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9001-9100
번호 용어 해설
9001 ◆ 종속영양생물[從屬營養生物, heterotrophy] ◆ 타영양유기영양이라고도 함. 동물과 엽록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식물·세균·균류 등이 생육에 필요한 영양원을 기성유기물에 의존하는 영양형식. 무기물에서 그것을 합성하는 독립영양의 생물의 2대영양의 하나. 탄소원본위영양이나 대사레벨에서는 에너지획득도 고려하여 화학합성유기물 이용과 광합성 유기물이용으로 분활한다. 생태적으로는 동물의 미생물이 영위하는 기본적인 영양으로 취급되어 있다.
9002 ◆ 종이 기저귀 ◆ 소재의 99%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화학섬유나 플라스틱이다. 흡수재는 고분자 흡수체라고 하는 폴리머로 1천 배의 수분 흡수율을 가져 액체를 젤리 상태로 변화시켜 흡수한다. 통기성이 나빠 습진 및 부스럼, 불쾌감이 있으며 소재 표시에 따라 '흡수지, 면상 펄프' 등으로 오해하기 쉽다. 플라스틱은 소각할 때 유해가스가 다량 발생하는데 처리장에서는 태우는 쓰레기, 태우지 못할 쓰레기의 구분이 어렵다. 물에 흘러보내면 그대로 쓰레기로 남아 강을 오염시킨다.
9003 ◆ 종이와 재생 ◆ 종이 1ton을 만들기 위해서는 높이 8m, 지름 14cm의 원목 17그루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연간 2억2천만톤의 종이가 생산 소비되며 이를 위해 연간 37억4천만 그루의 나무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생산·소비되는 종이의 양은 1년에 6백만톤이나 되며 1인당 종이소비량은 1백50㎏에 육박하고 있다. 그러나 종이 소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지회수율은 44% 선에 불과한 실정이다. 폐지로 새 종이를 만들게 되면 나무로 만드는 것보다 에너지 소비가 30∼50% 줄어들고 종이 생산과 관련된 오염도 무려 95% 가까이 줄일 수 있다. 종이 1ton을 생산하는데는 최대 600ton의 폐수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재생자원으로 신문용지를 들 수 있는데 수집된 신문지의 77%가량은 다시 신문용지로 만들어지고 나머지는 다른 용도로 쓰인다. 또 우유팩은 엽서나 화장지 등 여러 용도로 재생할 수 있으며 보통 우유팩 40개면 두루마리 화장지 1개를 만들 수 있다.
9004 ◆ 종자은행 ◆ 한 마디로 종자를 보관하는 곳으로, 종자를 장기저장, 보존해 종자의 멸종 위기를 막고 각 품종이 가지는 유용한 유전자를 보존하는 일을 한다. 종자은행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의 종자를 우선적으로 수집해 저온저장고에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발아시켜 식물의 멸종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품종 개발과 신약 개발 등 생명 공학의 소재에 이용할 수 있도록 종자를 분양한다.
9005 ◆ 종파[縱波, longitudinal wave] ◆ 파의 진동뱡향과 진행방향이 일치하는 진행파. 탄성파의 경우는 체적탄성에 의해 일어나고, 조밀파 이를테면 음파나 지닌의 P파는 그 예이다.
9006 ◆ 종풍부도 ◆ 단위 지역에 존재하는 종의 수를 뜻한다. 종풍부도 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지수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게 되므로 환경의 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9007 ◆ 종합하천계획[綜合河川計劃, composite planning of river] ◆ 종합적이며 또한 수계에 관하여 일관된 치수, 이수의 계획을 말하고 치수, 이수의 각 계획기준을 수립하는 것, 다음의 각항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관점하에서 책정된다. 수계를 일관된 계획으로 한다. 치수와 이수의 종합적인 계획으로한다. 연안토지의 개발을 고려한다. 하도내의 토사·자갈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한다. 치수계획의 규모는 전국적인 시야에서 하천의 중요도에 따라서 안전도에 관하여도 전국적으로 균형되고 경제적인 것으로 한다.
9008 ◆ 좋은물의조건 ◆ 1)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들어있지 않은 물: 미생물, 유해무기물, 유해 유기물이 포함되지 않은 물 2)미네랄 성분이 균형있게 포한된 물 :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망간 등 미네랄 성분 3)약 알카리성 물 : 인체는 pH 7.35~7.45의 약알카리성 5)물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 - 증발잔유물 : Ca,Mg,Na,K 등의 광물질로 많을 시 떫고, 쓰고, 짠맛을 느끼며 없으면 밋밋하면서 순한 맛을 느낀다. - 경도(칼슘) : 칼슘, 마그네슘의 미네랄 성분으로 경도가 없으면 연수로 맛이 없음. - 유리탄산 : 물속에 녹아있는 탄산가스로 물에 청량감을 준다. - 수온 : 8~15℃에서 청량감을 느낌 - 철 : 약간의 비린내를 동반하며 맛을 내기 위해서는 1.3mg/ℓ이상인 경우에 해당됨. - 칼륨 : 많이 존재하면 짠 맛을 내며 적당량의 경우 물맛을 향상시킴. - 규산 : 물 맛을 좋게함. - 마그네슘 : 쓴 맛과 불쾌감. - 황산이온 : 칼슘이온을 감소시킴.
9009 ◆ 좌사리도 ◆ 일반개요 행정구역: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동향리 산2-5 면적: 68,628㎡ 토지소유현황: 사유 자연환경 지형·지질·경관 북쪽에서 남쪽으로 여섯 개의 바위섬이 나란히 놓여 있고 2번째와 4번째 섬 사이의 동쪽에 동서로 길게 뻗은 또 하나의 바위섬이 존재하여, 전체적으로 7개의 시스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반암은 중성화산암류로 되어 있으며, 수직절리가 치밀하게 형성, 섬 전체가 바다위에 떠 있는 성채의 경관을 나타내고 있다. 높이 104m이며 7개의 섬 중에서 최남단의 등대섬 배후의 섬이 가장 높고 큰 편이며, 해식애와 해식동의 발달이 특히 뚜렷하다. 해식애는 높이 30~70m, 경사 70~90。로 거의 수직에 가까우며, 해식애 기저에는 절리의 주향과 경사에 일치하는 너비 3~5m, 높이 7~10m의 규모가 비교적 큰 해식동이 곳곳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북쪽에서 네 번째 섬에는 너비 7m, 높이 11m의 시아치가 발달한다. 전체적으로 경관이 빼어난 바위섬이다. 육지식물·식생 개요 좌사리도는 북위 34。 33', 동경 128。 21'에 위치하며, 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좌사리제도 중 가장 큰 섬으로 서쪽과 남쪽사면이 다소 급경사로 높은 절벽이 많으며, 동쪽사면이 다소 완만한 사면으로 아래쪽에는 인가가 있었던 돌담이 흔적으로 남아 있었다. 급경사인 서사면은 왕작살나무와 두릅나무, 섬뽕나무, 보리밥나무가 칡덩굴과 함께 어우러져 있으며, 완만한 남동사면은 거의 초원지대로 구절초와 계요동이 우점하고 있었다. 정상부(해발 104m) 능선주변에는 참억새가 우점하며 띠와 밀사초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고, 섬 남쪽의 절벽에는 동백나무와 우묵사스레피나무, 돈나무, 보리밥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군생하고 있었다. 출현종 및 주요종 좌사리도의 출현종은 49과 93속 101종 1아종 18변종 1품종 총 121종류가 조사되었다. 서사면의 급경사면은 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돈나무, 까마귀쪽, 송악, 왕모람과 낙엽활엽수인 왕작살나무, 두릅나무, 섬뽕나무, 보리밥나무가 칡덩굴과 함께 혼효되어 자라고 있었다. 완만한 남동사면은 거의 초원지대로 구절초와 계요등이 우점하며, 개박하, 왕모시풀과, 갯메꽃, 하늘타리, 수까치깨, 갯쑥부쟁이, 멍석달기, 층꽃나무 등이 큰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정상부(해발 104m) 능선주변에는 참억새가 우점하며 띠와 밀사초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섬 남쪽의 절벽에는 동백나무와 우묵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돈나무, 까마귀쪽, 송악 왕모람, 보리밥나무, 마삭줄 등 상록활엽수가 군생하고 있었다. 특기사항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군락 -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구절초는 좌사리도의 남동사면 낮은 지역 초원지대에서 계요등과 함께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바람이 강하기 때문에 높이가 10~20cm내외로 낮았다. 밀사초(Carex boottiana Hooker et Arnott) - 남해안과 도서지방의 건조한 바위틈과 모래밭에서 자라는 밀사초는 좌사리도의 정상부와 북쪽 능선부와 바위틈에서 참억새와 띠, 돌가시덩굴과 함께 군락이 이루고 있었다. 그밖에 칡덩굴이 섬의 서사면과 남동사면에 넓게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육지동물 개요 육지에서 비교적 떨어진 고도이며 식생은 초본류가 다양한 편이다. 출현종 바다직박구리(1), 칼새(20), 바늘꼬리칼새(4), 흑로(2), 괭이갈매기(40), 매(1), 동박새(1), 제주휘파람새(6) 등 조류 8종이 출현하였으며 설치류(쥐)의 분변을 확인하였다. 특기사항 본 도서의 동물분포상 큰 특징은 없으나 제주휘파람새가 많다는 점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동물이며 천연기물 제323호인 매(Falco peregrinus)가 기록된 것은 의미가 있다. 해안무척추동물 조사지점은 좌사리도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작은 섬이다. 해안생물상은 빈약한 편으로 해면동물 1종, 자포동물 3종, 환형동물 7종, 연체동물 17종, 절지동물 10종, 극피동물 1종 등 39종이었다. 굵은줄격판담치 군집을 헤치면 그 속에 다양한 갯지렁이류(둥근이빨참갯지렁이, 큰깨점박이참갯지렁이, 아가미비늘갯지렁이, 송곳예쁜이비늘갯지렁이, 짧은미륵비늘갯지렁이, 마디털갯지렁이, 긴다리송곳갯지렁이)와 애기털군부, 좀털군부, 얼룩모래무지벌레가 사는 것을 볼 수 있다. 얕은 물밑의 움푹 파인 곳에는 털다리참집게가 서식한다. 해안에서 흔히 볼 수 보는 없는 작은뿔럭지삿갓조개와 비단가리비도 채집되었다. 조간대의 대상분포는 상부로부터 좁쌀무늬총알고둥 - 조무래기따개비 - 검은큰따개비 - 굵은줄격판담치의 순서로 나타나지만 위아래의 두 층이 겹쳐 나타나기 때문에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그밖의 서식종은 주황해변해면, 담황줄말미잘, 풀색꽃해변말미잘, 해변말미잘, 테두리고둥, 진주배말, 애기삿갓조개, 얼룩고둥, 총알고둥, 지렁이고둥, 대수리, 두드럭고둥, 고랑딱개비, 털담치, 굴, 삼각따개비, 거북손, 갯강구, 게붙이, 바위게, 뿔물맞이게, 예쁜뱀이거미불가사리 등이다. 해조류 개요 좌사리도는 여러 개의 섬이 일렬로 배열이 되어 있어서 해안선이 길고 부분적으로 보호된 지형이 있는 곳이었다. 섬의 남측은 해안의 경사 급하지만 북측은 완만한 곳이 많았다. 경사가 완만한 북측의 조간대에는 식생이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남측 해안은 전형적인 외해성 분포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조하대는 매우 다양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
9010 ◆ 주 수온약층 (Primary thermocline) ◆ 자연호소에서 여름에 형성되어진 수온약층은 보통 하나만이다. 그러나 그 위치가 깊으면 표층중에 약한 약층이 생겨나게 된다. 후자는 2차 약층이라고 말하며, 그것에 반해서 전자를 주 수온약층 또는 1차 약층이라고 부른다. 근년에 수온측정 기술의 향상에 따라 복잡한 수온 연직분포가 관측되어 지고 있다. 인공호 에서는 유입, 유출 혹은 취수의 영향으로 복수의 약층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9011 ◆ 주간[晝間] ◆ 오전 5시,6시,7시, 또는 8시로부터 오후7시,8시9시까지 또는 10시까지로함.
9012 ◆ 주거환경개선사업[住居環境改善事業] ◆ 주거환경 개선지구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주택의 건설, 건축물의 개량, 공공시설의 정비, 소득원의 개발 등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주거환경개선계획에 따라 행하여지는 사업.
9013 ◆ 주거환경개선지역[住居環境改善地域] ◆ 도시계획 구역안으로서 노교량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 또는 공공시설의 정비상태가 불량하여 주거환경이 첨예한 지역으로, 주거환경개선의 촉진을 위하여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지역.
9014 ◆ 주글레아[zoogloea] ◆ zoogloea ramigera라 불리는 호기성균에서 생성되는 덱스트린 형태의 점질물로 된 균족.
9015 ◆ 주민단체 ◆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단체. 마을회·자치회 같은 지연단체, 학부형회·어린이회 등의 교육관계단체, 복지관계단체, 노동조합 등의 직능단체, 공해방지·자연환경보전 관계단체 등 다양하며 일반적으로는 비영리적인 모든 지역주민 조직을 가리킨다. 각 단체의 목적, 활동 내용, 종류 등은 각각 다르지만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주민단체가 정치나 행정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경우도 많다.
9016 ◆ 주배관(Transmission Line / Pipeline) ◆ 액체연료 및 가스연료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고압배관, 일반적으로 부대설비 포함.
9017 ◆ 주석 [朱錫 tin, Sn] ◆ 중금속의 원소이며 용도는 합금, 철제품의 도금, 동 제품의 코팅, 화합물은 염료, 안료, 감광지, 유백유리, 향수, 촉매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입으로 섭취 시 두통, 토기설사, 복부경련, 발열을 유발하며 미분말의 흡입이나 접촉에 의해 피부나 점막을 강하게 자극한다. 공장이나 작업장 대기를 오염하며, 석탄연소 시 배출가스 중에 각종 화학상품의 사용 취급과 폐기 후의 처리(연소, 매립)로 환경에 방출된다. 도금한 식품용기를 통하여 식품 중에 50~500ppm의 주석이 용해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안전상 무시할 수 없다. 미국인 체내에 섭취되는 양은 1일 평균 17mg에 이른다. 미국 버지니아 州에서는 대기 중 허용 농도를 1.6㎍/㎥로, 미네소타 州는 음용수 허용 농도를 4㎎/L로 각각 설정했다.
9018 ◆ 주석[tin] ◆ Sn. 백색 금속으로 산과 알칼리에 용해됨. 철판에 주석 도금을 한 것을 함석이라 하고 함석은 통조림용 통으로도 사용됨. 수산용수로서는 주석의 함유량 1.0ppm이 한도임. 금붕어는 600ppm이 함유된 물 속에서 5시간 정도 밖에 생존할 수 없음. 주석의 무기 화합물 중 대부분이 경미한 독성을 갖고 있을 뿐이지만, 염화 제1주석, 염화 제2주석은 매우 위험함. 경구로 섭취되며, 설사를 유발함. 유기 주석 화합물에는 격렬한 독성을 가진 것이 많이 있음.
9019 ◆ 주석산[朱錫酸, stannic acid] ◆ 산화주석(IV)수화물 를 산의 형식으로 쓰고 주석산이라 부를 때가 있다. 주석산알칼리에 소량의 묽은 산을 작용시켜 얻어지는 백색침전(HSnO₄ 또는 Sn(OH)₄ 가 주성분)을 일반적으로 주석산이라 한다. 강산 및 알칼리에 녹지만 함수량도 일정하지 않고, 젤의 성질을 가지며, 고조 기타도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용액중에 오래 두던가 또는 가열하면 산화주석(IV)와 같은 결정성을 나타내고, 산에 녹기 힘들게 된다. 또 주석에 진한 질산을 작용시켜서 비교적 까슬까슬한 무색의 분말로서 얻어지는 것은 산화주석(IV)에 가까운 조성을 가지며, 산, 알칼리에 녹지 않는다. 이것을 β주석산이라 부르고 앞의 것을 α주석산이라 하여 구별하는 수도 있다. β주석산은 탄산알칼리, 농수산화알칼리에 녹지않지만 이것을 희석하면 콜로이드 용액이 되고, 이 용액은 농축하여도 일정한 화합물이 얻어지지 않는다. ( 가 알칼리를 흡착한 것이 얻어지며, 이것은 이를테면 처럼 잘못 표기되어 메타주석산염이라 부를 때도 있다). α주석산은 β주석산에 비교하여 흡착능이 크고, 유기색소, 인산등을 잘 흡착한다. 양자의 차이는 주로 입자의 크기에 의하는 것이며, 연속적이라고 한다. 인쇄용 흡착제로서 또는 매염제에 쓰인다.
9020 ◆ 주석중독 [朱錫中毒, tin poisoning] ◆ 고농도의 주석을 함유한 통조림식품에 의한 급성위장염이나 주석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주석폐 등이 알려졌다. 통조림에서 용출된 주석의 농도가 500ppm이 되면 섭취 후 수분 내에 구토, 설사를 일으킨다. 한편 유기주석은 선박의 방오제, 농약, 방부제, 살균제에 사용하므로 산화트리부틱주석(tributyltin oxide) 등의 경우처럼 조개류의 생식기 이상 등 환경오염을 일으킬 염려가 있따.
9021 ◆ 주석화합물[朱錫化合物, tincompound] ◆ 산화수2및4의 화합물이 보통이며, 주석(II)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산화되기 쉽고 많은 것에 대해서 환원제로 작용하여 주석(IV)화합물이된다. [1] 주석(II)화합물 산화물은 양성이며, 이것에서 주석(II)염 및 아주석산염이 얻어진다. 어느 것이나 강한 환원제이다. 수용액에 황화소를 통하여 갈색의 황화주석(IV)가 생기고, 폴리황화암모늄에 녹아서 티오주석(IV)염이 되고 이에 산을 가하면 황색의 황화주석(IV)가 침전한다. 알칼리로는 수산화물이 침전하고 과잉의 알칼리에 녹는다. 염화물이 비교적 안정하다. [2] 주석(IV)화합물 산화물은 양성이며, 이것에서 주석(IV)염 및 주석산염이 얻어진다. 황화물을 제외하고 모두 무색. 수용액에서는 알칼리에 의해 수산화물을 침전하고, 과잉의 알칼리에 가용. 철에 의해 주석(II)염이 되고, 아연으로 주석에까지 환원된다. 가용성염은 수용액 중에서 가수분해 하기 쉽지만 염화물은 약간 안정. 각종 유기주석화합물이 많이 알려져있다.
9022 ◆ 주왕산 국립공원 ◆ 주왕산국립공원은 태고의 정적이 감도는 심산유곡과 기암괴석, 사계절을 두고 각기 달리 빚어지는 절경에 전설이 어우러진 국립공원이다. 1976년 3월 30일 우리나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주왕산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중동부에 위치한 백두대간의 지맥인 낙동정맥의 중간에 위치해 있으며,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공원의 총면적이 105.596km2이고, 청송군과 영덕군의 2개군 5개면 17개리에 결쳐 분포하고 있다. 주왕산의 옛 이름은 석병산, 대둔산, 주방산, 주왕산이란 이름이 있으며, 이렇게 부르게 된 연유에는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늘어서 있다하여 석병산, 예로부터 난리가 날 때마다 이 곳으로 피난을 온 사람들이 많았으며 더욱이 선유, 선사들이 이 산에 와서 살았다하여 대둔산, 신라 선덕왕의 후손인 김주원이 이곳에 와 있었다하여 주방산이라 하였고, 신라말엽 중국 당나라 사람 주도가 자칭 주왕이라 칭하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하여 이곳에서 은거하였다 하여 주왕산으로 바뀌어 불리고 있다.
9023 ◆ 주요 총생산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 광합성을 통해 대기로부터 고정되는 탄소의 양.
9024 ◆ 주요국가의 지속가능발전전략과 시사점 ◆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Brundtland 보고서(1987)가 발표된 이후 각국의 움직임이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략 두 단계로 나누어짐 - 1990년대 중반까지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이해와 개념 정립, 지속가능한 발전에 근거한 각국의 환경상태에 대한 평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이 원칙정립 등에 치중 - 1990년대 중반 이후 '환경이냐 경제냐'의 양자택일 관점이 아니라 지소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되 중요한 것은 어떻게 성장할 것이냐에 중점 지속가능한 발전을 환경문제만을 해결하기 위한 개념이 아니라 환경문제와 사회문제의 통합적 해결을 위한 사회발전전략으로 삼아 삶의 질의 향상이나 한 단계 향상된 복지의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 -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칙과 접근의 경제, 사회, 환경의 3부야 모두 지속가능한 발전에 강조점을 두는 것임
9025 ◆ 주위소음 ◆ 주위소음은 어떤 환경하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음을 포함한다. 주위소음 레벨은 어떤 순간에도 측정될 수 있겠으나 트럭 및 항공기의 왕래에 따라 시간에 의한 변동이 심한것이다. 교통소음은 심야보다 낮시간이 높고, 아침과 저녁의 출퇴근시에 더욱 높다. 그렇기 때문에 한번의 Bb(A)측정으로 주위소음에 대하여 말하기 어렵다. 고음의 완전한 변화내력이 그래프 기록으로 가능하다 할지라도 그러한 기록챠트의 취급이 불편하고 더우기 보고서에 맞도록 쉽게 압축할 수도 없으며, 그것은 또한 기록적으로 해석 및 설명이 어렵다.
9026 ◆ 주입공법 (Chemical grouting method) ◆ 연약지반이나 용수(솟아나는 물)지반에 있어서 지반강화 또는 지수를 위한 공법을 말하며 토질의 공극에 약액을 주입하여 고화 시킨 것이다. 약액으로는 시멘트계와 물 유리계가 있으며, 전자는 강도가 높고 값도 싸지만, 응결할 때까지의 시간이 긴 결점이 있으며, 후자는 전자에 비교하면 응결시간이 짧은 것으로서, 특히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 유효하다.
9027 ◆ 주정[酒精, spirits of wine, ethanol] ◆ 에틸알코올의 별칭. 주류 중에 내포되며 분류에 의해 얻어지므로 이 이름이 있다. 화학식 사슬모양탄화수소의 수소원자 1개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대표적인 일가알코올. 분자량 46.07. 일반식 R-OH(R는 알킬기)로 표시된다. 에틸알코올 또는 주정(酒精)이라고도 하며, 보통 알코올이라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 에탄올은 고대로부터 알려진 알코올음료의 주성분으로서, 술에 취하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이 판명된 것은 15세기에 이르러서이다. 그 조성은 A.L.라부아지에가 측정하였고, J.L.게이뤼삭에 의해 확정되었다. 성질 특유한 향기와 맛이 있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서 녹는점 -114.5℃, 끓는점 78.32℃, 비중 0.789, 굴절률( ) 1.3623, 표면장력 22.3dyn/cm(20℃ 공기), 증발열 229cal/g(0℃), 폭발한계 3.3∼19vol%이다. 물·알코올류 및 클로로포름·에테르 등 대부분의 유기용매와 임의의 비율로 섞인다. 물과의 혼합물에서는 에탄올이 물보다 20℃ 이상 끓는점이 낮지만 순수한 에탄올을 얻을 수 없으며, 에탄올 96.0%와 물 4.0%로 된 함께 끓음 혼합물이 얻어진다. 이 혼합물에서 에탄올무수물을 얻으려면, 적당한 탈수제를 가하여 증류하거나 벤젠을 가하여 벤젠과 물의 함께끓음현상을 이용하여 증류한다. 연소되기 쉽고, 발화하면 엷은 푸른 불꽃을 내면서 탄다. 증기에 불을 붙이면 폭발하는 수도 있다. 산화하면 아세트알데히드를 거쳐서 아세트산이 된다.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성질이 있어 살균작용을 하는데, 그 효과는 70%수용액이 가장 높다. 자연계에는 카르복시산의 에틸에스테르형으로 존재하고 유리상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제법 예로부터 녹말이나 당류를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주류의 대부분은 이 방법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발효법으로는 원료당의 탄소 절반이 이산화탄소로 쓸모없이 방출되고 또 원료가격의 변동도 있으므로 석유로부터 얻은 에틸렌(에텐)을 원료로 하는 합성법이 성행하게 되었다. 합성법으로는 에틸렌을 황산에 흡수시켜 에탄올의 황산에스테르를 만든 후, 이것을 다시 가수분해하여 디에틸에테르와 함께 얻는 방법(황산가수법)이 있다. 이 방법은 원료인 에틸렌의 96%가 에탄올과 디에틸에테르로 변환하는 점에서 효율은 좋으나 다량의 황산을 사용하는 점에서 문제가 되었다. 이에 대해 기상(氣相)에서 에틸렌을 고체인산촉매를 사용하여 접촉적으로 수증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직접 에탄올을 합성하는 방법이 쓰이게 되었다(직접수화법). 에틸렌과 수증기로부터의 에탄올생성은 압력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유리하므로 70atm, 300℃ 정도에서 반응을 일으킨다. 용도 주류는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는 음료로서 보통 청주(淸酒) 15∼16%, 맥주 3∼4%, 포도주 7∼14%, 위스키·브랜디 등의 증류주는 35∼55%의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다. 에탄올은 원래 아세트알데히드나 이것으로부터 얻는 아세트산을 합성하는 원료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에틸렌으로부터 얻는 직접수화법으로 대체되었다. 에탄올은 용제로 쓰이는 아세트산에틸의 원료 또는 그대로 용제로 사용된다. 또한 공업용 알코올과 음료용 알코올을 구별하기 위하여, 공업용에는 독성이 강한 메탄올(에틸알코올)을 소량으로 첨가하여 변성알코올로 만들어 음료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의약용 에탄올·에탄올무수물·소독용에탄올 등이 있다. 에탄올의 농도는 95.1∼95.6%, 무수에탄올은 99.5% 이상이며, 팅크제·주정제·엘릭서제·엑스제·황엑스제 등의 침출제(浸出劑)나 용제로 쓰인다. 에탄올무수물은 삼차신경통이나 암의 말기 등 진통제로는 효력이 없는 심한 통증에 대해 신경차단을 실시할 때 주사(注射)로 응용된다. 소독용 에탄올은 에탄올과 에탄올무수물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농도를 76.9∼81.4%로 만든 것인데, 손가락이나 주사부위의 피부소독에 흔히 쓰인다. 또 피부자극약으로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 바르기도 하는데 기기소독용으로는 부적합하다.
9028 ◆ 주조공장의 부유매진 [鑄造工場의 浮游煤塵] ◆ 주조공장 내에는 몇개의 직종이 있으며, 그 직종에 따라 부유매진량에 차이가 있음. 모래를 취급하는 직종의 부유 매진량은 5.0mg/m³(5,000ppm)에 가까우며 최대임.- 매진
9029 ◆ 주조용전기로의 분진 [鑄造用電氣爐의 粉塵] ◆ 작업중 언제나 일정 농도의 분진이 발생하는것은 아님. 냉재용해(冷材鎔解)의 경우는 전기를 킨 상태의 용해시, 산소 취정(吹精)을 하지 않는 노에서는 전기를 킨 상태에서, 특히 장입개방시에 최대 농도의 분진이 발생함. 배기가스의 온도는 150~800℃, 함진농도는 1~40g/N㎥, 입자의 크기는 0.1`200μm, 배기가스의 성분은 CO 0~5%, SO₂0.01%, SO₃0.004%, CO₂1~12%, 기타 미량의 H₂S, NO₂를 함유함. 분진 성분은 Fe₂O₃50~70%, FeO2~8%, 기타 Al₂O₃, CaO를 함유함.
9030 ◆ 주조작업[鑄造作業, casting] ◆ 금속을 용해, 주형에 주입하여 갖가지 형상의 주물을 만드는 작업, 선철 주물인 경우, 선철의 용해를 큐폴라(鎔銑爐 cupola)로 하는 공장이 많은 바, 큐폴라의 송풍에 의한 소음, 큐폴라의 배기 중에 함유된 분진에 의한 대기 오염, 주형에 모래를 사용할 경우, 사용이 끝난 사형을 헐어 재생시킬때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대기 오염이 발생함.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큐폴라가 진동하는 수도 있음. 용해를 고주파로, 저주파로도 할 때는 소음, 진동, 대기오염이 큐폴라보다 낮음.
9031 ◆ 주택 신축ㆍ개보수ㆍ단열 ◆ 봄과 가을이 짧고 여름과 겨울철이 긴 계절적 특성이 한국적 기후의 특성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기후특성에 적합한 주택은 과연 어떠한 것인가? 후덥지근하고 강렬한 태양이 쏟아지는 여름에 건물이 달궈지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으면서 가옥이 기울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우리는 곧잘 접하게 된다. 봄철 집단장과 함께 우선 주택에서는 여름을 대비해 단열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열재로 적합한 종류는 유리면·석면·질석·퍼라이트 등 무기질 종류가 열에 강하고 스티로폴같은 유기질 단열재는 방습성이 좋아 여름철을 대비한 단열재로 적합하다. 단열시공이 이루어져야하는 곳은 외기와 접하는 외벽 ·지붕· 바닥·창문·문틀 등으로서 뜨거운 외기의 유입을 막아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다. 여름철 실내의 차가워진 공기가 고온·다습한 외기의 영향을 작게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기와 접하는 지붕벽·바닥을 단열하고, 창문이 단창일 경우에는 이중창 또는 복층유리로 시공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와 방음·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요령이 되는 것이다. 단열재는「KS」표시가 있는 허가제품, 열전도율이 낮은 것, 난연 ·불연성인것, 사용장소에 따라 강도가 알맞은 것을 사용한다면 연료비는 30∼ 50%를 줄일 수 있으며 소음과 결로 즉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단열시공시에는 단열재 접합부에 접착재 또는 테이프를 붙여 틈새가 없도록 해야한다. 또 단열시공이 힘든 좁은 공간도 빠짐없이 시공하고 단열재 실내방향으로 비닐필름 등으로 방습층을 유지해 내부결로 현상에 의한 실내표면의 얼룩이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과 단열성능저하를 방지해야 한다. 실내 마감재료는 석고보드와 같은 화재에 강한 준불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빼놓아서는 안된다. 이렇게 단열시공이 이루어질 경우 에너지가 과연 얼마나 절약되는지를 알아보면 가정에서의 에너지사용량이 100일경우 지붕(천정)은 단열전 19에서 6으로 13%가 , 외벽은 39에서 7로 32%가, 창문은 24에서 16으로 8%가, 바닥은 9에서 6으로 3%등 총 50%까지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가뜩이나 우리가 현재 최악의 경제사정인점을 감안하여 조그마한 부분에서라도 절약이 가능한 부분이 있으면 줄여야 한다. 현재 주택단열을 위한 개보수를 위해 에너지관리공단에서는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으로 소요자금의 1백%이내 (가구당 1천만원 이내 )의 자금을 3년거치 5년분할 상환 조건의 연리 9%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국민은행 ·주택은행 ·농협중앙회 등 융자 취급은행을 찾으면 단열시공 지원금을 이용할 수 있다. 여름은 물론 겨울철을 현명하게 보내는 방법은 바로 주택단열이다. 여름철에 아무리 냉방기(에어컨)를 틀어놔도 시원한 공기가 건물벽의 미단열로 인해 외부열이 실내로 전달된다면 냉방의 효과는 그만큼 떨어진다. 또 겨울철에 난방기를 아무리 오랫동안 돌려도 열이 외부로 쉽게 흘러나간다면 난방효과는 감소되어 에너지만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어려운 경제사정하에서 에너지절약만이 에너지수입 감소를 통한 경제회생의 지름길일 것이다. 계절이 바뀜에 따라 주택의 신축·개보수가 계획되어있다면 단열시공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9032 ◆ 주파수[周波數, frequency] ◆ 일번적으로 주기적인 현상에 있어서는 매초 반복되는 회수를 주파수라 함. 진동수와 동의어이나, 흔히 가청역에 미치지 못하는 저주파를 진동수라 하고 가청역 이상의 고주파는주파수라 칭함. 음향학에서 말하는 주파수 범위는 로서, 를 초저주파, 를 가청주파, 를 초음파, 이상을 극초음파라 분류해서 호칭하고 있음. = 진동수.
9033 ◆ 주파수계[周波數計, frequency meter] ◆ 교류주파수의 측정에 쓰이는 지시계기, 진동편형의 주파수계는 상용주파수용으로서 오래 전부터 사용해 온 것으로 0.5 또는 1 Hz 씩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는 진동평군을 전자석으로 진동시킨다. 측정대상의 교류로 전자석을 여자하면, 그 주파수에 공진하는 진동편이 심하게 흔들리므로 진폭이 가장 큰 위치의 눈금을 읽어낸다. 지침형 주파수계는 공진회로, 브리지회로 또는 콘덴서의 충방전 등을 이용하고 주파수를 지침으로 지시한다. 수 kHz 이상인 주파수의 측정은 진공관등을 사용한 측정기에 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헤테로다인 주파수계, 파장계 등도 사용된다.
9034 ◆ 주파수공간[周波數空間, frequency space] ◆ 파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을 가지며, 크기가 주파수(진동수)와 같은 벡터를 원으로하는 공간이며, 파의 속도 c가 일정하면, 파수벡터가 만드는 공간에서 단위를 c/2π 에 잡은 것과 같다. 정상파(정상진동)의 고유진동수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고정벽을 갖는 동방성매질의 직방체(변의 길이 )인 경우에는 공간격자의 격자점이 된다. 진동수가 이하인 고유 진동수의 n 은 원점 O를 중심으로 하고 반경 인 구에 포함되는 격자점 중에서 x,y,z 가장의 부호를 갖는 점의 수로서 주어진다. 이것은 이 된다. 단, 는 보정항이다. 단, 전자파와 같은 횡파인 경우에는 하나의 격자점에서 두개의 독립된 진동이 따르므로 고유진동의 수도 위의 식으로 주어지는 n의 두 배가 된다.
9035 ◆ 주파수대[周波數帶, frequency band] ◆ 어떤 폭을 가진 주파수의 범위
9036 ◆ 주파수변조[周波數變調, freqency modulation] ◆ 반송파의 주파수를 바꾸는 변조이며, FM이라 약칭한다. 반송파의 주파는 변조주파수 의 각각의 진폭에 비례하는 주파수 만큼 중심주파수 F에서 변화한다. 의 절대값의 최대값 를 주파수편이. 를 변조지수라한다. 신호잡음비가 좋고 페이딩의 영향이 없고, 일그러짐이 적은 양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신호잡음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변조지수, 따라서 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측대파는 n을 양의 정수로 하여 일반적으로 가 생기므로 대단한 광대역을 필요로하고, 실용상은 2.6 로 취하나 F를 30MHz의 초단파 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신에는 슈우퍼헤테로다인 등으로 증폭하고 나서 진폭제한기와 주파수 변별기를 사용하여 주파수편이에 비례한 저주파 출력을 취한다. 방송, 경찰무선, 텔레비전중계 등에 널리 채택되고, 특히 마이크로파 영역의 연속파통신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 FM방식이 사용된다. 또, 텔레비전 방송의 음성 부분도 FM이다. 가속기의 가속전압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도 주파수변조라 불리며 신크로사이클로트론을 FM사이클로트론 이라 말할 때가 있다.
9037 ◆ 주파수변환관[周波數變換管, converter tube] ◆ 슈우퍼헤테로다인의 제1검파관, 즉 고주파입력 중간주파로 변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진공관이며, 혼합과 국부발진의 작용을 겸하는 것을 말한다. 출력전류를 입력 전압으로 나눈 것을 변환콘덕턴스라 하고, 이것이 크고 불필요한 고주파가 작도록 만들어진 다격자 진공관이 많이 사용된다. 5격자변환관, 국부발진용의 3극관부를 따로 갖는 3극, 6극 변환관 등이 있다.
9038 ◆ 주파수분석[周波數分析, frequency analysis] ◆ 소음은 주파수가 같지 않은 여러 종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음. 소음을 주파수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주파수분석이라고 함. 분석 결과는 횡축에 주파수를, 종축에 음압레벨을 나타냄으로서 그림으로 표시함. 분석에는 주파수 분석기가 사용됨.
9039 ◆ 주파수분석기[周波數分析器, frequency analyzer] ◆ 주파수를 분석하는 기기. 옥타브 분석기, 1/3옥타브, 분석기, 정주파폭 연속 분석기등 여러 종류가 있음.
9040 ◆ 주파수성분[周波數性分, frequency component] ◆ 음이 어떤 주파수의 음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가를 나타낸 것. 예를 들어 모터 소음의 주파수 분석을 했을 경우, [모터 소음의 주파수성분은 저음부가 많음] 이라고 표현함.
9041 ◆ 주파수와 파장이란 무엇인가? ◆ 주파수는 시간적으로 정현파 형태로 진동하는 파동의 경우, 1초에 진동하는 횟수를 의미하며 단위는 Hz(헤르쯔)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60 Hz란 1초에 60번 진동한다는 뜻입니다. 참고로, 셀룰라 휴대폰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는 약 850 MHz, PCS 휴대폰은 약 1.8 GHz입니다. (1 MHz는 106 Hz, 1 GHz는 109 Hz입니다.) 파장은 파동이 공간상을 진행할 때, 동일 시점에서 파동의 마루와 마루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전파(傳播) 속도를 주파수로 나눈 양과 같습니다. 따라서 파장은 길이의 단위(m)를 써서 나타냅니다.
9042 ◆ 주파수특성[周波數特性, frequency response] ◆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특성, 녹음기의 주파수 특성이라고 함. 음의 주파수의 차이에 의해 음향 기기의 감도, 감쇠량, 흡음률등의 변화가 야기됨. 소음계에 있어서의 소음의 A,B,C특성은 주파수의 차이가 (인간)귀의 감도에 주는 변화임.
9043 ◆ 주행식 살수기[走行式 撒水器 driving sprinkler] ◆ 살수여상으로 쓰이는 살수장치의 일종으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가진 관 또는 홈통을 달아서 설치한 가교상의 살수기를 말하며, 4각형여상에 사용되며, 여상벽상의 rail 상으로 건너질러, 왕복주행하며 피처리수를 살수한다. 수두는 0.3 정도, 주행속도는 20m/min 정도로 균일한 살포를 행하나, 바람과 눈이 올때는 운전이 어렵다.
9044 ◆ 주행식살수기[走行式 撒水器] ◆ 살수여상법의 살수방법의 일종. 여과 바닥 표면에 평균적으로 살수하기 위하여 주행식 살수기를 사용함. 주행식 살수기의 속도는 20m/min정도이며 살수량은 30㎤ /㎡ /일을 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음.
9045 ◆ 주형법[鑄型法] [ molding process ] ◆ 유사에 정결제로서 규산소다를 3∼6% 첨가하여 혼합한 후 보통 사형과 같은 방법으로 조형을 하되 형틀을 들어내기 전에 가스를 주형에 뿜어서 경화시키는 방법. 이 방법을 쓰면 건조시키지 않고도 단단한 주형을 만들 수 있다. 특히 코어의 제작에 적합하고, 주물의 표면 및 치수의 정도가 비교적 양호하다.
9046 ◆ 죽암도 ◆ 일반개요 행정구역: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산 204 외 7 면적: 51,470㎡ 토지소유현황: 사유 자연환경 지형·지질·경관 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바위섬으로 3개의 시스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이 68m이다. 기반암은 화산암류로서 동쪽은 화산쇄설암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이외는 안산암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산쇄설암층은 서쪽으로 28。 기울어져 있고 층리의 발달이 뚜렷하다. 이 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직경 2~3m의 거력들은 곳에 따라 파식과 풍식 그리고 염화작용 등에 의해 제거되면서 타포니(tafoni)형으로 남아있다. 안산암질암은 전체적으로 주상절리가 치밀하게 발달, 특히 서쪽의 시스택은 이로 말미암아 성채와 같은 경관을 나타내고 있다. 섬 주위는 높이 3~12m, 경사 70~85。의 해식애로 되어 있고, 해식애는 동쪽에서 발달이 뚜렷하나 서쪽으로 갈수록 미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동쪽 해안의 해식애 기저에는 너비 30~100cm, 높이 1~3m의 소규모의 해식동굴이 약 10m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쪽 해안에는 너비 2~3m의 좁고 긴 파식대가 발달한다. 육지식물·식생 개요 죽암도는 북위 34。42', 동경 128。 03'에 위치하며, 동서방향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섬으로 동남쪽은 해발 약 68m로 가장 높고 서쪽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남쪽은 가파른 절벽이며 북쪽사면은 완만하였다. 미조항의 남쪽에 가깝게 인접한 섬으로 육지식물의 유입이 많았다. 섬 전체가 해송림으로 소나무도 드물게 출현하며, 정상의 능선부는 상층에 굴참나무도 일부 나타나고 중층에는 굴참나무와 자귀나무, 붉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북사면의 낮은 지역에는 중하층에 광나무와 돈나무, 사스레피, 동백나무, 다정큼나무의 상록활엽수가 울창하며, 만경류인 모람과 왕모람, 마삭줄, 담쟁이덩굴이 높은 밀도로 해송에 기어 오르고 있었다. 하층과 초본층은 새와 참억새, 산거울, 구절초, 해변싸리, 층꽃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출현종 및 주요종 48과 100속 108종 15변종 1품종 총 124종류가 출현하며, 주요종은 해송이며 소나무도 드물게 출현하였다. 정상의 능선부에는 굴참나무와 자귀나무, 검노린재나무, 예덕나무, 소사나무, 진달래, 굴피나무, 해변싸리, 덜꿩나무, 떡갈나무, 해송, 칡, 붉나무가 나타나고 있었다. 북사면의 낮은 지역 해송림에는 광나무와 돈나무, 사스레피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울창하며, 덩굴성 식물인 모람과 왕모람, 마삭줄, 까마귀머루, 단풍마, 담쟁이덩굴이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하층과 초본층은 주로 새와 참억새, 산거울, 구절초, 술패랭이, 해변싸리, 계요등, 참취, 실새풀, 층꽃나무 등이 높게 출현하였다. 동쪽 정상부에는 귀화식물인 붉은서나물 군락이 약 15×20m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남쪽과 동쪽의 절벽과 암석지에는 돈나무와 다정큼나무가 군생하고 갯까치수영과 도깨비고비, 해국, 낚시돌풀, 무릇, 갯기름나물, 도깨비바늘, 털진득찰, 방동사니, 번행초, 땅채송화가 드물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기사항 붉은서나물(Erechtites hieracifolia Ref.)군락-미국원산의 1년생 초본으로 귀화식물인 붉은서나물은 우리나라 전지역에 넓게 퍼져 있으며, 죽암도 뿐만 아니라 이번 조사대상 도서 중 대부분의 섬에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으며, 죽암도에는 정상부 능선에 약 15×20m면적의 큰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고, 군락 주변에도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죽암도는 붉은서나물 뿐만 아니라 귀화식물인 미국가막사리도 출현하였으며, 칡과 더불어 굴피나무, 벚나무, 팥배나무,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등 육지식물들의 유입이 많았다. 육지동물 개요 본 도서는 유인도인 조도와 인접하여 있고 식생도 비교적 다양하므로 육지동물상은 일반 육지와 흡사하나 조금 다른 점은 이동하기 전의 백로류가 많이 모여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나 많은 염소를 방목하고 있어 생태계가 상당히 교란될 우려가 있다. 출현종 왜가리(36), 중대백로(2), 바다직박구리(3), 괭이갈매기(17), 흑로(2), 동박새(2), 박새(1), 직박구리(1), 붉은머리오목눈이(5) 등 조류 9종이 출현하였으며 쥐의 서식흔적은 확인되었으나 양서·파충류는 확인할 수 없었다. 특기사항 염소의 대량 방목에 의한 생태계의 교란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해안무척추동물 조사지점은 남쪽해안 중앙부에 넓게 펼쳐진 암반지대로 약간 경사지고 지형이 단순하여 해안동물상이 단조롭다. 출현종은 해면동물 3종, 자포동물 1종, 환형동물 5종, 연체동물 17종, 절지동물 9종, 극피동물 1종 등 모두 36종이었다. 조간대 동물의 대상분포는 상부로부터 좁쌀무늬총알고둥-조무래기따개비-검은큰따개비-굵은줄격판담치의 순서로 나타나며 조간대 하부에 대수리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굵은줄격판담치는 조간대 중부와 하부에 군집을 이루어 서식하며 그 아래 얕은 물속에 진주담치가 밀생하였다. 굵은줄격판담치 군집에는 총알고둥이 혼서하기도 하며 틈속에는 둥근이빨참갯지렁이, 큰깨점박이참갯지렁이, 아가미비늘갯지렁이, 긴다리송곳갯지렁이, 애기털군부, 좀털군부, 가시다리뿔잔벌레 등이 살고 있다. 해조 속에서는 두점참갯지렁이와 술병부리바다거미가 알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도가 강하기 때문에 고둥류는 우점종인 좁쌀무늬총알고둥 외에는 개울타리고둥, 두드럭고둥, 맵사리가 소수 서식하고 있을 뿐이다. 해변에는 회색해변해면, 주황해변해면, 황록해변해면 등 다양한 해면류가 보이지만 해변말미잘류는 볼 수 없었고 단지 작
9047 ◆ 죽음의 공기 ◆ 산소 함유량이 적은 공기로서 그 공기속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공기. 일반적으로 공기중의 산소 함유량은 20.95%임. 16%가 되면 불이 꺼지고, 10%에서는 의식 불명, 6~8% 에서는 6분동안 반 수가 사망하며, 4%에서는 40초 동안에 전원이 사망한다고 함.
9048 ◆ 죽음의 재 ◆ 핵 분열성 우라늄, 플루토늄의 원자핵이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중성자와 반응하면 커다란 에너지를 내면서 두 개의 파편으로 분열한다. 이 파편이 핵 분열 생성물(죽음의 재)이라는 것인데 방사선을 낸다. 이러한 분열 방식은 다양하기 때문에 죽음의 재 또한 다종의 핵 종으로부터 생성된다. 따라서 분출되는 방사선의 종류, 강도, 수명 등도 핵종에 따라 다르다. 핵 폭탄의 폭발이나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은 핵분열을 이용한 것이므로 반드시 죽음의 재를 만들어낸다. 죽음의 재의 양(무게)은 분열에 사용된 핵 연료의 무게와 같아 원자력발전소를 1년간 운전하면 약 1t의 죽음의 재가 나온다. 이는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폭 약 1천 발분에 해당한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수명이 짧은 핵종은 원자로내에서 감소하기 때문에 실제 내장량은 이보다 적다. 운전상황에 따라서도 내장된 방사능의 종류나 양은 다르지만, 장시간운전한 원자로내에는 대충 1백억 퀴리 정도의 죽음의 재가 쌓여 있는 것이다. 방사성 물질은 천연에도 존재하지만 죽음의 재 대부분은 인간이 새롭게 만들어낸 것으로 인공방사능에는 자연방사능과 비교하여 특히 위험한 핵종이 적지 않다. 핵 실험이나 원자력발전소 사고, 재처리공장의 조업 등에 의한 죽음의 재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인체 안의 방사능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9049 ◆ 준공공재 ◆ 개인이 소유하는 사적 재산과 불특정 인간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재의 중간적 성질을 가진 재산, 서비스를 말한다. 이를테면 공공교통, 교육, 도서관 등. 여러 회원이 같은 재산 또는 서비스를, 타인의 소비를 줄이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회원 재산도 준공공재이다.
9050 ◆ 준대수층 ( 準帶水層 aquitard ) ◆ 점토나 실트와 같이 세립질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공극률이 커 다량의 지하수를 함유할 수 있으나 지하수가 잘 통과되지 않아 지하수의 산출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층을 말하며, 지연대수층(遲延帶水層)이라고도 한다.
9051 ◆ 준설 ◆ 물의 깊이를 증가시켜 배가 잘 드러나게 하기 위하여 하천·항만등의 바닥에 쌓인 모래나 암석을 파내는일.
9052 ◆ 준설물질 [浚渫物質 dredging materials] ◆ 하천이나 해안바닥에 쌓인 침전물질을 파낸 물질이다. 준설물질의 2/3는 항구, 강, 기타 해로가 막히는 것을 막기 위한 유지활동의 결과 발생한다. 준설물질은 해양에 폐기되는 물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며, 매년 내수에 투기되는 준설물질의 양은 1억 톤~1억천 톤이고, 영해, 대륙붕, 경제수역 등에 투기되는 양은 1억5천 톤~4억 톤에 이른다. 준설활동은 어류 서식지를 파괴하며, 준설물질의 약 10%는 카드뮴, 수은 등 중금속, 살충제, 질소, 인 등 유독성 폐기물로써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어서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오염원 관리를 통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런던협약에서는 1995년 제 18차 협의당사국회의에서 결의안 LC.52(18)에 따라 준설물질 평가체제(Dredged Material Assessment Framework: DMAF)를 채택하여 준설물질의 해양투기를 규제하였으나, 2000년 제 22차 협의당사국회의에서 준설물질 평가용 특정지침서(LC 22/14 Annex 3)를 채택함으로써 이를 대체하고 있다.
9053 ◆ 준왜성[準矮星, sub-dwarf] ◆ 헤르쯔쉬프롱-럿셀강의 주계열의 아래에 평행으로 줄짓는 대상영역에 분포하는 항성, 스펙트럼형이 F형이하의 것은 금속 등의 중원소함유량이 보통의 항성보다 적으로므로, 스펙트럼형은 표면온도에 대응하지 않고, 표면온도를 횡축에 잡고 나다내면 주계열성(왜성)과 구별이 어려운 것을 알았으나 습관상 준왜성이란 이름 그대로 쓰이고 있다.별의 종족 II의 대표적인 항성이며, 대부분은 고속도성이다. O형, B형에는 표면온도가 같은 주계열성보다도 실제로 어두운 준왜성이 존재하나,항성진화론적으로 보아 F형이하의 준왜성 과는 별종인 것 같다. 중원소(重元素)가 결핍되어 있는 왜성의 일종. 왜성보다 약 0.5등급 어두운 별로 광도계급(光度階級)은 Ⅳ이다. H―R도 상의 주계열 아래에 띠모양으로 평행한 영역의 항성군으로 1930년대에 미국의 W.S.애덤스가 처음 발견하였다. 그 후 연구결과, 이 별들은 대개 종족 Ⅱ에 속하는 중원소가 적고, 또 고속도(高速度)별임이 밝혀졌다. 중원소 원자에 의해 청색∼보라색 영역에 걸친 선스펙트럼흡수가 적기 때문에, 같은 질량·연령의 왜성에 비해 더 푸르게 보이고 어두운 쪽 계열을 형성한다. 은하계 내 중원소 합성의 역사를 살피는 데 중요하다. 신성 Nova Aquilae 1918은 준왜성이다. → 왜성
9054 ◆ 준환경[準環境, pseudo-environment] ◆ 환경에 관하여 인간이 갖는 이미지(image), 곧 인간의 뇌중에 있는 세계상. 미국의 리프만(lippmann)에 의하면 인간은 이 준환경에 반응 적응하며 준화경만이 인간이 사고나 감정 및 행동을 결정하는 요소라 설명함.
9055 ◆ 줄납자루 ◆ 분포, 생육지 : 한반도(압록강과 낙동강 사이의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모든 하천과 수계) 형태 특성 : 몸 길이는 암컷 12cm, 수컷 16cm이다. 몸은 좁고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작고 옆으로 납작하며 높이는 비교적 낮다. 눈은 머리의 양쪽 옆면 가운데보다 조금 앞에 있고 위로 붙는다. 주둥이는 뾰족하며 입은 말굽 모양에 짧은 수염이 1쌍 있다. 측선은 뚜렷하고 배쪽으로 약간 휘어진다. 몸 빛깔은 은백색이며 옆구리 위쪽의 등은 암갈색이고 측선에 가까울수록 짙어진다. 몸 옆구리에는 여러줄의 암청색 줄무늬가 몸 중앙을 지나 미병부에 이른다. 생태 특성 : 물이 맑고 물풀이 우거진 하천이나 늪지에서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수생곤충, 물풀과 돌에 붙은 미생물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4월 하순에서 6월 상순으로 조개의 체내에 알을 낳는다.
9056 ◆ 줄종개 ◆ 분포, 생육지 : 한반도(섬진강 수계) 형태 특성 : 등지느러미 연조수 7, 뒷지느러미 연조수 5, 척추골수 43~45, 새파수 17~18. 몸 길이 10cm. 몸 바탕은 담황색으로 머리에는 눈을 가로지르는 폭이 좁은 진한 갈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뺨에는 갈색 반점이 산재한다. 체측에는 2줄의 갈색 세로줄 무늬가 있으며, 그 사이에 희미한 불연속적인 선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암갈색 줄무늬가 2~3개 있고, 꼬리지느러미 기점의 위쪽에는 1개의 검은색 반점이 있다. 생태 특성 : 하천 중류의 유속이 완만하고 깨끗한 하천의 모래바닥에 산다. 주로 수서 곤충 등 작은 동물을 먹고 살며, 산란기는 5~6월로 추정되지만 생활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특이사항 : 하천 중류의 유속이 느리고 깨끗한 하천의 모랫바닥에 서식한다. 주로 수서 곤충 등 작은 동물을 먹고, 산란기는 5~6월이다.
9057 ◆ 중간권[中間圈, mesosphere] ◆ 대기권을 연직으로 나누었을 때 해발고도 48∼80㎞의 범위. 대기의 성층권과 열권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이며, 높이는 50~80km에 이른다. 높이가 증가함과 동시에 온도는 약 0 에서 약 -80℃ 까지 낮아지고, 평균 -50℃ 정도이다. 중간권과 열권 성층권의 위로부터 높이 고도 약 80km까지를 중간권이라고 하며 중간권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져 상부에선 약 -100℃ 의 기온을 나타내며 중간권으로부터 위를 열권이라 하며 고도 약 500~700km 까지를 말하며 공기가 매우 희박하여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중간권 아래에는 성층권이 있고, 위에는 열권이 있다. 중간권의 기온은 아래 끝 성층권 계면이 약 0℃로 가장 높고, 위로 올라감에 따라 계속 떨어져 위 끝 중간권 계면은 -90℃에 이른다. 기온이 높이에 따라 감소되지만 수증기의 응결현상이 없으므로 연직운동에 대해 안정하며 대류작용(對流作用)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아래로부터 전파되어 오는 내부중력파의 쇄파(碎波)에 따라 난류(亂流)가 생겨 아래위가 섞인다. 중간권 상부에는 계절에 역행하여 겨울에 기온이 높고 여름은 낮다. 여름에는 야광운(夜光雲)이 생긴다.
9058 ◆ 중간기술 ◆ 기술에는 원자력 발전소, 점보 제트기 같은 거대기술과 시계, 볼펜, 센서, 세라믹 같은 소기술이있다. 거대기술의 특징은 원자력발전소·탱커 사고, 제철소의 배기가스·배수오염, 제트기 소음 등 환경파괴나 사고에 의한 피해와 자원 낭비가 크다는 점이다. 또한 중앙집중 제어 시스템으로 운전되는 탓에 그 설비를 이용하는 수많은 사람에게 기술의 전모가 파악되지 않는 점도 있다. 한편 볼펜 같은 작은 기술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되어 쓰고 난 뒤 그대로 버려지기 때문에 결국은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9059 ◆ 중간물질[中間物質, intermediate] ◆ 벤젠·톨루엔·크실렌·나프탈렌 등 석탄·석유 화학공업의 1차제품을 원료로 하여 각종 단위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염료합성용 유도체의 총칭. 염료중간물(dye lntermediate)이라고도 한다.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인 것으로 니트로벤젠·아닐린·클로로벤젠·니트로톨루엔·1―나프틸아민·2―나프톨·무수프탈산·안트라퀴논 등이 있다. 단위공정에는 술폰화·니트로화·니트로소화·할로겐화·암모놀리시스·프리델크라프츠아실화·환원·알칼리융해·디아조화 등이 있다. 이들 반응에 의해서 얼마나 경제적이며 유리하게 중간물질을 합성하느냐가 합성염료공업의 관건이 된다. 합성의약·합성향료·농약·고무약품·사진용약품·플라스틱 등의 합성에도 이용되므로, 중간물질로서 다른 분야의 유기합성화학공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9060 ◆ 중간반응[中間反應, intermediate reaction] ◆ 연속반응을 구성하는 제 반응의 범위내에서 최초의 반응과 최종생성물이 생기는 최후의 반응 이외의 것을 일괄하여 말한다. 전반응의 출발물과 생성물 이외에 반응 도중에 생성되어 그것을 거쳐 전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반응중간체라 한다.
9061 ◆ 중간상태[中間狀態, doorwaystate] ◆ 핵반응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에너지를 그 반응의 한계값이라고 한다. 핵융합반응으로 얻어지는 에너지는 중수소와 초(招)중수소가 반응하여 α입자와 중성자로 될 때 방출되는 17.6Me V의 에너지이다. γ선·전자는 표적 원자핵과 전자기적(電磁氣的) 상호작용에 의하여 핵반응을 일으키지만, 충돌입자가 핵자·원자핵이면 표적핵과 핵력에 의하여 강한 상호작용을 한다. 입사입자가 표적핵에 접근하면 그 사이에 강한 인력의 일체 퍼텐셜이 작용하여 입사입자속(beam)의 일부는 그 퍼텐셜에 의해 산란하고, 다른 일부는 표적핵과 충돌하여 원자핵을 들뜨게 하거나 핵자를 방출한다. 따라서 입사에너지가 보존된 채 산란하는 입자의 수는 감소한다. 이것은 마치 빛이 반투명 유리공에 의해 산란되는 경우와 비슷하여 일부는 흡수되어 버린다. 흡수는 파수(波數)에 허수(虛數)부분을 더함으로써 기술되며, 원자핵에 의한 입자의 탄성산란도 허수부분을 일체 포텐셜에 더함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이를 광학 퍼텐셜이라 하며, 탄성산란을 광학 퍼톈셜에 의한 산란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광학모형이라 한다. 원자핵은 입사입자 특히 핵자에 대해 공명상자와 같은 작용을 하며, 그것에 맞는 파장의 핵자를 충돌시키면 광학 퍼텐셜의 허수부에 해당하는 공명현상을 일으킨다. 이를 거대공명 또는 형상공명이라 하며, 입사에너지를 수백만e V 정도까지 관측할 수 있다. 이 공명현상으로부터 광학 퍼텐셜의 형상 및 깊이를 정밀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탄성산란을 제외한 반응으로는 첫째 직접반응이 일어난다. 직접반응에서는 입사입자가 표적핵의 핵자와 충돌하여 들뜨는 비탄성산란, 핵 밖으로 튕겨나가는 녹아웃 산란, 입사입자가 핵자와 함께 방출되는 픽업 반응 등이 있다. 입사입자가 중(重)양성자 또는 원자핵일 때 그 구성핵자가 표적핵에 포착되는 반응을 스트리핑 반응, 또 입사핵이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붕괴되는 반응을 브레이크업반응이라 한다. 실제로는 1회의 직접상호작용에 의해 반응이 일어나고, 다단계과정을 거쳐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 입사입자와 표적핵이 일체가 되어 복합핵을 형성한 뒤 붕괴하는 복합핵과정도 있다. 복합핵 형성까지의 과정에 때때로 공명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있는데, 형상공명폭과 복합핵공명폭의 중간 정도 크기 폭을 가지므로 중간공명이라고 한다. 직접반응에서 복합핵상태에 이르는 이런 상태들을 중간상태(doorwaystate)라 하여 구별한다. 고(高)에너지 입사입자에 의한 반응, 즉 고에너지 핵반응에서도 입사입자의 파장이 짧아 핵내 핵자와 충돌할 때 다른 핵자는 관여하지 않으며, 따라서 자유공간에서의 핵자와 핵자의 산란으로 나타낼 수 있다.
9062 ◆ 중간생성물[中間生成物, reaction intermediate] ◆ 〓반응중간체
9063 ◆ 중간유분 ◆ 원유에서 정제된 각 제품중 가솔린, 나프타를 경질유분, B, C, 중유를 중질유분이라고 말하는 데 대하여 등유, 경유, A중유를 중간유분이라고 말하고 있다.
9064 ◆ 중간유출 ( 中間流出 interflow ) ◆ 강우 등에 의해 지하로 스며든 물이 지하수면까지 도달하지 않고 불포화대를 통과하여 지표나 하천으로 유출하는 것을 말한다.
9065 ◆ 중간자[中間子, meson] ◆ 소립자(素粒子) 가운데 질량이 전자·양자의 중간값을 가지는 것의 총칭. 메소트론이라고도 한다. 즉 소립자 가운데 스핀(플랑크 상수를 h 로 하고, 를 단위로 하는 자전 각운동량의 크기)이 정수(整數)이고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입자의 총칭이다. 대표적인 것은 일본의 유카와 히데키〔湯川秀樹〕가 그 존재를 예언한 π중간자로 +1, -1, 0의 전하(전기소량단위)를 가지는 3종류가 있는데 이와 같이 전하가 다른 것을 따로따로 세어 보면 이미 100종에 가까운 중간자가 발견되었다. 소립자는 물질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생각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서로 전기적으로 100배 정도의 강한 힘을 미침) 것을 강입자족이라 하며 소립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강입자는 다시 스핀이 반정수(半整敷)인 중입자(대표적인 것은 양성자와 중성자)와 스핀이 정수인 중간자로 분류된다. 중간자 이론 원자핵 속에서 양성자·중성자를 결합하고 있는 힘(核力)을 매개하는 입자로서의 중간자 존재를 예상한 이론이다. 유카와이론이라고도 한다. 1935년 유카와는 이 중간자론을 발표하여 4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이미 1932년 전자와 함께 원자를 구성하는 원자핵이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런데 핵자를 결합시켜 원자핵을 만드는 새로운 힘, 즉 핵력은 하전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쿨롱의 힘과 비교하면 세기가 100배 정도 크고, 원자핵 크기( ) 정도의 짧은 거리에서만 작용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그 본성은 당시 전혀 밝혀지지 않았다. 유카와는 핵력은 U입자라는 미지의 입자가 핵자 사이에서 교환됨으로써 생기는 것이라고 하였다. U입자가 거리 r 만큼 떨어진 2개의 핵자 사이에서 교환되면 핵력의 위치에너지는 기본적으로 로 나타내어진다. c 는 빛의 속도, m 은 U 입자의 질량인데, 로 두고, 원자핵의 크기로부터 를 취하면, U입자의 질량에너지는 이다. 즉 U입자는 전자와 핵자의 [중간] 질량을 가지게 된다. g 는 U입자와 핵자의 상호작용 세기를 나타내는 결합상수로, 핵력이 강하므로 는 큰값(강한 상호작용)을 갖는다. 유카와는 핵자가 방출하는 U입자가 전자와 중성미자(뉴트리노)로 붕괴된다고 보고 원자핵의 β붕괴도 설명하려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보면 유카와 이론은 자연계의 여러 힘을 통일적으로 다루려는 소립자물리학 통일이론의 한 선구라고 할 수 있다. 37년에 우주선(宇宙線) 속에서 발견된 입자가 유카와이론의 예상과는 달리 원자핵과 강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점에서 사카다 쇼이치〔坡田昌一〕 등은 이 μ입자를 U입자와 다른 입자로 2종류의 중간자가 존재한다고 하였다(2중간자론, 1942). 핵력을 매개하는 π 중간자(파이온)는 47년 우주선 속에서 발견되어 이듬해에 가속기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생성되었다. π 중간자는 인데 중간자 가운데 가장 질량이 작다. μ입자(뮤온)는 스핀이 1/2이므로 현재로는 중간자로 분류하지 않고 전자나 중성미자와 함께 소립자의 경입자(렙톤)족으로 분류한다. 중간자의 구조 중간자는 스핀 1/2의 입자 쿼크 q와 그 반입자(反粒子)인 반쿼크 q_가 결합한 상태이다. 쿼크·반쿼크 및 그것들 사이에서 교환되어 힘을 매개하는 글루온(gluon)은 [색전하(色電荷)]라고 하는 양자수를 가지며 색전하에 의한 힘의 성질에서 중간자(일반적으로 강입자) 내부에 갇혀 있다고 보고 있다. 100종류나 되는 중간자의 여러 가지 성질은 그것들이 q와 q의 결합계라는 점에서 이해된다. 몇 가지 예를 들면 3종류의 π 중간자 (오른쪽 위는 전하 Q )는 스핀 J 와 패리티 P 가 공통( )이고 〔표1〕에 표시한 것처럼 질량도 거의 같다. 여기서 패리티 P 란 공간좌표를 반전시키는(우회전좌표계를 좌회전좌표계로, 또는 그 역으로 바꾼다) 경우 그 입자의 파동함수와 관계되는 부호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전하만 다르고 다른 성질은 동일한 중간자를 아이소 다중항이라 하는데, 정수나 반정수의 아이소 스핀 I 를 부여하고 전하 Q 는 I + S / 2부터 - I + S / 2에 이르는(2I + 1)개의 값을 취한다. 정수 S 를 스트레인지니스 양자수라고 한다(나카노―니시지마―겔만의 법칙). 〔표1〕에 표시한 가장 질량이 작은 중간자의 무리는 S = 0인 아이소 3중항 π, S = 1인 아이소 2중항 K , S = -1인 아이소 2중항 K_, S = 0인 아이소 1중항 π인데, 이들 8개의 중간자는 가 공통이고 질량도 거의 같으므로 유니터리 8중항을 만든다고 한다. 〔표2〕는 다음으로 질량이 작은 의 유니터리 9중항 중간자를 표시한다. 〔표1〕과 〔표2〕의 중간자는 질량이 작은 3종류의 쿼크 u, d 또는 s와 그 반쿼크 , d _ 또는 s _ 가 궤도각운동량의 크기 0의 바닥상태에서 스핀 반평행 또는 평행으로 결합한 계(系)이다. 이와 같이 계통적으로 많은 중간자가 존재하는 것은 그것들이 q와 q _ 의 결합계라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인데, 등의 양자수, 다중항의 형성, 질량·수명 등 여러가지 붕괴양식 등도 이 구조에서 이해된다. 70년대에 접어들어 참(charm) 양자수 C 를 가지며 질량이 큰 쿼크 c와 , d _ 또는 s _ 로 이루어지는 중간자(〔표3〕의 D와 F), c와 그 반입자 c _ 의 결합계(〔표3〕의 ), 또한 질량이 큰 쿼크 b와 b _ 의 결합계로 볼 수 있는 중간자(〔표3〕의 ) 등이 발견되었다. 중간자는 앞으로도 더 많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개의 q와 2개의 q _ 결합계나 글루온만의 결합계도 중간자의 종류로 분류해야 하나 그것에 대한 확증은 아직 얻지 못하고 있다. 중간자가 원자핵에 흡수되면 그 질량에너지가 방출되어 원자핵은 많은 파편으로 파괴되는데 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9066 ◆ 중간처리[中間處理, intermediate treatment] ◆ 폐기물의 최종처리(매립해안투기처분)하기전에 부담의 경감이나 환경영향저감화를 목적으로 폐기물의 감량화 안정화 무해화등을 목적으로 한 처분을 말함. 파쇄, 선별, 고형화, 탈수, 건조, 압축 등 물리적처리와 소각, 중화, 혐기성소화 소결 등 화학적처리방법이 있다.
9067 ◆ 중간탈황 (Intermediate desulfurization) ◆ 중유 탈황에 있어서 수소화 탈황법의 일종으로, 원유를 상압증류 시키고 남은 기름을 갑압증류하여 경유와 잔유로 분리하고, 잔유를 용제 탈력장치를 통해 아스팔트상 물질을 제거하고, 분리한 감압경유와 혼합하여 탈황장치에 의해 탈황유를 얻는 방법이다 직접탈황법에 비하여 촉매독의 피해를 어느 정도 피할 수가 있다.
9068 ◆ 중고기 ◆ 분포, 생육지 : 한반도(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 형태 특성 : 몸 길이는 10~16cm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지만 머리는 둔하게 뾰족하다. 눈이 작고 눈 사이는 넓다. 입은 작고, 윗입술은 얇고 가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다. 입에 미세한 수염이 1쌍 있고 비늘은 큰 편이다. 몸 빛깔은 등쪽이 암녹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생태 특성 : 물살이 느리고 수심 1m 안팎의 바닥에서 주로 헤엄을 치며, 진흙이 섞인 모래와 자갈이 깔려 있고 물풀이 많은 곳을 좋아한다. 주로 수생곤충, 갑각류, 실지렁이 등의 동물성 먹이를 잡아 먹는다. 산란기는 대개 5~6월로 조개의 몸 안에 알을 낳는다. 특이사항 : 하천과 저수지의 수초가 있는 곳에 서식하며, 물 속의 작은 동물을 주로 먹는다. 산란기의 암컷은 산란관을 내어 조개에 산란한다.
9069 ◆ 중공음극램프[中空陰極램프, hollow cathod lamp] ◆ 원자흡광 분석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공 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저압의 네온과 함께 채운 방전관.
9070 ◆ 중공음극방전관[中空陰極放電管, hollowcathodedischarage tube] ◆ 스텍트럼연구용의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방전관의 일종. 음극은 내경 10mm내외의 중공원통으로 양극과 마주보고 있다. He,Ar등을 0.1Torr정도의 압력으로 하고 직류방전을 행하면 음극내면에서 음극광이 밝게 빛나고, 음극 중에 금속을 넣으면, 금속의 선이 강하게 나온다. 그 스펙트럼선은 예리하고 또한 이온의 선이 강하므로, 초미세구조의 연구, 간섭계의 광원, 스펙트럼분석의 광원등에 이용된다. F.Paschen이 발명하였으나, L.H.Schuler가 여러가지로 개조 발전시켰으므로 슐러방전관이라고도 한다.
9071 ◆ 중국 강제인증제도(CCC) ◆ 강제인증제도(CCC)는 중국내에서 생산, 유통되거나 중국으로 수출되는 제품 및 부품 가운데 강제인증품목에 해당하는 제품은 반드시 IEC(국제전기표준협회) 및 중국국가표준에 준하여 안전 및 품질인증을 받도록 하는 제도로 반드시 CCC마크를 획득해야만 중국내 판매가 가능 과거 중국의 제품안전 인증제도로써 국내상품에 적용되던 CCEE마크와 수입상품에 적용되던 CCIB마크가 WTO의 내국민대우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을 받아 하나로 통합된 CCC마크로 변경 2003. 5. 부터 대상품목에 해당되는 상품은 반드시 강제상품인증서를 보유하고 CCC마크를 표시해야만 출고, 수입, 판매가 가능 대상품목 : 2006년 7월 말 현재 전선 및 케이블, 전기스위치, 가정용 전기제품, 정보기술장비, 영상음향설비, 조명장비, 자동차 및 부품, 타이어, 전동공구, 의료기기, 완구류, 소방설비, 농기계 등 22개 분류에 해당하는 159개 품목이 강제인증 대상품목으로 지정 ※ 2003년의 1차 강제인증 시행품목(19개 분류 132개 품목) 발표 이후 추가 지정된 주요품목별 강제인증 시행일
9072 ◆ 중국 배터리규제 ◆ * 원문제목 : 고형폐기물 환경오염 방지법- 폐전지 오염방지 기술정책 * 근거법률 : 고형폐기물 환경오염 방지법 - 폐전지 오염방지 기술정책 * 대상지역 : 중국 * 대상업종 : 전기전자, 자동차 * 발효시점 : 2003년 10월 9일 * 주무기관 : 환경보호총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건설부, 과학기술부, 상무부 고형폐기물 환겨오염 방지법에 따라 제정된 기술정책으로 배터리의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고, 폐배터리를 유해폐기물로 분류하여 생산 및 사용부터 수집, 운반, 재활용까지 관리규정을 명시 * 수은 사용의 점진적 감축 - 수은함량 0.025% 이상인 배터리의 판매금지 - 2005년부터 수은함량 0.0001% 이상인 아연×망간 배터리와 알칼리성 아연×망간 배터리 중국내 생산 금지 - 최근 2006년부터 수은함량 0.0001% 이상인 알칼리성 아연망간 배터리의 수입 및 판매를 금지하는 개정안 제출 * 니켈카드뮴 배터리, 납축전지, 기타 유해배터리에 대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저비용 회수처리를 규정. 특히, 폐납축전지에 대해서는 회수 이용하도록 의무화하고 다른 방법으로 처분하는 것을 금지
9073 ◆ 중국의 오염총량관리제 ◆ * 중국은 1996년에 2000년과 2010년의 수질환경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한 총량규제를 단계별(1996-2000, 2000-1005, 2006-2010)로 추진 중 - 총량규제 목표는 2000년의 경우 1995년의 오염수준으로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배출총량과 유출농도를 동시규제토록 함 - 오염량의 배분은 유역단위로 이루어지고 있고 유역내 총 오염량을 수질모델링에 의해 적합하게 각 도시나 지역에 배분하면 당해 도시와 지역은 그에 따라 총량규제를 실시 * 총량규제를 위한 통계치와 모니터링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체크하고 있음 - 첫째, 환경통계에 의한 방식으로 산출량에 톤당 유출계수를 곱하는 방법 - 둘째, 환경통계치와 모니터링 자료를 합치는 방법 : 공장의 배출구에서 연간 4-12회 정도 샘플링하여 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환경통계치와 같이 오염물 총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 셋째, 매일 24시간 동안의 혼합샘플링을 하여 이를 유출량에 적용해 산정하는 방법 * 넷째, 온라인 자동모니터링을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COD, 오일, 시안, pH 등에 대해 오염물질의 농도와 유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 실제 Tai Hu호 유역에 대해 TN, TP, COD에 대해 총량규제를 1998년 이전, 1999-2000, 2000-2010년의 3단계에 걸쳐 시행계획을 수립 - 1998년의 경우, 총 오염배출량을 각 지역별로 산정 - 2000년 수질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각 지역에서 삭감해야할 양을 제시하도록 함 - 3단계인 2010년 까지는 Tai Hu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역에서 배출할 최대허용량을 달성하게끔 각종 삭감방안을 실시하는 단계로 추진하고 있음
9074 ◆ 중금속 오염[重金屬 汚染, heavy metal pollution] ◆ 중금속에 의해 일어나는 대기 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식물오염을 중금속 오염이라함. 납 정련 공장의 배기가스나 자동차배기가스 중의 납에 의한 대기 오염, 가죽을 다루는 공장, 도금 공장으로부터의 배수 중에 함유된 크롬에 의한 수질 오탁, 수은은 함유한 식품에 의한 미나마타병, 카드늄을 함유한 식품에 의한 이따이이따이병 등 많은 예가 있음.
9075 ◆ 중금속 흡착 효과가 있는 녹차 ◆ 건강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부쩍 늘고 있는 요즈음 녹차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녹차가 항암 효과와 성인병 예방 효과가 있다는 말에 따라 녹차를 마시는 사람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1993년도 국내 녹차 매출액은 270억원 정도였으며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차는 원래 중국 사람들이 즐겨 마시던 것으로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신라 선덕왕(서기 623~647년) 무렵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에 대한 의견은 조금씩 엇갈리고 있으나, 차가 불교의 육법 공양의 하나이기 때문에 불교의 전래와 비슷한 시기에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를 증명하듯이 지금까지도 스님들은 차를 즐겨마시고 있다. 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 녹차, 오룡차, 홍차로 나뉜다. 녹차는 차잎을 따서 그대로 말리거나 덖은 것으로 푸른빛을 띠고 있다. 차를 낸 물도 녹색이나 황색에 가깝다. 작설차나 화개차 등은 이름만 다를 뿐 다 같은 녹차이다. 중국인이 즐겨 마시는 오룡차는 반 발효시킨 차이다. 화교들이 운영하는 중국집에서 내놓는 차가 바로 오룡차이다. 서양인들이 잘 마시는 홍차는 완전 발효시킨 차이다. 치즈가 우유를 발효시켜 만든 것이듯 홍차는 차잎을 발효시킨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홍차는 발효시킨 차이기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다. 그러나 차에 대해서는 그 동안 막연하게 건강에 좋다는 말은 많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녹차의 효능 중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중금속 흡착 효과이다. 녹차가 중금속을 흡착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 되는 것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녹차를 이용해 중금속의 흡착 성질을 연구한 논문을 살펴보기로 하자. 녹차의 흡착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중금혹은 구리와 카드뮴, 납 세 종류였다. 이 세 종류의 금속 용액을 일정한 농도로 만들어 놓고 여기에 녹차를 넣고 흔들어 걸러낸 다음 용액의 중금속이 얼마나 제거되었는지 측정해 본 것이다. 먼저 중금속 이온 농도가 5ppm인 용액에 녹차 2그램을 넣고 1시간 20분 동안 중금속이 얼마나 제거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중금속은 처음 20분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흡착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드뮴과 납은 처음 10분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제거되었는데, 제거율은 80퍼센트를 웃도는 수준이었다. 구리의 제거율은 이보다 낮아 65퍼센트 정도였다. 그러나 오랫동안 방치해 둔다고 해서 중금속의 제거 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었다. 대개 30분이 지나면 더 이상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녹차의 맛을 결정하는 것은 물론 물과 녹차이지만 온도의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녹차가 중금속을 흡착할 때 온도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앞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중금속 이온 농도가 5ppm인 용액에 녹차 2그램을 넣고 온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중금속의 제거 효율을 보았다. 실험 결과 온도가 높다고 제거율이 높아지지는 않았다. 오히려 구리는 30℃이상 올라 갈수록 중금속의 제거율이 떨어졌다. 카드뮴과 납은 온도에 따라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는데 40℃에서 흡착률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의 좋은 맛을 느낄 수 있는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흡착 효과가 높았던 셈이다. 그러나 이 실험은 중금속 용액과 녹차를 섞은 후 가라앉은 부분은 제외하고 상등액만 가지고 실험한 결과이므로 다기를 가지고 녹차를 우려낸 물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녹차를 마실 경우 대개는 한 방울도 남김없이 마시기 때문이다. 또 녹차는 세 번 정도 우려내어 마시는데 이럴 경우 중금속 제거율은 어떤지 이 실험만 가지고는 알기 어렵다. 녹차를 통해 색(色), 향(香), 미(味)를 음미할 것인가 아니면 중금속이 제거된 건강한 물을 마실 것인가. 이는 선택해야 할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녹차를 낸 후 곧바로 마시기보다는 식혀서 마셔야 하는데 이럴 경우 향과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색과 향과 맛을 느끼기에 좋은 온도에서 녹차의 중금속 흡착률이 크게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어떤 온도에서건 녹차를 내어 마실 경우 중금속 제거율이 60퍼센트 수준은 되기 때문이다. 마시는 물이 중금속 오염의 우려가 있어 녹차를 이용하려 한다면 보리차처럼 끓여 유리병에 넣은 뒤 식혀 마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물론 이렇게 해서 물을 마실 경우 가라앉은 부분은 마시지 않고 버리는 것이 좋겠다.
9076 ◆ 중금속(Heavy Metals) ◆ 수은, 납, 세레늄, 그리고 크롬과 같은 원자량이 큰 원소. 비소, 베릴륨, 망간, 아연, 구리, 니켈, 카드뮴, 탈륨, 바나듐, 그리고 코발트도 가끔 포함된다. 이러한 원소들은 보통 산업공정에서 사용되며 환경으로 배출되면 생명체에 흡수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낸다.
9077 ◆ 중금속[重金屬, heavy metal] ◆ 일반적으로 비중 5 이상의 금속을 말하나 비중 4 이상의 금속까지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며 엄밀한 정의는 아님. 수은(13.6), 카드뮴(8.65), 아연(7.14), 구리(8.93), 크롬(6.92), 철(7.8), 납(11.34)등이 중금속에 속함. 알루미늄(1.8) 마그네슘(2.7)등은 경금속이라고 함. 배수기준으로 규제되고 있는 금속의 대부분은 중금속임. 금속에 의한 수질, 토양, 대기, 식품 등의 오염을 중금속 오염이라 칭함. 중금속의 많은 종류가 생체내에 축적되어 외부로는 그 일부밖에 배출되지 않으므로 미량이라고 생각, 경시하는 일은 없어야 함.
9078 ◆ 중금속중독증 ◆ 중금속의 독성이 체내에서 배설되지 않고 쌓여 나타나는 증상이다. 중금속은 금 등을 제외하고는 치명적인 독소를 가지고 있다. 중금속을 함유한 도료, 농약, 살충제 등이 환경에 배출되어 먹이연쇄에 따라 사람에게까지 이르게 되어 질병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질환으로 카드뮴 농축에 의한 이타이이타이병과 수은 농축에 의한 미나마타병 등이 있다.
9079 ◆ 중급처리[中級處理] ◆ 구체적 방법으로는 활성슬러지법 또는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이 주로 쓰인다. 이는 미생물이 효소의 존재하에 하수 속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안정시키는 작용을 이용한 방법이다. 활성슬러지법은, 에어레이션 탱크에 흘러든 하수가 미생물로 구성된 활성슬러지와 혼합되며, 동시에 공기 속의 산소를 에어레이터로 용해시키거나 저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기포(氣泡)로 주입한다. 에어레이션 탱크 안의 혼합과 미생물 분해반응 시간은 약 6∼8시간 정도이며, 그 뒤 최종 침전지(2차 침전지)로 유입되면 활성오니를 침전·농축시켜 다시 에어레이션 탱크에 돌려보내고, 침전지에서 흘러나오는 맑은 물을 소독하여 배수시킨다. 활성슬러지는 이처럼 에어레이션 탱크와 최종 침전지 사이를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하수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2차 처리의 경우 1차 침전지를 가리켜 최초 침전지라고 한다. 살수여상법에서는 자갈·플라스틱충전물을 쌓아 만든 여상의 상부로부터 하수를 살수한다. 자갈·충전물의 표면에는 미생물막이 생성·발달해 있으므로 그 위로 하수가 수막을 형성하면서 떨어져 그 동안 공기 속의 산소와 하수 속의 유기물이 미생물막 속으로 침투하여 활성슬러지법과 같은 식으로 분해작용을 받는다. 표준 활성슬러지법에서는 BOD가 85∼95%, 부유물질이 80∼90% 제거되고, 표준 살수여상법에서는 BOD가 75∼85%, 부유물질이 70∼80% 제거된다. 2차처리의 중심이 되는 미생물 이용 처리법에는 이 밖에도 에어레이션 시간을 늘려 슬러지의 양을 줄이는 [장시간 에어레이션법(전산화법)], 에어레이션 탱크의 깊이를 깊게 하여 탱크 설치부지의 면적을 줄이는 [딥 에어레이션법], 수심을 50∼100m 늘려 하수와 활성슬러지의 혼합액이 철체 튜브 속을 강하·상승하는 동안 고농도로 산소용해시키는 [초심층(超深層) 에어레이션법]이 있으며 공기에서 산소만 분리하여 에어레이션 탱크에 주입하는 [옥시데이션 디치법] 등의 개량법도 있다. 또 살수여상법은 표면에 고착한 미생물을 이용하는 처리법이며 이러한 고착 미생물을 이용한 회전원판법이 있다. 이는 여러 장의 원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통축에 부착해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절반 이상의 원면적은 대기 중에 있고 나머지 부분은 물에 잠겨 있다. 원판 표면에는 미생물이 부착·성장하고 있으므로 원판이 하수 속에 잠겨 있는 동안 유기물 등 오탁성분을 흡착하여 대기 중에 나오는 즉시 산소를 섭취하여 유기물을 분해한다.
9080 ◆ 중독 ◆ 음식이나 약물의 독성으로 인해 신체에 기능장애가 일어나는 일. 중독은 독물과 생체와의 접촉시간, 발증경과에 따라 만성중독과 급성중독으로 나뉜다. 만성중독에는 각성제·마약·시너·알코올·납·수은 중독이 있으며, 급성중독에는 수면제·농약 중독 및 연탄가스 중독이 있다.
9081 ◆ 중동전쟁 ◆ 1948년 유엔 결의에 의해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독립국을 세우려고 하자 아랍, 이스라엘 간에 일어난 전쟁. 1973년 가을 제4차 중동 전쟁을 포함해 그전부터 계속된 전쟁으로 인하여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대부분 난민이 되있으며, 수많은 아랍 민중이 그 사이에 일어난 레바논 내전 등에 의해 갖은 고통을 겪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점점 강해진 아랍 민족주의는 제4차 중동전쟁으로 아랍이 산출하는 석유를 무기삼아 서방측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았다.
9082 ◆ 중력농축 (Gravity thickning) ◆ 오니중의 입자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 분리하는 것으로 간섭침강으로부터 압밀 침강가지의 농축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오니 농축조에서 쓰여 지고 있는 농축법이다.
9083 ◆ 중력식 사 여과법[重力式 沙 濾過法, gravity sand filter] ◆ 모래 여과를 중력하에서 실시하는 방법. 완속 모래 여과법과 급속 모래 여과법이 있음. 중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여과 속도가 느리고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며, 원수의 탁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적당하므로 공장배수 여과등에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음. 주로 상수도의 원수 여과에 사용됨. 앤슬러사이트, 기타 등을 병용하여 여과효율을 높힐 수 있음. → 압력식 모래 여과법, → 여과속도.
9084 ◆ 중력식급속여과법[重力式急速濾過法, gravity rapid filter] ◆ 중력식 사여과법.
9085 ◆ 중력집진장치[中力集塵裝置, settling chamber, dust chamber] ◆ 분진을 중력에 의한 자연 침강에 의하여 분리, 포집하는 장치. 큰 공간의 설치에 적합함. 그러나 분리 한계 입자의 굵기는 처리량이 적을수록, 또 평면의 면적이 클수록 적게 되고, 높이는 한계가 없지만 Howard식 집진장치와 같이 다수의 선반이 설치됨. 그리고 모은 입자가 다시 날아가 흩어지는 점부터 기준 속도는 3m/s이하, 높이는 25cm이상으로 제한됨. 압력 손실이 작고(수주 5~10mm) 안정한 장점이 있지만 미세한 입자까지 포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평면 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50μ 이상의 거친 입자용으로 사용됨. 또 저유속 덕트는 일종의 더스트 챔버로 입자가 침강하여 쌓여지기는 하지만 끄집어내는 것은 곤란함. 실제로는 경사진 덕트를 사용함, → 집진장치, 침강분리장치
9086 ◆ 중력침강법[重力沈降法, settling method] ◆ 먼지가 함유된 가스로부터 더스트를 분리, 포집하는 조작의 하나. 중력 침강실, 다만 침강식의 방법이 있음. 공기 중에 먼지가 함유된 가스를 도입하여 더스트를 그 자신이 가진 중력에 의해 자연 침강시켜 분리함. 구조는 간단하고 침강실에 넣어 1~2m/s로 감속한 더스트는 관성력을 잃어 침강함. 침강실의 높이를 낮게 하여 여러단 나란히 한 것을 다단식 침강실이라 함. 20 ㎛ 정도의 더스트까지 침강시킬수 있음. 프레더스터(1차 집진기)로서. 거친 입자의 제거에 사용됨. → 자연침전
9087 ◆ 중성 ◆ 산성도 알칼리성도 나타나지 않는것. 수용액에서는 수소 이온과 수산화물 이온이 같은 농도로 존재하고,pH는 7임.
9088 ◆ 중성세제[中性洗劑, neutral synthetic washing agent] ◆ 수용액 중에서 중성을 나타내는 합성세제의 총칭으로서, 알칼리성 세제에 대하여 불리어진 이름이다. 알킬벤젠술폰산염 등을 사용한 세제로서 絹, 毛製品, 합성섬유, 식기, 야채, 과일 등의 세정이나 세발 등에 쓰이고 있다. 하수중에 혼입되면 기포성이 좋기 때문에 공기를 차단하여 산소가 물중으로 용해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하수처리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세균에 의해 분해되기 쉬운 소프트 세제의 사용이 행하여 지고 있다.
9089 ◆ 중성세제[中性洗劑, neutral synthetic washing agent] ◆ 합성세제 중 pH가 8.0 ∼ 6.0인것. 섬유용 중성세제와 주방용 중성세제의 2종이 있음. 전자는 알칼리에 약한 섬유류의 세정에 후자는 과일, 야채, 식기 등의 세정에 사용됨. 세정 효과를 강화하기위하여 인산염 기타를 첨가한 것이 있음.
9090 ◆ 중성염 효과[中性鹽효과, neutral salt effect] ◆ 반응계에 중성염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속도가 변화할 때, 이를 중성염효과라 한다. 중성염의 첨가로 반응물이나 활성착화합물의 활동도 계수가 변화하는 데 따라서 수용액 안의 이온 반응속도가 브렌스테즈-비에람의 식에 따라 변화할 때에는 제1중성염효과라 한다. 또 약산, 약염기의 산염기촉매작용에 있어서 중성염의 첨가에 의해 pH가 변화하고 반응속도 변화할 때에는 제2중성염효과라한다. 그 밖에 특수중성염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9091 ◆ 중성염[中性鹽, neutral salt] ◆ 수용액으로 했을때의 반응이 산성도 알칼리도 아닌 염을 말한다. NaCl , K₂SO₄, NaNO₃등이 그 예이다. 정염의 뜻으로 쓰일 때도 있지만 이것은 잘못이다.
9092 ◆ 중성자 검출기[中性子 檢出器, neutron deterctor] ◆ 중성자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중성자는 전하를 갖지 않으므로 직접 검출이 되지않고, 무엇인가의 핵반응에 의해 하전입자를 만들어 간접적 검출방법을 취한다. 반응으로서는 열중성자의 검출에는 그 반응단면적이 큰 나 중원자핵에 의한 핵분열현상이 이용되고 고속중성자의 검출에는 되튐양성자가 주로 이용된다. 2차 하전입자의 검출방법은 펄스전리상자, 비열계수관, 시티레이션계수관, 반도체출기등에 의한다.
9093 ◆ 중성자[中性子, neutron] ◆ 소립자의 하나. 뉴트런이라고도 한다. 전하가 없는 중성입자라는 뜻이다. 현재의 소립자론에서의 중성자는 전하 2/3인 u쿼크 1개와 -1/3인 d쿼크 2개로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전하는 양성자를 단위로 한다). 보통n 또는 N으로 나타낸다. 전하 O,질량 939.55MeV, 스핀 1/2의 페르미입자이다.이상자기모멘트를 나타내고, 그 값은 핵자자(核磁子)의 -1.9131배이다. 반입자는 반중성자이다. 평균수명은 1.0 ×10³로 전자와 전자뉴트리노를 방출하고 양성자로 변한다. Joliot-Curie부부는 Be 에 α선을 조사했을때 나오는 투과력이 아주 강한 방사선이 수소를 함유한 물질에 강하게 흡수되는 것을 발견했다. J.Chadwick은, 이 방사선을 구성하는 입자가 전기적으로 중성이고 질량이 수소의 원자핵질량과 거의 같은 미지의 입자라고 보고 모든 사실을 증명하였고, 처음으로 중성자의 존재를 밝혔다(1932). 중성자는 그 운동에너지 혹은 속도에 따라 분류될 때가 있다. 핵분열을 포함, 핵반응으로 방출되는 중성자는 대개 수 MeV의 운동에너지를 가지며 그것을 빠른 중성자(고속중성자)라 한다. 물질안에서 감속되어 운동에너지가 1keV이하고 된 것을 느린 중성자(저속중성자)라 한다. 특히 매질 중의 분자의 열운동과 평형에 도달한 것을 열중성자(상온에서는 0.025eV정도). 그 보다 약간 높은 운동에너지를 갖는 에피터어멀붕성자,또 -250℃ 이하 정도의 열중성자에 해당하는 것을 차거운 중성자라한다. 중성자는 양성자와 함께 하전스핀이 2중항을 이루고 원자핵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9094 ◆ 중성필터(Neutral Density Filter) ◆ 면휘도계의 수광면에 들어오는 빛을 전체 가시 파장영역에서 일정한 비율로 감소시키는 필터를 말합니다. 중성필터는 기기에 들어오는 강한 조명의 빛을 전체적으로 줄여주어 측정및 분석을 하게 도와줍니다.
9095 ◆ 중수(Heavy Water) ◆ D2O 또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로 이루어진 물. 보통물에는 1/6000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며 어떤 원자로에서는 순수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
9096 ◆ 중수[重水, heavy water] ◆ 산화중수소 나 산소의 무거운 동위원소 을 함유하여 보통 물보다 분자량이 큰 물. 물은 수소 H와 산소 O의 화합물인데 수소에는 의 3가지 안정동위원소가 있으며, 산소에는 의 3가지 안정동위원소가 있다. 이 가운데 와 으로 이루어진 물을 경수(輕水)라고 하며, 그 이외의 H와 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물을 중수라고 한다. 보통의 물은 경수(분자량 18)를 99.76% 함유하며, 그 이외의 중수로 〔표1〕과 같은 것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함유량은 물의 기원·장소 등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지만, 서아시아의 사해 또는 깊은 바다의 물, 어떤 종의 생체 등에는 중수가 약간 농축되어 있다. 이러한 중수 가운데 비교적 쉽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은 산화중수소 로, 이것을 중수 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의 전기분해속도는 의 몇분의 1정도이기 때문에, 수산화알칼리를 함유한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면 잔액에서 중수를 얻을 수가 있다(그 밖에 동위원소교환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중수는 보통 물과 마찬가지로 무색·무취의 액체로서 정성적(定性的)인 성질도 물과 거의 같다. 그러나 정량적으로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낮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작다. 생물에 대해서는 중수의 농도가 작을 때에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은 나타나지 않지만 짙어지면 나타나는데, 이를테면 고등동식물은 중수 속에서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을 할 수 없어 죽게 된다. 는 중성자를 흡수하는 일이 매우 적으므로 원자로의 중성자감속재나 냉각재로 쓰이며 그러한 원자로를 중수형 원자로라고 한다.
9097 ◆ 중수도 ◆ 빌딩, 주택단지 등에서 하수를 처리하여 음료수 이외의 생활용수 등으로 재이용하는 것이다.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말인데, 세척용수나 살수용수 등 신체에 직접 닿지 않는 잡용도에만 쓰이기 때문에 '잡용수'라고도 한다. 중수도는 상수도의 공급력이 한계에 이르렀거나 하수도가 받아들이는 능력이 부족할 때 상수의 소비와 하수의 배출을 억제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갈수기 때 수자원고갈, 인구밀도 급증화 등의 경우에도 중수도 활용이 검토되고 있다.
9098 ◆ 중수도 - 버린 물도 다시 쓰자 ◆ 물자를 헤프게 사용하는 것을 가리켜 흔히 “물 쓰듯이 한다.”고 말을 한다. 물이 풍부해 마음껏 쓸 수 있었던 시절의 얘기이다. 그러나 한정된 수자원과 갈수록 악화되어 가는 수질 오염으로 인해 지금은 더 이상 물을 ‘물 쓰듯이’할 수는 없게 되었다. 즉 무한정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물이 희소 가치재로 인식되기에 이른 것이다. 수질 오염으로 인해 사용 목적에 알맞은 공업용수 수급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공장을 이전하는 사례도 적잖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상상하기조차 어려웠던 문제들이다. 비단 공업용수뿐만 아니라 생활용수에 있어서도 이러한 수자원 확보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정된 수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대두된 것이 바로 중수도이다. 중수도란 무엇일까? 상수도와 하수도는 우리에게 익숙하다. 중수도란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 것을 말하는 것일까? 중수도란 쉽게 말해 ‘한 번 사용한 물을 다시 사용하도록 만든 용수 체계’를 말한다. 즉 마시는 물 정도의 깨끗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에 알맞은 물을 공급하는 시설이 중수도 시설이다. 중수도란 한 번 사용한 물을 다시 사용하는 것이므로 폐기물의 재활용과 같이 단기적으로 오염물질의 저감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비용의 절감이란 이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중수도의 가장 확실한 이점은 수돗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수돗물 소비량의 감소는 하수 발생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즉 수질 보전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수돗물 원수 공급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댐건설 수요를 줄일 수 있으며, 물이 부족한 갈수기에 물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하루 물 사용량이 1천 톤 이상인 공장과 500톤 이상인 목욕탕, 300세대 이상의 공동 주택 등에 대해 중수도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중수도를 설치하는 사업체에 대해서는 설치 방법 등에 관한 기술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법으로 정해 놓고 있다. 이와 관련해 건설교통부에서는 ‘중수도 유지 관리 지침’을 제정한 바 있다.
9099 ◆ 중수도 [中水道 tap water for miscellaneous purpose] ◆ 빌딩, 주택단지 등에서 하수를 처리하여 음료수 이외의 생활용수 등으로 순환 이용하는 것이다. 산업배수·생활용수·하수 등을 처리해서 순환이용하는 시설.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말인데, 세척용수나 살수용수(殺水用水)등 신체에 직접 닿지 않는 잡용도에만 쓰이기 때문에 '잡용수'라고도 한다. 중수도(中水道)는 상수도의 공급력이 한계에 이르렀거나 하수도가 받아들이는 능력이 부족할 때, 상수의 소비와 하수의배출을 억제하는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갈수기의 수자원 고갈, 혹은 인구밀도의 급증화 등에 의해 유효한 방법으로 생각되고 있다. 산업용수로서의 이용, 예를 들면 철도, 바다모래 등의 세정용수, 공원용수, 농업용수로서 하수의 처리수를 이용하는 것도 같은 생각에 기초를 두고 있다. 목적에 따라서 처리방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를 신중히 살펴보고, 음료용 수도배관이 잘못 접속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또 이용에 따라서는 염농도가 높은 것 등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9100 ◆ 중수도생산시스템 ◆ 중수(中水)란, 식용수, 식기세척 등에 사용되는 물 외에 중질의 물을 말한 것으로 세면장, 식기세척, 목욕탕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고도처리하여 화장실의 세정용수, 소방용수, 정원용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잡용수를 만드는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물처리기술인 막분리 기술로 세수하고 버리는 물, 허드레 물을 재활용해서 수도물을 크게 절약할 수있다. 이와같은 중수도 생산 시스템을 활용하면 종전의 생물학적 침전조, 처리조, 모래여과, 활성탄, 접촉조를 거치는 일반시스템보다 소요부지, 에너지소모, 유지관리 비용에 적게드는 점이 장점으로 요소부지1/20, 발생스러지 양 1/200에 불과하며, 낮은 에너지 사용과 고효율로 ton 당 250~400원 소요되던 생산단가를 100원대로 낮추게 되며, 1,000t의 중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면적은 기존 시스템으로는 500평임. 산업배수나 생활배수, 하수 등을 처리해서 순환이용하는 시설.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중수도라 한다. 또 세척용수나 살수용수(撒水用水) 등 신체에 직접 닿지않는 잡용도에만 쓰이므로 잡용수도라고도 한다. 인구과밀지대에서 상수도의 공급력이 한계에 이르거나, 도시에 따라서는 하수도가 받아들이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물의 순환이용을 통해 상수의 소비와 하수의 배출을 함께 억제하는 것이 목표이다.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6133820192
'놀면서 일하기 > ♣ goBLUEgoGRE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9201-9300 (0) | 2023.01.08 |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9101-9200 (0) | 2023.01.08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8901-9000 (0) | 2023.01.08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8801-8900 (0) | 2023.01.08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8701-8800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