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잡학다식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2801-3000

by 리치캣 2022. 3. 27.
반응형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2801-3000

2801     Estimated Range Deviation                       ERD            (출처: FAA GPS)

2802     estimated take-off time    이륙예정시간                  이륙예정시간

2803     estimated time enroute    예상 항로 시간   ETE            출발 지점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예상 비행 시간.

2804     estimated time of arrival  도착예정시간      ETA            계기비행(IFR)항공기의 경우는 항행보조시설에 의해 설정된 계기접근 개시지점의 도착예정시간을, 항행보조시설이 없는 경우에는 비행장상공 도착예정시간을 의미하며, 시계비행(VFR)항공기의 경우는 비행장상공 도착예정시간을 의미한다.

2805     estimated time of departure         출발예정시각                        조종사가 비행 계획서상에 기입한 출발 예상 시간.

2806     estimated time of enroute            예정소요시간                        출발지로부터 일정의 지점, 목적지, 비행장에 도착할때까지 비행에 소요되는 예정 비행시간.

2807     EUROCONTROL  유럽항공안전기구                        유럽항공안전기구(European Organization for the Safety Air Navigation) 1963년에 설립된 기구로써 참가국의 각 지역에서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대한 협력을 목적으로 하며 구성국가의 일정한 고도 이상의 영공의 항공관제를 공동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회원국은 2003년 현재 31개국이다. 상설기관으로는 안전운항상설위원회와 항공관제 서비스 기관이 있으며 본부는 브뤼셀에 있다.

2808     european airline electronic committee       구주항공사전자기술위원회                     <->ARINC>

2809     european civil aviation conference : ECAC  유럽민간항공회의                     1953년에 개최된 구주외상회의의 요청에 의해 1954 4월에 구주항공운송협력회의(Conference on Coordination of Air Transport in Europe)의 결의로 설립되었다. ECAC는 구주내 국가로서 1954년의 구주항공운송협력회의의 구성국이 전원일치로 가입을 승인한 경우에 가입할 수 있다. 회의의 주임무는 구주지역의 항공수송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1956년에구주 내의 부정기항공업무의 상업적 권리에 관한 다수국간협정의 채택, 1960년에수입항공기의 감항증명에 관한 다수국간협정의 채택, 1975년에북대서양 Charter항공에 관한 항공당국간협정의 채택 및 1982 8 1일에 발효한미국과 구주 12개국과의 북대서양운임에 관한 각서등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본부는 파리에 있다.

2810     European Currency Unit               ECU      (출처: FAA GPS)

2811     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EGNOS  (출처: FAA GPS)

2812     european organization for the safety of air navigation          구주항공안전기구                        1960 1월에 설립된 기구로써 '97 3원 현재 25개국(벨기에,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네델란드, 영국, 포르투갈, 그리스, 터어키, 말타, 사이프러스, 스위스, 헝가리,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덴마크, 슬로바키아, 스웨덴, 체코, 이탈리아, 루마니아, 슬로바니아, 스페인, 크로아티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가국의 각 지역에서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대한 협력을 목적으로 하며 구성국가의 일정한 고도 이상의 영공의 항공관제를 공동으로 실시하고 있다. 상설기관으로서는 안전운항상설위원회와 항공관제 서비스 기관이 있으며 브뤼셀에 본부를 두고 있다.

2813     european regions airline association          유럽 항공사협회                        유럽지역의 항공사 및 유관기관들(공항, 항공기 엔진ㆍ장비 제작사, 기타 항공관련 기구) 간의 연합기구로 정책 및 법룰 관련 자문단체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부문 항공발전의 증요성 홍보, 지역의 항공관심사 전달, 회원사간 정보 교류 및 기업제휴를 통한 발전의 확대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회원수 - 1997 4월 현재 190

2814     evacuation door  비상 탈출문                   비상 탈출문

2815     evasion  회피                  회피

2816     exception           위험품 사건                   인명 손상, 재산 피해, 화재, 파손, 없질러짐, 액체 또는 방사능 누출 또는 포장물의 보존을 유지하지 못한 기타 흔적을 초래시키는 것으로써 위험품 항공 수송과 관련된 위험품 사고이외에 사건으로 반드시 항공기에서 발생하지 않는 사건.

2817     excess baggage  초과 수화물                   무료 수화물 허용량을 초과한 수화물로서 초과량만큼의 별도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2818     excess baggage charge    초과 수화물 요금                        무료 수하물량을 초과할 경우 부과되는 수하물 요금.

2819     excess mileage surcharge 초과 할증 거리   EMS            승객이 여러 지점을 경유하여 전체구간 거리가 최대허용거리 보다 많은 경우에 적응하는 항공요금 산출 방식.

2820     Exchange and Repair                   E&R      (출처: FAA GPS)

2821     Exclusive-or                   XOR      (출처: FAA GPS)

2822     excursion fare    특별할인 왕복요금                      어느 특정구역에만 적용되는 운임으로 통상적으로 보통운임보다 약간 저액으로 되어있다. 단 여러가지 제한요건이 붙어있어 유효기간도 23일 또는 14일 등으로 특별히 정해져 있다.

2823     execute missed approach 실패접근절차 수행                        계기접근을 실시하는 항공기에게 제공되는 지시로서, 실패접근지점까지 계속하여 비행하고 계기접근절차 지도의 실패접근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종사는 실패접근을 할 때, 실패접근절차에 명시된 고도로 즉시 상승할 수 있다. 실패접근지점 도달 전에 어떠한 선회도 시작하여서는 안 되며, ASR 또는 PAR 접근을 하는 경우, “execute missed approach”의 지시를 받은 지체 없이 지정된 실패접근을 하여야 한다.

2824     Executive Committee                   EXCOM  (출처: FAA GPS)

2825     exemption         면제                  적절한 국내기관이 발행한 것으로 ICAO 부속서의 규정을 면제하는 허가. (ICAO)

2826     exhaust back pressure     배기 역압                      왕복신진의 배기 장치에 존재하는 압력. 비기 밸브가 개방 될 때 실린더 밖으로 배기가스가 방출됨에 따라 배기가스의 흐름을 반대하는 압력이 존재한다.

2827     exhaust contrails 배기가스 비행운             항공기 배기 가스가 혼합되어 대기에 포화되기에 충분 할 때 형성된 비행운.

2828     exhaust nozzle   배기 노즐                      제트 엔진의 테일 파이프 쪽으로 열린 원뿔형 노즐. 제트 분출물이 혼합되어 있는 가스터빈 기관의 해기 배출 표본 검출에서 노즐은 가스 발생기의 노즐만을 뜻한다.

2829     exhaust velocity  배기 속도                      로켓 또는 제트 엔진의 배기 노즐(nozzle)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속도.

2830     exhaust-gas analyzer       배기가스 분석기             연료-공기 혼합비를 결절하고 지시하기 위해 배기 가스를 분석하는 계기.

2831     expect (altitude) at (time) or (fix)                           양방향 통신이 두절될 경우 조종사에게 고도 제공 목적의 계기출발허가의 종류.

2832     expect further clearance time       차후 예상 인가 시간      EFC       조종사가 인가 한계를 초과한 인가를 수신하기 위해서 예측할 수 있는 시간.

2833     expect further clearance via (airways, routes or fixes)                             제출한 비행계획서와 단거리허가한계점 이후 비행로가 부분적으로 상이한 경우, 조종사에게 예상되는 비행로를 통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

2834     expected approach time   예상 접근 시간               도착항공기가 지연에 따른 비행을 하다가 착륙을 위한 접근을 하기 위해 체공지점을 떠날 것으로 항공교통관제기관에서 예상하는 시간 ㈜ 체공지점을 실제 떠나는 시간은 접근허가에 따라 달라짐.

2835     expected departure clearance time            예상 출발 인가 시간                  통제된 출발 시간 프로그램과 EDCT로써 비행 진행 스트립에 나타나는 항공기에게 부여된 활주로 이탈시간.

2836     expedite 신속히 실행하라             긴급 상황의 발달을 회피하기 위해서 즉각적인 실행이 요구될 때 ATC가 사용한다.

2837     Explosives Detection System                     EDS            (출처: FAA GPS)

2838     Explosives Trace Detection                        ETD            (출처: FAA GPS)

2839     export declaration           수출신고서         E/D            수출할 때 세관에 수출의 내용을 신고하는 서류.

2840     Extended Data Output                 EDO      (출처: FAA GPS)

2841     extended downwind        배풍로 연장                   지정된 거리 만큼 또는 추가적인 조언이 있을 때까지 배풍 로를 연장시키기 위해서 조종사에게 지시하는 용어. 이 지시는 착륙 또는 출발하는 항공기의 간격과 순서를 조절할 목적으로 수행된다.

2842     Extended Final Approach Segment            EFAS            (출처: FAA GPS)

2843     extended over-water operation     확장 수상 운용                        1) 헬리콥터 이외의 항공기: 최인근 해안선으로부터 50마일 이상의 수평 거리에서 수상 운용. 2) 헬리콥터: 최인근 해안선으로부터 50마일 이상의 수평거리와 헬리포트 구조 앞바다로부터 50마일 이상의 수평 거리에서 해상 운용.

2844     extended range operation            연장운항                        단일엔진으로는 불가능한 순항속도(IaS와 고요한 대기상태에서), 항로상의 한 점에서 적절한 교체 비행장까지 비행한 시간이 운항자 소속국가가 승인한 한계값 보다 큰 경우의 두 개의 터보엔진 비행기에 의한 비행.

2845     extended-range  항속거리연장                  항속거리연장

2846     extended-range twin-engined operations   쌍발기 운항거리 제한 규정                     쌍발기 운항거리 제한 규정

2847     external 외부의               외부의

2848     external loads     기외하중물                     항공기 기내가 아닌 동체의 외부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하중물을 말한다.

2849     external tank      외부 면료탱크                항공기의 항속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날개의 하부 또는 헬리콥터의 외부 장착대에 매달려 있는 보조 연료탱크로 일부 항공기는 소모된 연료 탱크를 항공기 구조에서 투하할 수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2850     extinguisher       소화기               소화기

2851     extra     임시항공편                     임시항공편.

2852     extra fuel           보충연료                        기장 및 운항관리자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연료를 추가하는 것이 운항의 능률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 탑재하는 연료를 말한다. 1) ATC상 현저하게 운항의 제약을 받는 항로상의 기상예보가 아주 불확실하거나 항로가 악천후에 의해 우회비행을 해야 할 가능성이 예상될 경우에 예비연료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 2) 목적지 또는 대체비행장의 기상예보상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3)연료탑재의 절차상 필요한 경우.

2853     extra revenue flight         임시유상비행                  초과수송량을 수송하기 위한 운항.

2854     extravehicular life support system 선외생명유지장치                     선외생명유지장치

2855     extremely high frequency 극초단파-밀리미터파            EHF       극초단파 중에서 30-300GHz의 주파수를 말하며, 파장이 1~10mm로서 밀리미터파라고도 한다.

2856     extrusion           사출                  부품 형태로 제작된 특별한 다이(dies)를 통하여 가열된 금녹을 통과시켜 제작하는 구조 재료의 형태. 사출 과정은 각도와 채널과 같은 구조적 형태의 재료를 연속적으로 만드는데 사용된다.

2857     FAA Acquisition Executive            FAE       (출처: FAA GPS)

2858     FAA Acquisition System Toolset                 FAST            (출처: FAA GPS)

2859     FAA Satellite Test Facility              FASTF    (출처: FAA GPS)

2860     FAA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FTI        (출처: FAA GPS)

2861     Facilities and Equipment              F&E      (출처: FAA GPS)

2862     Facility Reference Data File                       FRDF            (출처: FAA GPS)

2863     Facility, Service, and Equipment Profile                   FSEP      (출처: FAA GPS)

2864     facsimile            팩시밀리                        글자나 그림 사진 등을 전기적으로 보내고 받고 하는 장치이며 글자나 그림같이 주로 흑백 2계조를 송수하는 모사전송과 넓은 변조를 포함하는 사진을 송수하는 사진전송의 총칭이다. 좁은 의미에서는 모사전송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원서는 기계적으로 분해, 주사되어 전기적인 신호로서 송신되며, 수신측에서는 이 신호를 똑같이 주사하여 화면을 조립, 빛의 농담에 따라 인화지에 옮기거나 종이에 착색시킴으로써 화상을 재현시킨다.

2865     factor of safety   안전 계수, 안전율                       가정한 것보다 큰 하중이 걸릴 가능성, 또는 설계 및 제작상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사용하는 설계계수. (ICAO)

2866     Factory Acceptance Test               FAT       (출처: FAA GPS)

2867     Factory Acceptance Test Plan                    FATP            (출처: FAA GPS)

2868     fading of brakes 제동력 감소                   브레이크를 장시간 적용했을 때 일부 브레이크예서 나타나 는 제동력의 감소 현상. 이 같은 제동력 감소는 브레이크 드럼의 과열로 발생한다. 브레이크 드럼이 가열되면 드럼이 팽창되고 이는 브래이크 슈(shoes)에 접촉되는 면이 감소함으로써 제동력이 감소한다.

2869     fahrenheit temperature    화씨 온도                      표준 대기 조건하에서 순수한 물의 빙점을 32도로 그리고 비등점을 212도로 사용하여 측정된 온도. 빙점과 비등점 사이는 180도의 차이가 있다.

2870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FMECA  (출처: FAA GPS)

2871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FMEA    (출처: FAA GPS)

2872     Failure Reporting and Corrective Action System                        FRACAS (출처: FAA GPS)

2873     Failure Reporting, Analysis, and Corrective Action System              FRACAS (출처: FAA GPS)

2874     Failure Review Board                   FRB       (출처: FAA GPS)

2875     fallstreaks          빙정                  권운으로부터 하강하는 빙정.

2876     false horizon      허위 수평선                   경사진 구름, 차장된 수평선, 지상불빛과 별빛이 어울린 어두운 광경의 분산은 실제 수평선에 일치된 것과 같은 착각으로 위험 자세를 초래한다.

2877     false replies unsynchronized in time          레이다 처위응답신호, 비동기 레이다 신호            2차감시레이다에 관계되는 용어로서 주변에 다수의 다른 지상국이 있고 많은 항공기가 운항하고 있는 고밀도의 환경에서 SSR 장비가 운용될 때, 다른 SSR 지상국의 질문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비동기(non-synchronous)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간섭신호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fruit라 한다.

2878     fan marker         선형무선위치표지                        비행중인 항공기에 항공로상에 있음을 인식시키기 위한 무선표지. 항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75MHz의 특정전파신호를 선형으로 발사한다. 현재는 ILS 진입 코스상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활주로 끝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종사에게 알려준다. 팬 마커의 출력은 항공기가 송신기의 직상공을 통과할 때 조종사는 청각이나 시각적으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2879     fan marker beacon          부채꼴 무선 표지                        무선표지의 한 형식으로 방사의 형태가 수직방향의 부채꼴 모양이다.

2880     fan noise           팬 소음             이것은 엔진소음중 팬의 회전에 따라 엔진의 내부에 있는 팬 구역(fan section)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써 제트 배기소음에 비해 주로 고주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음은 엔진의 입구로부터 전방향과 팬 에어 배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전달된다. 소음발생원이 엔진 내부에 있기 때문에 그 발생기구를 일부 개수할 경우에 어느 정도의 소음을 감축시킬 수 있다.

2881     farad     패럿      F          1쿠울롬의 전기량을 주어 도체의 전위를 1V올리는데 드는 정전용량.

2882     fare adjustment  운임조정                        광의로 사용할 때에는, 여객의 여정에 적용할 운임과 여객이 소지하고 있는 항공권에 표시된 운임에 차액이 있을 경우 여객으로부터 그 차액의 추징 또는 여객에서 차액을 지불하는 것. 협의로 사용할 때에는, 여정을 변경한 지점의 항공회사 사무소에서 시간적, 기술적 등의 이유에 의하여 운임조정 및 항공권의 내용변경기입 또는 재발행을 할 수 없는 경우, 구권을 그대로 사용하여 운송하고 사후에 그 발권회사를 통하여 여객에게 청구 또는 환급한다. 또한 발권항공회사와 실제 운송을 행한 항공회사간에서는 실제의 여정을 기초로 한 신운임을 기초로하여 운임수입의 재배분을 한다.

2883     fare construction rule      운임결합규칙                  IATA결정의 Construction Rule for Passenger Fare에 의거한 여객운임 계산의 규칙.

2884     Farmington Area ARTCC (Farmington, MN)             ZMP      (출처: FAA GPS)

2885     Fast Correction Processing                       FCP            (출처: FAA GPS)

2886     Fast Ethernet Switch                    FES       (출처: FAA GPS)

2887     fast file                          조종사가 전화를 통해 비행계획을 제출하는 시스템으로 비행계획은 녹음되며 해당 항공교통관제시설로 전송된다.

2888     Fast Routing Engine                    FRE       (출처: FAA GPS)

2889     fatigue  피로                  항공기가 이륙, 상승, 순항, 강하, 착륙 등을 되풀이 할때마다, 기체구조에는 여러가지 하중이 무수히 부하된다. 금속재료에는 어떤 일정수준이상피로한계이상의 응력을 부하하면 횟수와 함께 피로가 축척되어 최종적으로 파단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금속의 피로 또는 피로파괴라 한다. 따라서 항공기 기체수명중에는 안전운항의 계속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단계로부터 응력의 수준과 부하시험 등의 실시에 의하여 피로파괴 되지 않음을 증명하고 있다.

2890     fatigue crack      피로 균열                      금속 조각이 반전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된 균열

2891     fatigue limit       피로한계                        어떤 재료가 되풀이하여 하중을 받더라도 영구히 파괴되지 않는 응력의 한계.

2892     fault detection    고장검출            FC         기계나 기관 등의 결함이 있는 요소나 처리상의 오류를 확인하여 고장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

2893     Fault Detection and Exclusion                   FDE            (출처: FAA GPS)

2894     fault isolation     고장분리, 고장판별          FI            cf, fault detection

2895     Fault Tree Analysis                      FTA       (출처: FAA GPS)

2896     FAX       팩스                  cf, facsimile

2897     Feasibility Test Plan                     FT&E     (출처: FAA GPS)

2898     feathered propeller         페더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회전하기 때문에 앞전과 뒷전이 항공기 비행로와 거의 평행을 이루어 항력과 엔친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최소화한다. 일반적으로 기능고장으로 인하여 왕복엔진 또는 터보프롭 엔진 회전의 엔진정지를 지시하는 데 활용된다.

2899     Federal              FED       (출처: FAA GPS)

2900     Federal Acquisition/Aviation Regulations                FAR       (출처: FAA GPS)

2901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미 연방항공국            FAA       규정과 교육으로 항공 교통 안전을 증진시키는 책임을 갖는 미연방정부의 교통부내의 기구. 항공기와 공중근무자는 FAA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하고 FAA는 비행기가 비행하는 항로를 관리 유지한다.

2902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Headquarters                        FAAQ    (출처: FAA GPS)

2903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Logistics Center                        FAALC   (출처: FAA GPS)

2904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Technical Center                        FAATC    (출처: FAA GPS)

2905     federal aviation regulation           미연방항공규정            FAR       미국의 항공에 관한 연방법규.

2906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FCC       1934년 통신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대통령이 임명하는 5인 위원으로 구성되는 독립적인 연방정부 기관이다. 미국내와 관련 지역의 무선송신장치에 대한 면허와, 주파수 대역 및 전파형식의 결정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항공통신의 복잡성 때문에 FCC FAA RTCA(미국-항공무선기술위원회)와 긴밀한 업무협조 관계를 갖고 있으며, 항공관련 무선통신 업무는 FCC 규정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2907     Federal Executive Advisory Board              FAB            (출처: FAA GPS)

2908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FIP            (출처: FAA GPS)

2909     Federal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Regulation                     FIRMR   (출처: FAA GPS)

2910     Federal Radionavigation Plan                    FRP            (출처: FAA GPS)

2911     Federal Supply Schedule              FSS       (출처: FAA GPS)

2912     Federal Telecommunications Service                      FTS       (출처: FAA GPS)

2913     Federally 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FRDC   (출처: FAA GPS)

2914     federation aeronautique internationale       국제항공연맹               Sports항공을 총괄하는 세계적인 기관으로 1905 10 14일에 발족하였으며,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두고 있다. 항공 및 우주비행의 진보에 도움이 되는 원리와 지식의 개발을 높이고 이들의 응용·실천 이라든지 항공스포츠를 통해서 항공의 국제적인 진전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활동에는 가맹각국의 항공협회(National Aeroclub)가 임하고 국제 스포츠 항공위원을 비롯하여 국제일반항공, 국제활공, 국제우주항공, 국제헬리콥터, 국제낙하산, 국제모형항공, 국제의학생리국제기구, 국제항공교육, 국제곡예비행, ICAO, 국제자작항공기, 국제 Hang Glider 요원회의 14위원회가 각각 기록규정을 규정해서 활동하고 있으며, 항공의 진보 발전에 현저한 공헌을 한 사람들에 대해 매년 FAI 금메달, FAI 동메달, Louis Bleriot 메달, Lilienthal 메달, Paul Tissandier, La Vault 메달의 상을 수여하고 있다.

2915     feedback            귀환, 환류 피드백                       전기 회로 또는 조종 장치에서 시스템 또는 회로의 출력즌서 나온 일부 에너지가 입력부로 다시 들어가는 과전 피드백된 에너지가 입력 신호 위상과 함께 할 때 피드백은 양성이고 출력은 증가한다. 그러나 피드백이 입력 신호와 함께 이탈 위상 이라면 피드백은 음성이고 출력은 감소한다.

2916     feeder route       보조 항로.                      항로 구간에서 최초 접근 픽스(IAF)로 진행하는 항공기를 위해서 계획되는 계기 비행 접근 차트상에 묘사된 항로.

2917     fell wind            하강풍 (차가운)              아래로 경사진 면을 따라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2918     ferry      페리                  승객이 탑승하지 않는 항공편.

2919     ferry flight         공기 비행                      유상탑재물을 탑재치 않고 실시하는 비행을 말하며 항공기 도입, 정비, 전세 운항등이 이에 속한다. 정비를 목적으로 한 모기지로 비행이나 왕복중 어느 한 쪽만의 전세 비행의 경우등이 이에 해당된다.

2920     field airdrome    간이 비행장                   포장되어 있지 않은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잘 시설된 항공 기지에 반하여 거의 이용 시설이 없음.

2921     field elevation     비행장표고                     비행장 기준지점의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 cf. aerodrome elevation

2922     field elevation pressure    비행장 표고 대기압                        비행장 표고 대기압

2923     field maintenance           야전 정비                      야전 정비

2924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출처: FAA GPS)

2925     fifth freedom      5의 자유                     상대국과 제3국간에 화객을 수송할 수 있는 자유(beyond right)

2926     Figure of Merit               FOM     (출처: FAA GPS)

2927     File Transfer Protocol                   FTP       (출처: FAA GPS)

2928     File Transfer Service 2000             FTS2000 (출처: FAA GPS)

2929     filed                              일반적으로 항공교통관제기관에 제출된 비행계획을 의미하는, 비행계획서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2930     filed enroute delay          항로 지연 제출               특수 비행계흑의 접수와 취급 기숱이 요구되는 비행 항로상의 지점 또는 지역에서 다음과 같은 기계로된 지연. 1) 터미널 지역 지연. 접지후 이륙, 저고도 접근 또는 다른 터미널 지역 할동을 위한 터미널 지역 내에서의 지연. 2) 특수사용공멱 지연. 군운용지역, 제한 지역, 경고지역 또는 ATC 할당 공역 내에서의 지연. 3) 공중 급유 지연. 공중 급유 항적 또는 앵커내에서의 지연

2931     filed flight plan   제출된 비행계획             조종사 또는 지정된 대리인이 항공교통업무기관에 제풀한 원래의 비행계획 ㈜ message가 이용어의 뒤에 사용되면, 전송된 제출비행계획 자료의 내용과 형식을 의미한다

2932     filter / separator 여과기               여과기.

2933     filter open check 필터 점검                      매년 항공유 여과기를 개방하여 Element의 상태를 점검하는 작업  (출처: 한국공항)

2934     fin        , 수직 안정판              항공기의 방향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활용되는 고정된 수직 항공역학적 표면

2935     final      최종위치                        보편적으로 항공기가 최종 접근코스 선상에 있거나 착륙 지역과 정렬되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됨.

2936     final appraoch and take-off area   최종접근 및 이륙지역               이륙비행이 시작된 지점으로부터 hovering하거나 착륙이 완료되는 접근비행의 최종단계상의 한정지점으로 FATO는 성능상 등급헬기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이륙단념지역을 포함하는 지역.

2937     final approach    최종접근로                     지정된 최종접근(보고)지점 또는 그러한 (보고)지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곳에서는 1) 지정되어 있는 마지막 절차선회, 최종선회 또는 racetrack 절차의 입항선회의 끝부분에서 ; 또는, 2) 접근절차에 지정된 마지막 경로의 진입지점에서 시작되어, a) 착륙이 가능하거나 ; 또는, b) 실패접근절차가 시작되는 공항부근의 지점에서 끝나는 계기접근절차의 한 부분

2938     final approach & take-off area lights         진입구역등                  헬기장의 진입구역 및 이륙구역의 경계 윤곽을 알려주기 위하여 진입구역 및 이륙구역에 설치하는 등화.

2939     final approach and take-off area   최종접근 및 이륙 지점 FATO     헬리콥터의 접근 조작의 최종 단계로 공중에 머물러 있거나 착륙이 수행되는 한정된 구역 또는 이륙 조작이 시작 되는 장소이기도 한다. 등급 I의 헬리콥터 운항으로 FATO가 이용되는 곳에 한정된 구역은 이륙중 실패로 헬리콥터를 접근시킬 수 있는 장소로 포함되어야 한다. (ICA0)

2940     final approach control     최종 접근 관제               최종 접근 관제

2941     final approach course      최종접근항로                  로컬라이저 코스의 중심선, 방사방위, 혹은 베아링으로 표시된 최종진입경로. 혹은 이의 연장선, 또는 활주로 중심선의 연장선을 말한다.

2942     Final Approach Fix          최종진입 픽스    FAF            공항까지 최종 접근이 실시되고 최종 접근 구간의 시작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는 픽스. 터미널 차트에서 비정밀 접근을 위한 최종 접근 픽스는 몰타크로스로 그려지고 정밀접근에서는 번개 표시로 그려진다.

2943     final approach point        최종 접근점       FAP            발행된 FAF가 없는 비정밀 접근에서만 적용되고 항공기가 절차 선회로부터 최종 접근 경로로 진입하고 최종 강하가 시작되는 지점. FAP FAF로써 활용되고 최초 접근 구간의 시간 지점으로 식별된다.

2944     final approach segment   최종접근구간      FAS            착륙을 위한 정렬과 강하가 완성될 수 있는 계기접근 절차의 구간.

2945     Final Approach Waypoint             FAWP    (출처: FAA GPS)

2946     final approach-IFR           최종접근-계기비행규칙                        최종계기접근 진로 상에서 공항으로 입항하는 항공기의 비행로, 최종접근픽스/지점에서 시작 및 공항으로의 연장 또는 선회접근 기동지점 또는 실패접근이 실행되는 지점.

2947     final controller    최종 관제사                   레이더 장비를 이용하는 ASR/PAR 접근중에 정보와 최종 접근 유도를 제공하는 관제사.

2948     final monitor aid                        정밀활주로감시시스템(PRM)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관제사 경보 시스템을 장착한 고해상도 전시기. 이 전시기는 타깃예측 제공하는 경고 알고리즘, 항적이 진입하거나 NTZ을 진입이 예상 될 때, 색상 변경 경보, 항공기 응답기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색상변경경보, 합성음성 경보, 디지털 지도제작 및 정밀 활주로 감시 시스템의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2949     final monitor controller    최종 감청 관제사                        동시 평행과 동시 근접 평행 ILS 접근 운용중에 공기의 비행로를 감시하기 위해서 임명된 항공 교통 관제 전문가. 동시 평행과 동시 근접 평행 ILS 접근중 각 활주로에는 최종 감시 관제사가 임명된다. 최증 감시 관제사는 동시 근접 평행 ILS 접근중 정밀 활주로 모니터 (PRM) 시스템을 반드시 활용해야 한다.

2950     Final Site Acceptance Test            F-SAT    (출처: FAA GPS)

2951     final takeoff speed          최종이륙속도                  한 개 엔진이 부작동하는 상태에서 이륙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순항 자세가 될 때의 비행기 속도를 말한다.

2952     Finding of No Significant Impact               FONSI            (출처: FAA GPS)

2953     fire balloon        열기구               기구에 뜨거운 열을 불어 넣어 공기의 양력을 발생시키는 기구.

2954     fire extinguisher system   소화기 장치                   항공기에 화재가 발생하였을때 이를 진화하기 위한 장치

2955     fire resistant       내화성               1. 강판 또는 구조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최소한 알루미늄 합금 정도의 수준으로 화재로 인한 열을 견딜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2. 유체를 전달하는 관, 유체시스템의 부품, 배선, 공기관, 피팅 및 동력장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설치된 장소의 화재로 인하여 있을 수 있는 열 및 기타 조건 하에서 의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2956     fire shut-off system         화재 차단 장치               엔진부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 유압, 오일을 완전히 차단하는 밸브.

2957     fire wall 방화벽               엔진부와 다른 부분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활용되는 방화 재료로 만들어진 칸막이.

2958     fire warning system         화재경보장치                  화재발생을 승무원에게 알리는 장치. 엔진, 히터, 화물실부근 등,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기체각부에 화재탐지기가 설치되어, 조종사는 경보등의 구분에 따라 화재의 발생위치를 알아, 소화장치를 작동시킨다.

2959     fireproof            불연성               1. 지정방화구역 내에 화재를 가두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재 및 부품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최소 강철과 같은 정도의 수준으로 화재로 인한 열을 견딜 수 있는 성질로서 해당구역에 생긴 큰 화재가 상당 기간 지속되어도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기타 자재 및 부품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최소 강철과 같은 정도의 수준으로 화재로 인한 열을 견딜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2960     fireproof material            방화재, 내화재                특정 목적에 대해서 양쪽의 크기가 적당할 때 강철과 동등한 또는 그 이상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자재. (ICAO)

2961     fire-pull handle   화재 당김 손잡이                        항공기 조종실에 설치되어 있고 엔진 화재의 첫 징후가 발견되었을 때 당길 수 있는 손잡이. 이 손잡이를 당기면 전기 회로에서 발전기가 차단되고,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와 유압이 차단되며 압축기 추출 공기 밸브가 폐쇄된다.

2962     fire-resistance structure   방화 구조                      화재나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특정 시간동안 부품의 손상 없이 견딜 수 있는 구조물.

2963     firewall shutoff valve       방화벽 차단 밸브                        엔진부 화재가 발쟁한 경우 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루 오일, 유압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엔진 방화벽의 기체 측면에 위치해 있는 밸브.

2964     firming  예약 확인                      예약한 승객에 대해서 항공 사가 예약의 사용할 의사의 유무를 확인하는 절차. 이는 승객의 임의 예약취소를 대비하고 공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2965     Firmware Support Manual                        FSM            (출처: FAA GPS)

2966     first aid kit         구급함               긴급 불시착시에 사용하는 약품이나 응급치료용구를 작은 금속제 트렁크에 넣은것. 내용물은 법규에 자세히 규정되어 있으며 탑재갯수에 대해서는 승객수에 따라 정해져 있다.

2967     first flight          처녀 비행, 첫비행                       처녀 비행, 첫비행

2968     first gust            초기돌풍                        뇌운이 오기직전, 뇌운중의 하강기류가 지표에서 사방으로 흘러나가 생긴 지표면에 풍향풍속이 급변한 격풍.

2969     first officer         부기장               cf, copilot

2970     first pilot           기장                  특정 항공기를 조종할 자격을 갖추고 그 항공기를 조종하는 데 최종적인 책임을 갖는 조종사.

2971     Fiscal Year                      FY         (출처: FAA GPS)

2972     fishtail   어미                  착륙 접근중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플랩이 없는 비행기는 조종 스틱 또는 휠로 날개 수평을 유지하면서 방향타를 이용하여 비행기를 좌우로 미끄러지게 하여 속도도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직진항적을 유지할 수 있다. 비행기 속도를 감소하기 위해 서는 측방 또는 전방 슬립을 많이 활용한다.

2973     five freedoms of air         5가지 운송의 자유                        5가지 운송의 자유.

2974     five freedoms of the air   다섯 가지의 하늘의 자유                        다섯 가지의 하늘의 자유란 국제항공에 있어서 상업항공권 또는 운수권의 종류를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으로써 국제항공운송협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1의 자유: 영공통과의 자유, 즉 타국의 영공을 무착륙으로 횡단 비행할 수 있는 자유 (Fly-Over Right) 2) 2의 자유: 기술착륙의 자유, 즉 수송 이외의 급유 또는 정비와 같은 기술적 목적을 위해 상대국에 착륙할 수 있는 자유 (Technical Landing Right) 3) 3의 자유: 자국의 영역 내에서 실은 화객을 상대국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자유 (Set-Down Right) 4) 4의 자유: 상대국의 영역 내에서 화객을 싣고 자국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자유 (Bring-Back Right) 5) 5의 자유: 상대국과 제3국간에 화객을 수송할 수 있는 자유 (Beyond Right)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의 자유를 통과권(Transit Right)이라 하며 제3∼5의 자유를 운수권(Traffic Right)이라 한다.

2975     fix         픽스                  고도나 비행경로를 규제하기 위해 항공보안시설의 직상, 동시설 등에 따른 위치의 교차점, 등에 의하여 설정된 지리상의 위치를 말한다. 1) 초기진입 픽스 (IAF) 2) 중간진입 픽스 (IF) 3) 최종진입 픽스 (FAF) 4) 스텦다운 픽스(SDF)등이 있다.

2976     fix balancing                              항공기의 지연 또는 관제사 업무량을 줄이기 위하여 몇몇 유용한 도착 픽스에 항공기를 균등하게 할당하는 방법.

2977     fixed base operator         항공유품질관리담당자            F.B.O.     공항에서 항공유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자  (출처: 한국공항)

2978     fixed fuel tank    고정연료탱크                  비행기의 구조와 일체로 된, 또는 영구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연료 탱크. 낙하 탱크와 구별됨.

2979     fixed landing gear           고정 착륙 장치               접어 넣을 수 없는 착륙 장치. 고정 착륙 장치는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항공기 구조 속으로 접어 넣을 수 없다.

2980     fixed light          부동광               특정점에서 관측된 경우, 일정의 광도를 갖는 등화를 말한다.

2981     Fixed Position Surveillance                       FPS            (출처: FAA GPS)

2982     Fixed Radiation Patterned Antenna                        FRPA     (출처: FAA GPS)

2983     fixed wing aircraft           고정익 항공기                날개가 구조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비행기 또는 활공기. 고정익이라는 용어는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2984     flag                               아래 사항을 나타내는 탑재 항법 및 비행계기에 통합된 경고장치. 1. 계기가 작동되지 않거나 그밖에 안전하게 운영되지 않을 경우. 2. 수신신호의 강도 및 질이 허용치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2985     flag carrier         국적항공사                     National Carrier라고 하며, 자국을 대표하는 항공회사를 말한다.  (출처: 한국공항)

2986     flame out           엔진정지                        가스 터빈 엔진의 연소가 어떤 원인으로 정지되어 풍차상태가 되는 것. 압축기 실속등이 그 원인이다. 단발기 경우, 저고도에서 후레임 아우트가 생기면 치명적인 결과가 된다.

2987     flameout pattern 플램아웃 패턴                엔진 동력 또는 조종을 상실했거나 상실할 수 있는 단발 군 항공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접근. 표준 두상접근은 연속 180도 선회 다음에 활주로 위의 (high key)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서 시작하고, 와이드 위치는 (low key) 최종 접근로를 향하석 연속 180도 선회 다음에 시작된다. 표준 직선접근은 활주로를 향하여 높은 강하율과 함께 직선접근을 얻을 수 있는 지점에서 시작된다. flameout 접근은 조종사가 요청한 접근의 형태로 종료된다.

2988     flammable         가연성               flammable은 영어의 inflammable과 같은 의미를 가짐.

2989     flammable liquid 인화성 액체                   인화성 기체를 발산하는 액체.

2990     flap       플랩                  1) 헬리콥테 로터 블레이드 끝단의 상향 및 하향 운동. 2) 비행기의 날개에 장착된 보조 조종장치. 플랩은 양력과 항력 모두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날개의 에어포일 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선 확장되거나 낮출 수 있다. 플랩이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 비행기는 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과도한 속도의 증가 없이도 깊은각으로 강하할 수 있다. 부분적인 플랩의 운용은 양력을 증가시켜 보다 낮은 속도에서 비행할 수 있게 한다.

2991     flap extended speed        플랩 내린속도                날개의 플랩을 규정된 펼침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최대속도를 의미한다.

2992     flare1    플레어               비행기가 성공적인 착륙을 위한 마지막 비행 조작. 비행기는 착륙을 준비하기 위해서 감소하게 되고 활주로 끝단에 접지하기 위해서 점진적인 경사 비행로를 따라서 강하한다. 비행기가 활주로 끝에 도달하고 지면으로부터 수 피트 상공에 있을 때 조종사는 부드럽게 조종간을 뒤로 당김으로써 플레어를 하는 이 같은 조작은 받음각을 증가시켜 최저의 전진속도와 최소의 수직 속도로 활주로에 접지 되게 한다. cf, round out.

2993     flare2    플레어               야간 비행하는 대부분의 비행기에 구비하는 안전장치. 플레어는 작은 낙하산으로 지지되는 마그네슘 캔들이다. 만약 비행기가 야간에 비행 착륙이 요구될 때 플레어를 방출 시키면 비행기에서 떨어져 나가 자동적으로 점화된다. 연소되는 마그네슘은 밝은 빛을 발하여 조종사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게 한다.

2994     flash resistant     내연성               점화되었을 때 명렬하게 연소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2995     flat glide            수평 활공                      수평면에 비교하여 매우 적은 각의 활공.

2996     flat spin 수평나선운동                  정상적이 아닌 나선식 회전강하의 일종. 수평나선식회전강하에 들어가면 비행기 기수는 올라가고, 전후축을 수평 가까이 유지하며 계속 회전하여 강하한다. 강하속도는 느리고, 회전은 빠르다. 방향타나 승강타가 듣지 않으므로 회복이 어렵다.

2997     Flexible Modular Interface                        FMI            (출처: FAA GPS)

2998     flick roll 급횡전               곡기비행으로 횡전의 일종. 조작은 수평비행중에 가속을 서서히 떨어뜨리고, 조금씩 승강타를 당겨 기수를 올린다. 실속속도에 도달하려 할때 조종간을 좌우 어느쪽으로든지 앞으로 밀고 동시에, 방향타를 좌우 어느쪽으로던지 차서 자전을 일으켜 횡전시킨다. 수평축 둘레를 나선식 회전강하처럼 비행한다. cf. snap roll

2999     flight     운항                  편명을 변경시키지 않고 하나 또는 몇 개의 구간(stage)에서 항공기를 운영하는 것.

3000     flight advisory    비행조언                        비행중인 항공기 조종사에게 비행에 관련된 정보 등을 조언하는 것.

반응형

댓글

리치캣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