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5401-5600
5401 on-course indication 항로중심 지시계 항공기를 주어진 항적의 중심선에 위치시키거나 항공기가 주어진 항적에서 레이더 스코프상의 지시에 위치시키는데 조종사가 결심하기 위한 시각 수단을 제공하는 계기상의 지시.
5402 one engine inoperative 한 엔진 불작동 한 엔진 불작동
5403 one-minute weather 1분기상 비관제공항의 자동기상관측장치(ASOS/AWOS)로부터 조종사가 접수한 가장 최근 1분 기상 예보.
5404 oneway trip 편도 여행 OW 편도 여행
5405 On-Line Data Interchange OLDI (출처: FAA GPS)
5406 on-line fare 단일항공회사운임 단일항공사의 노선상 운송에 적용되는 운임을 말함.
5407 on-line/off-line 운항 노선/비운항 노선 국내 항공사가 정기 운행되고 있는 경우를 운항 노선(on-line), 반대로 정기적으로 운항되고 있지 않는 노건을 비운항 노선(off-line) 이라 한다.
5408 on-the-job training 실무 훈련 OJT 실제 작업을 수행하면서 숙련도를 익히는 교육 훈련의 방식.
5409 on-time performance 정시운항성 특정기간내에 특정비행편 또는 일단의 비행편에 관해 항공사가 공시한 정시도착시간중 정시도착이나 15분 범위내에 도착하는 항공편의 수와 비율.
5410 open 전개,개방 1)낙하산이 공기의 힘을 받아 산개되는 것. 2) 스로틀 그립이나 레버를 작동 시키는 행위.
5411 Open Radar Data Acquisition ORDA (출처: FAA GPS)
5412 Open Shortest Path First OSPF (출처: FAA GPS)
5413 open skies 항공자유화 현행 항공협정상에 존재하는 각종 제한을 철폐하여 항공운수업을 수요공급에 기초한 시장기능에 맡기자는 취지에서 미국이 '92년부터 추진하여 온 정책으로, 전 항공노선에 대한 진입개방, 전 노선에 대한 항공사 수와 운항편수의 무제한 허용, 운임설정의 자유화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ex) Korea-U.S. Open Skies Agreement (한ㆍ미 항공자유화협정)
5414 open skies policy 항공자유화 정책 항공자유화 정책
5415 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 상호접속 국제표준화기구(ISO)가 1977년 제안한 통신규약(프로토활)으로 이기종의 컴퓨터 간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과 외부 네트워크 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최근의 컴퓨터 네트워크 아키텍처나 LAN 프로토콜의 대부분이 이 OSI 표준에 따르고 있다
5416 Open System Radar Generator ORPG (출처: FAA GPS)
5417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출처: FAA GPS)
5418 open ticket 오픈티켓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항공권. 보통 돌아오는 날짜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고 예약한 항공권.(귀국일이 확정되지 않은 티켓)
5419 operatinal acceptable level of traffic 운용적 교통수용수준 운용적 교통수용수준
5420 operating cost 운항비 항공회사에서 비행기를 운항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경비의 총액으로서 그 취급방법에 따라 직접운항비와 간접운항비로 나눌 수 있다. 이 경비가 적다는 것이 항공회사로서는 수익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5421 Operating System OS (출처: FAA GPS)
5422 operating weight 운항자중 기본운항중량+승무원 중량+부가장비 = 운항자중으로써, 기본운항중량에 승무원과 그 수하물, 여객의 서비스용품, 기내식 등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이다. 승무원 수나 기내식 등은 각 노선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각 노선에 대한 표준중량을 계산하여 설정한 것을 표준운항중량(Standard Operating Weight)이라 한다.
5423 operation & maintenance 운영 및 정비 운영 및 정비
5424 operation control 운항통제 항공기의 안전과 비행의 질서, 효율을 위해서 당국이 실시하는 비행의 시작(initiation), 지속(continuation), 우회(diversion), 종료(termi- nation)에 관한 업무실행.
5425 operation manual 운항규정 운항관제의 업무에 관한 기본방침, 실시요강, 규칙 등을 정한 것으로 항공회사의 방침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운항관리, 운항기준, 비행계획, 비행방식, 항법에 관한 방침, 기준, 기본적인 방법등과 각노선의 비행계획 작성기준과 항로의 선정기준. 2) 지상운항종사자 : 지상에서 운항에 관련되는 업무를 담당하는 자(주로 운항관리자)의 업무내용, 자격, 훈련, 심사 등. 3) 승무원 : 승무원편성, 기장을 위사한 각 승무원의 책임과 의무, 근무와 휴식, 훈련과 심사. 4) 최저기상조건 : 운항가능한 기상조건에 관한 사항, 항공기의 종류, 비행장의 특성, 승무원의 경험 등이 고려된다. 5) 긴급대책 :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때의 기상, 지상 쌍방의 대책. 6 기타 : 최저안전비행고도, 통신에 관한 기본사항, hijack 대책, 폭발물 위협 대책 등.
5426 operation of flight plan ->operational flight plan
5427 operation planning 운항계획 운항자가 수립하는 운항의 계획.
5428 Operation Readiness Demonstration ORD (출처: FAA GPS)
5429 operational acceptable level of traffic 항공교통운용수준 항공교통운용수준
5430 operational altitude 운용 고도 항공기가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고도.
5431 operational amplifier 운용적 층폭기 운용적 층폭기
5432 Operational and Supportability Implementation System OASIS (출처: FAA GPS)
5433 operational ceiling 운용 상승한계 운용 상승한계
5434 operational characteristics 작동 특성, 운용 특성 작동 특성, 운용 특성
5435 operational control 운항 통제 항공기의 비행안전과 비행의 규칙성 및 효율성을 위한 비행의 개시, 지속, 전환, 종료에 대한 당국의 통제
5436 operational control communications 운항관제통신 항공기의 안전과 비행의 정상성 및 효율성을 위하여 비행의 시작, 지속, 변경 또는 종료에 관한 업무실행.
5437 Operational Control Segment OCS (출처: FAA GPS)
5438 operational empty weight 운용자중중량 운용자중중량
5439 Operational Evaluation OpEval (출처: FAA GPS)
5440 operational flight plan 비행계획서, 운항계획서 항공기 운용자가 계획된 노선과 공항별로 예상되는 조건 또는 제한사항을 포함하여 항공기 성능을 고려하여 작성한 안전운항계획
5441 operational hour 운용 시간 운용 시간
5442 operational navigational chart 작전항법도 작전항법도
5443 operational planning & utilization system OPUS 항공기상, 특정 비행편의 출·도착정보 및 항공편의 진행사항, 항공기별 비행계획 등 항공기의 통제업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시스템.
5444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Observed Range Deviations ORD (출처: FAA GPS)
5445 Operational Support Services AOS (출처: FAA GPS)
5446 Operational System Parameter OSP (출처: FAA GPS)
5447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OT&E (출처: FAA GPS)
5448 Operational Test Plan OTP (출처: FAA GPS)
5449 Operational Testing OT (출처: FAA GPS)
5450 operationally ready 운항가능시간 운항가능시간
5451 Operations OPS (출처: FAA GPS)
5452 Operations and Maintenance OM, O&M (출처: FAA GPS)
5453 Operations Control Center OCC (출처: FAA GPS)
5454 operations manual 운항규정 운항자들이 임무수행을 위해서 사용하는 절차, 지시, 지침을 포함하고 있는 규정.
5455 operator 운항자,운영자 항공기 운항에 종사하거나, 또는 종사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단체 또는 기업
5456 Opportunistic PM OPM (출처: FAA GPS)
5457 opposite direction aircraft 반대 방향 항공기 다음과 같이 반대 방향에서 운용중인 항공기. 1) 항공기들이 반대 방향에서 동일한 트랙을 따르고 있을 때. 2) 이들 항공기들의 항적이 평행하고 항공기가 반대 방향으로 비행할 때. 3) 이들 항공기의 항적이 135도 이강의 각도에서 교차될 때.
5458 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식 문자판독장치 광학식 문자판독장치
5459 optical mark reader 광학식 마크 판독장치 컴퓨터 처리를 하기 위한 데이터를 특정한 카드나 소정 용지의 지정한 장소에 연필 또는 마킹펜으로 표시한 것을 광한적인 방법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그 내용을 판독할 수 있는 장치 cf. OCH, MICR
5460 optical mark recognition 광학식 마크판독 광학식 마크판독
5461 optimum mixture ratio 최적 혼합비 최적 혼합비
5462 optimum moisture content 최적습도 최적습도
5463 optimum rate of climb 최적 상승률 최적 상승률
5464 option approach 임의 접근 임의 접은 “cleared for option은 교관, 시험관 또는 조종사에게 접근의 형태를 임의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접근의 인가. 1) 종료착륙(full-stop). 2) 접지 후 이륙(touch and go). 3) 정지 후 이륙(stop and go). 4) 실패 접근(missed aproach). 5) 저고도 접근(low approach).
5465 Orbit Determination Control ODC (출처: FAA GPS)
5466 Orbit Determination Data Editing ODE (출처: FAA GPS)
5467 Orbit Determination Geometry ODG (출처: FAA GPS)
5468 Orbit Determination Processing Algorithms OD (출처: FAA GPS)
5469 orbit flight 시설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으로 선회 비행을 하는 것을 말한다.
5470 Orbit Integration OBI (출처: FAA GPS)
5471 Orbital Insertion Subsystem OIS (출처: FAA GPS)
5472 organization development 조직개발 조직 내의 개개인이 최대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 풍토를 건설하고 조직제도를 개선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법. 1960년 초 미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구성원의 인간성을 최대로 존중하고 자발성, 협조성을 기르며 나아가서 창조성을 발휘해서 조직풍토의 혁신뿐만 아니라 기업의 혁신을 일으키는 가장 좋은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5473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rget OPT (출처: FAA GPS)
5474 organized track system 구성된항적시스템 구성된항적시스템
5475 orient airlines association 동양항공사협회 cf. AAPA
5476 orientation flight 관숙 비행 항공기의 성능과 특성을 보여 주기 위해서 수행되는 비행.
5477 orifice check valve 오리피스 체크 밸브 유압 계통이나 공기압 계통에 사용되는 특수 형태의 체크 밸브. 이 밸브는 한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제한한다.
5478 origin 시발지점 출발지 ORG 여정상의 맨처음 지점으로서 여객과 화물이 해당 여정 시초에 항공기 탑승 및 탑재하는 시점. 화물 운송계약에 의해 운송이 시작되는 화물의 최초 출발시점 (출처: 한국공항)
5479 origin airport 시발공항 운항이 처음 시작되는 공항.
5480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최초장비제작자 OEM 최초장비제작자
5481 originating flight 시발운항 운항부분(flight segment)을 시작하는 항공기.
5482 origination/terminating passenge 출발/도착여객 해당 공항에서 여정을 출발 또는 도착하는 여객.
5483 ornithopter 날개치기 항공기 비행중 주로 날개치기 운동이 전달되는 평면의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서 지지되는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
5484 OROCA 직항로 장애물 통과 고도 직항로 선상의 장애물 통과 고도로 평지 1,000피트, 산악 지형 2,000피트 이상의 완충고도를 제공하고 항법신호 또는 통신신호의 통달거리는 제공하지 않는다. 주1) 일부 지역에서 MVA는 MEA, MOCA등 보다 낮은 수 있다. 주2) 레이더 벡터중에 ATC가 할당한 고도는 MVA 또는 그 이상.
5485 orographic lifting 지형성 상승 기단이 산 또는 언덕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기단이 상승 현상이 발생하는 것.
5486 orographic rain 산악성강우 지형적으로, 어떤 특정구역에 한해서 오는 비. 예를 들면, 습기를 가진 바람의 통로에 고지가 있으면, 그 영향으로 비가 생기다든가, 수평기류가 산정에 닿아 상승하여 냉각응결되어 강우가 되는 등의 현상이다.
5487 OT&E Integration OT&E/I (출처: FAA GPS)
5488 OT&E Operation OT&E/O (출처: FAA GPS)
5489 OT&E Shakedown OT&E/S (출처: FAA GPS)
5490 Other Direct Charges ODC (출처: FAA GPS)
5491 other service information 기타 정보 제공 O.S.I. 기타 정보 제공.
5492 Other Transition Authority OTA (출처: FAA GPS)
5493 ounce(s) 온스 온스
5494 out 교신끝 교신이 종료되었고 응답을 예상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서 관제사가 사용하는 용어.
5495 out bound 아웃바운드 O/B OUT/B 업무는 화물의 반입에서 항공기 출발까지의 업무로 구체적으로 화물반입, 접수, 화물취급서류(운송장, 반입계) Check, 출발편 작업(적재계획의 작성, ULD 적재작업) 탑재준비, 탑재 및 사후처리(각종 전문 운송이나 편별 보고서 작성)등이 있다. (출처: 한국공항)
5496 out bound 출항 항공편 O/B 출항 항공편.
5497 out of action 조치 불가 조치 불가
5498 Out Of Service OOS (출처: FAA GPS)
5499 Out Off On In OOOI (출처: FAA GPS)
5500 outbound 외항, 출국자 1) 외국으로 나갈 경우의 해외여행 및 그것에 관련되는 업무. 2) 공항에서 이륙하여 다른 공항을 향하여 공항 관제구를 이탈하거나 무선 전파를 이용한 항로 비행중 송신소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비행 상태.
5501 out-bound carrier 입국 또는 통과상륙이 거절되었거나 추방을 명령한 국가로부터 INAD를 수송한 항공사.
5502 outer aileron 외부 보조익 외부 보조익
5503 outer area 외부 지역 모든 IFR 항공기와 참여중인 VFR 항공기를 위해서 전시간 레이더 유도와 순서를 제공하는 ATC가 있는 C공역 주위의 비규정적 공역. 외부지역에서 제공되는 업무는 IFR/VFR 표준 IFR 분리, IFR/VFR 항적 조언과 충동 대응, VFR/VFR 항적 조언과 안전 경고를 제공하는 C공역 업무이다. 외부 지역의 정상적인 반경은 20NM이다 외부 지역은 주요 C공역 공항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레이더/무선 통달거리의 낮은 한계로부터 접근 관제소의 위임된 공역의 실링까지 연장된다.
5504 outer fix 외부 픽스, 외부 기위 1) 최종 접근보다 터미널 지역에 있는 픽스를 기술하기 위해서 ATC가 사용하는 일반 용어.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ARTCC 또는 접근관제 시설에 의해서 이들 픽스까지 인가된다. 항공기는 이들 픽스로부터 최종 접근 픽스 또는 최종접근 항로까지 인가된다. 2) 통과 시간을 산출하고 미터링 위치 목록에 나타내기 위해서 미터 픽스 전에 비행의 역항로를 따라 적용된 픽스.
5505 outer fix time 외부 픽스 통과시간 실제 산출된 착륙 시간에 정점을 통과하기 위해서 외부 픽스를 출발하기 위해 산출된 시간. 시간은 속도 조절과 미터 픽스 도달 전에 조절해야 할 지연에 반영한다.
5506 outer marker 외부 마커, 외부 위치 지시계 계기착륙시설(ILS)의 일부로서 항공기가 착륙할 때 항공기 내의 지시기에 그 항공기의 강하로 중의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무선표지시설이며, 통상적으로 Compass Locator 즉, LOM을 병설한다. 1) 사용주파수 7SMHz, 2) 변조주파수 : 400Hz(95% 변조), 3) 식별부호 : 초당 2개의 댓쉬(― ―), 4) 기내표시등 : 자주색(purple) - 95놋트에서 12±4초간 점등. cf. ILS
5507 Outgoing Aeronautical Logic Procedures OALP (출처: FAA GPS)
5508 outlet 출구 출구
5509 outline development plan 개략개발계획 개략개발계획
5510 output 출력 출력
5511 outside air temperature 외기온도 OAT 압축과 마찰열을 수정한 측정된 또는 지시 공기 온도. 이를 또한 진공기온도(true air temperature)라 한다.
5512 Outside Continental United States OCONUS (출처: FAA GPS)
5513 outsourcing 아웃소싱 외부화 기업의 일부기능이나 활동을 외부에 위탁하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5514 over 오버 내 송신이 종료되었다. 응답을 기대한다.
5515 over and shortage 과부족 과부족
5516 over booking 초과예약 어떤 비행편에 판매가능한 좌석수보다 많은 관광자의 예약을 접수한 상태.
5517 over collection 과징금 과징금
5518 over land transport 육상화물보세 O.L.T. 육상에서 화물을 보세 운송하는 것 (출처: 한국공항)
5519 over load 과적상태, 하중초과 그 항공기에 정해진 최대중량을 초과하여 운항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하중배수로 운항하는 경우도 이같이 말한다. 이 상태에서의 운항은 감항성이 보증되지 않는다.
5520 over pivot rate 한계중량요율 Over Pivot Weight에 부과되는 Kg당 요율 (출처: 한국공항)
5521 over pivot weight 한계중량초과요금 BUC적용 기본요금. ULD별 운송할 수 있는 중량은 일정한 한계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것을 한계중량(Pivot Weight)이라고 말하며, 이것을 초과하는 중량을 의미한다. (출처: 한국공항)
5522 over shoot 비행기의 착륙시, 소정의 진입경로 보다 높이 진입하거나 또는 정상 착륙지점을 지나서 접지하는 상황.
5523 over the horizon 초수평선(레이더) OTH 초수평선(레이더)
5524 over the horizon target 초수평선 표적 초수평선 표적
5525 overall height 전고(全高) 지면에서부터 그 비행기의 가장 높은 점까지의 높이. 비행기는 보통 수직미익의 상단까지, 헬리콥터에서는 통상 로우터 헤드 정상까지를 말한다. 안테나 등의 동체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경우는 이것을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통례이다. 수직미익의 정상에 설치된 충돌방지등은 전체높이에 포함하지 않는 일이 많다. 전체높이는 기체의 중량 및 중심위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하게는 이들의 조건을 기록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대형기에서는 운항자중에 있어서의 높이나, 최대이륙중량의 경우로서 표시되어 있어 이 때문에 같은 기체일지라도 자료에 따라 약간의 차가 나는 일이 있다.
5526 overall length 전장 항공기의 최선단에서부터 최후단까지의 길이. 비행기에서는 기수, 프로펠러, 보스 또는 스피너의 선단부터 미부 또는 미익의 가장 후방의 위치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따라서 비행기의 선단은 후퇴각이 있는 미익을 가진 기체에서는 수평·수직미익에 관계없이 최후방에 위치하는 익단의 후연이 된다. 기수에 피토우관이나 공중급유의 수유 파이프 및 안테나 등이 길게 돌출하고 있다든지 미부에 항공등이나 정전방전줄이 돌출해 있어도 이것을 포함시키지 않는 일이 많다.
5527 overall width 전폭 비행기의 횡폭이 가장 넓은 곳을 가리키며, 고정익의 보통형식의 비행기에서는 주익의 끝에서 끝을 말한다. 상반각, 하반각 또는 전진각, 후퇴각 등이 있어도 날개를 평면으로 투영하였을 때의 익단에서 익단까지의 치수를 칭한다. 이 때문에 전폭을 익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익단에 항공등이나 방전용의 돌기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폭에는 이것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헬리콥터 등의 경우는 회전익직경 및 동체폭 등으로 표시된다.
5528 over-carried 오송 OVCD Cargo Manifest에 기재되어 있는 목적지를 추월하거나 다른 곳으로 서류나 화물을 운송한 경우를 의미함 (출처: 한국공항)
5529 overcast 오버케스트 오버케스트
5530 overflow cargo 공간초과 불탑재화물 특정 편에 Space 부족으로 탑재시키지 못하는 화물 (출처: 한국공항)
5531 overflying 제1의 자유 제1의 자유
5532 overhaul 오버홀, 분해검사 장치의 모든 부품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완전히 분해하는 정비절차. 각 부품을 검사하여 손상된 부품이나 과도하게 마모된 부품은 수리 또는 교체된다. 장치는 다시 조립되고 검사한 후 복귀된다.
5533 overhead approach 두상 접근 VFR 장주에 진입하여 착륙하기 위한 군항공기의 VFR 도착을 위해서 일련의 기결정된 기동. 두상 접근은 IFR접근 절차를 허용하지 않는다.
5534 overhead cam engine 오버헤드 캠 엔진 캠축(camshaft)이 실린더 헤드에 위치해 있는 왕복엔진. 밸브는 캠로브(cam lobe)에 의해서 작동되는 로커암(rocker arms)에 의해서 개방된 다. 크랭크 케이스 내에 캠축을 갖고 있는 엔진의 밸브는 푸시로드와 로커암에 의해서 작동된다.
5535 overhead maneuver 두상 기동 VFR 장주권으로 진입하고 착륙으로 진행시키기 위해서 기술된 일련의 기결정된 조작. 두상 조작은 계기 비행 접근 절차가 아니다. 두상 조작을 실행하는 항공기는 VFR 항공기로 간주되고 IFR 비행 계획은 항공기가 조작의 최초 접근 구간상의 최초 지점에 도달했을 때 취소된다. 일반적으로 장주는 다음과 같이 명시된다. 1) 조종사의 필수 무전교신 2) 유지되어야 할 속도 3) 3∼5마일 길이에서 최초 접근 4) 2회의 180도 선회로 구성되는 타원 장주 5) 첫 번째 180도 선회가 시작되는 곳에서 분기점(brake point) 6) 선회 방향 7) 고도(기존 장주 위로 최저 500피트) 8) 착륙 진입턱으로부터 적어도 1/4마일과 지면 위로 적어도 300피트의 최종접근로상에서 선회 정지(roll-out)
5536 overlap 중복 중복.
5537 overlapping 중첩되다 중첩되다
5538 overlying center 특정 터미널지역의 도착/출발 비행을 관할하는 항공교통센터.
5539 overpack 단일 포장물 조업 및 선적의 편의를 위해 1개 이상의 위험물 포장품을 하나로 포함시켜 단일 조업단위로 만들기 위해 화주가 사용하는 봉함물.
5540 overpressure 과압 과압
5541 overrun 활주로 이탈 착륙 혹은 이륙단념을 할 때 항공기가 활주로의 끝으로부터 더 나아가서 정지하는 것. 원인으로는 착륙접지점을 너무 활주로 안으로 잡았거나, 비나 눈으로 활주로가 미끄럽다거나,수막현상의 발생. brake 고장 등의 요소가 있다. overrun을 방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은 활주로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접지시키는 것이다.
5542 overrun area 과주대 항공기가 착륙하는 경우 정상적일때 활주로 길이의 60%이하의 거리에서 정지할 수 있게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항공기가 접지점을 잘못한다든가 brake system이 고장난다든가, 활주로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에 있을 때는 runway threshold활주로 말단에서도 정지하지 않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활주로 양단의 외측에 항공기 중량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역을 설치하고 있다. 또, overrun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행장에 따라서는 활주로 말단에 nylon 제등의 net를 설치해서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됐을 때 관제탑에서 이 net를 원격조작으로 일으켜 항공기를 포착하는 barrier net 또는 arresting gear를 비치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군용기 이외는 거의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5543 overrun lights 과주대등 이륙 또는 착륙하려고 하는 항공기에 overrun area를 표시하는 등화이며, overrun area의 양측 및 말단에 적색등화를 설치하여 활주로와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5544 overruning 확산되다 온난하고 습한 안정 기단이 온난 전선 또는 정체 전선 상부로 이동하는 것.
5545 oversale (overbook) 초과판매 어떤 비행편에 실제보유하는 수보다 많은 좌석을 판매함.booking시는이런 행위는 어떤 이유로 인해서 비행편별로 예약된 스페이스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여객의 통계적 비율에 따른 대비책으로서 때때로 항공사가 이용하게 된다. 항공권을 구입한 실제 여행수가 비행편의 보유능력을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항공사는 그 비행편이나 유사비행편에 운송되지 못하는 여객에게 Denied boarding compensatin을 보상해야 한다.
5546 Oversized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OCXO (출처: FAA GPS)
5547 overspeed protection system 과속 방지 장치 엔진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엔진과 속은 엔진에 커다란 부하와 엔진 정지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
5548 overtake 추월하다 추월하다
5549 over-voltage 과전압 과전압
5550 own aircraft 자력 항공기 규정된 ACAS를 갖추고 ACAS의 지시에 반응하여 항로수정을 할 수 있는 항공기. ACAS는 가능성 있는 충돌을 보호한다. (ICAO)
5551 owner 소유(권)자 항공기를 구입하여 법적인 소유권을 가진 사람.
5552 oxides of nitrogen 질소산화물 산화질소가 이산화질소의 형태로 계산되어 가스표본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질소와 이산화질소의 총량. (ICAO)
5553 oxidizer 산화제 산화제
5554 oxygen 산소 산소
5555 oxygen equipment 고공비행 중인 항공기 내에 있는 사람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산소 탱크, 마스크, 조절기, 연결장치 등 부품을 포함한 장비.
5556 oxygen inhalation 산소흡입 공기가 희박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산소를 흡입하는 것. 공기는 고도의 증대와 함께 희박해지고, 산소분압은 감소된다. 그러므로 여압장치가 없는 항공기에서는 고도 4,000m 이상의 고도(여객기에서는 3,000m 이상)를 항행할때는 승무원, 승객에게 산소공급을 행한다.
5557 oxygen inhalation system 산소 흡입 장치 산소 흡입 장치
5558 oxygen mask 산소마스크 운송용 항공기에 장치하는 승객용 산소마스크로서 대개 좌석위에 설치되어 조종사의 선택이나 기내 여압계통의 차압이 생길 경우 자동적으로 내려와 승객에게 산소를 공급해 준다.
5559 oxygen system 산소계통 고고도를 비행하는 운송용 항공기에 장치하는 안전계통으로서 여압계통에 이상이 있을시 기내에 부가적인 산소를 공급시킨다. 기내 차압이 있거나 조종사의 선택에 의하여 산소는 산소통으로부터 승객이나 승무원에게 공급되게 된다.
5560 Pacific Engineering Trials PET (출처: FAA GPS)
5561 Pacific Ocean Region POR (출처: FAA GPS)
5562 package 포장품, 패괴지, 일괄 교육 프로그램 포장작업의 완전한 생산물로 수송을 위해 준비된 포장물과 그 내용물로 구성. (ICAO)
5563 packaging 포장물 용기와 용기 기능을 수행하고 본 부속서의 포장 규정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기타 부속서. (ICAO)
5564 Packaging, Handl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PHS&T (출처: FAA GPS)
5565 packet 패킷 (Packet) 망 계층에 있는 통신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환 기본 단위.
5566 packet layer protocol 패킷 계층 프로토콜 PLP 망 계층에서 피어 레벨 엔티티 사이를 연결 유지 및 데이터 패킷 전송을 하는 프로토콜. 본 표준의 문맥에서, 이 용어는 이 문서에 사용된 ISO 8208 표준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에 관하여 설명한다.
5567 Packet-Switched Network PSN (출처: FAA GPS)
5568 packing 포장 작업 물품 또는 물질을 포장물에 포장하거나 그리고/또는 안전하게 하는 기술 및 작업.
5569 pad 패드, 받침대, 덧대, 발사대 패드, 받침대, 덧대, 발사대
5570 Paid Time Off PTO (출처: FAA GPS)
5571 pallet 팔레트 PLT 금속으로 된 평판으로서, 그 위에 화물을 작업한 후 Net를 사용하여 화물을 고정시킨다. 이렇게 작업된 PLT를 항공기에 탑재하여 화물실 바닥에 장치된 Restraint System을 사용하여 항공기에 고정시킨다. (출처: 한국공항)
5572 pallet dolly 팔레트 돌리 Plt Dolly Pallet(화물) 운반 장비 (출처: 한국공항)
5573 palletize 팔레트 적재 Pallet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 (출처: 한국공항)
5574 pamphlets 팜플렛 팜플렛
5575 pancake landing 팬케이크 착륙 항공기가 지면 위의 수 피트 상공에서 수평 조작으로 수행 되는 착륙. 항공기가 전진 속도와 항공 역학적 양력을 상실할 때 항공기는 평면 자세에서 지상에 떨어진다.
5576 panel 판, 패널 주로 조종실의 계기판 또는 제어판 등과 같이 복합어로 활용된다.
5577 panel bridge 조립교 조립교
5578 pannel 급유패널 급유장비에 설치되어 장비의 상태를 파악코자 각종 게이지(흡입압력 게이지, 노즐압력 게이지, 압력조절 장치, 2차 압력조절 장치, 필터 차압게이지, 1,2차 Surge Suppressor 게이지 등)를 모아놓은 계기판을 말한다. (출처: 한국공항)
5579 pan-pan 국제 무선통화 긴급 신호 이 용어를 3회 반복할 때 긴급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과 경고를 지시한다.
5580 PANS Aircraft Operations PANS-OPS (출처: FAA GPS)
5581 parachute 낙하산 비행중의 항공기에서 안전하고 긴급하게 탈출·강하하기 위한 용구. 긴급 탈출용이외에, 하늘의 스포츠로서 스카이 다이빙용, 낙하산부대용, 탄약, 식량등의 투하용, 라디오손데 회수용등이 있다. 또한 고속항공기의 긴급 탈출용으로 사출좌석과 함께 사용되는 것도 있다.
5582 parachute brake 공중 투하, 공중 낙하 공중 투하, 공중 낙하
5583 parachute flare 낙하산신호 소형낙하산을 붙인 조명탄. 야간 정찰, 야간사진촬영등 장시간 조명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5584 paraglider 패러 글라이더 고고도에서 물체의 강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삼각형의 날개.
5585 paragraph 항 항
5586 parallel 평행 평행
5587 parallel approach 평행접근 평행활주로에 각각 진입하는 항공기간에 규정된 레이다 간격을 설정해서 행하는 진입으로, 평행 ILS진입 및 평행 ILS/정측 레이다 진입을 말한다.
5588 parallel ILS approach 평행 ILS 접근 설정된 내항이 인접 최종 접근항로상에서 공항을 향하는 평행 활주로에서 레이더 분리가 최소한 2마일이 유지되는 IFR 항공기의 접근.
5589 parallel MLS approaches 평행 MLS 접근 평행 MLS 접근
5590 parallel offset route 비행로의 좌우가 평행인 항공로로 지정되었거나 설정된 항공로/비행로 일반적으로 지역항법(RNAV)에서 주로 사용된다.
5591 Parallel Packet Express PPX (출처: FAA GPS)
5592 parallel runway 평행활주로 한 공항에서 중심선이 평행을 이루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활주로. 두 개의 평행 활주로는 “L(좌측)”과 “R(우측)”으로 계획되고 3개의 활주로라면 “L(좌측)”, “C(중앙)”, “R(우측)”으로 구분한다.
5593 parallels of latitude 평행 위도선 적도와 평행한 지표면상의 가상 선들. 위도의 평행선은 지도 제작이나 항법을 하는데 북과 남의 참고선으로 활용된다. 적도는 0도 평행 위도선이며, 지리적 북극은 90도 북위에 위치해 있고 지리적 남극은 90도 남위에 위치해 있다.
5594 parallel-to-serial 병렬 대 직렬 병렬 대 직렬
5595 Parameter/Assembly P/A (출처: FAA GPS)
5596 parasite airplane 기생항공기 비행 중인 수송기에 실리거나 운반되도록 설계된 비행기. 어떤 경우에는 비행 중인 수송기에 재회수 되도록 설계하기도 함.
5597 parasite drag 유해항력 유해 항력이란 모든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공기 흐름이 안테나, 착륙 장치, 지지대와 같은 외부 구조물과 같은 돌출부에 부딪치면서 발생한다. 유해 항력은 속도의 제곱으로 비례하여 증가한다. 예를 들어 속도가 두 배로 증가하면 유해항력은 네 배로 증가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형상(form) 항력, 표면(skin) 항력, 간섭(interference) 항력이 있다.
5598 paris convention 파리조약 1919년 10월 13일 체결, 1922년 7월 11일에 발효된 항공에 관한 최초의 국제공법으로써 1944년 성립된 국제민간항공의 모델이 된 조약임.
5599 parking 계류 계획된 비행을 종료하고 졔류장에 항공기를 고정시키는 절차로 결박끈, 초크 등을 활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5600 parking brake 주기 브레이크 주기중에 기체가 갑자기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있는 brake 로써 유압으로 brake를 고정하고 있다. brake pedal을 밟고 주기 브레이크를 당기면 lever에 의해 switch가 작동하여 parking brake system의 유압을 lock하여 brake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었다.
'공부하기 >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5801-6000 (0) | 2022.03.27 |
---|---|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5601-5800 (0) | 2022.03.27 |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5201-5400 (0) | 2022.03.27 |
서산에서 왔소. 표고장아찌 만능 맛간장. !! (0) | 2022.03.27 |
aeronautical dictionary. 항공용어사전 : 5001-5200 (0) | 2022.03.27 |
댓글
리치캣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