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7001-7100

by 리치캣 2023. 1. 8.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7001-7100

번호                  용어                  해설

7001              열 중성자[熱中性子,thermal neutron]                     매질속의 분자의 열운동과 평형에 달한 중성자를 말하며, 상온일 때의 운동에너지는 0.025V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가 작은 중성자를 말한다. 0.4eV 정도 이하의 것을 가리킬 때도 있다. 보통 매질 속에서는 흡수가 일어나므로, 에너지 분포는 열평형분포에서 약간 벗어난다.

7002              열 중성자로[熱中性子爐, thermal neutron reactor]          핵분열로 만든 후 다음 핵분열을 유기하여 연쇄반응을 계속하도록 설계된 원자로. 고속성 중성자로에 비해 제어가 용이하다. 현재 원자로의 대부분은 열중성자로이다.

7003              열 펌프[-,heat pump]             역학적인 일 등에 의하여 열을 저온의 열원에서 흡수하여 고온의 열원에 주는 장치. 냉동기·냉장고와 같은 종류이다. 냉동기 등에서는 저온열원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 사용되지만, 열펌프는 지속적으로 저온열원으로부터 열을 고온열원으로 옮기므로 열을 퍼올린다는 의미에서 열펌프라고 한다. 사이클은 열기관을 역으로 작동시킨 것에 해당된다. 열펌프는 실외의 공기 또는 냉수를 흡열원으로 하여 실내의 높은 온도의 공기를 더 데우는 난방장치로 사용되며, 냉매 계통을 바꾸면 냉수를 방열원으로 하여 냉방에 이용할 수 있다. 열펌프 원리는 1850년 켈빈(본명 W.톰슨)에 의해 제창되었고, 최근에는 냉난방용, 용액의 농축용, 자기증발식 증발장치 등에 응용된다.

7004              열가소성 수지[熱可塑性樹脂, thermoplastic resin]             열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말한다. 합성수지를 가공적 관점에서 대별한 것의 일종이며, 열경화성수지에 대립된다. 화학구조적으로는 선상의 고분자이다.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등 여러 수지가 여기에 속한다. 추출성형, 사출성형에 의해 능률적으로 가공되며, 성형불량품, 스크랩은 재생 이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열성, 내용제성이 충분치 못한 것이 많다.

7005              열가소성 플라스틱법                방사능폐기물의 처분에 사용되기도 하는 고화처리방법으로 고온(130~150℃)에서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건조된 폐기물을 혼합하여 냉각시킴으로서 고형화시키는 처리방법이다. 이 처리방법에는 paraffin, bitumen, polyethylene과 같은 열가소성 유기물질이 이용된다.

7006              열가소성[熱可塑性, thermo plasticity]                     가열하면 소성변형되기 쉽고 냉각하면 가역적으로 경화하는 성질, 금속, 유리 등의 쇄상중합체로서되는 합성수지(열가소성수지)로 보여진다. 온도에 의한 유동성 증대가 대단히 심할수록 열가소성은 크다.

7007              열가수분해 가용화시설             하수찌꺼기를 소화조로 투입하기 전에 약 20분 간의 고온·고압(165℃, 6bar) 조건을 형성하여 찌꺼기 내 세포막 및 중합체를 파괴하는 시설이다. 이 공정을 거치면 열가수분해 공정을 거친 찌꺼기는 가스발생량이 증가되고 탈수효율이 향상된다.

7008              열교환기[熱交換器, heat exchanger]                     고온의 액체, 또는 기체로서 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를 가열하는 장치. 이 경우 한쪽은 가열되고, 다른 한쪽은 냉각이 되므로, 가열기라 하기도 하고 냉각기라 하기도 함. 보통 1개의 관 내측과 외측을 양종의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르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함. 또한 이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를 증기로 바꾸고 반대로 증기를 액체로 바꾸기도 함. 전자를 에버포레이티, 후자를 콘덴서라고 함. 통상의 열교환기로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냉방용 윈드클리어, 냉장고의 뒷면에 설치된 냉각기 등이 있음. 공업적으로는 대형 열교환기가 널리 사용됨. 보일러도 일종의 열교환기이며 고온의 연속가스로서,물을 증기로 바꾸는 장치임.

7009              열권[熱圈, thermosphere]          대기의 중간층(높이 약 80) 보다 위의 부분의 총칭. 온도권이라고도 한다. 온도는 높이와 함께 상승한다.

7010              열대 우림[熱帶雨林, tropical rain forest]                     1년 내내 고온다습한 열대지방에서 볼 수 있는 상록수로 이루어진 식물군계(植物群系). 열대다우림이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아마존유역·중부아프리카·뉴기니·보르네오 등과 같이 적도에서 남북으로 약 30°부근에 있는 지역과 연강우량이 2000㎜ 이상 되고 계절에 관계 없이 비가 내리는 지역에 분포한다. 면적은 약 970만㎞로 추정된다. 생장이 빠르며 종의 수가 많고 다양하다. 눈은 비늘조각이 생기지 않아 비늘눈이 없고 잎은 털이 없으며 두껍고 광택이 나는 종이 많다. 군락 내부는 매우 어둡고 임상(林床)식물의 잎은 얇으며 큐티쿨라층의 발달이 나쁘다. 또 잎의 끝이 뾰족하게 적하첨단(滴下尖端)을 이루어 잎에 떨어진 물이 잘 빠진다고 하나 분명하지는 않다. 숲 안은 80∼90%의 습도가 유지되고 착생식물·덩굴식물이 많다. 분해가 빠르기 때문에 땅위 식물의 유체가 오래 퇴적되는 일이 없어 부엽토의 발달이 나쁘다. 열대우림의 교목림에는 거대한 지상식물이 많고 임관(林冠)이 몇 층으로 되어 있다. 우점종이 분명하지 않을 정도로 종류가 많고 복잡한 군락이지만 다소 건조하거나 토양조건이 나쁠 때는 우점종이 확실하다. 원줄기가 지표 부근에서 판모양으로 퍼진 뿌리를 가진 종과 함께 원줄기에 직접 꽃이 피는 종도 많다. 열대우림의 관목림은 교목림에 비해 종의 조성이 간단하며 우점종도 확실하다. 그 대표적인 것이 맹그로브이다.

7011              열대림 행동계획          1985 6월 국제식량농업기구(FAO)의 제7회 열대림 위원회에서 채택된 열대림 보전과 적정한 개발 추진을 위한 계획. 이 계획은농촌, 산촌 주민의 생활 향상을 위한 활동의 촉진화전, 이동 경작 방법의 개선연료 공급을 늘려 이용의 효율화를 꾀할 것 등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즉 열대림의 보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열대림의 합리적 이용을 추진하기 위한 구조로, 채택 후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국가별 열대림 행동계획 (TFAP)의 수립 작업이 시작되었다. 19901월 개발도상국 22개국(아시아 지역에서는 네팔, 피지, 파푸아뉴기니의 3개국, 아프리카 지역9개국,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개국)이 계획수립을 끝냈고, 32개국에서는 수립중이다. 1989 11월 네덜란드 정부의 주최로 「대기오염 및 기후 변동에 관한 각료회의」가 네덜란드의 놀트베이크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금세기 안에 삼림의 감소와 증가의 균형을 바로잡고, 21세기 초순까지는 연간 12백만㏊씩 삼림 면적을 늘려간다는 잠정 목표를 검토하기 위한 「놀트베이크 선언」을 채택하였다. 이 시책의 성공 여부는 열대림 행동계획 또는 국제열대림목재기관(ITTO)에 의한 활동 및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정부의 주체적인 참여와 각국 정부에 의한 물적, 인적 자원의 동원에 달려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7012              열대림 행동계획(Tropical Forest Action Plan: TFAP)                  1985 6월 국제식량농업기구(FAO)의 제7회 열대림 위원회에서 채택된 열대림 보전과 적정한 개발 추진을 위한 계획을 말한다.          이 계획은농촌·산촌 주민의 생활 향상을 위한 활동의 촉진화전 이동 경작 방법의 개선연료 공급을 늘려 이용의 효율화를 꾀할 것 등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즉 열대림의 보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열대림의 합리적 이용을 추진하기 위한 구조로, 채택 후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국가별 열대림 행동계획 (TFAP)의 수립 작업이 시작되었다.          19901월 개발도상국 22개국(아시아 지역에서는 네팔, 피지, 파푸아뉴기니의 3개국, 아프리카 지역9개국,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개국)이 계획수립을 끝냈고, 32개국에서는 수립중이다.          1989 11월 네덜란드 정부의 주최로 「대기오염 및 기후 변동에 관한 각료회의」가 네덜란드의 놀트베이크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금세기 안에 삼림의 감소와 증가의 균형을 바로잡고, 21세기 초순까지는 연간 12백만㏊씩 삼림 면적을 늘려간다는 잠정 목표를 검토하기 위한 「놀트베이크 선언」을 채택하였다.          이 시책의 성공 여부는 열대림 행동계획 또는 국제열대림목재기관(ITTO)에 의한 활동 및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정부의 주체적인 참여와 각국 정부에 의한 물적·인적 자원의 동원에 달려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7013              열대야            야간의 최저 기온이 25℃ 이상의 무더운 밤을 열대야라고 한다. 특히 대도시 지역에서는 공장, 자동차. 에어컨 등에서 나오는 폐별로 열대야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마다 열대야 일수가 증가하고 있다.

7014              열량(Heat Quantity of Heat)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이동하는 에너지의 일종으로, 역학적 일과 구별하여 내부에너지의 변화를 가져오는 에너지를 열이라고 하고, 그 출입량을 열량이라고 부른다.

7015              열매체[熱媒體, heating medium]               화학장치를 일정한 조작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가열이나 제열(除熱) 등의 전열에 이용하는 매체. 열매체라고도 한다. 열원에서 열을 전열매체로 전하고, 이것을 순환시켜 피가열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은 직화가열법(直火加熱法)에 비해 국부가열을 피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화재나 폭발위험성도 적어 공업적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다. 보통 사용되는 전열매체는 연도(煙道)가스·가열공기··수증기·기름 등이다. 물은 비열·증발잠열이 크며 안정성이 뛰어난 성질이 있으나, 증기압이 높고 100℃ 이상의 가열에서는 가압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약 200℃가 한계이다. 화학공업의 발전에 따라 고온이 요구되고, 디페닐과 디페닐에테르의 공정혼합물(eutectic mixture) 1931년 다우섬 A로서 발매된 이래 각종 유기전열매체가 연구·개발되어 여러 가지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고온용 전열매체로는 끓는점이 높으며 증기압이 낮고, 열에 안정하여 장치재료에 대해 부식성이 적으며, 유동성이 있고 비열·증발잠열이 크고 불연성이며, 알맞은 가격의 것이 요구된다. 유기전열매체는 열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 최고사용온도는 약 400℃이며, 그 이상의 고온에는 수은·용융금속·HTS(질산염과 아질산염의 공정혼합물) 등의 무기전열매체가 사용된다.

7016              열방사[熱放射, thermal radiation]              물체는 전자파(전자파)의 형태로 열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할 수 있다. 이것을 열방사라고 한다. 열방사는 물체의 표면온도, 표면 물질과 관계가 있으며, 단위 면적에서 단위 시간에 방사하는 熱量(열량)은 그 면의 절대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7017              열병합 [Cogeneration]              발전과 열의 공급을 동시에 진행하여 종합적인 에너지 이용률을 높이는 방식.

7018              열병합발전                  전기를 소비하는 공장 등에서 자가 발전을 하고 거기서 나오는 폐열을 유효하게 이용하면 낭비가 없고 열효율은 높아지고 공장이나 가정에서는 전기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이나 열도 사용한다. 이같이 열과 전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열병합발전(Cogeneration)이라고 한다. 대규모 발전소(석유, 원자력 등)는 고도의 기술을 사용하지만 그 열효율은 겨우 35%. 대부분 인구 과소지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므로 폐열은 이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바다에 버려지기 때문이다. 송전거리도 길어서 송전되는 동안에 잃는 열도 10%나 된다. 이와 비교하여 열병합벌전의 열효율은 80∼90%로 두 배 이상이 된다. 그 결과 연료비는 반으로 줄고, 배출되는 탄산가스 역시 반으로 낮아진다. 이처럼 경제적·환경적으로 뛰어난 열병합벌전이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는 추세다.

7019              열병합발전(Co-generation System)             일반 발전소의 경우 발전효율은 35-40%에 불과하다. 100 이라는 에너지(연료; 석탄, 석유, 가스 등)가 투입되어 실제 전기로 생산되는 에너지는 35-40 정도의 효율밖에 얻지 못하고 나머지는 보일러의 배기가스로 방출(10 이내)되고 대부분(50-55)은 강물이나 바닷물과 같은 냉수를 이용하여 강제로 열을 빼앗아 버려야만 발전사이클이 돌아가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되는 시스템이다.          이때 만약 발전소를 열수요가 있는 즉, 열이 필요한 도시 근처나 공장이 밀집한 곳에 지어서 바닷물이나 강물을 이용하여 버려지는 열을 회수하여 사용토록 하면 전기로 나오는 에너지가 35-40%가 될 것이며, 열로서 이용되는 에너지는 50%정도가 되어 효율은 최대 85-90%까지 올라갈 수가 있게된다.. 이와 같이 열과 전기를 같이 사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쓰는 발전소를 열병합발전소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도 20여곳의 산업체에서 개별로 또는 산업공단에서 단체로 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하여 전기와 함께 공장에서 필요한 증기를 동시에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남서울과 3 - 4곳의 신도시에서 열병합발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고온수를 생산하여 난방과 급탕 등의 열로 활용되고 있다.          이렇게 열병합발전을 할 경우 증기나 열을 상당히 저렴한 값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상당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7020              열복사[熱輻射, heat radiation]                   물체에서 열에너지가 전자기파로서 방출되는 현상. 물체는 외부로부터 받은 복사(전자기파)를 반사·흡수·투과하는 외에, 스스로 밖을 향해 전자기파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현상은 온도가 높을 수록 뚜렷해지며, 온도복사·열방사라고도 한다. 열복사는 고체나 액체를 형성하는 많은 원자나 분자의 작고 불규칙한 운동(열운동)에 의해 생기는 전자기파인데, 넓은 진동수영역에 걸친 연속스펙트럼을 갖는다. 단위면적에서 단위시간에 생기는 복사에너지와 그 진동수분포(파장분포)는 표면의 성질과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열복사의 표준은 흑체(들어오는 복사에너지를 모두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로, 이것은 M.K.E.L.플랑크의 복사공식에 따르는 분포를 하며 모든 진동수를 합계한 전복사량은 슈테판볼츠만의 법칙에 따른다. 또 에너지의 파장분포가 최대로 되는 파장은 절대온도에 반비례한다(W.빈의 변위법칙). , 온도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를 많이 방출하게 된다. 흑체 이외에도 이 경향은 동일한데 온도를 높이면 먼저 적외선의 방출이 많아지고, 더욱 높이면 빨간빛을 방출하게 되며(赤熱), 다시 또 높이면 단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백열상태가 된다. 복사에 의해 에너지는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전달되는데, 이 전달의 대부분은 물체를 형성하는 원자·분자의 불규칙한 운동(열운동)이 지닌 에너지를 받는 것이므로 복사는 전도 및 대류와 함께 열전달의 한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열복사는 두 물체의 중간에 다른 매체가 필요치 않다는 특징이 있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막대한 양의 에너지는 열복사로서 지구에 도달하는데, 그 진동수분포는 절대온도로 6000K의 흑체복사에 가까우므로 태양표면의 온도는 6000K라고 추정된다. 지구표면도 그것과 거의 같은 양의 에너지를 열복사로 우주공간에 방출하며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방출하는 것은 주로 적외선이다. 따라서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을 파장이 긴 적외선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 된다. 한편 백열전등은 필라멘트에서 방출하는 열복사를 조명으로 이용하는 것인데, 조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적외선이 많이 나오므로 에너지 낭비가 많다. 반딧불의 빛이나 형광등에는 되도록 가시광선만을 방출하기 위해 열복사와는 다른 발광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7021              열분석[熱分析, thermal analysis]                온도를 바꿔가면서 물질의 어떤 물성변화를 검출하여 분석을 하는 방법 및 서로가 강하게 반응하고 발열하는 액체를 섞었을 때에 발생하는 열을 지시로하여 분석하는 온도적정법의 총칭. 이들에는 시차량분석이나, 열중량분석이나, 물질의 융해 또는 응고곡선에서 물질의 순도를 결정하는 방법, 열분해생성물을 , 이를테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적외분광분석, 지량분석 등에 의해 분석하는 열분해분석법, 열팽창에 의한 분석법 등이 있다.

7022              열분해(pyrolysis)          가연성 폐기물을 오염물질이 극히 적게 발생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 에너지를 회수 이용하는 기술의 하나로서 열분해공정이 많이 주목받고 있다.          열분해는 유기물을 무산소 또는 저산소 속에서 고온(500∼1000℃)으로 가열하여,           수소, 메탄 등의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으로 되는 가연성 가스,            상온에서 액상인 식초산, 아세톤메탄올과 같은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타르(tar), 또는 유분,            순탄소와 유리, 금속, 토사를 함유하는 숯(char) 3가지 군으로 화학적으로 분해되는 공정이다.            열분해기술은 그리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미국에서 EPA 1970년부터 도시쓰레기의 가스화 및 유화(油化)기술로서 쓰레기의 열분해에 대한 연구를 강력히 추진해 왔었다. 이러한 열분해기술은 파쇄, 선별을 전제로 하여 열분해공정과 조합하여 소위 저류성(貯留性) 에너지의 회수를 지향하여 개발해 왔는데, 최근에 와서는 도시쓰레기의 소각처리가 직면하고 있는 폐가스 및 폐수처리 등의 2차공해처리 배제 및 매립처분량의 감소대책이라는 방향으로 이 공정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열분해공정은 쓰레기의 소각처리에 비하여            배기가스량이 적은 점,            황분,중금속분이 재 중에 고정될 확률이 큰 점,            ● NOx의 발생량이 적은 점 등, 이런 장점으로 소각처리에 대체할 수 있는 폐기물처리공정으로 기술개발이 기대된다.

7023              열분해[熱分解,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산소결핍상테에서 열로 유기물을 물리화학적으로 분해하는 것으로서 폐기물이 이러한 처리를 받으면 유기질부분은 주로 수소 일산화수소 메탄 이 산화탄소가 많다. 온도, 압력, 체류시간, 촉모등 조작조건으로 생성물의 성질을 조성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폐기물에서 가스상 연료나 액체연료를 회수하는 종종의 열분해기술이 연구개발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EPA(미국환경 보호처) 1970년부터 도시폐기물에서 가스, 기름을 회수하는 기술로서 열분해기술의 개발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며 열분해기술을 파쇄선별외전단 프로세스와 조합해서 가스, 기름, 즉저류성에너지의 회수를 지향하는 것으로 개발되어 있다. 회수물질은 아래와 같다. 1) 저칼로리가스. 2) 중칼로리 가스. 3) 액체연료 또 개발되어 있는 열분해 프로세스를 장치형식에 의해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된다. 1) 이동층용융 노방식. 2) 다단노식 방식. 3) 유동층방식.

7024              열분해가스(Cracked Gases)                       액체 또는 탄산수소가스를 열 또는 열-촉매 분해하여 생성된 가스연료

7025              열분해공정(Thermal Cracking)                   고옥탄 가솔린 제조공정. 비등점 315-560℃의 가스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반응시켜 가솔린을 얻는다. 최근에는 금속성분에 강인한 촉매들이 개발되어 잔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이 상업화 되었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유동상(Fluidized Bed)반응기로서 고체촉매를 사용하는 기체반응에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반응기이다. 따라서 접촉분해공정을 유동접촉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 FCC)라고 부른다.

7026              열산란[熱散亂, heat rays]           〓 溫度散亂(온도산란)

7027              열선 마이크로폰[熱線-,hot-wire microphone]               틀에 팽팽하게 친 가열된 가는 금속선에 음파가 닿으면 공기의 운동으로 냉각되어 저항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음의 강도를 비교하거나, 미세한 음을 탐지하는 데 쓰이는 장치.

7028              열선[熱線, heat rays]                 赤外線(적외선)

7029              열선풍속계[熱線風速計, hot-wire anemometer]               전류를 통해서 가열한 가는 백금선을 기류에서 방치하면 열을 빼앗겨 온도가 내리고, 이에 따라 전기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이용한 풍속계, 가열전류를 일정하게 하여 풍속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과 풍속이 변화하여도 백금선이 온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 가열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저속용으로서 감도가 좋고, 풍속이 급격히 변동하여도 추종성이 좋으므로 난류측정으로서 특히 우수함.

7030              열섬현상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고층건물이 빽빽하게 늘어선 도시 중심지는 인접한 교외지역에 비하여 평균기온이 0.3∼1.2℃ 더 높은 기온현상을 나타내는데, 이를 열섬현상이라 한다. 열섬현상은 고층건물에서 나오는 인공열, 포장도로에서 방출되는 열, 상층을 덮고 있는 오염층 등에 의해 발생된다.

7031              열소자[熱消磁, thernal demagnetization]                     강자성체를 소자하는 방법의 하나. 퀴리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외부자지장을 0의 상태로 하여 냉각하면 시료는 자구로 나뉘어져 전체적인 자화는 없어진다.

7032             열수 변질[熱水變質,hydrothermal alteration]                     지각에서 움직이는 열수액(마그마에서 기원되는 것도 있음)에 의한 암석의 변질작용.

7033              열수지(Heat Balance)                열평형, 열정산, 공급열량과 그 사용상태를 명확히하여 열의 출입량 관계를 정산하는 것. 이것에 의하여 열의 분포상태를 알고, 열손실을 줄여 이것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연료경제를 꾀하며 보일러 또는 공업요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진다. kcal/연료(kg 또는 N) 혹은 백분율을 쓴다.

7034              열에너지(Thermal Energy)          에너지 형태의 하나로서 열에너지의 대부분은 증기기관과 내연기관과 같은 열기관에 의하여 역학적 에너지로 바뀌어 이용되는 외에 난방, 조리, 온수 등의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에너지이다. 역학적 에너지는 마찰열 등의 방법으로 100% 모두 열에너지로 바뀐다. 모든 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열에너지로 되어 주위로 방출된다.

7035              열역학            통계역학을 기초로 열현상에 관한 기본 원칙과 그 응용에 대하여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과, 열을 에너지의 한 형태로 보는 입장이 기본이 된다. 열역학은 제1법칙과 제2법칙이라는 두 개의 기본 법칙이 중심이 된다. 에너지의 총량은 늘거나 줄지 않으며 일정불변이라는 원리가 제1법칙이다. 2법칙은 분자 운동으로 흩어진 에너지를 다시 역학적 움직임으로 돌이키려 해도 완전하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7036              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는 빛에서 전기, 그리고 열의 형태로 변하지만 그 양은 전체적으로 보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원리로 '질량불변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환경문제에 대입해보면 자연으로 배출되는 쓰레기는 재활용이나 재이용을 통해 잠시 배출이 지연될 수는 있으나, 자연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이나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반드시 동일한 양의 폐기물로 전환되어 자연으로 환원된다는 원리로 경제활동에 따른 환경문제의 불가피성을 설명해준다.

7037              열연 배수[熱鍊排水, hot rolling waste water]             製鐵(제철) 공장에서 赤熱(적열)된 철의 인고트를 압연 로올러를 통하여 압연하는 경우, 압연 로울러를 찬물로 냉각해야 함. 로울러 표면에 부착된 스켈(산화철)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사용해야 함. 이들 공정에 필요한 수량은 상당하므로 재이용이 불가능한 물은 처리해서 배출함. 이 배출수를 열연배수라고 하며, 다량의 산화철분과 용해성 철을 함유함.

7038              열염분순환                  수온과 염분의 차이에 따른 바닷물의 밀도 차로 야기되는 해양순환을 말한다. 강 하구와 대양의 깊은 부분에서는 열염분순환이 바람에 의한 풍성순환보다 우세하다. 열염분순환은 깊고 느리게 수직성을 가지고 운동한다.

7039              열염분순환 [Thermohaline circulation]                     온도와 염분에 있어서의 차이로 인하여 해양에서 밀도로 인하여 촉발되는 대규모 순환. 북대서양에서 열염분순환은 복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표층수와 남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심해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을 극 쪽으로 수송하는 순 효과를 일으킨다. 고위도에서 존재하는 매우 제한된 침강 지역에서 표층수가 침강하게 된다.

7040              열염분순환(Thermohaline circulation)                     온도와 염분에 있어서의 차이로 인하여 해양에서 밀도로 인하여 촉발되는 대규모 순환. 북대서양에서 열염분순환은 복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표층수와 남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심해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을 극 쪽으로 수송하는 순 효과를 일으킨다. 고위도에서 존재하는 매우 제한된 침강 지역에서 표층수가 침강하게 된다.

7041              열오염[熱汚染, thermal pollution]              화력발전소, 철강 관련 산업, 화학ㆍ석유ㆍ펄프 제지업 등에서 배출되는 溫排水(온배수)에 의한 수질의 악화를 열오염이라 함.고등 수생 생물에 대한 열 오염의 주된 영향은 다음과 같음. ① 열의 직접적 영향에 의한 죽음. ② 내적기능의 변화(호흡,생장의 변화). ③ 열의 간접적 영향에 의한 쇠약이나 죽음(용존 산소량의 감소, 유독물에 대한 저항력 감퇴 등 ). ④ 産卵(산란)이나 생활 환경에 있어서, 못의 임계적 활동에 대한 자세. 물론 그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예를 들어, 화력 발전소의 냉각계통과에 의한 수온 상승은 여름에 7∼8℃, 겨울에는 11∼12℃. 온배수의 확산, 표면  온도 분포, 수온 수직 분포, 온배수의 수생동물의 대사,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에 대한기여 및 그 외의 유기 오염 부하와 온배수의 중첩 효과 등 연구를 필요로 하는 문제들이 많음.

7042              열오염[熱汚染,thermal pollution]               온배수의 영향으로 수중의 생물에 미치는 피해를 일으키는 현상을 열오염이라 한다. 화력발전소, 철강 관련 산업, 화학, 석유, 펄프 제지업 등에서 배출되는 온폐수에 의한 수질악화로 생물에 큰 피해를 미치는 경우로, 예를 들면 화력발전소 및 원자력발전소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즉 석탄, 석유, 등 연료의 대량연소나 원자력발전 등에 따라서 생긴 열에너지가 대기나 물 내지는 토양 등의 환경중에 방출되어짐에 따라 환경의 온도를 상승시켜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예를 들어, 화력발전소의 냉각계동에 의한 수온 상승은 여름에는 7~8˚C, 겨울에는 11~12˚C이다. 어류 등은 수온보다 3~5˚C 높으면 생존에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보일러관의 냉각에 많은 양의 바닷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워진 물이 바다로 흘러나와 열오염을 일으키는데 이를 온폐수 공해라 한다. 온폐수는 7˚C 정도로 가열되어 흘러나오기 때문에 이 온도차가 환경을 파괴한다. 예를 들면 물고기는 자기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0.5˚C의 온도차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어업, 진주 양식 등에 대한 온폐수의 영향은 크다. 외국의 원자력 발전소 설치 반대운동의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원자력발전소의 온폐수 공해문제 때문이다. 고등 수생생물에 대한 열오염의 주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열의 직접적 영향에 의한 죽음, 호흡이나 생장의 변화와 같은 내적 기능의 변화, 용존산소량의 감소나 유독물에 대한 저항력 감퇴와 같은 열의 간접접 영향에 의한 쇠약이나 죽음 및 산란이나 생활환경에 있어서 생물의 임계적 활동에 대한 저해 등이다. 온폐수의 확산, 표면 온도분포, 수온수직분포, 온폐수의 수생동물의대사,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에 대한 기여 및 그 외의 유기오염 부하와 온폐수의 중첩효과 등 연구를 필요로 하는 문제들이 많다.

7043              열운현상                     고온의 안산암질 마그마를 분출시키는 화산의 폭발시에 마그마의 파편과 가스 덩어리가 환합물로 되어 산등성이를 급속히 내려오는 현상. 산록을 향해 초목을 태워 없애면서 확산되어 인가가 있는 구역까지 도달하면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7044              열의 복사현상[- 輻射現象]                     난롯가에 있으면 난로를 향하고 있는 쪽이 따뜻해지며 또한 햇빛을 받아도 따뜻함을 알 수 있듰이 열이 난로나 태양으로부터 빛의 형태로 이동해 오기 때문인데 이와같이 열이 빛의 형태로 이동하는 현상을 복사라고 하며 모든 물체는 복사에너지를 방출하여 열을 잃고 또한 복사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얻는다.

7045              열의 전도현상[熱의 傳導現象]                   끊는 물에 쇠젓가락의 한쪽 끝부분을 담구면 잠시후 다른 끝부분도 뜨거운 손을 잡을 수 없을만큼 뜨거워지는 상태를 전도에 의한 열의 이동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열의전도라고 말하며 모든 물질은 열을 전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은나 공기ㆍ물ㆍ암석과 같은 물질은 금속에 비해서 열이 잘 전도 되지 않는다.

7046              열잔류 자화[熱殘留磁化,thermoremanent magnetization]            암석과 같이 많은 강자성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재료를 자기장 중에서 고온으로 냉각할 때에 일어나는 잔류자화를 말한다.그 방향은 냉각 중에 주어진 자기장의 방향과 일치되어 거기서 얻어지는 효율은 퀴리온도보다 조금 낮은 온도에서 가장 높다. 안정도는 대단히 높아, 10e의 교류자기장으로서 교란을 시킨다 해도 극소부분만이 그 영향을 받을 뿐이다. 열잔류자화의 획득구조에 대해서는 두 개의 통설이 있다. 고온에서 보자력이 작은 상태에서 비교적 약한 자기장에 의해 자화된 부분이 온도가 하강하여 보자력이 중대한 상태에도 그대로 잔류한다는 생각은 그 하나이다. 미소단자구조로도는 강자성입자의 완화 시간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어, 퀴리온도 이하에서 초상자성을 나타낼 수가 있다. 초상자성인 어떤 온도로 자기장 안에서 냉각시키면 그 물질의 자화에 대한 완화시간은 현저하게 중대하여 안정한 잔류자화로 된다는 것이 그 제2설이다.

7047              열잡음 온도계[熱雜音 溫度計, thermal noise thermometer]                  열잡음을 이용하여 열역학적 온도 T를 직접 구하는 온도계로서 1940년에 J.Garrison A.Lawson  구체적인 방식을 발표했다.H.Nyquist의 이론에 따르면 주파수 f        사이에서 저항 R인 양단에 유기되는 열잡음의 평균자승치        4KTR(f)        (K는 볼쯔만 상수)로 된다. 따라서 다른 조건을 같게하여 온도        에서의 값이        를 측정하면        에서 절대온도를 구할 수 있다.

7048              열적 팽창(Thermal expansion)                  해면(수위)와 연계하여 수온을 높이는 결과를 낳는 체적상의 증가(밀도의 감소)를 이르는 말이다. 해양 온도가 높아지면 해양의 체적이 팽창하고 이에 따라 해면(수위)가 상승한다.

7049              열전달[熱傳達, heat convection]                물체의 표면온도와 이에 접하는 기체 또는 액체(양자를 포함하여 유체라고 함)의 평균 온도가 다른 때, 물체와 유체 사이에 열의 흐름이 생김. 이 현상을 열전달이라고 하며, 열량은 물체의 크기, 고체 표면의 형상, 유체의 유동 상황(물체가 흐름에 접하고 있는가, 혹은 정지된 유체에 접하고 있는가 등), 물체와 유체의 온도에 의해서 변함. 일반적으로 고체 표면 온도를        표면적을 A, 유체의 평균 온도를        라 할 때, 열량 q/h는 다음 식으로 계산됨.        는 일정의 비례 정수로서, 열전단의 강도를 표시하며, 열전달률이라고 함. 열전달률의 크기는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하여 실험과 이론계산이 되어 있으며, 많은 경우, 계산에 의하여 구하도록 되어 있음.

7050              열전대[熱電對, thermo couple]                  다른 종류의 금속선의 양단을 결합하고, 양 접점을 상이한 온도로 유지시키면 기전력이 발생함. 이경우, 한끝을 정온도, 다른 끝을 각종의 온도라고 하며, 그 기전력을 측정하면 다른 점번의 온도를 알수 있게 됨. 이 조합을 열전대(터 오모커플)라고 함. 정온을 갖는 접점은 수조(水槽)에 넣어 0℃로 함(냉접점). 다른 종류의 금속선에는 백금-백금 로듐(1,400℃까지), 크로멜아르멜(1,000℃까지),구리-콘스탄틴(300℃)이 사용됨. 이 원리를 응용한 온도계를 열전도계라고 함.

7051              열중량분석[熱重量分析,thermo gravimetric analysis]          가열온도와 물질의 중량변화와 관계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분석을 말한다. 물질의 온도를 차츰 상승시키면 열분해 등에 중량이 계단적으로 변하나, 일으킨 온도는 물질에 고유한 것이며, 이 측정에는 열천평이 사용된다. 중량분석으로 침전을 가열하여, 원하는 칭량형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의 결정이나 불순물의 검출, 정량 등에 응용된다.

7052              열중성자주[熱中性子柱, thermal coulmn]                     원자로의 노심에 접하여 그라파이트 등 감속재의 굵은 기둥을 장치하면, 높은 에너지의 중성자를 그다지 함유하지 않는 열중성자를 빼낼 수가 있다. 이것을 열중성자주 또는 써어멀컬럼이라 하며, 열중성자에만 의한 작용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그라파이트의 열중성자주가 충분히 길고, 중성자의 비임의 방향이 잘 정돈되어 있으면 에너지가 0.0018eV 이상의 중성자는 회절되어 갖가지 방향으로 향한 그 라파이트의 많은 결정으로 반사를 되풀이하고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은 적다. 그러나 이 보다 느린 중성자는 회절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빠져 나오기 쉽다. 따라서 긴 그라파이프의 열중성자주를 통하여 -250℃ 이하의 열에너지에 상당하는 소위 찬 중성자만을 낼 수도 있다.

7053              열중증[熱重症, heat illness]                       고온환경에서의 부적응과 허용한계를 초과할 때에 발증하는 급성의 장해를 열중증이라고 총칭한다. 사람은 고온환경하에서 근육노동이나 훈련중 發汗(발한), 기타의 기능으로 체온의 유지조설기능이 활동하나 고온폭로의 정도가 강하면 순환기의 기능이 저하 또는 물이나 전해질의 대사에 이상이 생겨 체온조절기능을 잃어 생명의 위험마저 초래한다. 열중증은 이러한 것을 총괄한 것으로 통상 3병형으로 대별된다. ① 열소모열경련열사병이 그것이다. 열중증은 고온환경하의 근육노동자에 발증하는 대표적인 급성직업병의 하나였으나 산업의 근대화를 특히 자동화의 진전과 더불어 고온조건과 중근육노동의 열중증발증의 2대요인이 경감하기 때문에 발생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열중증의 예방으로서는 고온환경의 관리, 노동시간의 제한, 휴식, 0.1% NaCl용액의 섭취, 보호의 사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7054              열지수            기온과 습도에 따라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더위를 지수화한 것이다. 기온이 높을 경우에 예상되는 재해를 막기 위해 미국 기상청에서 개발했다. 동일한 기온이라도 습도에 따라 열지수가 달라진다. 불쾌지수(온습도지수)와 비슷한 개념이다.

7055              열집진기 (Thermal precipitator)                 입자가 고온 고체벽 부근을 지날 때 입자의 한쪽이 가열되어 온도가 올라가고, 그 주변은 소위 Creap 흐름이 생겨 저온쪽으로 이동한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큰 온도의 배를 주어 차가운 면에 입자를 부착시켜 입자의 sampling을 행하는 기구를 열집진기라고 한다.   처음 고안된 것은 1883 Aliken에 의해서지만, 1936년에 열선을 사용해서 충분한 온도의 구배를 주므로서 입자 크기의 분포를 알수 있게 되었다. sampling 5 마이크로 이하의 작은 입자에는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단지 포집, 집진을 위해 상술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 유량에 비하여 공급열량이 팽대해지므로 실용성이 거의 없다. 1000℃의 고온가스 중에서 dust제거 효과는 열교환기에 그 포집효과가 다소 나타나고 있다.

7056              열파               고온의 기단으로 뒤덮여 맹렬한 더위가 엄습하는 현상. 열파는 아열대나 열대 기단의 유입과 발달된 고기압내의 하강 기류에 따른 공기의 단열 압축에 의한 온도 상승, 산을 넘어오는 기류에 의해 나타나는 팬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들이 누적되면서 일어난다. 열파가 나타나면 최고 기온이 32℃ 이상이 넘으며 유럽에서는 1971, 미국에서는 1980년과 1988년에 대규모의 열파가 발생하였다. 1980년 미국에서는 최고 기온이 37℃ 이상인 날이 42일이나 계속되어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또한 1988년 봄에 미국을 습격한 열파는 가을까지 계속되었으며, 중서부에서는 가뭄으로 농업이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 이는 지구 온난화의 시작을 알리는 현상이라고 하여 지구 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적인 활동을 촉진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7057              열파               고온의 기단으로 뒤덮여 맹렬한 더위가 엄습하는 현상.         열파는 아열대나 열대 기단의 유입과 발단된 고기압내의 하강 기류에 따른 공기의 단열 압축에 의한 온도 상승, 산을 넘어오는 기류에 의해 나타나는 팬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들이 누적되면서 일어난다.          열파가 나타나면 최고 기온이 32℃ 이상이 넘으며 유럽에서는 1971, 미국에서는 1980년과 1988년에 대규모의 열파가 발생하였다.         1980년 미국에서는 최고 기온이 37℃ 이상인 날이 42일이나 계속되어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또한 1988년 봄에 미국을 습격한 열파는 가을까지 계속되었으며, 중서부에서는 가뭄으로 농업이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           이는 지구 온난화의 시작을 알리는 현상이라고 하여 지구 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적인 활동을 촉진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7058              열평형[熱平衡, thermal equilibrium]                     열의 교환이 가능한 개개의 물체가 장() 또는 그들 각 부분 사이에 열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또 상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상태. 열적 평형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주위와 열의 변환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고립계)에 고온 물체와 저온 물체를 접촉시키면 열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며,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열의 이동이 정지하여 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또 한 물체내의 각 부분 사이에 열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와,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공동 중에서 고온 물체와 저온 물체 사이에 열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열평형이라 한다. 열평형에 있는 물체의 온도는 같기 때문에 온도평형이라고도 한다. 계내의 온도가 일정하다는 것과 열역학적 평형상태에 있다는 것은 다른 개념이지만, 실제적으로 자연적인 변화는 열의 흡수·방출이 수반되므로 둘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표면과 대기가 흡수한 태양의 복사에너지만큼의 열을 방출하여 이루는 상태도 열평형이라고 한다.

7059              열화(劣化) 우라늄                    1991년 중동전쟁은 하이테크무기의 견본시장이라 불렸다. 대전차 포탄의 열화우라늄은 미국이 개발한(우라늄 238이 주성분) 것으로 오염 유발무기는 우라늄 236이나 플루토늄 239의 혼입이 불가피하며, 그 반감기는 45억년에 달한다. 원자로에서 방사선 폐기물 열화우라늄은 1㎤당 밀도가 금(19.38)에 비유할 만큼 무거운 19.04g으로 충돌운동량을 증가시키므로, 이것을 대전차 포탄으로 이용하면 강고한 장갑판을 쉽게 관통하고, 그 탄두가 폭열연소(1,300℃)되어 내부병사도 소사시키는 동시, 이산화우라늄 기화물질이 대기중에 확산되어 주변을 한순간에 방사능으로 오염시켜, 그 입자를 사람이 흡입하면 방사능이 폐나 생식기 등 내장에 흡수되어 폐암, 림프선 백혈병 등을 유발하게 된다. 지하에 침투하면 우물물을 오염, 음용수를 통해 재차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게 되며, 목초가 오염되면 소가 직접 먹어 오염된 우유를 사람이 마시게 되고 지상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방사능은 원거리에 확산될 수 있다.

7060              열회수 시스템(Heat Recovery System)                     폐열보일러등 열교환에 의하여 폐열을 회수하는 방식

7061              열효율(Thermal Efficiency)                        공급된 열에너지에 대한 열에너지에 대한 열에너지의 비율을 열효율이라고 한다. 보일러 등의 여열 이용설비에서의 흡수열량, 소각에 의한 발생열량에 대한 비율을 %로 나타내어 열효율로 한다.

7062              [, salt]                   소금,산과 염기의 중화로부터 얻음. 중화의 정도에 따라 正鹽(정염), 산성염, 염기성으로 구별됨. 정염은 NaCl처럼 완전히 중화된 염이며 산성염은     NaHCO₃    처럼 중화가 불충분한 염임. 염기성 염화 제2(-())은 염기성임. 배수중의 카드뮴, , 아연, 니켈, 철 등을 각각 수산화물로 침전시킨다는 것은 곧 각각의 금속을 이온 상태에서 수산화물이라는 정염 형태로 침전시키는 것임.

7063             염광 광도법[炎光光度法, flame photometry]                     發光 分光 分析法(발광 분광 분석법)의 일종. 발광 방법으로서의 염광[가스 燃燒炎(연소염)]을 이용하므로 이러한 명칭을 가짐. 가스체를 분석할 경우는 가스체를, 液體(액체)를 분석할 경우는 액체를 안개 형태로 버너에 공급하여 염광으로 발색시킨 것을 프리즘으로 분광하여 光電管(광전관)으로 빛을 받아서 炎光强度(염광강도)를 측정함.

7064              염광 분광계[炎光分光計, flame spectrometer]              염광 중에 시료를 넣으면 시료는 염광이 영향을 받아 염광 스펙트로를 발생함. 이 스펙트로의 波長(파장)을 측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주로 금속의 元素分析(원소분석)에 사용됨. 현재는 파장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그 强度(강도)까지를 측정하는 炎光 光度計(염광 광도계), 炎光 光度計(염광 광도계)가 널리 사용되어 定性(정성)  定量分析(정량분석)  가능성을 한층 높이고 있음.

7065              염광광도 검출기[炎光光度檢出器, flame photometric detector]               약칭 FPD. 가스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의 일종 수소염을 勵期(여기)에너지원으로 쓰며, 시료성분이 연소할 때 보이는 발광의 강도를 측정한다. 인 및 유황화합물에 선택적으로 높은 감도를 갖는다. 환경오염, 잔류농약분석 등으로 다용되고 있다.FID(수소염이온화검출기)와 반대로 수소과잉 조건으로 사용되어 인화합물의 경우, 여기상태의 HDO에서의 526㎜의 빛, 유황화합물의 경우 여기상태의        에서의 394㎜의 빛을 간섭 필터를 들어내 광전자 증배관에 수광 측정한다. 본 검출기는 인화합물에 대해서는 검량선의 직선법위가 1 :        이상 있으나 유황화합물에 대해서는 발광강도 1과 유황량 M의 관계가 1=A        로 되어 직선법위를 갖지 않는다. 여기서 AN는 실험조건에 의해 결정하는 정수로서 n은 통상 1.7 2.0의 사이에 있다. 더욱 본 검출기를 이용한 유황계 오염가스의 모니터용 분석계가 개발되어 있다.

7066              염기[鹽基, base]           산에 대한 말. 구체적으로 수용액 중에서 전리하여 수산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을 말하며, 가성 소다, 가성 칼륨 등이 그 예임.        암모니아처럼 물이나 산의 분자에 수소 이온을 받는 물질도 염기 중에 포함됨.        1919, 루이스는 電子對(전자대)를 주는 쪽을 염기, 전자대를 받는 쪽을 산이라고 정의했음. 염기와 산의 반응 생성물 염이라 하며 가성 소다와 염산의 반응 생성물인 염화나트륨이 그 예임.

7067              염기도[鹽基度, basicity]             산의 1분자 중에 들어 있는 수소원자 중에서 금속원자 또는 양성기로 치환할 수 있는 수소원자의 수를 그 산의 염기도라 하며, 산이 염기와 중화반응을 할 때의 정도를 나타낸다.HCl,        에서는 염기도 1,        에서는 염기도2,        에서는 염기도 2,        에서는 염기도 3,        에서는 염기도 4이나, 아세트산        하이포아인산        는 금속으로 치환할 수 없는 수소를 갖고 있으므로 염기도는 모두 1이다. 염기도 1,2,3인산을 각각 1염기산 2염기산,3염기산이라 하며, 염기도2 이상인 것을 다염기산이라 총칭한다. 염기도는 또 산성도의 반대의 뜻, 즉 염기성도의 뜻으로 사용될 때도 있다.

7068              염기서열                     DNA의 기본단위 뉴클레오티드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염기들을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

7069              염기성 산화물[鹽基性酸化物, basic oxide]                     산화물 중에서 산과 작용하여 염을 만들고, 또 산화하면 염기로 되는 것을 말한다. 금속의 산화물에는 염기성산화물이 많고, 산화칼슘 CaO, 산화철(Ⅱ) FeO, 산화철(Ⅲ)        등이 그러하며, 일반적으로 고산화수산화물을 제외한 천이 금속이 그 예이다.

7070              염기성 아세트산염[鹽基性-酸鹽法, basic acetate method]           규산염의 분석 등에서,Fe,Al,Ti,Zr Mn,Zn,Co,Ni에서 분리시키는 데 사용하는 방법, 산성인 염화물 용액을 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하여, 약간 생긴 침전을 수㎖  아세트산으로 용해한 후 끊이고, 아세트산나트륨의 30% 용액을 가해서 철 등의 염기성아세트산염을 침전시켜 망간 등을 용액 중에 잔유시킨다.        1분동안 끊인 후 여별하여 아세트산나트륨의 5% 용액으로 씻는다. 유리된 아세트산에 의한 용액 작용은 아세트산나트륨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주의가 필요하고 다소 번잡하거나 결과는 우수하다.

7071              염기성 암[鹽基性岩,basic rock]                  가 비교적 적은 화성암, 보통은        45∼52% 정도의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검은색을 많이 띠며, 현무암, 반강암 등이 이에 속한다.

7072              염기성 염[鹽基性鹽,basic salt]                   산화물염과 수산화물염의 총칭. 염기성염의 수용액은 반드시 알칼리성은 아니다.

7073              염기성 염료[鹽基性 染料, basic dye]                     助色團(조색단)으로서 아미노기, 등을 갖고, 중성 또는 알칼리성 용액 중에서 羊毛(양모),() 등을 염색할 수 있는 염료, 식물성 섬유는 탄닌이나 吐酒石(토주석) 같은 매염제를 써서 염색함. 메틸바이올렛,비스마르크브라운, 오라민, 마라카이트 그린 등이 이 종류에 속함. 염색 공장 배수 중에 염기성 염료가 함유될 경우, 활성탄에 의하여 흡착시킬 수 있으며,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침전 또는 浮上(부상)시켜서 제거할 수도 있음. 오존에 의하여 탈색시킬 수도 있음.

7074              염기성 용매[鹽基性 溶媒, basic solvent]                     J.N.Bronsted의 산염기의 정의에 의하면 양성자를 받아 들이는 것이 염기이나, 용매가 양성자를 받아 들이는 역할을 다하는 경우의 용매를 염기성용매라고 한다. , 에테르, 알코올, 아민등은 모두 고립전자쌍을 갖고 있으며, 양성자가 배위하여 결합할 수가 있으므로 이는 염기성용매가 되는 것이다.

7075              염기성[鹽基性, basic]                염기의 성질을 갖는다는 뜻의 형용어이며, 원래는 산의 작용을 중화하고, 또 산과 작용하여 염과 물만을 만드는 성질을 뜻한다. 보통 알칼리성이라는 말과 구별 없이 사용된다. 수용액에서도 그 수소이온의 농도를 나타내는 수소지수가 pH7인 경우를 염기성이라 정의한다. 또 일반화된 염기의 정의에 대응하며 양성자수용성, 전자공여성 등 일반적으로 전기적 양성인 성질을 말한다.→酸性(산성)

7076              염기성벽돌[鹽基性-, basic brick]                벽돌 硅酸(규산)을 함유하지 않은 도로마이크나 마그네사이트를 원료로하여 만든 내화 벽돌로서, 이것을 사용한 노(平爐(평로) 또는 轉爐(전로))에서는 제강 작업때 석회를 첨가하여 염기성 슬래그를 만듦으로서 탈인(탈인)등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7077              염도 ( 鹽度 salinity )                1kg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염류(이온 및 분자화합물)의 전량을 g으로 나타낸 것으로 염분량이라고도 함

7078              염료[染料,dyestuff]                   유기색소 중에서, 적당한 염색법에 의해 섬유에 염착하는 것을 말한다. 인디고에 의해 대표하는 천연염료는 아주 특수한 용도에만 한정되고 현재는 거의 전부가 합성연료(syntheic dye)이다.1856 W.H.Perkin이 최초의 합성염료모우브(Mavuein,Mauve)  만든 이후 수천 종에 이르는 염료가 합성되어, 그 중 현재 수백 종에 이르는 염료가 합성되어, 그 중 현재 수백 종이  공업생산 되고 있다고 한다. 화학구조에 의한 분류로서는 아조염료와 안트라퀴논염료가 가장 중요하며, 이 밖에 인디고이드염료, 황화염료, 트리페닐메탄염료, 피라졸본염료, 스틸벤염료, 디페닐메탄염료

7079              염료감응 태양전지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1971년 스위스 연방 기술원(EPFL) 화학과의 마이클 그랏젤 교수가 개발하였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처음으로 10~20nm 크기의 산화물 표면에 유기 염료를 흡착해 필름을 만들고 전극화하는 데 성공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태양빛을 받으면 전기를 생산하는 염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값싼 유기 염료와 나노 기술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고도의 에너지 효율을 갖도록 개발된 태양 전지로 실리콘을 사용하는 기존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3분의 1에서 최대 5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특히 유리에 활용했을 때 투명하고 다양한 색 구현이 가능하다. 가시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어 건물의 유리창이나 자동차 유리에 그대로 붙여 사용할 수도 있다.

7080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DSSC]                     염료(색소)를 이용해 태양 빛을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7081              염류 토양[鹽類土壤, saline soil]                 수용성염류가 식물생육을 저해할 만큼 다량토적된 토양으로 대륙의 건조기후하  광범위 분포된다. 미국에서는 토양공극을 물로 포화시켰을 시의 토양수의 전기전도율이 4ms/㎝ 이상을 염류토양으로 하고 있다. 사막지대 토양도 일반염류가 포함되어 과건조와 염류과다가 복합되어 토지를 불모로 하고 있다.

7082              염류집적                     내륙 건조지에서 적은 강우량은 거의 대부분 증발하고 얼마 안되는 침투수는 토양의 나트륨 성분을 분해하여 요지에 집적된다. 스텝지역 등에 하얀 지면의 요지가 산재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염분농도가 높아 수목이 자라지 않는다.

7083              염분약층 [鹽分躍層, halocline]                  통상 수심 55m 부근의 염분농도가 급변하는 불연속층을 말한다. 이는 담수와 해수의 밀도차이에 따른 결과로서 홍수나 강에 의해 담수가 다량 공급되면 담수는 가벼워 해수의 위에 뜨게 되고 이러한 분포경향은 지구의 자전영향이나 공급되는 담수의 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어느 일정시간이나 거리를 지나 수직단면을 보면 상층으로부터 밑바닥까지는 급격한 염분약층이 존재하게 된다.

7084              염산[鹽酸,hydrochloric acid]                     염화 수소의 수용액. 강 산성으로 각종 금속을 용해하여 염화물을 만들며, 동시에 수소가스를 발생시킴. 공업용 염산,試藥(시약)용 염산, 식품 첨가물용 염산 등 3종이 있으며, 염화 수소는 독성이 강함.

7085              염색 공업 배수[染色 工業 排水]                염료, 염색助劑(조제), 糊料(호료) 등이 함유됨. 호료(전분류)와 합성호료(CMC,PVA,알긴산 소다 등)가 있음. 정련공장으로부터의 배수 중에는 동식물용, 왁스, 펙틴, 가성 소다, 소다회, 중성 세제등이, 표백공정이 배수 중에는 산, 또는 알칼리가 함유됨. 염료에 의해 고도로 착색된 배수가 배출되기 때문에 눈에 뜀. BOD가 높음.

7086              염색[染色, dyeing]                    염료가 지니고 있는 섬유재료에 대한 염착성을 이용하여 섬유 등에 염료를 수착(收着) 또는 고착시키는 기술. 따라서 섬유재료에 안료를 고착제(固着劑)로 고정시키는 기술, 즉 이른바 안료날염 등은 염색에 포함되지 않는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염료는 수용액에서 분자상으로 확산된 뒤, 염료가 섬유에 대해 지닌 특정한 친화성(염착성)에 의해 섬유상에 수착 또는 고착된다. 염색은 기술적으로는 침염(浸染)과 날염(捺染)으로 분류되나, 염색의 원리로서 공통점은 수용성(예외로 분산염료가 있다)과 염료분자 또는 이온이 지닌 섬유고분자 재료에 대한 친화성에 바탕을 둔 염착성이다. 염색에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는 면·마 등의 식물성 천연섬유, 양모·견 등의 동물성 천연섬유, 비스코스레이온·벰버그(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아세테이트·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섬유 외에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비닐알코올포르말 등 여러 가지 합성섬유가 있으며 각각 화학적 성질, 물리적 구조 등으로 인해서 극히 다양하게 그 염색성을 지배한다. 이것들을 염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염료는 각각 고유의 수용성·이온성을 가지며 또한 특정한 섬유에 대해 고유의 염착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계(·인견)와 같은 친수성섬유에는 직접염료·반응성염료 등의 친수성염료가 염착되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수성섬유에는 분산염료 등의 소수성염료가 잘 염착된다. 염료의 염착메커니즘은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뉜다. ① 반데르발스의 힘에 의한 것으로 직접염료와 환원염료(건염염료·배트염료) ② 이온결합을 하는 것으로 산성염료·염기성염료섬유분자와의 사이에 공유결합을 하는 것으로 반응성염료확산·흡착되는 것으로 분산염료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염료와 섬유의 결합이 매우 독특하다. 염색할 섬유가 정해지면 고유 부속의 염료가 선택된다. 그러므로 사용되는 섬유가 단독적이 아닌 혼방인 경우에는 복수의 다른 부속의 염료가 적절히 선택된다. 요즘은 염색공업에서도 근대화·생력화(省力化)가 크게 진척되어 염색작업의 자동화·능률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염색할 때의 온도제어, 칭량(秤量), 염욕(染浴)의 조정, 처리 등 많은 문제가 프로그램화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숙련자에게만 의존하던 색조조절(色調調節) 등도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졌다. 염색공업에서의 배수공해는 중요한 문제이며, 염색배수의 처리기술도 매우 진보되었다. 동시에 공업용수의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지 않는 용제염색법도 크게 발달되었다.  〔염색의 역사〕   염색물은 일반적으로 변색·퇴색되며 섬유 자체도 항구적인 성질이 없기 때문에 역사적 유산에서 고대의 염색기술을 알아내기란 곤란하다. 그러나 고대 이집트에서는 BC 2000년 이전부터 동물성·식물성의 천연염료를 이용해서 대규모의 염색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지중해산() 권패(卷貝)에서 얻는 보라색염료 티리언 퍼플(Tyrianpurple)은 고대 이집트·그리스·로마·페니키아 등에서는 매우 귀한 염료였다. 날염기술은 면의 원산지인 인도에서 시작되어 이집트에 전해진 기술로 추정된다. 중세의 염색기술은 유대인의 비전이었으나 13세기에 이탈리아의 시칠리아·피렌체·베네치아 등의 도시에 전해졌고 염색공들의 길드가 결성되었다. 1540년에는 G.V.로세티에 의해 최초의 염색서가 저술되었으며 이 무렵부터 천연염료의 종류도 풍부해졌다. 중세에서 근세에 걸쳐서 사용된 염료는 잇꽃·대청·꼭두서니··코치닐(cochineal)·로그우드(logwood) 등이다. 당시에 이미 현대 화학으로 보아도 매우 복잡한 고도의 화학반응을 포함하는 매염염색·환원염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18세기 중반이 되자 천연 인디고를 화학적으로 발연황산에서 술폰화하는 기술이 발견되었다. 1856년에는 W.H.퍼킨이 아닐린을 산화하여 얻은 최초의 동물성섬유용 적자색염료 모브(Mauve)를 발명하였고, 이어 59년에는 빨강 염기성염료인 마젠타가 합성되었으며, 그 뒤 합성염료시대의 막이 열렸다. 그것에 의해 인류는 천연염료로서 이용했던 꼭두서니·쪽 등과 똑같은 염료를 합성화학의 방법으로 열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새로운 염료를 창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와 함께 염색기술도 크게 발전하여 특히 제2차세계대전 후에는 합성섬유의 발명과 함께 분산염료·양이온성염료·반응성염료 등에 의한 새로운 염색기술이 개발되어 오늘날 풍부한 의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염색의 기술〕(염색의 준비공정)   천연섬유는 각각 천연 불순물을 함유하며 재생섬유·반합성섬유·합성섬유는 방적과 직포 등의 공정에서 유지류··대전방지제 등이 첨가되므로 염색할 때는 방해물이 되는 이들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풀빼기, 정련, 또 필요에 따라 표백을 한다. 정련에는 섬유의 종류에 따라 염기성 무기시약·계면활성제·유기용매 등이 적절히 사용된다. 또 풀빼기와 표백을 겸해서 아브롬산나트륨·과산화황산염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표백에는 산화성·환원성 표백제가 사용된다.  (침염)   침염은 섬유재료를 염료수용액(분산염료는 분산액)에 침지(浸漬)하고 적당한 온도와 시간을 들여 염색한 뒤 꺼내서 수세(水洗건조하여 끝낸다. 〔표〕에 나타낸 것처럼 염료와 섬유 사이에는 적합성이 있는데, 그 조합에 따라 기본적인 염색법도 달라진다. 직접염색은 섬유에 대한 직접염착성에 바탕을 두고 염료용액(또는 분산액)으로 직접 염색하는 방법이다. 매염염색은 염료가 섬유에 친화성이 없을 때 미리 매염제를 섬유에 가하고 그것을 매개로 하여 염색하는 방법인데, 요즘은 염료와 매염금속을 결합시켜 두었다가 직접염색처럼 염색하는 경우가 많다. 환원염색은 물에 불용성인 염료를 염기성의 여러 가지 환원제를 사용해서 환원시켜 가용성으로 만들고, 환원물의 친화성에 의해 염색한 후 산화하여 불용성 염료로 만드는 방법이다. 발색염색은 아조염료 성분의 일부인 디아조성분을 우선 흡수시키고 다른 커플링 성분을 섬유에서 커플시켜 불용성의 아조색소로 만드는 방법인데, 나프톨염색이라고도 하며 날염에 많이 사용된다. 반응성염색은 섬유와 공유결합을 하는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아닐린블랙

7087              염색기[染色機]             직물(織物),, 섬유를 염색하는 기계, 염욕(染浴)에 담가 염색하는 침전하는 浸染機(침염기)와 염료로 무늬를 날염하는 날염기(捺染機)가 있다.

7088              염색용 호료[染色用 糊料]          그 종류는 표 ㅇ-8과 같으며 왼쪽에 각각의 호료의 BOD를 표시했음.             호료                BOD g/ g 호 료                메틸셀룰로오즈                0.0016                CMC                0.009                스틸렌공중합체                0.012                PVA                0.016                전 분                0.477                고무                0.690            표 ㅇ-8

7089              염색체[染色體(염색체),chromosome]                     세표분열 때에 세포핵에 연유하여 나타나는 봉상 또는 입상의 소체.DNA와 히스톤이 결합한 핵단백질을 주체로 하고 헤마톡실린 등의 염기성색소에 잘 물드는 염색계가 틈 없이 감은 나선구조를 이루고 있다. 세포중의 DNA의 대부분이 염색체상에 국존하여 있고, 유전정보가 담당하는 것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염색체의 수나 모양은 생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것이 보통이며 더욱 유전자도 일정한 순서로 선상배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염색체는 본래부터 세포학상의 형태적인 단위로서 정의된 것이지만 그 유전학적인 기능상의 유사성에서 세균이나 비루스등의 유전정보를 담당한 핵분산자도 편의상 염색체라 부를 때가 있다.

7090              염생식물                     염분이 많은 땅에 사는 식물. 염생식물은 건생 형태의 특징을 갖지만, 건생 식물과 달리 건조함에 오래 견디지는 못하여, 건조한 여름에 발육을 저해 받는다. 염택에 자라는 많은 염생 식물은 다수의 물을 저장하는 세포를 발달시켜, 외견상 다육식물상이 된다. 염생식물의 예로서는 Salicornia, 나문재가 있다.

7091              염생식물 [鹽生植物 halophyte]                 소금기가 많은 땅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바닷가와 내륙에서는 염분이 있는 호숫가와 암염(岩鹽)이 있는 지대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하며, 퉁퉁마디, 갯길경 및 거머리말, 해조류 등이 이에 속한다. 줄기와 잎이 육질인 것이 많다. 생육하고 있는 지대의 수분 정도에 따라서 건염생식물(乾鹽生植物)과 습염생식물로 구분하지만, 모두 세포 안에 많은 소금기가 들어 있어 삼투압 값이 높기 때문에 토양 용액의 침투가가 높을 때도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특색이 있다. 그러나 갯메꽃과 통보리사초 등은 바닷가에서 자라지만 이러한 특성이 없으므로 염생식물에서 제외하고 있다.

7092              염생플랑크톤[鹽生-,haloplankton]              염분을 함유한 수중에 번식하는 플랑크톤. 식물성[硅藻類(규조류),藍藻類(남조류)], 동물성(편모충류(鞭毛蟲類) 有孔蟲類(유공충류)]이 있으며 여러 동물의 幼生(유생),稚漁(치어)도 이에 포함됨.

7093              염성습지[鹽性濕地, salt marsh]                  조용한 바다의 하구에 발달한 늪지로서 조석간만으로 해수가 유입하는 장소이다. 염성소택이라고도 말함. 매립으로 인하여 간단하게 육지화되므로 많은 염성늪지가 없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특징적인 동식물 군집이 분포되어  그 현존량은 크다. 저생동물이 많아 고기나 물새 등이 사는 중요한 생활장소다. 다시 해수 정화기능이 주목돼 있다. 육지 가까이에는 염색식물이 발달하여 환경의 차이에 응해서 다종의 생물이 존재하고 있다.

7094              염소               기호C1. 원자번호17.원자량35.457. 할로겐 원소의 한 가지. 소금.알칼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의 염화물로서 해수나 암석 중에서 산출되고 유리된 채로는 존재하지 않음. 유독물에 녹아서 염소수를 만듦.

7095              염소 가스 중독 [鹽素-中毒, chlorine gas poisoning]                  염소 가스는 황록색(黃綠色)이며 독성이 강함. 미량(微量)일지라도 흡입(吸入) 할 경우에는 눈, , 목의 점막을 상하게 되는 바, 주의 요함. 많은 양을 흡입하면 폐()에 염증(炎症)을 일으킴.

7096              염소 검지관[鹽素檢知管]           예를 들어, 검지제(檢知劑) 860~350㎛의 실리카겔 입자 100g 0.75%의 오르토토리진 황산 용액 100㎖를 흡착(吸着)시켜 건조시켜서 조제함. 이 검지제는 염소와 반응하여 등색(橙色)이 됨. 주로 1~40ppm 정도의 범위를 가진 염소농도의 검지에 사용함

7097              염소 요구량[鹽素要求量,chlorine demand]                     암모니아수에 염소를 넣으면 암모니아수 중의 잔류 염소는 점차 증가하여 극대치에 도달하나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여 극소치에 달하며 다시 거의 직선으로 상승함. 이 극소치를 불연속점이라 하며, 불연속점까지 첨가한 염소량을 염소 요구량이라고함. 불연속점에 상당하는 양 이상의 염소를 가하는 방법을 불연속점 염소처리라고 하며 상수도의 살균이 그 예임. 하수 중의 암모니아 제거와 살균에도 이 방법이 사용됨.

7098             염소 이온에 의한 미곡감수[鹽素 -米穀減受]                     물벼의 경작에 사용되는 물에 염소 이온이 함유된 경우, 염소 이온량에 증대됨에 따라 미곡이 감수됨. 염소 이온 1,000ppm 으로 10%, 2,000ppm 에서 30%, 3,000ppm 에서 70%, 3,500ppm에서 83% 정도가 감수되며, 염소 이온이 약 2,500ppm 인 경우 50%가 감수됨

7099              염소 이온의 정량[鹽素-定量, quantitative analysis of Cl-]             검수 중의 염소이온을 정량하려면 검수의 pH 3.1로 조정하여 초산 제2수은 표준액으로 적정(滴定)해서 정량함. 초산 제2수은은 염소 이온과 화합하여, 난해리성(難解離性)의 염화 제2수은을 생성하며, 초산 제2수은이 과잉된 경우는 수은 이온이 지시약의 디페닐 칼바존과 반응하여 자색으로 발색함. 정량 범위는        0.2~5mg으로 되풀이 표준 편차 퍼센트는 10~2정도임.

7100              염소 처리 장치[鹽素處理裝置]                   염소는 액화하여 봄베에 충전(充塡), 시판함. 이 봄베로부터 염소를 농후 염소수(농도 3,000ppm 부근)로 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말함. 염소는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누설(漏泄)되지 않아야 하며 장치 재료는 내염소성이 뛰어나야 함.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5605946432

 

컬러링 스몰미빌딩 (20개 도시 세트) 미술교육. 창의력 발달. 해외여행. 창의력교육. 색칠공부, :

[스몰미 와 아트리트] 나만의 작은 나. 스몰미, 색다른 자기표현. smallME.

smartstore.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