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military. warfare.

미친기술수준! 나치독일이 개발을 추진했었던 비밀 무기 Top 10

by 리치캣 2024. 10. 18.
반응형

독일의 새로운 컨셉을 모두 가져다가(훔쳐다가, 뺏아다가) 

현실화 시켜온 미국, ㅎㅎㅎ

미친기술수준! 나치독일이 개발을 추진했었던 비밀 무기 Top 10

이 영상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무기 개발 과정과 그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을 탐구합니다. 독일이 개발하려고 했던 다양한 무기들, 그 프로토타입의 실험과 실패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배우고, 전쟁 기술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무기의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력과 경제력, 그리고 철저한 시험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시의 긴박함 속에서 이루어진 창의적이지만 실패한 많은 시도들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유익합니다.

완벽노트(GPT-4o) 적용됨GPT-3.51. ✈️ 독일의 목재 화물기 개발 시도

  • 독일은 1940년 후반에 금속 대신 목재를 사용한 화물기 제작을 구상했다.
  • 이 화물기는 전차나 대공포 등 20톤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기대했다.
  • 융커스 3위의 마무트라블은 날개폭 60m 이상의 거대한 프로토타입이었다.
  • 프로토타입은 이듬해 4월 첫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 이러한 무기 개발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혁신적인 시도의 일환이었다.

 

2. ️✈️프로젝트 실패와 포르텐 29의 역사

  • 비행은 극도로 불안정하여 활주로로 견인하는 데 2주가 소요되었고, 탑재 가능 중량이 처음 20톤에서 16톤, 이후엔 11톤으로 줄어 화물기 용도로 문제가 많았다.
  • 비행 중 전차가 목재 기체 바닥을 뚫고 떨어지는 일도 발생해, 사실상 실전 배치하기에 역부족이었고, 결국 프로젝트는 취소됐다.
  • 제작된 화물기는 모두 해체되어 연료로 쓰였으며, 포르텐 29는 헤르만 괴링의 지시로 설계된 폭격기로, 시속 1000km 속도로 1000kg 폭탄을 투하할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 이 기체는 현재 미 공군의 B2 폭격기와 상당히 유사한 외형으로, 제 엔진으로 구동하며 기체가 항력을 최소화한 형태로 설계되었다.
  • 프로토타입은 1944년 3월 첫 비행을 하였고, 이후 융커스 유모 터보 엔진을 장착해 비행을 진행했지만, 100대의 항공기가 생산되었고 현재 V3 모델은 미군이 확보해 테스트 후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3. ️🇩🇪독일의 전투기 생산 문제와 하인켈 1 개발

  • 시간이 흐르면서 연합군과의 제공권 싸움에서 밀리자 독일은 더 많은 전투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 하지만 기존 전투기는 생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고, 제작 시 금속 자원의 소모가 컸기 때문에 한계를 겪었다.
  • 이에 따라 독일에서는 동체는 금속을 사용하고 날개 등 다른 부분은 목재로 제작한 소형 제트 전투기인 하인켈 1을 계획하게 되었다.

 

4. 전시 상황 속에서 개발된 아라도이 5의 비극

  • 아라도이 5의 기체는 상당히 작았고, 조종사가 부족해 훈련 없이도 쉽게 조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하지만 시험 비행에서 조정이 예상보다 어려웠고, 날개가 부러지며 연료 적재량 부족으로 추락하는 비행기가 많았다.
  • 급격한 전시 상황 속에서도 문제점을 개선하며 최종 116대가 생산되었으나 전황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
  • 이 기체는 1942년에 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독일의 장거리 전략 폭격기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4톤의 폭탄과 7500km 항속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 하지만 1944년 12월에 프로젝트는 취소되어 최종 기체는 완성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

 

5. ️🚀독일의 103R 미사일과 초음속 유도 미사일

  • 셀러 103R 라이엔 베르크는 독일에서 개발한 수락 미사일로, 이륙 직후 추락하는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설계되었다.
  • 이 미사일은 조종사가 낙하산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캐노피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탈출 확률이 낮았고, 강한 바람으로 인한 캐노피 개방 문제도 있었다.
  • 900kg 폭발물이 장착된 유인 수 미사일에는 100명이 자원했지만, 공격 중 자기희생은 금지되어 실전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바인은 독일이 개발 중인 초음속 유도 지대공 미사일로, 1941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1944년 3월에 첫 시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 고속 비행을 위한 제어가 어렵지만 발사 시점에서 25km 지점에서 조정이 이루어졌다는 보고가 있다.

 

6. ️⚔️V3 캐논의 개발과 전선에서의 한계

  • 초종 개발은 종전까지 이루어지지 않아, 실전에서는 연합군의 폭격기를 마주하고도 사용되지 못하는 무기로 남아 있다.
  • V3 캐논은 독일이 런던을 겨냥했던 무기였다.
  • 일반적인 포는 최초 점화 순간 포신의 압력이 최고로 높아져 포탄이 발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압력은 점점 낮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7. ️🚀V3 캐논과 질버 포일의 개발과 한계

  • V3 캐논은 고체 연료 로켓이 장착된 포탄이 150m 내외의 긴 포신을 지나 발사되는 무기로, 포탄이 긴 포신을 지나면서 여러 지점에서 추가적인 추진력을 제공하여 일정한 압력을 받으며 가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헤르만 클링이 제안한 이 무기는 히틀러에게 보고되어 1944년 시험발사를 통해 포탄이 최대 93km 날아갔고, 독일은 이를 프랑스 북부에 설치해 런던을 폭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미군의 진격으로 발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 질버 포겔은 3km 길이의 레일 트랙을 따라 시속 130km로 추진되어 고도 145km까지 상승하며 시속 2800km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로켓 추진 폭격기였다.
  • 미국 본토에 4톤의 폭탄을 투하할 계획이 있었으나, 생산 기술 부족과 막대한 비용, 대기권 재진입 시 열에 대한 대비 부족 등으로 설계 단계에서 중단되었고, 이 계획은 미공군의 X20 다이너소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8. ️🛸독일의 반중력 엔진과 조넨 게베라 프로젝트

  • 하우네부 시리즈는 독일이 극비로 추진한 프로젝트로, 반중력 엔진을 장착한 비행체 개발이 핵심이다.
  • 특히 이 시기에 독일이 기대했던 성능은 최고 시속 6,000km 비행할 수 있는 수준이었지만, 당시 기술로는 사실상 불가능했다.
  •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 회의적이며, 실제로는 설계에 그쳤고 시험 비행은 없었다고 전해진다.
  • 또한 1929년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만 오베르트는 조넨 게베라라는 태양 총을 고안했으며, 이는 햇빛을 집중시켜 목표물을 파괴하는 원리로 작동하였다.
  • 이 무기는 이론에 그친 무기로, 당시 기술로는 단시일 내에 제작이 불가능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