경제(external diseconomy)와 외부경제(external economy)로 구분된다.                                                                                                                                                                                                                                                                                                                                                                                                                                                                                                                                                                                                                                                                               

외부불경제는 어떤 행동의 당사자가 아닌 사람에게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음의 외부성(negative externality)이라고도 한다.                                                                                                                                                                                                                                                                                                                                                                                                                                                                                                                                                                                                                                                              

외부경제(external economy)는 어떤 행동의 당사자가 아닌 사람에게 편익을 유발하는 것으로      양의 외부성(positive externality)이라고도 한다.                                                                                                                                                                                                                                                                                                                                                                                                                                                                                                                                                                                                                                                                      

외부불경제의 예로는 대기오염      소음공해 등을 들 수 있고          외부경제의 예로는 과수원 주인과 양봉업자의 관계를 들 수 있다. 과수원 근처에서 양봉을 하면    봄이 되어 과수원에 꽃이 피었을 때 주변의 벌들이 꽃에 모여들어 양봉업자는 꿀을 많이 채취할 수 있고 과수원 주인은 과일나무의 꽃에 수정이 많이 돼 더 많은 과일을 얻을 수 있다.                                                                                                                                                                                                                                                                                                                                                                                                                                                                                                                                                                                                                           

"

1907|경영|외상매입금|제품이나 원재료들을 구입한 후, 현물을 받고서도 아직 그 대금을 치르지 않은 단기의 미지급금을 말한다. 외상매입금과 미지급금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는데 외상매입금은 이익창출을 위한 영업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채무를 말하며, 미지급금은 간접적인 활동을 통해 발생한 채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회사가 반도체의 원료인 실리콘을 구매한 후 대금을 치루지 않았으면 외상매입금으로 장부에 기록되고, 같은 회사가 사내식당에서 사용할 밀가루를 구입하고 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면 미지급금으로 기록된다. 반면에, 제빵회사가 자사가 만든는 식빵을 만들기 위해 밀가루를 구입하고 대금을 지불하지 않은 경우는 외상매입금으로 장부에 기록된다.

1908|경제|외평채|자국 통화가치의 안정을 도모하고 투기적인 외화유출입에 따른 외환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정부가 조성한 기금.

1909|경제|외화가득률|수출을 통해 실제로 벌어들이는 외화의 비율. 수출상품 가격에서 수입원자재 가격을 금액을 상품수출가격으로 비율로 계산한다 ([(수출액-수입 원자재비)/수출액]×100)). 외화획득률이라고도 한다. 만약 외화가득률이 73.3%이라면 1,000원어치 수출했을 때 국내 몫은 733원이며 외국 몫이 267원이라는 뜻이다.외화가득률은 특정 상품에 대해 산출되는 경우와, 수출상품 총액과 수입원자재의 가격 총액에 대해 산출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 원자재를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산업의 외화가득률은 높아지는데 대체로 중공업 분야에서 높게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는 한 나라 경제의 기초 수입액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출액을 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국산원자재를 많이 사용한 경우는 외화가득률이 높아 무역수지 개선 및 국내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 외화가득률이 떨어졌다는 것은 수입 부품소재 투입액이 늘어나 수출을 해도 이를 통해 번 외화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뜻한다.

1910|공공|외환건전성부담금|은행들의 과다한 단기차입을 억제하기 위해 2012 8월 도입한 제도. 비예금성외화부채에 만기별 부과요율(2~20bp)을 곱한 금액으로 산정한다. 외화예금 조달구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안정적인 외화예금을 많이 확보하는 은행에게는 부담금 부담을 덜어주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1911|경제|외환보유액(Official Reserve Assets)|"        IMF 편제에 따르면 외환보유액은 ""국제수지 불균형의 직접적인 보전 또는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외환시장 개입을 통한 간접적인 국제수지 불균형 규모 조절 등의 목적으로 통화당국(한국은행 및 정부)에 의해 즉시 사용가능하고 통제되는 대외자산""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를 따르고 있다(한국은행).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과 시장성이 높은 자산으로 통화당국인 중앙은행과 정부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대외 외화 금융자산이 외환보유액이다. 외환보유액은 주로 유가증권(국채        정부기관채       국제기구채       금융채  자산유동화증권 등)의 형태로 보유되며 이외에 예치금        SDR     IMF 포지션      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

1912|경제|요소가격|생산을 위해 필요한 토지, 노동, 자본 등을 생산요소라 하는데 이 생산요소가 시장에서 평가되는 가격을 요소가격이라고 한다.

1913|경제|요소소득|가구의 소득은 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으로 나뉜다. 경상소득은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얻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과 경제활동과는 상관없이 지급되는 이전소득으로 나뉜다. 이중 경제활동의 대가로 얻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을 요소소득이라고 한다. 분배 차원에서 국민소득을 바라보면, 생산물을 판매해 발생한 소득은 생산에 직, 간접적으로 참여한 생산요소 제공자들에게 임금이나 지대, 이자 또는 이윤 등의 요소소득으로 분배된다. 이때 근로자가 사업장에 고용되어 근로의 대가로 지불받은 소득을 근로소득이라 하고, 사업을 통해 얻은 수입 중 가계로 들어온 소득을 사업소득이라고 한다. 재산소득은 재산을 보유함으로써 생기는 수입으로 이자소득이나 주식 배당소득, 부동산 임대소득 등이 있다.

1914|경영|요율보정계수|보험 상품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계약이기 때문에 보험료 산정에 필요한 요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손해액과 손해액의 물가상승분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변적이기 때문에 보험료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요율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각 시점 별로 평균 요율지수를 구하여 이를 특정 시점의 평균 요율지수로 나누어 요율 보정 계수를 구할 수 있다.

1915|경영|요즈마펀드|"     정부가 창업기업에 자금을 대면 민간도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든 이스라엘의 모태펀드. '요즈마'는 히브리어로 '창의ㆍ독창ㆍ창업' 등을 뜻한다. 이스라엘 정부는 1993년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요즈마펀드를 출범         정부(40%)와 민간(60%)이 리스크를 부담하되 수익이 발생하면 민간기업이 정부 지분을 인수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

1916|공공|용적률|용적률은 대지 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대지에 둘 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 이들 연면적의 합계)의 비율이며"          구하는 식은 ‘(건축물연면적/대지면적)x100’이다.연면적은 지하 부분을 제외한 지상부분 건축물의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바닥면적이란 기둥이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말한다. 발코니는 그 면적에서 외벽에 접한 가장 긴 길이에 1.5m를 곱한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바닥면적에 포함된다. 그러나 공중의 통행이나 주차에 사용되는 필로티       공동주택의 필로티         승강기 탑        계단탑  굴뚝    다락    물탱크  기름탱크 등은 제외되며  20층 이상의 공동주택은 지상층에 기계실    어린이놀이터    조경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그 부분은 바닥면적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1917|경제|우루과이라운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무역체제는 미국이 주도하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에 의해 발전하였다. GATT는 자유무역을 촉진시켜 세계경제의 번영을 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1947년 창설된 이후 1970년대까지 7차례의 다국간 협상을 벌여 왔다. 그러나 이 협상들은 주로 선진국 간 공산품의 관세율 인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농산물과 서비스의 경우에는 세계교역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협상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와 농산물과 서비스, 지적재산권 등 공산품 이외 분야의 교역비중이 크게 높아지자 이런 분야를 포괄하는 새로운 다자간 협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1986 9월 우루과이의 푼타 델 에스테(Punta del Este)에서 새로운 다자간 무역협상을 개시하기 위한 GATT 각료선언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국제무역질서(특히 서비스와 농산물, 지적재산권)를 정립하기 위한 본격적인 협상이 개시되었으며, 이때부터 시작된 제8 GATT 다자간 협상을 우루과이라운드(Uruguay Round: UR)로 부르게 되었다. 우루과이라운드는 당초 시한인 1990 12월을 훨씬 넘기면서 협상에 많은 난항을 겪어 왔다. 그러다가 7 3개월 만인 1993 12월에 타결되어 각국 정부의 서명과 의회의 비준을 거쳐 1995 1월부터 발효되었다.

1918|경영|우리사주제도|근로자들에게 자사주를 취득하게 하는 제도로서 근로자가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하여 자기회사의 주식을 취득, 보유하는 제도이다. 근로자 재산형성, 기업생산성 향상 및 협력적 노사관계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미국ㆍ영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업에서 근로자의 자사주 보유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미국의 ESOP제도와 유사하나, 성과급 형태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확정갹출형 기업연금제도의 일종인 미국의 ESOP제도와 구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 「자본시장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우선배정제도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2001년 우리사주제도의 일반적 근거가 되는 「근로자복지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사업주 등의 무상출연을 통한 우리사주 취득 등 취득기회가 확대되었다. 미국은 근로자가 퇴직 시에 인출할 수 있는 확정출연형 퇴직연금제도로 운영하는 반면, 영국은 근로자가 일정기간 의무예탁 후 인출하여 처분할 수 있는 성과배분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영국과 같이 성과배분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1919|경제|우리집물가체험하기|우리집의 소득과 지출을 입력하면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 '우리집물가지수'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그래프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국가통계포털(www.kosis.kr)→테마통계우리집물가체험하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전국 평균 가구뿐 아니라 우리집과 소득이 비슷한 다른 집들은 어디에 얼마나 쓰는지를 지출 항목별로 비교해 살펴볼 수 있다.

1920|금융|우발채무|현재는 채무로 확정되지 않았으나 가까운 장래에 돌발적인 사태가 발생하면 채무로 확정될 가능성이 있는 특수채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건설사가 건물을 완성했는데 미분양 사태가 발생한다든가, 건설사의 사업진행이 갑작스럽게 지연되면 우발채무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우발채무와는 반대로 미래에 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가리켜 우발이익이라 한다. 우발채무는 우발적 상황 발생 시 그제서야 비로소 정식 채무가 되기 때문에, 만약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부담 범위액을 나타내는 주기(註記)로 대차대조표에 표시한다.

1921|경영|우버 모멘트(Uber Moment)|차량공유 서비스 우버(Uber)가 기존 택시산업을 위협하고 있는 현상을 빗댄 용어다."                                                                                                                                                                                                                                                                                                                                                                                                                                                                                                                                                                                                                                                                       

 신기술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에 따라 기존 산업 체제가 변화를 강요받거나 위협 받고 있는 순간을 의미한다."                                                                                                                                                                                                                                                                                                                                                                                                                                                                                                                                                                                                                                                                       

1922|과학|우버(Uber)|"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승객과 차량을 이어주는 서비스를 하는 자동차 운송 관련 미국 기술 회사이다. 일반인이 자신의 차량으로 운송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우버 엑스     고급 승용차를 이용한 리무진 서비스우버 블랙     승객을 일반 택시와 연결해주는우버 택시등이 있다. 우버는 트래비스 캘러닉이 개릿 캠프가 공동으로 창업한 회사로 2010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Uber""라는 이름은 ""최상""          ""최고""           """"를 의미하는 독일어 ""über""에 기원을 두고 있다. 우버는 경제 공유의 개척자로 경제 공유의 결과로 인한 산업의 변화를 이끌어 우버화(uberization      uberification)라는 신개념을 만들기도 했다. ""우버화(uberization)""는 경제적인 요인이 (주로 웹 사이트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기존 자산이나 인적 자원의 활용도가 낮은 부분을 교환하는 운영 모델로의 전환하여 낮은 거래 비용만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 ""우버화(uberification)""는 모든 것에 있어서 주문형 서비스가 이루어져 경제와 삶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비슷한 서비스로는 리프트(Lyft)        카카오 택시 등이 있다."                                                                                                                                                                                                                                                                                                                                                                                                                                                                                                                                                                                            

1923|경영|우산방식협력|어떤 목표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원조수단을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실시하는 협력방식을 말한다.   전문가 파견       개발조사          유상자금협력    무상자금 협력   프로젝트방식의 기술협력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방식이다. 우산방식의 협력은 달성 목표를 우산의 자루     다양한 원조수단을 우산에 비유한 데서 연유되었다. 일본에서 우산방식 협력을 채택한 대표적인 사례는 1981년 인도네시아 식량자급프로그램이다. 식량자급프로그램은 쌀 증산  작물생산 진흥   농민생활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전문가 파견           개발조사          유상자금 협력   무상자금 협력     프로젝트 방식의 기술협력 등을 조합하여 실시함으로써 높은 성과를 보았다. 우산방식 협력은 기존 일본이 실시하던 협력방식을 바꾼 것이 아니라 각 수단들을 유기적으로 제휴시킴으로써        각각의 협력사업이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한 데 의의가 있다.                                                                                                                                                                                                                                                                                                                                                                                                                                                                                                                                   

1924|금융|우선변제권|채권자 중 다른 일반 채권자보다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선순위권자가 전액을 변제받은 나머지에 대해 후순위권자가 변제를 받게 된다. 순위가 늦으면 변제를 전혀 못받을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우선변제권이 있는 채권으로는 근저당권 전세권  임금    국세    주택임차권 등이 있다.                                                                                                                                                                                                                                                                                                                                                                                                                                                                                                                                                                                                                              

1925|금융|우선주|보통주에 대해 배당이나 기업이 해산할 경우의 잔여재산 분배 등에서 우선권을 갖는 주식을 말한다. 우선주는 우선권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우선권의 존속기간이 한정된 것이 있고 우선배당의 참가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참가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소정비율의 우선배당을 받고도 이익이 남는 경우 우선주주가 다시 보통주주와 함께 배당에 참가할 수 있는 참가적 우선주  소정비율의 우선배당을 받는 데 그치는 비참가적 우선주(이익이 많은 경우에는 보통주보다 불리하므로 실제로는 거의 발행하지 않음)          당해 영업연도에 소정비율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 그 미지급배당액을 다음 영업연도 이후에도 우선하여 보충배당 받는 누적적 우선주(보증주) 당해 영업연도에 우선배당을 받지 못하고 그 미지급배당액을 다음 영업연도에도 보충배당 받지 못하는 비누적적 우선주 등이 있다.                                                                                                                                                                                                                                                                                                                                                                                                                                                                                                                                                                                                                 

1926|공공|우수농산물관리제도|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농산물의 저장ㆍ세척ㆍ건조ㆍ선별ㆍ절단ㆍ조제ㆍ포장 등을 포함) 및 유통 등 각 단계에서 재배포장(栽培圃場) 및 농업용수 등의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중금속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농축산+G109물의 재배      수확    수확 후 처리     저장과정 중의 화학제ㆍ중금속ㆍ미생물에 대한 관리 및 그 관리사항을 소비자가 알 수 있게 하여 환경에 대한 위해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식품의 유통          처리    수확    재배 경로 및 재배되는 경작지의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생산이력(Traceability)이라 한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는 식품에 대한 역추적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생산자에게 각 생산단계별 식품안전에 대한 책임성을 부여하고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로부터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는 생산된 농산물이 최종적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적용된다.                                                                                                                                                                                                                                                                                                                                                                                                                                                                                                                                                        

1927|경영|우연적 계약|보험 계약에서 보험자의 책임은 손실의 발생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보험은 손실 발생의 우연성을 전제로 한다. 이는 사고 혹은 손실이 자연발생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의에 의한 사고는 보험 계약에서 담보하지 않으며          이런 보험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보험자의 계약자에 대한 손실 보상 책임은 미래 우연히 발생하는 사고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보험 사업의 경영에 있어 방만함이 있거나  계약 당시 필요한 정확성을 경시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험 사고 발생 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1928|금융|우편환|금융기관 계좌 없이 우편을 이용해 현금을 전달하는 서비스로 경조사 때 축의금이나 부의금 등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일종의 증서다. 은행의 온라인 계좌이체 서비스가 생겨나기 전인 1969년부터 우체국에서 서비스해온 대표적인 경조금 배달서비스다. 현금 교환을 위해 우체국에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경조사 때 직ㆍ간접적으로 축의금이나 부의금을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이더라도 주소만 알고 있다면 성의 전달이 가능하다.                                                                                                                                                                                                                                                                                                                                                                                                                                                                                                                                                                                                                                                                     

1929|경제|우회덤핑|반덤핑방지관세 부과를 회피하기 위해 제 3국을 통해 수출하는 행위. 우회덤핑은 주로 조사대상 품목을 분해하거나 미완성 상태로 수입하거나        조사대상 품목을 분해하거나 미완성 상태로 제3국에 수출한 후 조립하여 수입하는 경우이다. 미국의 경우 우회덤핑 판정 시 별도의 조사절차 없이 반덤핑조치를 부과하자는 입장인 반면  반덤핑프렌즈(Friends) 그룹 국가들은 우회덤핑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우회덤핑의 정의가 모호하여 정당한 무역행위까지 반덤핑조치를 받을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덤핑 프랜즈(Friends)란 반덤핑조치의 자의적 운용이나 남발을 억제하고자 우리나라      일본     칠레 등의 주도로 WTO반덤핑협정의 개정을 추진하는데 의견을 같이 하는 공조그룹을 말한다.                                                                                                                                                                                                                                                                                                                                                                                                                                                                                                                                                                                                                              

1930|경영|우회상장(Backdoor Listing)|"증권시장에 상장하지 않은 기업이 상장 기업과의 합병 등을 통해 심사나 공모주청약 등 통상적인 상장 절차 없이 상장되는 것을 말한다. 백도어(back door) 상장이라고도 하며         크게 합병        포괄적 주식교환           영업양수도       주식스왑의 네 가지 방법으로 이뤄진다.                                                                                                                                                                                                                                                                                                                                                                                                                                                                                                                                                                                                                               

                                                                                                                                                                                                                                                                                                                                                                                                                                                                                                                                                                                                                                                                               

#NAME?                                                                                                                                                                                                                                                                                                                                                                                                                                                                                                                                                                                                                                                                               

#NAME?                                                                                                                                                                                                                                                                                                                                                                                                                                                                                                                                                                                                                                                                                

#NAME?                                                                                                                                                                                                                                                                                                                                                                                                                                                                                                                                                                                                                                                                               

#NAME?                                                                                                                                                                                                                                                                                                                                                                                                                                                                                                                                                                                                                                                                               

                                                                                                                                                                                                                                                                                                                                                                                                                                                                                                                                                                                                                                                                               

우회상장은 기업인수합병의 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     일부 함량 미달 기업이 이를 이용해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는제도권 자금시장으로 입성함에 따라 주주 및 일반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기도 한다.                                                                                                                                                                                                                                                                                                                                                                                                                                                                                                                                                                                                                                                               

                                                                                                                                                                                                                                                                                                                                                                                                                                                                                                                                                                                                                                                                               

()상장 기업은 우회 상장으로 합병한 상장 기업과의 시너지는 물론 상장의 지위도 함께 얻는다. 하지만 비상장 부실기업들이 상장사를 인수하면서 사회적 파장이 커져 우회상장의 절차와 방법이 까다로워졌다."                                                                                                                                                                                                                                                                                                                                                                                                                                                                                                                                                                                                                                                                              

1931|경영|운전자금(working capital)|광의적으로는 유동자산에 투하된 자본을 의미하며   협의로는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와의 차액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의 운전자본은 총운전자본(gross working capital)이라고 불리며 좁은 의미로 운전자본은 순운전자본(net working capital)이라고 불린다. 보통 총운전자본은 유동자산의 총액을 가리키고 순운전자본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잔액을 나타낸다. 특히   순운전자본은 기업의 단기적인 재무 건전성과 기업의 효율성을 나타내기에 매우 중요하다.                                                                                                                                                                                                                                                                                                                                                                                                                                                                                                                                                                                                                                                      

1932|경영|운전자본소요액|운전자본이란 기업이 보유한 자산중 재고와 같은 단기자산(유동자산)과 외상매입금과 같은 단기부채(유동부채)를 말하는 것이며       운전자본 소요액은 기업이 매일 매일의 경영활동에 필요하거나 요구되는 운전자본의 금액을 의미한다.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것은 순운전자본이라고 부른다.                                                                                                                                                                                                                                                                                                                                                                                                                                                                                                                                                                                                                                                                    

1933|금융|워런트|일정수의 보통주를 일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한       또는 같거나 비슷한 쿠폰금리를 가지는 채권을 살 수 있는 권한을 증권소유자에게 부여하는 증서를 말한다. ‘주식워런트증권을 줄인 명칭은 ‘ELW’이며  ELW’ ELW’ 로 나뉜다.-ELW는 기초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만기 시점에 살 수 있는 권리로    투자자는 기초자산 가격이 오를 경우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만기일에 콜ELW의 가치가 없어지면 권리를 포기하고 최초 지불한 프리미엄만큼의 손실을 책임져야 한다.-ELW는 기초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만기 시점에 팔 수 있는 권리로 투자자는 대상 주식의 가격이 내릴 경우 수익을 거둔다. 만기일에 풋ELW의 가치가 없어지면 권리를 포기하면 되기 때문에 최초 지불한 ELW 금액만큼의 손실을 책임져야 한다.-ELW의 가장 큰 특징은 레버리지(지렛대). 매입 대상 자산의 가격이 변동하면 지렛대효과에 의해 워런트의 가격은 더 큰 폭으로 변하기 때문에 워런트는 고수익·고위험 증권이라 할 수 있다.                                                                                                                                                                                                                                                                                                                                                                                                                                                                                                                                                                                                                                

1934|금융|워런트(Warrant)|워런트는 파생 금융 상품의 일종으로 만기 전에 증권을 특정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 아메리칸 워런트는 만기일 이전 어느 때든지 권리 행사가 가능하지만 유러피안 워런트의 경우 만기일에만 권리 행사가 가능하다. 증권을 살 수 있는 권리는 부여하는 워런트를 콜워런트 라고 부르고      반대로 증권을 판매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풋워런트 라고 부른다. 워런트는 옵션과 매우 비슷하지만 둘 사이에는 몇 가지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워런트는 제 3자로 부터 발행 되기 보다는 회사 자체에서 발행이 되며      공식 거래소에서 거래되기보다 장외시장(Over-the-Counter)에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 투자자는 옵션을 발행하는 것 처럼 워런트를 발행할 수 없다. 옵션과 다르게 워런트를 통해 권리 행사를 한 투자자는 기존에 시장에서 거래되던 주식이 아닌 새로 발행된 주식을 받게 된다. 워런트는 대개 발행일과 만기일 사이의 기간이 몇 달이 아닌 몇 년 인 경우가 많다.                                                                                                                                                                                                                                                                                                                                                                                                                                                                                                                                                                                                                                        

1935|경영|워케이션|휴가지에서의 업무를 인정하는 근무형태로서 일(work)과 휴가(vacation)의 합성어다. 2015년 유럽과 미국에서 처음시작했으며 일본항공(JAL) 2017 7월부터 시행하기 시작했다. 회사에서 지급한 컴퓨터로 일을 하며 업무 시작과 종료 시간을 보고하며      이 기간은 유급휴가로 계산되지 않고 정상근무로 처리된다.                                                                                                                                                                                                                                                                                                                                                                                                                                                                                                                                                                                                                                                            

1936|경영|워크아웃|미국 GE(General Electric)社의 잭 웰치 회장에 의해 대중화된 용어로 구조조정을 통한 경쟁력 강화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기업개선작업으로 번역된다. 워크아웃은 경제적으로 회생가능성이 있으나 재무적으로 곤경에 처한 기업이 대상이 된다. 구조조정을 하면 회생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하여 채권금융기관들과 채무기업간 협상과 조정을 거쳐 채무상환 유예 및 감면 등 재무 개선 조치와 자구노력 및 채무상환 계획 등에 관하여 합의하는 것을 말한다. 워크아웃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해당 기업은 금융기관의 부채상환 노력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기업 자력만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채상환을 유예하고 빚을 탕감해 주며 필요에 따라서는 신규 자금도 지원해야 하는 등 금융기관의 손실 분담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금융기관의 손실 분담이 채무 기업의 기존 경영진ㆍ주주ㆍ종업원의 손실 분담을 전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주들의 감자 및 유상증자        대주주의 사재 출연 등의 과정이 선행된 연후에 금융권의 자금 지원이 이루어진다. 채무조정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대출원리금 상환유예        이자감면          채무면제          대출금 출자전환 신규 자금지원 등이 있다. 워크아웃 기업은 자산매각 한계 계열사 정리          인력 감축        핵심사업 정비 등 자구 노력을 해야 한다. 기존 대주주와 경영진의 손실분담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협조융자와 같은 구제금융과 차이가 있다. 또한 워크아웃은 채권 금융기관이 결정하고 주도하는 점에서 법원이 청산을 전제로 회사를 관리하는 법정관리와 다르다. 화의도 법원의 명령에 따라 채권ㆍ채무가 동결돼 회생을 도모하지만 추진 주체가 법원이라는 점이 워크아웃과 차이가 있다. 워크아웃은 대상기업선정-채권금융기관협의회 소집통보 및 개최-기업실사작업-기업개선계획안확정-기업개선약정 체결-사후관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1937|사회|워킹푸어(Working Poor)|워킹푸어(Working Poor·근로빈곤)는 일하는 빈곤층을 뜻하는 말로 열심히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미국에서 1990년대 중반 등장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들은 월급이 나오는 일자리가 있어 얼핏 보기엔 중산층 같지만        고용도 불안하고 저축도 없어 언제라도 극빈층으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돼있다. 노동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빈곤가구의 절반 이상은 가구 내에 취업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빈곤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구원의 취업 여부보다는 취업의 질이 빈곤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일하는 가구의 빈곤이라고 함은 일하는 가구만을 대상으로 가구소득이 중간치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를 일컫는 것이 아니라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빈곤선을 결정하고 일하는 가구라도 빈곤선 이하에 속하면 이를 워킹푸어로 정의한다. 워킹푸어의 증가는 비정규직 노동자와 영세 자영업자 수가 늘어나는 현실과 맞물려 있다. 그만큼 괜찮은 수당을 보장하는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로빈곤율은 가구주가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비임금근로자일수록       취업기간이 짧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자영업주는 임시·일용직에 비해서도 빈곤위험확률이 높게 추정되고 있다.                                                                                                                                                                                                                                                                                                                                                                                                                                                                                                                                                                                                                

1938|경영|원가우위(cost leadership)|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마이클 포터(M. E. Porter) 1980년에 발표한 '경쟁 전략(Competitive Strategy)'이라는 책에서 3가지 본원전 전략을 언급했다. 차별화 전략        원가 우위 전략  집중화 전략이다. 원가 우위 전략은 분류한 세 가지 기본전략 중 하나이다. 타사보다도 낮은 원가수준을 달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효율적인 규모의 생산설비 도입과 경쟁 기업보다 많은 경험효과에 대한 축적     경쟁자 대비 저렴한 원재료 조달 능력 및 간접비 삭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1939|금융|원금·이자분리채권(STRIPS)|이표채권(coupon bond)의 원금과 미래의 이자금액을 분리하여 각각 무이표채권(zero coupon bond)의 형태로 거래할 수 있는 채권.      채권의 원금과 이자를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는 채권이다. 만기에 한번의 현금흐름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표채권에서 발생하는 재투자 위험이 제거되어 투자시점에서 확정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한 종목의 이표채가 STRIPS를 통해 다양한 만기의 무이표채로 전환됨에 따라 연금      보험 등의 장기 무이표채에 대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그리고 이표채권과 현금흐름이 동일한 스트립채권 포트폴리오 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가 가능해진다.                                                                                                                                                                                                                                                                                                                                                                                                                                                                                                                                                                                                                                                      

1940|금융|원산지|상품의 국적을 판명하는데 있어 원산지란 상품이 생산된 지역을 의미한다. 동ㆍ식물의 경우 성장한 지역을 제조품의 경우 생산         제조    가공 과정이 이루어진 지역을 말한다. 여기서 지역이란 일반적으로 정치적 실체를 지닌 한 국가의 영역을 의미하지만 정치적 실체를 인정하기 어려운 특정지역이나 국경선 밖에 있는 식민지      속령    보호령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      식물    및 광물과 같은 천연상품 위주의 완전생산품(Wholly Obtained or Produced Products)은 원산지 결정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공산품 등 2차 생산품은 생산      제조    가공 과정이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원산지 판정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미 FTA에서 섬유 및 의류 분야에 대한 원산지 규정이 쟁점이 되어 왔다. 한국은 중국 등에서 원사 등을 수입해 국내에서 옷을 만들면 이를 한국산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미국은 원사는 물론 생산      최종 제품까지 모든 것이 이뤄져야 한국산으로 인정해 무관세 혜택을 준다고 주장했다.                                                                                                                                                                                                                                                                                                                                                                                                                                                                                                                                                 

1941|공공|원산지 사후검증|원산지 사후검증은 특혜 세율을 적용받은 물품이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사후에 조사해 잘못된 것을 바로잡거나 위반자에 대해 제재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행정절차를 말한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 혜택을 받으려면 원산지를 증명해야 한다. 간접검증과 직접검증의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통상 유럽연합(EU)은 간접검증     미국 등은 직접검증을 취한다.                                                                                                                                                                                                                                                                                                                                                                                                                                                                                                                                                                                                                                                     

1942|공공|원산지관리시스템(FTA-PASS)|원산지관리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중소 수출기업들이 복잡하고 어려운 수출품의 원산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상대국 세관의 검증까지도 대비할 수 있도록 관세청이 개발해 중소기업에 무료로 보급하고 있는 프로그램(www.ftapass.or.kr).                                                                                                                                                                                                                                                                                                                                                                                                                                                                                                                                                                                                                                                                        

1943|공공|원산지규정|상품의 경제적 국적인 원산지를 결정하는 기준을 말한다. 상품의 원산지국가(The Country of Origin)를 확인하는 방법이나 절차 등을 규정한 제반 법률이나 규정      행정 절차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원산지 규정은 특혜 원산지 규정과 비특혜 원산지 규정으로 분류된다. 특혜 원산지 규정이란 GATT 1994 1조에 기술된 최혜국 대우 원칙을 적용받지 않고 일방적 또는 쌍방적으로 관세상 특혜를 부여하는 데 적용된다. FTA의 원산지 기준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비특혜 원산지 규정은 특혜 원산지 규정 이외의 원산지 규정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WTO 통일 원산지 규정을 들 수 있다. 원산지 규정은 원산지 결정 기준     원산지 증명서류 원산지 표시 대상과 방법 및 그 확인절차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원산지 결정기준이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원산지 결정기준은 완전생산기준(Goods Wholly Obtained)과 실질적 변형기준(Substantial Transformation Test)으로 구분된다. 완전생산기준은 완전히 한 국가 내에서 모든 생산과정이 이뤄진 물품에 대해서 적용된다. 실질적 변형기준은 생산과정이 2개 국가 이상에 걸쳐 이뤄진 물품에 대해서는 당해 상품의 본질적인 특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실질적인 변형이 최종적으로 수행된 국가에 원산지를 부여하는 기준이다.                                                                                                                                                                                                                                                                                                                                                                                                                                                                                                                                                                                                                                  

1944|공공|원산지표시제도|소비자에게 정확한 원산지 정보를 제공하고 저개발국 수입품과 국산품을 비교할 수 있도록 수입품의 원산지 표시를 규정하는 제도이다. 오늘날 국제적 분업구조를 통한 생산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원산지 결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소비자의 국가간 선호도 차이에 따른 소비자의 알 권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원산지표시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원산지표시제도는 수출입되는 물품에 원산지를 표시하는 제도로서 우리나라는 현재 「대외무역법」에 반영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수입물품에 대한 원산지 표시의무를 부과하고 원산지 판정기준 및 표시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1945|공공|원스트라이크 아웃제(One Strike-Out)|특정 공무원의 청탁 비리가 드러날 경우 직위를 바로 해제하거나 퇴출시키는 제도. 2009 2월부터 서울시가 처음으로 도입 시행하고 있다. 기업체 영업소 등의 불법판매 행위가 적발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컨대      고의적으로 가짜석유를 판매하다 적발될 경우 바로 주유소 등록을 취소하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                                                                                                                                                                                                                                                                                                                                                                                                                                                                                                                                                                                                                                                                    

1946|공공|원천과세|원천과세는 소득이 흘러들어오는 원천에서 세금을 부과하는 과세방법으로서   특정한 소득의 지급자가 소득을 지급할 때 소정의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소득세 등을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를 말한다. 원천과세는 조세채권의 일실을 방지하고 납세자의 자금부담의 분산을 도모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흔히 직장에서 일을 하는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급여를 받을 때 원천징수에 의해 소득세를 납부한 후 연말정산을 통해 1년간의 소득에 대해 정산을 한다(국세청).                                                                                                                                                                                                                                                                                                                                                                                                                                                                                                                                                                                                                                                                   

1947|공공|원천징수|원천징수는 소득세 및 법인세 납세방법의 일종으로 채용된 제도이다. 특정의 소득지급자는 그 소득을 지급할 때에 지급받는 자가 부담할 세액을 일정한 기간 내에 국가를 대신하여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토록 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국가의 세수확보 및 세수의 평준화와 납세의무자의 납세 편의라는 관점에서 극히 유용한 제도이다. 소득세법상 원천징수에는 완납적-원천징수와 예납적 원천징수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는 일용근로자의 근로소득 등에 대한 원천징수가 그 예이고           이는 원천징수로서 납세의무자의 모든 납세의무 및 신고의무가 종결되고 확정신고절차에 의해 세액정산이 되지 않는다. 후자는 사업소득원천징수 등이 그 예이고        이는 납세자가 과세표준 및 납세액의 확정신고를 통하여 세액을 정산하고 원천징수된 세액은 기납부세액으로서 공제받게 된다. 법인세법상 원천징수제도는 원칙적으로 후자에 해당하는 것이다(국세청).                                                                                                                                                                                                                                                                                                                                                                                                                                                                                                                                                                                                                                               

1948|공공|원형지|기초인프라 외에 부지에 대한 조성 계획없이 미개발 상태로 공급하는 토지를 가리킨다. 그렇기 때문에 원형지 개발방식은 개발자가 원하는 사업에 맞게 부지를 직접 조성할 수 있으므로 개발목적에 부합하는 맞춤형 방식으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에서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원형지 형태로 땅을 공급하기로 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1949|경제|원화절상|원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현상. 외환시장에서 원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거나 공급이 감소하면 외국환에 대한 원화의 가치가 상승한다. 원화가치가 오르면 (혹은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품 가격은 상승하고 수입품 가격은 낮아져서 수출이 줄고 수입이 늘어나 국제수지가 악화될 수 있다. 반면 우리가 수입하는 원자재나 부품 등의 가격이 하락하여 물가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                                                                                                                                                                                                                                                                                                                                                                                                                                                                                                                                                                                                                                                           

1950|경제|원화절하|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 외환시장에서 원화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거나 공급이 증가하면 외국환에 대한 원화의 가치가 하락한다.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혹은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품 가격은 떨어지고 수입품 가격은 올라 수출이 늘고 수입이 줄면서 국제수지가 개선될 수 있다. 반면 우리가 수입하는 원자재나 부품 등의 가격이 상승해 국내 물가를 자극함으로써 물가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