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intotheKOREA

한국교회는 왜 이렇게 십일조에 집착할까?!

by 리치캣 2025. 2. 17.
반응형

이 작가의 말을 100% 신뢰하지는 않지만...  컨셉을 정리해서 설명하는 재주가 남달라 보인다.

한국교회는 왜 이렇게 십일조에 집착할까?! l 작가 홍대선 l 혜윰달, 생각을 비추다

https://www.youtube.com/watch?v=UQBU2Fw7-3U

 

홍대선 작가는 한국인의 무속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그는 한국인이 단순히 무속적이라는 것뿐 아니라, 한국 무속의 복잡성과 깊이를 짚어내며, 무속이 한국인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한국의 무속이 단순한 신앙 체계를 넘어서, 역사와 문화의 산물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한국인의 높은 지능 예측의 어려움이 무속적 성향과 어떻게 맞물리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신적 적응 방식을 탐구합니다. 이 영상은 한국인에게 있어 무속이 단순한 신앙이 아닌, 삶의 본질적인 모습임을 보여줍니다.
핵심 용어
  • 한국인: 한국인은 한국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특별한 문화적 배경과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무속과 같은 독특한 신앙 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대체로 **정...

1. 🔮 한국인의 무속성: 무속 그 자체

  • 작가 홍대선은 한국인이 단순히 무속적이 아닌, 무속그 자체라고 설명한다.

  • 한국은 반도체와 전투기를 만드는 기술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등록된 무당이 30만 명, 실제는 약 50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언급된다.

  • 역술인까지 포함하면 총 100만 명에 이르는 무속 인구가 존재하는 나라이다.

  • 한국인의 다수는 자신의 태몽을 알고 있을 정도로 무속이 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 시베리아 샤먼의 굿은 한국인에겐 동요 수준으로 비춰지며, 무아지경의 체험과 제사 음식은 흥미롭지 않다고 평가된다.

 

2. 🎭 한국 무속과 현대인의 연결

  • 한국의 무속 문화는 화려하고 스펙타클한 굿을 포함하며, 무당들은 강렬한 감정을 표현한다.

  • 굿에서 사용되는 상징물로는 돼지 머리소 머리가 있으며,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의식과 관련이 있다.

  • 한국인들은 복권 당첨 후 꿈에서 조상과 관련된 내용을 아무렇지 않게 언급하며, 이는 한국인의 무속적 사고를 보여준다.

  • 꿈에서 조상을 만나도 예지몽으로 인식되며, 번호를 받았다는 이야기는 무속적 개시로 간주된다.

  • 현재 한국의 무당 문화는 수많은 무당들이 전국 곳곳에서 활동하며 활발한 모습이다.

 

3. 🧠 한국인의 무속적 성향의 원인

  • 한국인의 높은 지능은 무속적인 성향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된다.

  • IQ 검사에서 한국은 평균 1등을 기록하며, 실제로 지능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 한국인은 환경에 대한 우려와 예측능력이 뛰어나며, 이는 생존과 관련된 행동에서 나타난다.

  • 하지만 미래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결국 신앙이나 에 의지해야 할 부분이 생긴다.

  • 지능과 염세주의 성향, 그리고 무속적 성향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4. 🌀 한국 무속과 그 특성

  • 한국 무속의 신은 구체적인 인격과 성격을 가지고 있어 직접 대화가 가능하며,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 한국인은 관념적이지 않고 매우 직관적이며 세속적 특성을 가지므로 피안의 세계에 대한 탐구에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 한국의 무속은 다신교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새로운 신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 한국 기독교도 무속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독교인의 무속적 경험은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 기독교에서의 구원개념은 생존을 위한 무한 경쟁과는 맞지 않지만, 이러한 특성이 한국 기독교에서 종교적 모순을 만들어내는 요소가 된다.

4.1. ‍️ 한국 무속신의 성격과 역할
  • 한국 무속의 신은 구체적인 인격과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직접 대화가 가능하다.

  • 무당의 몸에 깃든 신은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사 역할을 한다.

  • 한국인은 관념적이지 않고 직관적이며 세속적인 특질을 가지며, 피안의 세계에 대한 탐구에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 무속의 신은 추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하나의 에너지 덩어리로 인식된다.

  • 무당은 높은 능력을 통해 사람들을 돌보는 역할을 하며, 실존 인물이 영웅으로 신이 되는 경우가 많다.

4.2. 한국의 종교적 다양성과 무속의 특징
  • 한국은 종교적으로 매우 균형 잡힌 나라로, 여러 종교가 동시에 존재하면서도 평화롭게 공존한다.

  • 한국의 무속은 다신교 형태로, 지속적으로 새로운 신이 추가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한국에서는 각종 역사적 인물들, 예를 들어 잔다르크와 같은 영웅이 무속신으로 추앙받으며, 이는 한국 무속의 독특한 특징이다.

  • 한국인들은 다른 문화를 바라보면서도, 자신의 문화가 가지는 독특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외면하는 경향이 있다.

  • 실제로 한국 무속은 상징적인 숫자 사용을 통해 신의 존재를 표현하며, 이는 세계 다른 지역의 무교와 비교해도 그 규모가 상당하다.

4.3. 한국 기독교의 무속적 성격
  • 한국 기독교에서 무속적 성향이 나타나는 사례가 흔하며, 이러한 경향은 신도들이 기독교적 요소를 무속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으로 중재된다.

  • 기독교 교리가 약한 귀신이나 잡신을 배제하지 않으며, 오히려 여호와 하나님보다 약하다고 주장하는 현상이 존재한다.

  • 전통 기독교에서 구원이란 성찰과 겸양을 통해 선량함을 회복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이는 한국 사회의 생존 경쟁과 대립되는 가치일 수 있다.

  • 조용기 목사의 순복음 교회에서는 삼박자 구원론이 인기를 끌며, 이를 통해 신도들에게 건강과 부를 약속하는 방식으로 교리를 전파한다.

  • 순복음 교회의 기적적인 행위는 눈에 보이는 성과로 신도들에게 영적 능력을 증명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는 기획적인 요소가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신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4.4. 11조의 기원과 현재의 적용
  • 이스라엘 민족의 경우, 레위 지파가 종교적인 업무를 전담하며 11조의 필요성이 생겨났다.

  • 다른 지파 사람들은 레위 지파에 11조를 제공하며 종교적인 업무를 외주화했으며, 이는 하나님께 바친다는 개념과 연결된다.

  • 현재 한국의 기독교에서는 레위 지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1조는 성경과의 연결성이 약해진다.

  • 목사들이 11조를 강조하는 이유는 교회를 운영하기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며, 그러나 성경적 근거는 미흡하다.

  • 역사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는 11조를 강조했지만, 성직자의 생계를 위한 필연적인 필요로 인해 종교개혁이 일어나게 되었다.

4.5. 기독교의 종교 활동의 종말과 모순
  • 기독교에서는 예수님이 종교활동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말씀하셨다.

  • 예수님은 각 개인의 몸이 하나님의 성전이라고 하며, 성전을 다닐 필요가 없다고 했다.

  • 남을 돕는 것이 하나님께 바치는 것이라고 언급되며, 착하게 살면 충분하다고 했다.

  • 그러나 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회와 목회자가 필요하며, 헌금의 필요성이 발생하여 모순이 생긴다.

  • 이러한 상황은 종교의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5. 🕌 한국 기독교와 무속의 거래적 관계

  • 한국 기독교는 무속적인 면을 가지고 있지만, 무속의 본질적인 특징을 체화하지 못하고 있다.

  • 무속에서는 신과 조상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효과를 얻는 거래적 관계가 성립되어 있다.

  • 무당이 수행하는 의식은 씻김굿과 같은 거래적 상관관계를 통해 참여자의 고통을 공감하고 치유를 목표로 한다.

  • 기독교의 경우, 헌금을 사랑하는 만큼 복을 받는다는 믿음이 있으며, 이는 무속의 거래적 속성과 유사하다.

  • 한국 기독교는 선악의 판단이 아닌 거래를 진리로 포장하는 문제가 있다.

반응형

댓글

리치캣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