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협업-공정경쟁과 협력체계로 글로벌화 대비-콜래보레이션

by 리치캣 2010. 4. 12.
728x90
반응형

[독일 사례]

공정경쟁과 협력체계로 글로벌화 대비

김 승일(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독일의 중소기업들은 일찍부터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기술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어 대기업과 대등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올해 독일의 경제성장률은 0.3%, 실업률은 12%로 예상되어 1950년대 이래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가 그 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독일인들의 심성과 기업 경영방식에는 글로벌 경제에 어울리지 않는 속성이 있어 치열한 가격경쟁 자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었다. 허나 생산물과 서비스에서의 우월우식이 오히려 세계화에의 적응을 더디게 했다는 반성이 일면서 세계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들을 시작하고 있다. 최근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 압력이 거세지고, 중소기업들은 거래선을 잃거나 수익성이 저하되는 사태에서 활로를 찾고 있는 것이다.

 폭스바겐의 경우 납품 중소기업의 공정혁신을 위해 전체 공장을 세부적으로 진단하고 개선을 유도하기도 한다. 일차적으로 단가 인하가 그 목적이긴 하지만 그래도 미래지향적 윈윈(win-win)관계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 일단 한 번 형성된 관계는 깨지 않으려고 한다.

 중소기업들이 경쟁의 글로벌화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무엇보다도 협동조합과 상호보완적 협업이 정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과의 관계에서 중소기업들끼리의 연합체가 잘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 수주를 하기도 한다. 다른 하나는 가능한 한 제살 깎아먹는 동업자간 경쟁은 피한다는 점이다. 대기업은 공정 경쟁입찰 제도를 활용하여 처음부터 불공정 거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중소기업들은 단가가 맞지 않으면 처음부터 거래에 응하지 않는다.

 정부도 중소기업의 경영을 보호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담합적 거래는 규제하지만 취약업종의 경우는 경쟁 질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중소기업간 담합을 허용하고 있다. 또 대기업의 부당한 단가인하 압력에 대해 중소기업들의 신고가 있을 경우 정부가 나서 조사하고 시정조치를 취한다.

[이탈리아 사례]

이탈리아 패션산업의 혁신전략

김 승일(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섬유와 의류를 중심으로 구두, 가죽제품, 보석, 향수 등으로 구성되는 이탈리아 패션산업은 2004년 기준, 제조업 수출의 16.6%, 고용의 14.8%, 무역흑자 213억 유로로서 이탈리아 국가경쟁력을 대표하는 산업이다. 잘 발달된 지역별 클러스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전통적인 협력, 수출 주도의 산업구조, 유행을 리드하는 디자인과 품질 등이 그 경쟁력의 원천이었다.

본래 이탈리아 패션 산업은 대기업은 소재와 완제품 제조, 중견기업들은 틈새 시장에 특화, 소기업들은 1-2개의 생산기술에 특화함으로써 대등한 관계에서 상호 경쟁력을 보완해 왔었다. 그러나 최근 유로화 강세, 중국 및 터어키, 튀니지 등 지중해 연안국들의 공급물량 증가와 수출 하락세는 이탈리아의 패션 업계에 새로운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해외생산의 긴 역사를 지닌 베네통(Benetton)은 성장세를 지속하는 반면 이탈리아 내 생산을 고집했던 베르사체(Versace)는 적자경영에 시달리고 있다. 대기업의 해외 생산과 납품단가 인하 요구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 업체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업계와 정부의 노력은 가족 중심의 폐쇄적 경영과 영세성(중소기업의 90%가 조업원 15명 이하), 소규모 소매업체 중심의 유통구조 문제를 극복하고 생산-유통-소비자간 개방적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에 의한 혁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프라토(Prato), 카프리(Capri), 엠폴리(Empoli), 코모(Como) 등 소 지역 단위의 클러스터들을 광역화하는 것이다. 대기업과 대규모 유통업자, 전문화된 중소기업간 협력과 정보교류의 범위를 광역화하고 물류, 유통, 연구개발의 시너지를 증대시키기 위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이탈리아 정부는 경쟁력 강화 3개년(2006-2009) 대책을 수립하고 범정부적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클러스터의 광역화, 유통점의 대형화와 더불어 특허와 상표, 디자인 보호정책을 강화하고 외국과 상표보호 협정체결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클러스터를 정비하고 중소기업의 R&D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준비 중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