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7501-7600

by 리치캣 2023. 1. 8.
728x90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7501-7600

번호                  용어                  해설

7501              우리나라의 귀화어류                현재 국내의 자연수면에 출현하는 외래어종의 도입은 대부분 정부 주도화에서 미국에서 직도입 되거나 일본을 경유하여 이루어졌으며, 도입년도는 1960년대 초반에서 1970년대 초반이었다. 현재까지 외국에서 도입되어 양식 또는 자연수면에 방류된 종은 총 15종이며 이중에서 자연번식하여 정착된 종은 떡붕어, 이스라엘잉어(향어), 큰입배스(큰입우럭), 작은입배스(작은입우럭), 무지개송어 및 찬넬메기의 7종이며, 출현은 되지만 정착되지 않는 종은 초어, 백연, 흑연의 3종이 있다. 도입종 중 육식어종이나 번식력이 높은 종류는 포식과 경쟁을 통해 고유의 어류상을 대변화시키고 있다, 이처럼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은 Biological pollutant로 불리기도 한다.

7517              우수유출계수 (Coefficient of storm run off)                     강우량의 일부는 증발 또는 지하로 침투하고 나머지가 관거내로 유입한다. 기 영우 관내에 유입한 우수량 대 전 강우량의 비율을 말한다. 지형이나 지표면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인가지역 0.850.95, 포장도 0.750.85, 밀집시가지 0.60.9, 보통시가지 0.20.6이다.

7518              우수재활용품 품질인증제도 (GR : Good Recycled)                    제도목적         - 국내에서 발생된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우수품질 제품의 생산의욕을 고취하고, 재활용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개선으로 구매 욕구를 유발하여 지구환경보호와 자원 재창출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도입        운영현황        - 도입시기 : 1997 5        - 관계법령 :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지에관한법률 시행규칙/재활용 제품의 품질인증 요령        - 운영기관 : 국립기술표준원        - 대상제품 :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시행규칙』제2조에 규정된 재활용제품 중 규격제정이 용이하고 수요가 많은 17분야 250개 품목        - 운영실적 : 90여개 품목/200여개 업체        지원 - 정부조달물자의 우선구매 및 산업기반자금 등 관련자금 우선지원        ◎ GR인증 절차 - 신청서 제출(업체) → 접수(기술표준원) → 품질평가(평가위원회) → 현장실사(평가위원회) → 종합평가(평가위원회) → 심의(심의위원회) → 인증서 교부        - 관계법령 :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지에관한법률 시행규칙/재활용 제품의 품질인증 요령

7519              우수침투[雨水浸透, penetration of rain water]             우수지하 함양(涵養)이라고도 함. 고대로부터 우수가 지하에 흘러내려 지하수로 분류되어 수만년동안 지하수 순환을 형성하여 왔으나 근년 특히 지하수의 펌프 불출, 도시표면의 포장율의 상승으로 불투수화(不透水化)의 진행이 현저하며 이로인한 지하수면의 저하로 인한 지반침하(地盤沈下) 해수침투 등으로 자연용수의 고갈을 보게 되었다.  최근에는 투수성콘크리트포장 우수유정(雨水溜井)에서의 지하 침투등이 보이게 되었다.

7520              우수토실 (Storm Overflow Diverging Tank)                     합류식 하수관거에 있어 우수량이 일정량 이상 도달할 경우 그 이상의 우수를 처리장으로 송수하지 않고 직접 방류하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우수방류장치라고도 한다.

7521              우수품질 인증마크 (EM ; Excellent Machine Mechanism Material)               국내에서 개발된 자본재(산업의 생산 활동에 투입되는 기계류, 부품, 소재)로서 성능과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음을 정부가 인증한 표시

7522              우수품질 인증마크 (EM ; Excellent Machine Mechanism Material)               국내에서 개발된 자본재(산업의 생산 활동에 투입되는 기계류, 부품, 소재)로서 성능과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음을 정부가 인증한 표시         * EM 인증제도의 취지           국산개발 자본재의 성능을 공정하게 평가하여 우수한 제품에 EM마크를 부여하고, 인증과정에서 확인된 우수품질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국산개발 자본재에 대한 신뢰감을 제고시켜 판매 촉진을 유도하는 제도           * 인증대상           국내에서 개발되어 3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본재           * 인증기업에 대한 지원           공공기관 우선구매, 신용보증기관의 우대보증, 납품 절차상에 수반되는 이행보증 우대, 국내외 전시회 참가비 지원 등

7523              우연성[偶然性, contingency, eventuality]                     어떤 현상이 반드시 일어나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필연성(必然性)이라든가 인과율(因果律)과는 상반되는 뜻이 아니라, 어떤 현상(現象)이 일정한 원인에 의하여 필연적(必然的)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도 그 원인을 확실히 모를 때에는 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우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나 이런 의미에서의 우연성(偶然性)은 그대로 자연과학의 대상이 되지는 않는다. 자연과학(自然科學)의 대상(對象)으로 되는 우연성(偶然性)이란 어떤 원인이 되는 사태를 될 수 있는 한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면서, 아직 사태를 완전히 밝혀내기 어렵기 때문에, 그 결과에 상당한 변동을 가져오게 하는 경우의 우연(偶然)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결정적인 것은 아니나 현상을 확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실험(實驗)의 오차(誤差)는 이러한 변동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해당하나, 그 성격상으로는 같은 것이다.

7524              우유 1(150)을 버릴 경우 수질정화에 3,000ℓ의 물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배출하는 모든 물질은 환경을 오염시킨다. 단지 그 정도가 다를 뿐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까지 오염물질의 배출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하여 '자연생태계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까지'라는 답을 듣게 된다. 그렇다면 자연생태계가 수용한다는 뜻은 무엇인가? 자연생태계가 수용한다는 것은 인간이 배출한 오염물질이나 스트레스를 받은 자연생태계가 그 생태계 자체의 평형을 깨뜨리지 않고 안정성을 계속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자연생태계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스스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우리는 자정작용 또는 자정능력이라고 표현한다. 자정작용은 자연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물리, 화학, 생물학적 현상의 복합적인 작용의 결과이다. 따라서 자정능력은 각각 생태계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 바다와 강과 호수의 자정능력이 다르고 강들 사이에서도 강의 폭, 길이, 수량, 유속에 따라 차이가 나며 같은 강에서도 계절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자정작용을 이루는 구체적인 현상으로 희석, 중화, 흡착, 침전, 분해과정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오염물질이 강에 흘러 들어오면 먼저 강물과 섞이는 희석작용이 일어난다. 희석에 의하여 오염물질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될 뿐 아니라 오염물질이 갖고 있는 생물체에 대한 독성도 같이 줄어들게 된다. 희석의 정도는 오염물질의 양과 유입속도, 강물의 양과 유속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희석과 함께 오염물질의 산성도가 강물과 섞이며 중화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오염물질은 물 속에 떠있는 고형 물질의 표면에 흡착됨으로서 물 속에 녹아 있거나 남아 있는 양이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물 속 생물들에게 직접 주는 피해가 감소하게 된다. 물 속의 부유물질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유물질과 함께 물밑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침전현상은 물 속의 오염물질의 양을 현저히 줄여주며 물밑바닥의 토사층과 섞이어 오염물질의 독성이 물 속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또한 현저히 줄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그러나 오염물질에 의한 독성의 피해를 물밑바닥에 사는 생물들이 받게 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희석, 중화, 흡착, 침전과정에 의해 자연생태계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농도와 독성이 점차 줄어들게 되나 이러한 물리화학적 반응에 의해서는 오염물질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염물질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없애는 반응은 생물체에 의해 일어난다. 자연계의 많은 생물 중에서도 미생물은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분해 시키는 능력이 탁월하여 자연계의 청소부라고 불린다. 미생물이 청소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까닭은 미생물은 지구상의 어디에나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아 번식을 하는 시간도 짧다. 여름철처럼 온도가 높아 조건이 좋은 경우는 1시간 정도면 개체수가 2배로 늘어 날 수 있어 다른 생물에 비해 매우 빠른 시간에 더 많은 물질을 이용 할 수 있고 따라서 오염물질의 분해속도가 빠르다. 미생물의 청소부 역할을 수행하는 또 다른 장점 중의 하나는 미생물은 다른 생물들이 이용할 수 없는 오염물질들도 분해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을 완전 분해 시켜 생물체에게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로 만든다는 점이다. 디디티와 농약성분처럼 독성이 강한 인공합성물질 조차 분해 시켜 자신의 영양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희석, 중화, 흡착, 침전, 분해와 같은 복합적인 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정작용의 원리를 응용하여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생활하수와 산업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유 1(150)을 버릴 경우 3,000ℓ의 물이 필요하다라는 주장은 합리적인 주장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 주장은 우유 한 컵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도(BOD)를 측정하고 이 농도를 하수나 폐수배출허용기준에 맞추려면 몇 배로 희석하면 될지를 따져 2만 배라는 숫자를 계산한 단순한 논리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자연계가 갖고 있는 복합적인 자정작용 중에서도 단지 희석이라는 한가지 반응만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자연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우유는 냉장고에 며칠만 넣어 두어도 쉽게 상하는 음식이다. 이것은 우유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매우 잘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실제로 자연계에서는 우유를 이렇게 2만 배나 되는 많은 물을 들여 희석하지 않아도 미생물에 의해서 쉽게 분해 될 뿐 아니라 우유와 같은 음식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단순히 인위적인 희석만 하지는 않는다.

7525              우적[雨滴, raindrop]                 대기중을 낙하하는 직경 0.5mm 이상의 수적 일반적인 우적의 직경은 1∼2mm이다. 뢰우는 이보다 큰 물방울이다. 직경 5∼8mm가 된다. 이는 낙하중 분해되어 3mm가 된다.

7526              우점종            생물 군집에서 군집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고, 그 군집을 대표하는 종을 가리킨다. 우점종은 그곳의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생산량이나 현존량이 최대이다. 우점종은 환경의 기후나 토양조건을 변화시켜 군집에 영향을 끼친다.

7527              우주 물리학[宇宙物理學, astropysics]                     , 성운 등의 천체,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물질, 자기장 및 방사선(放射線)등의 연구나 우주론을 포함한 물리학의 분야를 말한다. 천문학 중에서 특히 물리학적인 색체가 큰 분야 즉 별과 성운이었던 때에는 천문학(天文學)을 천체물리학이라고도 했다.

7528              우주[宇宙, cosmos, universe]                     존재(存在)할 수 있는 한의 물질(物質) 및 방사(放射)를 포함하는 전공간을 말한다.

7529              우주과학[宇宙科學, space science, cosmic science]          넓은 뜻으로는 우주선(宇宙線)이나 우주전파(宇宙電波)를 연구 수단으로 하는 우주(宇宙)에 관한 물리학, 화학 및 우주론을 말하나, 보통은 로켓(인공위성(人工衛星), 달로켓, 화성로켓 등을 포함)이나 월면의 관측에 의해 대기권(大氣圈)외에서의 관측을 하는 전리층 등 지구외기권(地球外氣圈)의 연구, 혹성간공간물리학 등의 새로운 천문학(天文學)의 분야를 말할 때가 많다. 특히 엄밀히 말할 때는 우주공간화학(宇宙空間化學)이라 부르기로 제안된 때도 있었으나, 여러 가지 경계영역(이를 테면 우주생물학(宇宙生物學), 우주의학(宇宙醫學))을 위시하여 연구대칭이나 연구수단도 유동적이므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7530              우주론[宇宙論, cosmology]                       우주전체(宇宙全體)의 성상(性狀)을 논하는 천문학(天文學)의 일부문. 고대에 있어서는 흔히 자연철학적(自然哲學的)으로 논할 때가 많았으나 A. Einstein의 상대성이론에 의해 겨우 근대적인 고찰이 시작되었다. 처음 Einstein이 주었던 해()(→아인쉬타인의 우주(宇宙))는 물질(物質)이 정적(靜的)으로 전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다는 가정에 바탕을 두었으나, W.de Sitter는 물질(物質)이 존재하지 않는 구대칭(球對稱)인 세계(世界)의 모형에 대한 해를 도입했다. →·싯터의 우주(宇宙). 그 후 Friedman(1922)은 동적인해를 얻었으나 G.E.Lemaitre는 이를 기초로 하여 우주(宇宙)의 팽창가능성(膨脹可能性)을 논하고, E.P.Hubble은 성운에 대하여 발견된 성운스펙트럼의 적방편이의 사실을 논하였다. →우주의 팽창. 상대성이론적우주론에 따르면 우주의 물질밀도의 대소에 따라 팽창, 수축을 반복하고 있는 폐우주(閉宇宙)와 단조롭게 팽창하는 우주(宇宙)로 생각할 수 있다. 1940년대 말엽부터 G.Gamow, H.A.Bethe는 우주는 그 초기에 전물질이 압축된 고온도의 불덩어리이며, 팽창(膨脹)이 시작되어 단시간 사이의 핵융합에 의해 대부분 전우주의 원소(元素)가 형성되었다고 생각했다. 이 생각을 자세히 설명하면 현재의 우주(宇宙)는 이 불덩어리가 팽창(膨脹)하여 절대온도(絶對溫度)의 어느 도수까지 냉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수십 cm이하의 파장영역(波長領域)에서의 우주전파스펙트럼은 대개 3K의 흑체방사스펙트럼에 일치하고 있다.  , 일반상대성 이론에 바탕을 둔 팽창우주론 이외에 우주의 대국적인 성질은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변하지 않은 것으로 하는 완전우주원리(完全宇宙原理)에 바탕을 둔 정상우주론도 있다. 여러가지 이론적우주막형의 어느 것이 실제의 우주를 말하고 있는가는 먼 성운의 광학적, 전파천문학적인 관측이나 우주진화론적인 고찰로 정하여질 것이다.

7531              우주선지구호               1972 6 2일부터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는 「유엔 인간 환경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의 캐치프레이즈는 '단 하나뿐인 지구'였다. 이때부터 지구를 우주선에 비유하여 '우주선 지구호' 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이 말은 지구의 자원 및 환경이 유한한 것, 공통의 것 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7532              우주쓰레기                  인공위성이나 혹성탐사기의 궤도 투입에 사용한 부품들의 파편이 우주 기지의 고도에 상당량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우주 쓰레기라고 한다. 우주쓰레기가 우주기지에 충돌하면 커다란 피해가 발생한다. 1989 9월 확인된 우주쓰레기는 약 72백 개다

7533              우주쓰레기[Space debris]          수명이 끝나 우주에 흩어지고 있는 인공위성이나 사용이 끝난 로켓의 파편, 연료의 연소찌꺼기 등을 가리킨다. 스페이스 데블리라고도 한다. 미 국방부의 우주감시망(SSN)의 발표에서는, 현재 우주의 위성궤도에 올려져 있는 이들 인공위성 등은 약 7,000. 그 중에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은 15~20%라고 한다. 그 외에는 모두 우주 쓰레기이다. 그 수는 약 350만개. 원인불명으로 되는 위성사고 속에는 이 파편과의 충돌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생각되는 것도 많다. 유렵 우주기관(ESA) GEOS2의 고장사고, 소련의 코스모스 1275 추락 등 그 같은 것이 원인으로서 강하게 의심된다. 궤도에 올라 있다면 낙하의 우려는 거의 없자만, 파편끼리 충돌하여 궤도로부터 물체가 이탈하면 지구상으로 낙하, 큰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할 수 없다. 1987년에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부르트란트 위원회)가 작성한 「공통의 미래」라는 보고서에는 쓰레기를 증대시키는 우주무기의 실험금지, 쓰레기 처리의 국제협력 등이 제창되고 있다.

7534              우포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등 4개 면에 걸쳐 있는 우포늪은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늪이다. 전체면적은 70만 평 정도며, 1m가 안되는 깊이의 밑바닥은 오랜 세월에 걸쳐 가라앉은 부식질이 두껍게 쌓여 늪의 독특한 생태계를 간직하고 있다. 이 지역 농민들은 비가 안 오면 여기에서 물을 퍼 올려 논에 물을 대고, 부식토는 유기비료로 쓰고 있다. 우포늪에는 수생식물 28, 습생식물 72종 등 모두 1백여 종의 식물이 살고 있다. 겨울철이면 많은 철새가 서식하는 장소로서, 최근 환경부가 실시한 우포늪 철새조사에서 천연기념물인 백조와 큰고니는 물론 큰기러기, 쇠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 넓적 부리 흰뺩검둥오리 등 33종의 새가 관측되었다. 또한 부채장수잠자리 등 잠자리 종류만 해도 10종이 넘게 살고 있다. 현재 우포늪은 호수--초원-숲으로 변해가는 생태학적 천이과정을 거치면서 변두리부터 육지로 변하고 있다. 최근 우포늪을 람사 습지협약에 등록하려는 움직임이 일자 주민들이 격렬하게 반발한 사례가 있다. 그동안 우포늪 일대를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보전하려는 정부와 보전지역 지정에 따르는 불이익을 우려한 지역주민 간에 의견이 팽팽히 맞서 보전지역 지정에 어려움을 겪어 온 것이 사실이다. 환경부는 일단 관계부처 협의의를 거쳐 우포늪 일대를 자연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한 후 생태계 정밀조사 실시 등 우포늪의 체계적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방안의 마련은 물론 우포늪 일대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연 학습지 및 생태관광지로 만들어 갈 계획이다.

7535              우포늪 생태계 보전지역            * 위치 :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일원         * 면적 : 8.54 (2,583천평)         * 지정일 : 1997 7 26         * 특징 : 국내 최대규모의 원시 자연늪           1. 특징         - 6,000년전부터 낙동강 범람으로 인해 형성된  국내 최대의 원시 자연늪         - 70만평의 늪지에는 다양한 습지식물과 수많은 철새들이 서식하는 야생동.식물의 낙원         - 우포늪, 목포, 사지포, 쪽지벌로 나누어져 있음         2. 우포늪 생태계보전지역 동식물         - 식물 : 가시연꽃, 마름, 창포, 자라풀, 생이가래 등 168         - 조류 : 큰고니, 고니, 큰기러기, 잿빛개구리매, 논병아리, 중대백로, 왜가리, 청둥오리, 흰죽지, 물닭 등         - 어류 : 피라미, 잉어 ,붕어, 메기, 뱀장어, 가물치, 납자루 등 28         - 수서곤충류 : 연못하루살이, 왕잠자리, 장구애비, 소금쟁이 등 55         - 파충류 : 남생이, 자라,줄장지뱀, 유혈목이 등 7         - 양서류 :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등 5         - 패류 : 귀이빨대칭이, 논구렁이, 물달팽이, 말조개

7536              운량[雲量, cloud amount]          구름이 하늘을 덮은 정도. 온 하늘이 구름에 덮였을 때를 10으로 하고, 하늘을 덮은 비율이 온 하늘의 2/20에 달하지 않을 때는 0으로 하며, 그사이를 11계급으로 나누어서 표시한다.

7537              운입[雲粒, cloud droplet, cloud particle]                     구름을 구성하는 직경 11mm에서 100mm정도의 미수적, 직경 200mm이상의 수적은 우적으로 운입과 구별된다. 운입은 응결핵상에 공기 중의 수중기가 응결하여 생성한다. 운입과 같은 것이나, 안개일 때는 구성하는 미수적을 노립(露粒)이라 한다. 운입의 수는 공기 1㎖당 100∼400개 정도이며 개체를 포함했을 때는 cloud particle이라 한다.

7538              운전하는 것도 환경과 관련된다.                - 부드럽고 여유 있는 운전이 환경에도 좋다.        출발방식은 휘발유 소비량에 많은 영향을 준다.        출발은 되도록 부드럽게 하는 것이 휘발유 소비를 적게 한다.        자동차는 시내를 40~60km/h로 주행하며 4단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일단 교통정체 없이 주행할 수 있는 여건이 되면 특별한 이유 없이 감속과 가속을 반복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것이 좋다.        60km/h를 넘게 되면 공기저항이 높아져 같은 거리를 달리기 위해 사용하는 연료사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 속도와 연료소비와의 관계        차속도 (Km/h) 40 50 60 70 80 100        연료비 (Km/l) 21.0 21.0 20.5 19.5 18.2 15.2        ) 1,200cc 소형차의 경우        '- 승용차는 필요할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운전자들은 일본,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 과다한 운행을 하고 있다.        승용차의 한 해 평균 주행거리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는 23300km로 일본 1200km의 두 배가 넘고, 자동차 없이는 장보러 가기도 어렵다는 미국 14700km보다도 훨씬 길다. 불필요하게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은 아닌지 따져 보아야 할 것이다.        자동차는 노후화될수록 오염물질 배출량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국내 휘발유 자동차에 대한 배출가스 강화 및 제작기술이 향상된 것은 88년 이후이며 87 7 1일 이전에 출고된 승용차는 삼원촉매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자동차들이다.        다른 한편, 중대형차를 과시적으로 선호하고, 승용차에 의존하는 시민의식도 문제이지만, 자동차관련 세금 가운데 운행관련 세금 (18%) 이 차량보유관련 세금 (82%) 에 비해 상당히 낮은 세금정책도 과다운행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차량보유세금 비율은 일본과 독일의 3, 미국의 10배가량 된다.

7539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해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노후경유차, 노후건설기계 등을 대상으로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조기폐차 등에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하는 사업이다. 노후경유차 조기폐차지원제도, PM-NOx 동시저감장치 부착,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건설기계 DPF 부착, 건설기계 엔진교체 등의 제도가 있다.

7540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               . 필요성          (1) 전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중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        (2) 배출허용기준 및 시험방법이 제작자동차에 대해서는 엄격하나 운행차에 대해서는 완화되어 있어 이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        (3) 현행 검사 방법은 오염물질 과다 배출 차량을 적발해 내기가 어려움.        (4) 과다오염물질 배출차량에 대한 적절한 정비 및 관리대책이 필요.         . 정의          (1) 정기검사 : 자동차가 판매되어 도로를 운행한 이후 검사유효기간 동안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운행차 배출허용 기준을 항상 유지토록 하는 제도          (2) 수시검사 : 운행중인 자동차가 검사 당시 운행차 배출허용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주차장에서 실시하는 노상 단속제도         . 법적근거          (1) 대기환경보전법 제36: 운행차 배출허용기준          (2) 대기환경보전법 제37: 운행차의 수시점검          (3) 대기환경보전법 제37조의2: 운행차의 정기검사          (4) 대기환경보전법 제38: 운행차의 개선명령          (5) 자동차 관리법 제43조 제1항 제2: 자동차의 계속검사          . 검사방법          (1) 휘발유 및 가스사용 자동차          () 측정방법 : 정지가동시          () 검사용기기 : 형식승인된 기기로 정도검사를 최근 1년이내에 필한 CO/HC 측정기         () 분석방법 : 비분산적외선 분석법 (NDIR)          () 측정단위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PPM)          () 측정범위 : 일산화탄소: 소숫점 첫째자리, 탄화수소:정수          () 측정절차          - 검사대상 자동차를 정지가동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시킴          - 배기관에 시료채취관을 30cm이상 삽입           - 측정기의 지시계가 안정되면 측정함.          - 배기관이 2개 이상일 때에는 임의의 배기관 1개를 선정하여 측정          () 공기과잉률(λ) : 대기환경보전법시행규칙 별표26(운행차 정기검사 방법 및 기준) 참조         (2) 경유자동차          () 측정방법 : 무부하가속시         () 검사용기기 : 형식승인된 기기로 정도검사를 최근 1년이내에 필한 매연 측정기 (Smoke meter)          () 분석방법 : 불투명도 (Opacity)          () 측정단위 : %          () 측정범위 : 정수          () 측정절차         - 검사대상자동차의 배기관에 잔류하고 있는 매연을 배출시킴.          - 시료채취관을 배기관 중앙에 20cm정도 삽입         - 자동차의 폐달을 원동기의 최고 회전수에도달할때까지 급속히 밟아 측정.         - 같은 방법으로 3회 반복 측정

7541              운형[雲形, cloud form]              구름의 모양을 말하며, 그 분류(分類)를 운급이라 한다. 국제적으로는 10종으로 대별되고 있고 국제운급 또는 단순히 10종운급(種雲級)이라고도 한다. 이것을 도시한 국제운급도(國際雲級圖)로서는 1956년 주네브에서 세계(世界)기상 기구가 채택한 것 등이 있다.        이 분류법에서는 막상(幕狀)인 구름의 이름에는 층을 붙이고, 단괴(團塊)인 것에는 적을 붙였으며, 층적운은 그 중간의 형이다. 높이에 의한 분류에서, 1953년까지는 고층운(高層雲)을 중층운(中層雲), 난층운(亂層雲)을 하층운(下層雲)에 포함하고 있다. 상층운(上層雲)  빙정(氷晶)으로 되고, 고적운, 고층운은 수적의 입자(운립雲粒)와 소량의 빙정이 섞여있다.  난층운은 빙정우 등을 내리게 하는 구름이고, 적란운(積亂雲)은 뇌운이지만 층운은 비를 내리게 하는 일은 거의 없다. 운영으로서는 이외에 렌즈운, 유방운(乳房雲)등의 변종(變種)도 있다.

7542              울산시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 변동내역 (98 12월까지)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광주광역시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성남동                성남동                SO₂, NOx, HC, CO, O₃                울산시 성남동 219-10 (중구보건소)                '78                신규설치                                                중구 성남동 219-10 (울산시보건소)                '83.7                관리전환                                SO₂, CO, NOx, HC, O₃, TSP                                '89                항목추가 (TSP)                                SO₂, NOx,CO, O₃, TSP                                '91.1('92.1)                HC 불용                                                중구 성남동 219-10 (울산 의용소방대옥상)                '98.12                위치이전                개운동                부곡동                SO₂, NOx, HC, CO, O₃                울산시 부곡동 98-32 (부곡동사무소)                '78                신규설치                                                                '83.7                관리전환                개운동                                남구 개운동 98-32 (개운동(구부곡동)사무소)                '85.5                측정소명칭변경                                SO₂, NOx, CO, O₃, HV                                '91.1                HC불용                여천동                여천동                SO₂, NOx, HC,CO, O₃                울산시 여천동 398-39 (동호화학)                '78                신규설치                                                                '83.7                관리전환                                SO₂, NOx, HC,CO, O₃,HV                울산시 여천동 250 (삼미특수강)                '87.2                위치이전                                SO₂, NOx, HC,CO, O₃,TSP                                '89                TSP 추가                                SO₂, NOx, CO, O₃,TSP                                '91.6                HC불용                야음동                야음동                SO₂, NOx, CO, O₃                울산시 야음동 125 (울산세관)                '78                신규설치                                                                '83.7                관리전환                                SO₂, NOx, CO, O₃,TSP                                '95.3                측정항목 변경 (TSP→PM10)                상남리                상남리                SO₂, NOx, CO, O₃, TSP                울주군 청량면 상남리 593-3 (청량면사무소)                '87.9                신규설치                                SO₂, NOx, CO, O₃                                '90.9                TSP이전 (부산광복동)                화산리                화산리                SO₂, NOx, CO, O₃, TSP                울주군 온산면 화산리22 (온산공단협의회옆)                '87.9                신규설치                                SO₂, NOx, CO, O₃,PM10                                '95.3                측정항목 변경 (TSP→PM10)                원산리                원산리                SO₂, NOx, CO, O₃, TSP                울주군 온산면 원산리 919 (효성알미늄)                '87.9                신규설치                덕신리                덕신리                SO₂, NOx, CO, O₃, TSP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 269

7543              울산시 산성비 자동동 측정망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울산광역시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성남동                성남동                pH, 강수량                중구 성남동 219-10 (울산시보건소)                '89.8                신규설치(자동)                                                중구 성남동 219-10 (울산 의용소방대)                '98.12                위치이전                상남리                상남리                                ㅇ루주군 청량면 상남리 593-3 (청량면사무소)                '91.4                신규설치(자동)                여천동                여천동                                울산시 여천동 250 (삼미특수강)                '88.8                신규설치(자동)                                                                '91.4                폐쇄 (창원 명서동으로 이전)                여천동                                울산시 여천동 250 (삼미특수강)                '98.4                재설치 (수동)                개운동                부곡동                                울산시 부곡동 98-32 (부곡동사무소)                '87.3                신규설치 (수동)                개운동                                남구 개운동 98-32 (개운동(구부곡동)사무소)                '85.5                측정소명칭변경                덕신리                덕신리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 269                '98.2                신규설치(자동)                신정동                신정동                                남구 신정1 646-4                '98.2                신규설치(자동)

7544              울산시 중금속 자동 측정망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울산광역시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여천동                여천동                , 카드뮴 등 7개중금속                울산시 여천동 250 (삼미특수강)                '97.11                위치이전                야음동                야음동                                울산시 야음동 125 (울산세관)                '91.1                신규설치

7545              워싱턴조약                  [멸종의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조약]이 정식 명칭이며, 1975년에 발효되었다. 조약의 머리글자를 따 CITES(사이티스)라 불린다. 조약의 목적은 야생동식물의 국제적 거래를 수출국과 수입국이 협력하여 규제함으로써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동식물을 보호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야생생물의 생식지 보호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생식지로서의 습지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람사조약과는 전혀 성격이 다르다. 규제대상이 되는 야생동식물은 멸종위험이 높은 순서로 부속서 1,2,3에 등록되어 있다.

7546              워어터 해머[water hammer]                     수격작용(水格作用) 이라한다. 관 안을 유동하는 액체를 밸브의 폐쇄(閉鎖)등에 의해 갑자기 제지했을 경우에 고압(高壓)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수력기계 특히 수차의 관로 등에 있어서는 매우 위험한 것이므로 밸브의 급폐쇄를 피하거나 급폐쇄를 필요로 할 때는 제압기에 의해 일부의 물을 빠지게 하는 등의 수단을 취하고 있다. 압력파가 관로를 왕래하는 데 필요한 시간보다 밸브의 폐쇄(閉鎖)시간이 짧을 때에 발생하는 최고수압은 폐쇄(閉鎖)저의 유속(流速)과 압력파전파속도와의 적에 비례하고, 이보다 느린 폐쇄(閉鎖)일 때는 유속, 폐쇄속도, 관로의 길이 등에 따라 최고수압이 크게 된다.

7547              워터 스크러버[water scrubber]                  스크러버의 일종.

7548              원 자외선[遠紫外線, far ultraviolet rays, extreme ultra violet radiation]                자외선(紫外線).

7549              원 진동[圓振動, circular oscillation]                     타원진동(楕圓振動)

7550              원거리력[遠距離力]                   〓 원달력(遠達力)

7551              원격 기상기[遠隔氣象計, meteorological telemeter]                   기상요소(氣象要素), 예컨데 기압, 기온, 습도 등 원격측정에 사용되는 장치. 고층기상관측에서는 라디오존데 등이 사용된다. 지상 관측에서도 산악지대나 갑()(), 섬 등의 자료는 대개 원격기상계에 의해 구해진다. 무선(無線)로봇우량계는 수십 km 떨어진 곳의 적산우량을 한시간마다 자동적으로 무선에 의해서 통보한다. 풍향계는 셀신모우터, 회전풍속계(回轉風速計)는 발전기, 온도계는 측온저항체를 사용함으로써 원격측정(遠隔測定)이 행하여진다.

7552              원격 측정[遠隔測定, telemetering]             텔레미터링이라고도 함. 측정 지점에 검출기와 변환기(變換器)를 장치하고 그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기록기를 장치해서 측정하는 방식. 같은 지점간의 전송로(傳送路)는 유선(有線)인 경우가 많으나 무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음. 산간지역에 우량계를 설치하고 그 지역의 지방 자치체 청사 내에 기록기를 설치, 산간지역의 우량(雨量)을 청사 내에서 측정하는 것 등은 그 예임.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 오탁, 공장 지대나 주택 지대의 대기 오염상황 등을 공해 감시센터에서 감시할 경우에 이용됨.

7553              원내감염                     환자나 의료 종사자 등 의료기관내에서 생기는 모든 감염을 말한다. 여기에는 외부 또는 다른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외인성) 외에 환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미생물에 의한 감염(내인성)이 있다. 내인성 원내 감염은 건강한 상태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으나 저항력 (면역력)이 떨어진 암 환자를 오랫동안 치료하거나 면역 제어제를 많이 사용하는 장기 이식 등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현재 문제가 되는 것은 외인성 원내 감염이다. 구체적으로는환자의 경우에는 수술후에 원내에 생식하는 메치시렌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에 감염된다. ②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 종사자는 실수로 주사바늘에 손가락을 찔려 B형 간염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의료 종사자의 원내 감염에 대해서는 주사기에서 간단하게 바늘을 빼낼 수 있는 용기의 개발, B형 간염 왁친, 면역 글로블린의 투여 등으로 기초적인 대책을 마련 하고 있다.

7554              원색[原色, primary color]           3색표시의 기본으로 선택되는 세 가지 색이며, 원자극이라고도 한다. 3색의 조를 3원색(原色)이라 총칭한다. CIE표색계에서는 보통 허() 3 X,Y,Z를 쓰나, 이것은 파장이 각각 700, 546.1, 435.8nm인 스펙트럼색R(()), G(()), B((), 청자(靑紫), ())에서 유도(誘導)된 것이다. 필터 등의 흡수물질(吸收物質)을 조합(組合)해서 감법혼색(減法混色)으로 여러 색을 만들기 위해서는 흡수매질(吸收媒質) 3원색으로서 시안의 색(적을 흡수하여 청녹색을 띤다), 마젠터의 색(()을 흡수해서 적자색(赤紫色)을 띤다), 황색(黃色(청자(靑紫))를 흡수한다)이 선택되어 감법혼색의 3원색, 그림물감의 3원색으로 불리운다.

7555              원생 동물[原生動物, protozoa]                  단세포 동물의 총칭. 편모충류(鞭毛蟲類), 육질류(肉質類), 포자충류(胞子蟲類), 적충류(滴蟲類), 섬모충류가 포함됨. ·토양 중에서 생활하거나 동식물에 기생함. 생활양식, 세포 구조, 분열 양식등 종류에 따라 각각 특수성이 있음. 강부수성수역(强腐水性水域)에는 아메바, 편모충, 섬모충이 생활함. 중부수성 수역에는 태양충, 흡관충(吸管蟲), 쌍편모충이 자람. 빈부수성 수역에서는 편모충, 섬모충 등은 거의 나타나지 않음. 오수 생물 중에서도 편모충 또는 섬모충(특히 섬모충)은 물의 화학적 성질에 민감하기 때문에 수질 판정의 지표 생물이 됨. 활성 오니와 살수여상(撒水濾床)에 나타나는 원생 동물은 주로 활물(活物) 영양성이고, Paramecium, Colpidium, Colpoda, Spirostomum, Euplotes, Stentor, Vorticella, Opecularia, Amoeba 등을 들 수 있음.

7556              원소               물질이 한 종류의 순수한 물질로 되어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종류로 된 순수한 물질을 원소라하며, 물을 전기분해 할 때 생성되는 수소와 산소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음으로 원소이며, 한편 물질을 이루는 성분을 말할 때에도 원소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1661 영국의 과학자 보일은 물질을 분해하여 가면 점점 단순한 것으로 되고 나중에는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몇가지 근원적인 구성요소에 도달하게 된다고 주창 이것을 원소라고 정의하였으며, 1789년 프랑스 과학자 라부아지에서는 그 당시에 알려진 금속과 기체들에 대한 연구를 종합 수소·산소·질소·탄소·황 등과 같은 몇가지 물질을 원소라 하였고 이 원소들이 화합하여 여러가지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7557              원소 분석[元素分析, ultimate analysis]                     물질의 구성원소를 검출하여 그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 것. 일반적으로 쓰레기의 원소분석이란 쓰레기의 연소특성을 알기위해 가연분중의 탄소, 수소, 질소, 유황, 염소, 산소의 각원소조성을 화학분석으로 구하는 것이다. 이외에 중금속류나 유해물질 등의 일반적인 분석법이다.  쓰레기 중의 원소비율을 아는 것은 소각로의 설계 및 운전 조작에 필요하다. 질소, 유황, 염소 등 분석결과는 소각로에서 유해가스 농도의 예측 및 공해 방지 대책에 필요하다. 가연분중의 한 원소의 조성을 건기염(乾基鹽)으로 C%로 하면 실제 쓰레기에 함유된 원소조성은 다음과 같이 된다. 쓰레기전체(가연분 및 불연분)에의 조성(%)은 건 기준으로        습기준에서,        , U : 쓰레기중의 불연물의 비율(%), 건기준        W : 쓰레기중의 수분(%)        으로 한다.

7558              원수               1991. 12. 14 법률 제4429호로 제정 공포된 수도법상의 원수라 함은 음용 · 공업용 등에 제공되는 자연상태의 물을 말하며 농어촌 용수를 제외한다.

7559              원식생[原植生, original wegetation]                     인간이 영향을 받기 이전의 식생을 말한다. 현존의 자연식생은 원식생과 흡사하나 과거 수천년 동안 직접 · 간접적인 인위적간섭을 받아 조금씩 변하여 반드시 같지는 않다.

7560              원심 분리기[遠心分離機, centrifugal precipitator]                원심력을 이용하여 액 중의 현탁 입자를 액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이용되는 기계로서 원심 침강기와 원심 여과기가 이에 속함. 원심력을 이용하면 중력이나 펌프 압력의 수배 내지 수만배의 힘이 얻어지므로 보통의 침강조나 여과기로는 분리하기 어려운 미립자의 분리도 할 수 있음. 소형인 것은 배수의 분석이나 배수 처리의 테스트용으로, 대형은 배수 처리에 사용됨.

7561              원심 분리법[遠心分離法, centrifugal saparation method]                  고속회전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체-액체 또는 고체-기체를 분리하는 처리법. 오니 중의 입자의 침강을 일반적으로는 중력에 의하나 중력대신 강력한 원심력을 작용하여 침강속도를 크게하면 분리효과를 높일 수가 있고 장치는 소형화된다.

7562              원심 여과기[遠心濾過器, centrifugal filter]                     원심력을 이용한 여과기로서 원심분리기의 일종. 펌프의 압력을 이용하는 보통의 여과기는 최고 30/㎡ 정도의 압력이 한도이나, 원심력을 이용하면 이 수배 내지 수 십배의 압력이 얻어지므로 원심 여과기를 사용하면 소형의 장치로 대량을 여과할 수 있음.

7563              원심 탈수[遠心脫水, centrifugal drying]                     원심력을 이용하여 슬러리 등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조작. 그 장치를 원심 탈수기라 함. 원심 탈수기와 원심여과기 사이에는 확실한 구별은 없음. 슬러리 등을 탈수한 것을 탈수 케이크라함.

7564              원심력 집진 장치[遠心力集塵置, centrifugal dust collector]             먼지가 함유된 공기에 원심력을 가하면 분진(粉塵)은 원심력에 의하여 이 장치의 벽()에 충돌 침강(沈降). 먼지가 함유된 공기에 원심력을 주기 위해서는 공기를 접선방향(接線方向)으로 유입하거나 내부의 날개에 의하여 먼지가 함유된 공기에 회전운동(回轉運動)을 가하거나, 기계적으로 강제회전(强制回轉)을 주거나 함. 이와 같은 방법 중에 내부의 날개에 의하여 먼지가 함유된 공기에 회전운동을 가하는 방식이 있음. 이는 구조가 간단하며 설비비도 저렴하여 임의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반면 기계적으로 강제 회전을 주는 방식은 동력비(動力費)가 비싸고 처리량도 작으므로 잘 사용되지 않음, 사이클론, 더블사이클론, 데트라클론, 멀티클론등은 원심력 집진장치임.

7565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遠心力鐵筋一, centrifugal reinforced concerete pipe]                 〓흄관.

7566              원심력[遠心力, centrifugal force]               관성계에 대해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回轉)하는 좌표계에 나타나는 외관상의 힘 중, 정지물체나 운동물체에도 같은 정도로 작용하는 것. 회전계(回轉系)에서 정지하는 물체로서는 원심력(遠心力)만 생각하면 된다. 회전축 둘레의 각속도를 W, 물체(物體)에서 회전축(回轉軸)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 질량(質量) m이라하면, 원심력(遠心力)은 수선방향에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지하며 크기는        이다.

7567              원심력집진시설(Cyclone)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일종이다. 기체 중의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체에 회전운동을 줌과 동시에 회전하는 입자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장치이다. 중력침강에 비하여 중력의 수백 배에 이르는 원심력이 분리작용을 하기 때문에 작은 설비로 고성능을 기대할 수 있고, 설비도 간단하며 비용도 싸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7568              원심분리[遠心分離, centrifugal separation]                     침강분리장치(沈降分離裝置)는 일정한 처리량에 대하여 침강 속도가 클수록 장치를 작게 할 수가 있음. 따라서 중력(重力)대신 원심력을 작용시켜서 침강 속도를 크게하여 침강 분리시키는 방법이 원심 분리임. 회전 운동의 원주속도(圓周速度)        , 회전 반경을 r, 질량을 m이라 하면, 원심력은        . 원심력과 중력mg와의 비를 원심 효과        라 함. 원심력 침강 속도        는 중력 침강 속도        의 배가 됨. 슬러리 또는 먼지를 함유한 가스에 회전 운동을 가하여 슬러리 중의 고형물(固形物)도 회전 운동하여 원심력에 의해서 벽면을 향하여 침강함. 이 회전 운도을 주는 방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됨.  (1) 장치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킴. ① 원통 장치 내의 날개 바퀴를 회전시킴. [] 기계적 원심집진 장치(로토크론 D, 타이젠 와셔). ② 원통용기(容器)를 회전시킴. [] 원통형 원심 분리기(샤아프레스형), 분리형판 원심 분리기(드래벌형), 수평축형(水平軸型) 데칸터(스크류우 데칸터). (2) 장치 내에 고속으로 유입시켜 가스 또는 액체 자체를 회전시킴. ① 접선방향 유입식(接線方向 流入式):액체용 액체 사이클론, 가스용 사이클론, ② 안내 날개식 : 가스용 축류(軸流) 사이클론.

7569              원ㆍ부재료 구매 단계               제품생산에 있어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정에 투입되는 과정에서부터 오염원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처음부터 오염원을 차단하면 오염물질 발생도 줄일 수 있고 오염물질 처리비용도 훨씬 적게 들어 기업경영활동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원ㆍ부재료의 품질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유해물질에 대한 사전검사를 철저히 하여야 합니다. 특히 폐기물의 감량화 및 재활용에 적합한 원ㆍ부재료를 선택하고 협력업체와 환경에 적합한 원ㆍ부재료개발을 위해 공동연구 노력도 필요합니다. 공장 내에서는 적정재고를 유지하여 낭비를 제거하고 예기치 못한 위험을 사전에 발굴, 예방하는 지혜가 중요합니다.

7570              원양수역 [遠洋水域, pelagic waters]                     대륙붕을 벗어나 수심이 깊은 수역을 원양수역이라고 한다. 이 수역의 특징은 미소 플랑크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생산성도 낮은 수역이다. 현저한 특징으로서 동물성 플라크톤이나 물고기는 극단적으로 토명하거나 청색을 띠고 있으며, 기포, 젤라틴 주머니, 지방방울 등을 가지고 있다. 영양염이 부족하여 재순환적 적응 결과 단위면적당 생산력도 매우 낮다. 그러나 최근 이 수역의 탄산가스 수지균형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7571              원위치 생물학적 복원               원위치 생물학적 복원(in-situ bioremediation)은 토양 중 영양물질, 산소, 그리고 상황에 따라 미생물을 주입하여 유기물질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이 처리는 굴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고, 또한 건물 등이 있어도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지하수의 흐름 등 지역의 특이성에 따라 여러 가지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메탄과 같은 가스상의 기질을 지중에 공급하고, 별도의 우물로부터 가스를 흡인함으로써 지중에서 물질의 이동을 제어하여 유해물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방법이다.

7572              원유 유출사고             원자핵 석유 소비량의 증대는 석유 탱커 수송의 증대 및 대형화, 운항의 장거리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원유 유출 사고도 증가하게 되었고 그 규모도 커져 심각한 환경 문제가 되고 있다. 1991년 페르시아 만 전쟁으로 인한 대규모 유출 사고 등 그 원인도 다양화, 복잡화하는 경향이다. 원유유출 사고에는통상의 운항에 따른 사고선박의 좌초 충돌로 인한 것이 있다. ①의 경우 유네스코 정부간 해양위원회가 전세계를 대상으로 조사(1970년대 중엽에 실시)한 결과 세계 주요 해양의 탱커 경로에서 유막이 검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의 예로는 1989년 알래스카의 엑슨 발디즈 호 사건, 1979년 애틀란틱 익스프레스 호 사고 (325천㎘의 원유가 유출)가 있다. 원유 유출 사고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을 살펴보면 1954년에 탱커로부터 기름유출을 규제하는 국제 조약을 채택했고 1972년 유엔 인간 환경회의에서는 각국 정부와 관련 기관에 조약에 따른 규제 촉진 등을 권고했다. 또한 국제해양기구(IMO)에서 발디즈 호 사건을 계기로 대규모기름 유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과 국내 체제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조약을 1990년에 채택, 199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 각료위원회의 커뮤니케이션에 그 조기 이행을 명시하도록 했다.  마련 하고 있다.

7573             원유 중의 유황 함유량[原油中一硫黃含有量, sulphur content in crude petroleum]                  남방의 쥬리이, 미너스 및 소련의 바쿠우, 에이비소 스카오의 원유는 유황 함유량이 1% 이하이고, 미너스 원유의 유황 함유량은 0.09%. 쿠에이트나 카프지는 함유량이 높아 2.5∼2.9%.

7574              원유[原油, crude oil]                 유정(油井)에서 채취한 그대로의 광유. 흑갈색의 끈적끈적한 액체로 불쾌한 냄새가 있음. 원유를 상압(常壓)에서 증류하여 나프타, 등유, 경유를 얻지만, 증류 온도는 산지(産地)에 따라 다름. 나프타는 상온 ∼200℃, 등유는 160∼270℃, 경유는 200∼350℃. 경유를 추출하고 남은 나머지를 잔유(殘油)라고 함. 상압 증류잔유물을 다시 감압 증류하면 감압 증류유와 감압증류 잔유로 나뉘어짐. 전자를 압착(壓搾)하여 파라핀을 얻은 나머지를 정제(精製)하면 보통 윤활유가 얻어짐. 감압 증류 잔유에 용제를 가하여 아스팔트분을 취하고 이것으로부터 파라핀을 분리하면 중 ·고급 윤활유를 얻을 수 있음. 상압잔유 그대로, 혹은 그것에 경유를 섞고, 혹은 산지가 다른 상압 잔유를 섞어 혼합한 다음 적당한 성질로 만든 연료유가 중유임. 중동산원유의 대부분은 유황분이 2∼3%이고 그 잔유중의 유황분은 3∼4%. 인도네시아산 원유는 유황분이 적고 잔유 중의 함량도 0.2%정도임. 그러나 산출량이 적음. 근년 유황 산화물에 의한 대기 오염이 문제시되면서 화력 발전에서 가공하지 않은 원유 그대로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7575              원자 시계[原子時計, atomic clock]             원자의 진동을 이용한 시계. 원리적으로는 이 진동은 기압,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시계 중에서는 가장 정도가 높다.

7576              원자 에너지[原子一, atomic energy]                     원자핵의 변화에 의해 해당되는 에너지의 총칭. 보통은 핵분열(또는 핵융합)에 의해 생기는 핵에너지를 가리키나 반사성 물질이 붕괴하여 방출하는 방사선(放射線)등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7577              원자 연료[原子燃料, atomic fuel]               원자로의 에너지원이 되는 핵분열 물질. 우라늄 235, 우라늄 233 및 플루토늄 239 .

7578              원자 핵분열[原子核分裂]           원자핵이 거의 같은 정도의 무게가 나가는 두 원자핵으로 나뉘는 현상. 우라늄 · 플루토늄 따위 무거운 원자핵은 핵분열을 일으켜 큰 에너지를 냄.

7579              원자력 공학[原子力工學, nuclear(power)engineering]                   핵분열(核分裂) 및 핵융합(核融合)등의 이용에 관한 공학(工學)을 말한다. 원자로(原子爐), 원자폭탄(原子爆彈) · 플라스마 등의 연구는 이에 포함된다.

7580              원자력 발전소[原子力發電所, atomic power station, atomic power plant, nuclear power station]             원자력(原子力) 즉 원자핵(原子核)의 융합 또는 분열을 할 때에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電氣)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소, 통상 원자로(原子爐)에서 핵분열(核分裂)에 의하여 발생(發生)하는 열로서 증기(蒸氣)를 만들고 이것에 의하여 터어빈발전기를 회전(回轉)시킨다. 증기발생(蒸氣發生)이후(以後)의 과정(過程)은 화력발전소(火力發電所)와 동일하다.

7581              원자력 발전의 위력                  지구상에 한정되어 있는 석유와 석탄으로 에너지원을 충당한다는 것은 한계에 이르고 있습니다. 또한 석유와 석탄을 에너지로 사용할 때 나오는 오염물질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에반해 적은 양으로 다량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산성비나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탄산가스를 배출하지도 않는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원자력 발전의 연료로 쓰이는 우라늄­235 1g을 다른 에너지원과 열량만 비교해 보면 석유9드럼, 석탄 3톤과 같은 발열량을 가집니다.

7582              원자력 보일러[原子力一, atomic boiler]                     원자력을 이용하는 보일러. 연료와 감속재(減速材)가 달라짐에 따라서 중수(重水)감속형, 석묵(石墨) 감속형, 경수(輕水) 감속형 등 세가지 종류로 나뉜다.

7583              원자력 전지[原子力電池, nuclear battery, atomic battery]            등과 같이 비교적 긴 반감기(半減基)를 갖는 방사성물질(放射性物質)에서 나오는 β선등의 가전입자를 써서 기전력을 얻으려고 하는 장치. 방사선전지(放射線電池), RI전지라고도 한다. 원리(原理)로서는 방사선을 한 번 물질에 흡수시켜 열로 하여 열전변환의 여러 방식에 의해서 전기를 일으키는 것이 많으나, 반도체(半導體)를 써서 광전지와 비슷한 원리로 전력을 내는 연구도 하고 있다. 출력(出力)이 큰것을 만들려면 많은 량의 방사성물질(放射性物質)이 필요하므로 쉬운 일은 아니나 수명(壽命)이 길다는 특징을 살려서 등대(燈대), 인공위성(人工衛星), 우주(宇宙)로켓 등을 위한 전원으로서 실용화되고 있다. 953년 처음으로 만들어진 우주용원자력(宇宙用原子力)전지는        를 연료로 한 것이며, 1963년에는 25W의 전력을 발생했다.

7584              원자력[原子力, atomic power, nuclear energy]           핵분열의 연쇄반응, 열핵반응에 수반하는 원자에너지, 항원의 에너지원 등도 그 한 보기이다. 그러나, 원자로(原子爐), 원자폭탄(原子爆彈) 등 인공적으로 개발된 것에 관해서 말할 때가 많다. 한 번의 핵 반응으로 얻어지는 에너지는 극히 작은 량이지만 핵반응의 수를 갖추므로서 거시적규모(巨視的規模)에서의 원자핵(原子核)에너지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핵에너지가 동력원으로서 사용될 경우, 이것을 원자()력이라 한다.

7585              원자력관리 위원회[原子力管理委員會, atomic energy commission]                   [원자 병기의 파괴력이 보통병기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엄청난 것으로 되었기 때문에] 원자력의 군사적 이용을 관리하며, 평화적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조직된 위원회. 1964 1월에 발족하여 국제연합 안전 보장이사회에 딸리었으나, 제구실을 못하고, 1957년에 국제 원자력 기구로서 새로이 발족했음. 약칭 A.E.C

7586              원자력발전                  핵분열 연쇄반응을 통해서 발생한 에너지로 터빈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2차대전 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시작되었다. 다른 발전방식에 비해 초기 건설비용이 높은 편이나, 연료비가 월등히 싸기 때문에 발전비용이 가장 저렴하다. 또 화석연료와 달리 연소 시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아 환경에 부담이 없다. 하지만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선 및 방사성 폐기물은 지구환경과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참사의 위험을 안고 있다. 중국 등 신흥개도국들은 원전건설을 늘리고 있으나 많은 선진국들은 탈원전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7587              원자력발전소사고                     원자력발전소의 사고는 크게 핵 폭주 사고와 냉각재 상실사고로 나뉜다. 핵 폭주 사고로는 원자로의 출력 제어에 실패하여 핵 반응이 급격히 진행된 결과 핵이 폭주하는 것. 대량의 발열로 원자로심이 용융하고 냉각수의 비등으로 수증기 폭발이 일어나는 것. 연료봉의 피복관의 질코늄과 물이 반응하여 수소 폭발을 일으키는 것 등이 있다. 원자로의 출력 제어는 중성자의 양을 증감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핵 분열시에 나오는 중성자의 수명은 대단히 짧아서 이것만으로는 제어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극히 일부(0.6%)에 수명이 긴 것(누발 중성자)이 있어서 이를 이용함에 따라 실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누발 중성자에 의한 제어 가능범위를 넘는 커다란 반응도가 주어지면 원자로는 순간적으로 폭주하게 되는 것이다.

7588              원자력발전소의 수명                원자력발전소는 운전에 따라 기기의 부품이 노후된다. 특히 노심에 내장된 압력용기는 중성자를 조사받아 약해지며, 긴급노심냉각장치(ECCS) 주입 등에 의한 온도 저하 및 압력 변화에 전조 없이 갑자기 깨지는 '위험성 파괴'가 일어나기 쉽다. 원자력발전소의 수명을 미국에서는 40년으로 잡고 있으나. 신규 건설이 어렵게 되자 이를 새로 연장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상업로인 양키로 원자력발전소는 92, 연장 신청을 단념하여 폐로의 방향타가 된 바 있다.

7589              원자력발전소의 출력조정운전                   원자력발전소는 정격 1% 출력으로 운전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전력수요에 맞추어 주야로 출력을 바꾸려는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며칠 단위로 조금씩 하는 출력의 올림과 내림을 급격히 시행하는 것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연료봉의 열 손상이 우려된다. 체르노빌 사고가 저출력일 때 일어났던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저출력에서는 운전할 때 위험이 높아 강한 비판이 일고 있다. 출력 조정은 비등수형에서는 냉각수의 유량 조정으로 가압수형에서는 제어봉의 조작과 냉각수의 조절로 실시된다.

7590              원자로 격납[原子爐格納, reactor containment]               원자로(原子爐)에서 생긴 핵분열생성물(核分裂生成物)의 사고(事故)인 경우에도 대기(大氣)속으로 빠져나가는 일이 없도록 원자로시설(原子爐施設) 전체를 싼 격납건축을 말한다. 원자로(原子爐)의 안정성확보(安定性確保)에 중요한 것의 하나이다.

7591              원자로 냉각재 압력 경계          1차 냉각계통 시설의 손괴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밸브가 폐쇄되어 1차 냉각재의 유출을 막는 기능을 가지는 부분.

7592              원자로 연료[原子爐燃料, nuclear reactor fuel]               〓 핵연료(核燃料)

7593              원자로 잡음[原子爐雜音, reactor noise]                     원자로(原子爐)가 임계상태(臨界狀態)에 있어서 중성자분포가 정상인 경우라도 단위체적 속의 중성자수(中性子數)는 평균치(平均値) 둘레에서 계속 변동(變動)하고 있으며, 따라서 출력밀도도 변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질서한 중성자(中性子)의 변동을 원자잡음(原子雜音)이라 한다.

7594              원자로 재료[原子爐材料, nuclear reactor materials]                    원자로(原子爐)에서 사용되는 재료(材料)를 말한다. 중성자(中性子)기타의 방사선(放射線)에 대한 성질(흡수성(吸收性), 방사성(放射性)등에 엄격한 요구가 가해지므로 가스로나 전기로 등에서 사용되지 않는 특수한 재료가 선택된다. 요구되는 성질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감속재(減速材) : 중성자(中性子)의 흡수가 적은 것이어야 한다. 경수, 중수(重水), 그라파이트, 베릴륨 등.  2) 반사재(反射材) : 노심부(爐心部)의 주변에 배치되어 노() 중심으로 되돌리는 일을 하는 것이며, 감속재(減速材)와 같은 종류의 물질, 3) 냉각재(冷却材) : 보통의 냉각용 유체(流體)이며, 중성자(中性子)의 흡수가 될수록 적은 것. , 탄산(炭酸)가스, 경수, 금속(金屬)나트륨(고온용高溫用).  4) 제어재(制御材) : 중성자(中性子)를 잘 흡수하는 물질. , 붕소(硼素)를 넣은 강(), 카드뮴 등.  5) 차폐재(遮蔽材) : 원자로(原子爐)안의 방사선(放射線)이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를 싸는 것이며, 산화철(酸化鐵)을 가한 콘크리이트(重콘크리이트).

7595              원자로 컨테이너[原子爐一, nuclear reactor container]                   원자로의 불의의 사고로 인하여 압력 용기나 배관계(配管系)가 파괴되어 방사성 물질이 로()밖으로 누설된 경우 그것이 대기 속에 방산되지 않도록 노 본체 및 1차회로 전체를 격납하는 구() 또는 원총상의 용기를 말한다.

7596              원자로 파일[原子爐一, atomic pile]             핵분열 물질을 연료로 하여 핵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장치. 석묵식(石墨式), 중수식(重水式), 농축 우라늄식 등이 있다.

7597              원자로 화학[原子爐化學, nuclearreactor chemistry]                   원자로(原子爐)의 핵연료(核燃料)에 관계 있는 악티노이드 및 그 화합물의 화학(化學) 및 원자로(原子爐)나 방사선(放射線)의 조사(照射)에의해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취급하는 분야(分野)를 말한다. 넓은 뜻으로는 원자로(原子爐)의 여러 재료(材料)에 관계 있는 화학적 문제를 일괄해서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7598              원자로[原子爐, nuclear reactor, reactor]                     핵분열연쇄반응(核分裂連鎖反應)을 제어(制御)하면서 계속시킬 수 있게 한 장치. 1942 12 2 E.Fermi 등에 의해서 미국의 시카고대학 구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CP-1이 최초의 것이다. 이 구조에서 초기에는 pile이라고 불렀다. 원자로의 연료(燃料)로 사용되는 핵분열성물질(核分裂性物質)에는 우라늄, 플루토늄 등. 우라늄은 천연(天然)우라늄을 사용할 때도 있으나, 농축(濃縮)우라늄을 사용할 때도 있다핵연료. 핵분열의 연쇄반응(連鎖反應)이 주가 되어 어떤 운동(運動)에너지의 중성자에 의해서 야기(惹起)되는 가에 따라 고속중성자로, 중속 중성자로, 열중성자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핵분열(核分裂)에서 생긴 중성자(中性子)는 고속중성자(高速中性子)이므로 열중성자로(熱中性子爐)에서는 감속재(減速材)를 배치하여 중성자(中性子)의 탄성충돌(彈性衝突)에 의해서 열()에너지까지 감속(減速)시킨다. 감속재와 연료와의 배치가 같은가 아닌가에 따라 균질로(均質爐)와 비균질로로 나누어진다. 연료와 감속재가 있는 부분 즉, 핵분열연쇄반응(核分裂連鎖反應)이 실제로 행하여지는 부분을 노심(爐心) 둘레에는 중성자(中性子)가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파인트 또는 베릴륨 등의 반사체(反射體)를 둔다. 또 그 바깥쪽에는 원자로(原子爐)에서 발생하는 강한 방사선(放射線)을 흡수시키기 위해 콘크리이트 등으로 만든 두꺼운 차폐벽(遮蔽璧)이 있다. 원자로의 운전제어(運轉制御)나 정지는 보통 제어봉에 의해 행하여진다. 원자로(原子爐)를 운전하고 있을 때는 핵분열(核分裂)에 의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므로, 고출력으로 운전하려면 연료의 주위에 냉각재(冷却材)를 통해서 열()을 원자로 밖으로 빼낸다. 그 열을 동력원으로 하여 사용되는 것이 동력로(動力爐)이다. 원자로는 그 목적에 따라, 연구용 · 원자로시험용 · 재료시험용 · 발전용 · 추진기관용 · 플루토늄생산용 · 아이소토우프생산용 · 의료용 등으로 구별 할 수 있다. 소비되는 연료(燃料)이상으로 새로운 연료가 생산되는 구조를 증식료(增殖爐)라고 한다.

7599              원자로심용융               원자력 발전이 폭주하거나 냉각에 실패하게 되면 노심은 고온이 되고 마침내 용융을 시작한다. ( 1에서 핵연료를 덮고 있던 질카로이가 물과 반응하여 파손이 시작되고, 28에서 연료는 융점에 이른다). 노심이 파손되어 냉각재가 흘러 나가는 길을 막거나 용해되어 덩어리가 되면 냉각이 점점 더 곤란해지므로 용융은 더욱 더 대규모로 진행될 우려가 있다. 용운 노심이 원자로 바닥에 떨어지는 상태에 이른 것을 '멜터다운', 원자로 바닥을 돌파하기에 이른 것을 '멜트스루'라 한다. 여기에 노심 콘크리트는 8정도에서 분해되므로 격납용기까지 관통하여 땅속으로 스며들어 가게 된다.

7600              원자로의 안정성[原子爐-安定性, safety of a reactor]          원자로(原子爐)를 운전하면 연료체(燃料體)속에는 많은 량의 핵분열생성물(核分裂生成物)이 축적(蓄積)된다. 이들은 강한 방사성(放射性)을 가지므로, 원자로(原子爐)가 사고(事故)에 의해 크게 파손했을 경우에는 그 주변에 재해(災害)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원자로(原子爐)의 설계, 건축에 앞서서 여러가지 사고를 상정(想定)해서 해석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자연재해(自然災害)가 많은 지역을 피하거나 사고결과 큰 인적재해(人的災害)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변의 인구분포(人口分布)를 고려하는 등 환경에 대해서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여러 문제를 총칭해서 원자로(原子爐)의 안전성(安全性)이라고 한다.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2875259458

 

페인팅 스몰미 15세트 (painting smallME, 컬러링 스몰미) 페인팅스몰미, 미술교육. 창의력교육. 색칠

[스몰미 와 아트리트] 나만의 작은 나. 스몰미, 색다른 자기표현. smallME.

smartstore.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