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5101-5200
번호 용어 해설
5101 ◆ 생물다양성관리계약 ◆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지역주민이 생태계 보전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 내용의 이행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는 주민참여의 자연환경보전 제도이다. 주요 내용은 철새 먹이제공을 위한 농작물(벼) 미수확 존치, 보리재배, 쉼터조성 및 관리 등 지역주민의 철새보호 활동에 대한 보상 등이다.
5102 ◆ 생물다양성보전 협약 ◆ 생물다양성보전 협약은 삼림 등 생태계의 파괴로 매년 수만 종의 생물이 멸종되고 있으며 2000년까지는 50만종에서 100만 종이 멸종될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에서 추진되었습니다. 1990년 1월 나이로비에서 시작된 후 1992년 6월 브라질의 리우환경회의때 공식헌장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생물자원이 거의 없는데다 생물공학기술도 이제 막 초기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선진국들이 독점하고 있는 생물공학기술에 대한 로열티의 부담이 앞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바젤협약은 폭발성, 인화성, 중독성등 13가지 특성을 갖고 있는 폐기물 47종을 규제대상 물질로 정하고 이들물질의 국가간 이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가입국은 자국의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자국영토에서 처리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협약이 발효되면 국내의 철강, 제지, 석유화학, 비철금속, 농업, 의약업계는 원자재 확보에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5103 ◆ 생물다양성보존조약 ◆ 지구상에는 확인된 것만으로도 1백4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나, 최근 매년 4만 종이 멸종하고 있다. 워싱턴 조약에서는 이렇듯 빈번한 멸종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동식물의 보전을 결정하였다. 지구 서미트에서 체결된 생물의 다양성 보전조약은 생물종, 유전자, 생물이 생식할 생태계의 3단계에서 포괄적으로 생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개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5104 ◆ 생물다양성협약 국제회의 ◆ 생물다양성협약이 국제 사회에서 처음 논의된 것은 1987년 유엔 환경계획(UNEP)이 생물종의 보호를 위해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면서부터다. 그후 7차례에 걸친 각국 정부가 회의를 통해 1992년 6월 유엔 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1백58개국 대표가 이에 서명함에 따라 채택되었다. 이 협약은 1993년 12월 29일부터 발효되었다.
5105 ◆ 생물다양성협약상 클리어링 하우스 체계 (Clearing House System) ◆ 협약 당사국간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련된 과학기술의 협력을 증진키 위한 일종의 정보교환체계를 의미한다.
5106 ◆ 생물막[生物膜, biomembrane] ◆ 살수여상(撒水濾床)의 여재(濾材)중을 배수가 통과할 때 여재의 표면에 생성되는 젤라틴상의 막으로서 살수 여상법에서, 정화 작용의 주역할을 함. 여상에 살포된 유기배수의 일부는 급속하게 여상을 통과하여 유기물은 흡착 응집에 의해 제거됨. 일부는 천천히 생물막면을 유하하면서 용해성 물질이 흡착, 분해됨. 생물막이 두꺼울 경우 내부 (여재와의 접촉면)는 공기의 공급이 불량해지며 혐기성 미생물막이 생김. 혐기성 대사 산물 중의 유기산과 알코올은 표면으로 확산됨. 그 결과, 생물막에 BOD부하가 생겨 막이 탈락되기 쉽게 됨. 여재표면이 얇은 생물막으로 깨져 호기적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때의 정화 효율은 매우 높음.
5107 ◆ 생물막법[生物膜法] ◆ 회전 원판법이나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은 생물막법의 일종임. 활성오니법(活性汚泥法) 등은 생물막법이 아님. 전자의 두 방법은 원판이나 여과 바닥 표면에 생물막이 발육. 고정되어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생물이 액 중에 부유함. 따라서 생물막법은 고정 바닥 방식이라고도 함. 반송(返送)오니나 MLSS의 조절이 필요없으며, 벌킹도 일어나지 앟음. 생물막 표면에서는 호기성 처리가, 내부에서는 혐기성 처리가 행해짐.
5108 ◆ 생물막처리 ◆ 모래층이나 지지판의 표면에 미생물이 번식·부착된 상태의 것을 생물막이라고 하며, 이 막에 접촉됨으로써 입자 상태의 것은 물론 용존태의 오염물질을 산화·분해시켜 처리할 수 있다.
5109 ◆ 생물무기금지협약 ◆ 1972년 4월 런던, 모스크바, 워싱턴에서 서명되어 1975. 3. 26 발효한 BWC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는 특정 대량살상무기 전체를 금지시킨 최초의 다자군축 비확산조약으로서 생물 및 독소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을 금지하고 있으며, 또한 각 협약 당사국이 보유하고 있던 생물무기의 완전 폐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02년 11월 현재 남 북한, 미국, 러시아, 중국 등 144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협약 이행 및 강화방안 논의를 위하여 매 5년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평가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한편,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 등에 대한 의혹이 제기될 경우 협약의 위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검증장치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 오랫동안 문제시되어 오다가, 생명공학 및 유전자공학의 발달로 생물무기의 확산 위험성이 증대되고, 또한 생물무기가 테러집단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도 제기됨에 따라,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가능성을 보다 엄격히 규제할 수 있는 검증체제 수립을 위해 지난 1995년부터 제네바에서 BWC 검증 의정서 제정협상을 위한 특별그룹 (Ad Hoc Group)회의가 개최되어 왔다.
5110 ◆ 생물반응벽 ◆ 생물반응벽(permeable biological reactive wall)은 원위치 생물복구공법에서 이용되는 다공성의 벽으로 오염된 지하수흐름을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은 다공성의 벽체에 붙어 자라면서 지하수흐름을 따라 생물반응벽을 지나가는 오염물을 분해한다. 원위치 생물반응벽을 현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미생물의 식종과 미생물의 증식을 도모할 수 있는 영양물질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 때 식종 미생물은 처리하려고 하는 오염물질에 대하여 순응되어 있어야 하고, 생물 반응벽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미생물의 과다증식에 의한 막힘(fouling)현상이다.
5111 ◆ 생물산업 ◆ 생명공학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산업군을 말한다. 유전자재조합 · 세포융합 · 세포배양 및 물질대사 등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시장규모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5112 ◆ 생물소재 ◆ 생물산업의 핵심재료로서 유전자원, 천연물, 배양체, 종자 등을 포함한다. 생물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생물소재를 체계적으로 발굴·확보함과 동시에 이들의 효율적 관리 및 은행 운영이 요구된다.
5113 ◆ 생물순환 ◆ 공장배수, 가정잡배수, 분뇨에는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들어 있다. 이런 물질은 하수처리장에서는 20∼30%밖에 제거되지 않으므로 하수배수와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 간다. 바다의 플랑크톤은 물에 녹은 질소나 인을 영양분으로 흡수하여 증식한다. 이 플랑크톤을 작은 물고기가 먹고, 이 물고기를 큰 물고기가 먹고 이를 마지막에는 인간이 먹는다고 하자. 최초에 공장이나 분뇨배수에 포함되어 있던 질소나 인이라는 오염물질은 이렇게 하여 물고기라는 단백질원이 된다 이것은 물의 순환과 생물순환의 상호작용이 더러움을 정화해 자원으로 바뀌어 가는 예다. 영양은 물에 녹아 육지로부터 바다로 흘러들어 간다. 어업이나 낚시라는 행위는 바다에서 육지로 영양을 끌어올리는 순환의 한 과정이 된다. 인간과 새와 물고기만이 바다나 강, 호수로부터 영양을 육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석유나 석탄을 태우면 탄산 가스라는 오염물질이 나온다. 식물은 대기의 탄산 가스와 뿌리로부터 빨아들인 물, 질소, 인 등의 영양을 태양빛에 의한 광합성으로 만들어 생장하는데 이때 산소도 같이 배출한다. 이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에게 한 순간도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것이다. 이처럼 생물순환에 의해 탄산 가스는 정화되고 있다.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은 '더럽히지 않으며 자원을 낭비적으로 순환시키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5114 ◆ 생물순환 ◆ 장배수, 가정잡배수, 시뇨(屎尿)에는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들어 있다. 이런 물질은 하수처리장에서는 20~30% 밖에 제거되지 않으므로 하수 배수와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물에 녹은 질소나 인은 바다의 플랑크톤에게는 영양이 되므로 이를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플랑크톤은 증식한다. 이 플랑크톤을 작은 물고기가 먹고, 이 물고기를 큰 물고기가 먹고 이를 마지막에는 인간이 먹는다고 하자. 최초에는 공장이나 분뇨배수에 포함되어 있던 질소나 인이라는 오염물질은 이렇게 하여 물고기라는 단백질원이 된다. 이것은 물의 순환과 생물순환의 상호작용이 더러움을 정화해 자원으로 바뀌어가는 예이다. 영양은 물에 녹아 육지로부터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어업이나 낚시라는 행위는 바다로부터 육지에로 영양을 끌어 올리는 순환의 한 과정이 된다. 인간과 새와 물고기만이 바다나 강, 호수로부터 영양을 육지에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석유나 석탄을 태우면 탄산가스라는 오염물질이 나온다. 식물은 대기 중의 탄산가스와 뿌리로부터 빨아들인 물, 질소, 인 등의 영양을 태양빛에 의한 광합성으로 만들어 생장하는데 이때 산소도 같이 배출한다. 이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에게 있어 한순간도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것이다. 이처럼 생물순환에 의해 탄산가스는 정화되고 있다.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은 ‘더럽히지 않으며 자원을 낭비적으로 순환시키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5115 ◆ 생물시계 ◆ 생물이 어떤 행동을 정해진 시간에 반복하는 것
5116 ◆ 생물안전성의정서 (Protocol on Biosafety) ◆ 생명공학기술에 의하여 유전형질이 인위적으로 변형된 생명체(LMOs)가 환경에 방출(release)되었을 떄 일어날 수 있는 위해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LMOs의 위해성 평가방법, 국가간 이동 및 취급 등에 관한 규정을 담은 의정서이다. 생물다양성 협약의 이행을 위하여 구성된 제2차 당사국회의('95. 11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1998년까지 의정서 초안을 마련하기로 결의되었다.
5117 ◆ 생물영양능력[biotic potential] ◆ R.N. Chapman 1931. 제창한 용어. 생물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종 고유의 성질, 번영능력을 생물적, 비생물적환경저항을 받아 실현 번식력이 된다. 이상상태를 상정하여 있는 증정대문에 여러가지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로지스테이크 곡선의 이론식에서 내적자연증가율(r)을 번영능력의 지수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번영능력은 항상 환경저항이 많든적든 있는 것으로 의론되고 있다.
5118 ◆ 생물의 다양성 ◆ 유전자, 생물종, 생태계라는 세 가지 단계의 다양성을 종합한 개념. 생명의 궁극적인 원천이며 인간과 생태계 등 경제개발에 필요 불가결한 생명부양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자원이다. 오늘날 지구상의 야생동물은 1천3백만에서 1천4백만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나 인간에게 알려진 것은 약 13%에 불과하다. 이러한 다양성은 개발 및 오염에 의하여 매년 2만5천에서 5만 종이 사라져 가고 있으며, 2000년대까지 1백만 종이, 향후 20∼30년 내에 지구 전체 생물종의 25%가 멸종될 것으로 전망되는 터라 자연보호, 자원관리의 중요한 개념으로 주목되고 있다. 열대림·산호초를 가진 열대의 각 나라는 풍부한 생명의 다양성을 가졌으며, 약 12개국에 모든 야생 생물종의 3분의 2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생물의 다양성 보전을 위한 다국적 조약으로는 람사 조약 세계 유산(遺産) 조약, 워싱턴 조약, 본 조약 등이 있다. 다양성은 또한 에콜로지 사상에서도 서로 다른 존재간의 협조, 상호 의존, 공생 관계를 뒷받침하는 기초 개념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5119 ◆ 생물의 다양성[生物의 多樣性, diversity of organisms] ◆ 생물계(생물적 자연)의 다양성은 생물개체의 크기, 형태, 구조(기관, 조직, 세포등외)나 발생 생리기능, 2차적 대사산물, 생태등 여러가지 레벨로 분류한다. 분류군(taxon) 특히 종레벨을 기초로 상급, 하급으로 분류, 분류군의 다양성에 있어, 아미[(亞尾)(아족)(亞族)], 절(節), 지(至)등의 계급이 있다. 현재의 분류체계는 식물은 모네라계(1문), 균계(14문), 지의계(개), 식물계[(원핵극적아계 原核極的亞界 1개),( 무핵극물아계 無核極物亞界 7개)], 후생동물아계(29개)로 구별된다. 생물의 진화는 분기, 수렴, 평행진화, 적입방산의 여러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으나 생물의 다양성은 이러한 현상의 총화로서 잡을수가 있다. 분기는 상리(相離)라고도 하고 진화에서 계통이 나누어지며 형질이 크게 되는 것을 말한다. 다양성이 증대하는 과정도 된다. 이에 대해서 수렴은 상근이라고도 하고 계통이 다른 생물에 자연히 상사적(相似的)인 형질의 분화를 인정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평행진화는 공통의 단선형에서 같은 진화의 경향을 인정하는 경우를 말함. 분기가 같은 군에 있어서는 여러 방향에 동시적으로 일어난다고 보는 경우는 적응방산이라고 함. 포유동물에 있어 그 생활장소가 지상, 지하, 수상(樹上), 공중, 수중, 반수중 등에 분화가 보일 경우 그 식성이 육식성, 중식성, 초식품성, 잡식성등에 분화한 경우가 이에 상당된다.
5120 ◆ 생물자원 (Biological Resources) ◆ 사람을 위하여 실질적 또는 잠재적으로 이용도가 있거나 가치가 있는 유전자원, 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부분, 기타 생물의 구성요소를 말한다.
5121 ◆ 생물재해 ◆ 우발적인 사고 혹은 고의로 병원체나 유전자공학 등으로 만들어진 '개조 생물'에 의해 연구실이 감염되거나, 이들이 일반 환경에 흘러 나가 주변 주민의 건강피해, 생태계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 등을 생물재해라 한다. 1970년대 이후는 특히 암 바이러스 이용 등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생물재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5122 ◆ 생물적 방제(生物的防除, biological control] ◆ 해충이나 잡초등의 유해생물의 고체군 밀도를 천적을 이용하여 낮게 억눌음을 목적으로 하는 해충방제의 한 형태이다. 토착천적의 생식장소의 개선이나 보호를 통하여 그 목적을 달성코저 할 때, 타지역에서 도입한 천적을 사육증식시킨 후 인공적으로 방사하는 때도 있다. 해충과 천적의 상호작용계를 장기적으로 유지코저하는 위의 시험에 대해 인공적으로 대량증식한 천적을 집중적으로 방사(放飼)하여 일시적인 해충의 밀도의 저하를 목적하는 농약적이용이 있다. 병원미생물이나 시설해충의 방제에 채용되고 있으나 매년 산포내지는 방사가 필요하다. 일본에서 15종의 해충에 대해 22종의 천적을 시험했다. 그 결과 성공한 것은 4종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성공시는 효과의 영속성 저고스트, 작용종 특이성등에서 살충제에 비하여 환경영향은 적다.
5123 ◆ 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날 ◆ 12월 29일 : 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날 - 1994년 11월에 개최된 제1차 생물다양성 협약 가입국 회의에서 생물다양성협약 발 효일(1993년 12월 29일)을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로 정하였으며, 유엔환경계획 (UNEP)에서는 각국이 이 날을 맞아 기념행사등을 할 것을 요청, 이를 계기로 유네스 코한국위원회 에서 1995년 12월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보전 등 자연보전정책의 문제 점, 개선방안 및 시민활력의 증진과, 교육 활성화 방안 등 민간부문과 정부가 함께 모여 토론하고 대안을 찾아내는 장을 마련.
5124 ◆ 생물종 다양성의 보존 ◆ 생물종의 감소원인은 4가지로 분류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첫째, 서식지의 유실이나 변형이 원인이며, 서식지가 90% 줄어들면 종의 수는 50%가 감소하게 됩니다. 둘째, 과도한 남획에 의해서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습니다. 셋째, 농약의 과다사용, 대기오염, 가정에서 나오는 생활하수 등이 생물종의 수를 감소시켜 왔습니다. 넷째, 외래종들이 들어와 서식지의 환경을 변경시킴으로써 고유 동식물군의 수를 감소시켜 왔던 것입니다. 한강은 우리나라의 젖줄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한강보다 규모가 작은 영국의 템즈강에는 물고기종류가 200여 종이나 되는데 비해 우리 한강은 20여 종 정도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한강 수질오염의 주요인이 생활하수로 전체 오염원의 89.3%를 차지하는것으로 볼 때 가정에서부터 오염물질을 내보내지 않아야 우리 한강의 생물종 다양성은 보존될 것입니다. 따라서 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길은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주요원인을 파악하고 사전에 예방하는 노력이 있을때에만 가능하며 풍요로운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도 각종 생물종은 보존되어야만 합니다.
5125 ◆ 생물종 및 보호지역지정 현황 ◆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또한 산림이 전국토의 65.4%를 차지하고 있어 자연식생이 다양하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할 뿐 아니라 예부터 금수강산으로 불리울 정도로 자연환경이 매우 아름다운 나라이다. 자연식생의 경우 우리나라 자연산림의 식생을 대표하는 낙엽활엽수림은 중부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남부지방과 동, 서해안지방은 상록활엽수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 노출된 산비탈 계곡부에는 서어나무림이, 최남단 지역 및 남부 도서지역에는 난온대상록수림이 발달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생물종의 수는 약 10만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데 척추동물과 현화식물을 제외하고는 생물종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까지 조사되어 밝혀진 생물종수는 동물 18,052종, 식물 8,271종, 균류, 원생생물류 등 3,528종 등 총 29,851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있는 조류종수는 8,600종, 포유류 4,000종으로 총 12,600여종인데 국내에 고시된 야생종수는 조류 1,921종과 포유류 703종을 포함하여 총 2,624종이다. 현재 국내에서 밝혀진 생물종수는 비슷한 생물지리학적 조건을 가진 영국, 일본 등 다른 선진외국의 생물종 수와 비교할 때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조사, 연구가 이루어지면 그 수가 훨씬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자연생태계가 우수하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별히 보호할 가치가 있는 지역을 자연생태계보전지역 등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는데, 2002년 말 현재 생태계보전지역 20개소(191,7km2), 습지보호지역 9개소(81.3km2), 자연공원이 국립공원 20개소(6,473km2)를 포함하여 73개소(7,6503km2)가 지정되어 있고, 특정도서가 독도를 포함하여 128개소(9.2km2) 지정되어 있다. 국제적 보호지역으로 람사협약(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에 의하여 대암산 용늪(106ha)과 창녕 우포늪(854ha) 등 2개 지역이 람사습지로 지정되어 있고 설악산(3,932km2)과 제주도의 한라산, 중산간, 서귀포 해양공원(831km2)이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5126 ◆ 생물종다양성 ◆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다양한 종류의 생물종을 일컬어 생물다양성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5종의 새만 서식하는 섬은 2종의 새와 2종의 도마뱀 그리고 1종의 노루가 있는 섬에 비하여 종의 숫자는 같더라도 종의 다양성에서는 차이가 납니다. 천연자원과 마찬가지로 지구의 생물분포도 고르지 앟으며 종의 다양성은 극지방에서 적도지방으로 갈수록 커집니다. 포유동물이나 해양생물의 분포도 열대지역이 가장 많으며 보르네오 열대우림의 15ha 면적에서는 7백여가지의 수목종이 확인되었는데 이 양은 북미 전역을 다 합쳐야 발견할수 있는 정도입니다.
5127 ◆ 생물종다양성의 가치 ◆ 인류는 의식주 특히 음식물과 의약품, 산업용품들을 다양한 생물로부터 얻어왔습니다. 많은 나라에서는 국민들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야생동물을 직접 이용해 왔습니다. 또한 생물자원은 레크리에이션과 관광자원으로도 중요하며 전세계적으로 보면 자연을 감상하는 관광사업을 통해 12억 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은 인류의 건강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때는 거의 모든 의약품들을 식물과 동물로부터 추출해 왔습니다. 개발도상국 인구 80%의 건강을 지켜주는 의약품이 지켜주는 의약품이 식물과 동물에서 나온 것입니다. 중국의 전통적인 의약품에는 500종 이상의 생물이 사용되고 미국에서 조제되는 약 처방의 4분의 1 이상이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3000종류 이상의 항생제를 미생물에서 얻고 있습니다. 생태계의 다양성은 끝없이 변하는 인간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수시로 꺼내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임이 분명합니다.
5128 ◆ 생물종의 소멸과 심각성 ◆ 오늘날 생물다양성은 과거 어느 시기보다도 빠르게 손실되어가고 있습니다. 대부분 학자들은 지구상의 생물종중 4분의 1이 향후 20∼30년간 심각한 멸종위기를 맞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자료에 의하면 1600년 이래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관속식물의 700종 이상이 절멸된 것으로 보고되었고, 2000년 말까지 종 전체의 10분의 1이, 2020년가지는 3분의 1이 없어질 전망이라 합니다. 특히 가장 심각한 것은 총 지구면적의 7%에 불과하지만 전세계 생물종의 반이상이 서식하는 열대우림의 파괴로 전체 생물종의 5∼15%가 멸종할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즉, 하루에 40∼140종의 생물이 멸종해 간다는 것입니다.
5129 ◆ 생물지리학 [生物地理學 biogeography] ◆ 지구상의 생물 분포와 그것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하여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 이다. 대상을 파악하는 방식과 방법에 의하여 생물구계 지리학, 생물계통 지리학, 고생물 지리학 등 식물이나 동물의 분류군인 식물상이나 동물상의 분포를 다루는 분야와 생태지리학 또는 식물인 경우의 식생지리학과 같이 생물집단의 분포를 다루는 분야가 있다. 또, 대상으로 하는 생물군의 차이에 따라 식물지리학과 동물지리학으로 나눈다. 생물구계 지리학은 종(種)ㆍ속(屬) 등의 지구상의 다양한 식물상이나 동물상을 마찬가지 분포역(分布域)을 가지고 있는 분포역형으로 정리하는 분야이며, 이것에 의하여 지구상의 식물상이나 동물상의 공간적 구분을 알 수 있다. 생태지리학적 연구는 특히 식물군락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에서 많은 성과가 이루어져 식생지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도 있다. 식생지리학에서는 개개의 식생단위(식물군락)와 그 분포의 원인을 규명한다. 식생단위의 구체적 배문을 지도상에 그린 것을 식생도라고 하며, 경관이나 생물집단의 종합적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생물학적 자연진단도로써 자연의 이용이나 보호에도 이용되고 있다. 개개의 분류군의 분포도는 종(또는 속)의 분포도라고 한다.
5130 ◆ 생물지표종 ◆ 하천이나 호수의 수질이 얼마나 좋은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는 어류나 저서생물을 통틀어 생물 지표종이라고 부른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어류 중 열목어나 버들치, 금강모치, 산천어 등이 살면 물이 대단히 깨끗하고 거의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고 쉬리나 갈겨니, 은어, 쏘가리 등이 살면 물이 상당히 깨끗하다고 할 수 있다. 피라미나 모래무치, 참붕어 등은 보통 수준 또는 약간 나쁜 수질로 여겨질 수 있고 붕어나 잉어, 미꾸라지, 메기 등은 상당히 혼탁한 물에서도 산다. 저서생물 중 깨끗한 물에 사는 종으로는 옆새우, 가재, 강도래, 민하루살이, 다슬기, 물삿갓벌레 등이 꼽히고 물달팽이나 물벌레, 실지렁이, 나방파리 등은 보통 내지 약간 혼탁한 물에 살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생물 지표종이 법적으로 공식 지정돼 있지는 않다.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 생물 지표종 관련 규정을 담기 위한 개정 작업이 진행 중인데 내년 1월부턴 수질 측정시 어류나 저서생물 지표종의 서식 여부가 법적인 기준이 될 전망이다. 일본은 1984년 전국 수생생물 조사를 시작해 어류와 저서생물을 4등급으로 분류, 지표종으로 이용하고 있다. 서식 환경이 달라서인지 우리나라의 생물 지표종과 일부 같은 종도 있지만 상당 부분 다르다. 일본에서 깨끗한 물에 사는 어류나 저서생물은 멧모기, 강도래, 부채하루살이, 먹파리, 뱀잠자리 등이고 `조금 오염된'' 물에는 연체동물, 다슬기, 반딧불이, 줄새우, 어리장수잠자리, 재첩 등이 산다. `오염된'' 물에는 잔벌레, 논우렁이, 거머리, 물벌레 등이, `아주 오염된'' 물에는 미국가재, 실지렁이, 나방파리 등이 각각 사는 것으로 돼 있다. 미국의 경우 주(州)정부가 생물학적 수질평가 기준을 각자 마련해 놓고 있는데 특정한 어류나 저서생물의 서석 여부 보다는 하천이나 호수 밑바닥에 사는 생물들을 정기 모니터링, 생태적 변화 여부를 추적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영국이나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대형 수생식물, 대형 저서동물, 어류 등 좀더 다양한 생물들을 지표종으로 삼아 수질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131 ◆ 생물처리 ◆ 미생물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처리. 생물환원처리와 생물산화처리로 나뉜다. 생물환원처리는 혐기성 생물이 분해함으로써 질소 가스, 수소, 메탄 가스, 황화수소 등이 생성되며 비교적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에 활용된다. 생물산화처리는 탄산 가스, 물, 탄산염, 황산염 등으로 분해시켜 오염도가 낮은 하수처리 방법으로 이용되며 호기성 생물을 이용하게 된다.
5132 ◆ 생물체에너지 ◆ 사탕수수나 고구마 등 알코을 발효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에탄올(에틸 알코올), 해초나 분뇨의 메탄 발효에 의한 메탄, 침엽수의 잎에서 얻는 연료유 등 생물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생물체 에너지라 한다. 브라질에서는 자동차의 거의 대부분이 에탄올로 움직이고 있다.
5133 ◆ 생물학적 검정[生物學的檢定, bio-assay] ◆ 배수중에 함유된 유해 물질이나 각종 약제 등의 독성(毒性)을 시험할 경우, 인체(人體)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마우스나 각종 어류(魚類)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것을 말함. 그 시험 결과로부터 인체에 끼치는 영향을 추정함. 이러한 시험의 결과는, 예를 들면 48시간 TLm이라든가 등의 수치로 표시되어, 그것으로부터 치사량(致死量)이 분명해짐.
5134 ◆ 생물학적 모니터링 (Biological monitoring) ◆ 생체시료를 계통적으로 수집하고, 그 시료 중에 포함된 환경오염 관련물질을 분석, 정량하여 환경오염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공기, 물, 음식물 등을 대상으로 해서 분석, 정량, 평가를 행하는 환경 모니터링에 대비되는 말이다. 환경위생, 노동위생의 분야에서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당해물질 혹은 그 물질이 분석 대상이 되며,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폭로의 지표이어서 건강영향의 지표로는 안된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생체시료를 이용하고 있는 한은 예를 들면 백혈구수의 감소 등 건강영향의 지표도 포함해서 생각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어떤 조직을 어느 시기에 수집하느냐는 당해물질(대사물)의 생체 내 분포 및 생물학적 반감기 와의 대응으로 결정되어야 하지만, 특히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입수하기 쉬운 것으로서 혈액, 오줌, 모발 등이 이용되는 일이 많다.
5135 ◆ 생물학적 방제 ◆ 병해충 방제 시 살아있는 생물 또는 생물 유래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생물 농약이라고도 부르며, 농약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에 비해 환경파괴가 적다. 주로 천적곤충을 이용하거나, 병원성 미생물, 곤충 페로몬 및 호르몬 등을 사용한다.
5136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통상 BOD(Biological Oxygen Demand)라고 부른다. 물의 유기오염 지표의 한가지로서 어떤 물속의 미생물이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 안정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즉, 어느정도 오염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호기성(산소를 필요로 하는)박테리아가 일정 시간내 (보통20도씨에서 5일간)에 물속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ppm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이 오염되어 있으며 유기물이 많게 되고 따라서 유기물을 박테리아가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산소의 양도 증가한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오염된 물 속에서 산소가 결핍될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는 것이다. 1ℓ의 물속에 1mg(1,000분의 1g)의 산소가 필요할때를 1ppm이라고 한다. 음료수는2ppm이하가 적당하고,농업용수는 5ppm좋다. 5ppm이상이 되면 하천은 자기정화 능력을 잃으며,10ppm을 넘을 때는 나쁜 냄새를 풍기며 시궁창 하천이 된다.
5137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生物學的酸素要求量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 오염된 물의 수질(水質)을 표시하는 한 지표(指標)이다. 하천, 호소, 해역 등의 자연수역에 도시폐수ㆍ공장폐수가 방류되면 그 중에 산화되기 쉬운 유기물질이 있어서 자연수질이 오염된다. 이러한 유기물질을 수중의 호기성 세균이 산화하는데 소요되는 용존산소의 양을 mg/L 또는 ppm으로 나타낸 것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일반적으로 BOD로 호칭되며, 생물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질의 강도를 뜻한다. 수중의 유기물질 중에는 경성세제(硬性洗劑), 일부의 농약, 리그닌(lignin) 등과 같이 생물분해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생물분해가 곤란한 유기물질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BOD 값에 포함되지 않는다. 인간이 합성한 고분자 유기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하면 BOD 반응에도 잡히지 않는 유기물질의 농도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의 농도는 중크롬산칼륨 COD 농도와 최종 BOD 농도와의 차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볼 때 생물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질에 대해서는 중크롬산칼륨 COD 값과 최종 BOD 값이 일치한다. BOD 반응은 온도증가에 따라서 약간 증가한다. 도시폐수의 경우 BOD 반응은 20℃에서 약 20일이 걸리는데 이와 같이 끝까지 반응시켜서 얻은 것을 최종 BOD 농도라고 한다. 이와 같이 BOD의 완전반응 소요기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실무현장에서는 5일간만 반응시켜서 얻은 농도값을 사용한다. 이것을 BOD5 또는 5일 BOD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BOD라고 한다. 끝까지 완전 반응시켜서 얻은 BOD 농도값은 반드시 최종 BOD, 또는 BODu이라고 표시한다. BOD 시험법에서는 미리 완충액ㆍ희석수(稀釋水)ㆍ식종세균(植種細菌)ㆍ시약 등을 준비하고, 채취한 시료에 이러한 것들을 알맞게 혼합하여 희석한 후, 희석된 시료와 희석수를 각각 20℃ 부란기에 넣어서 5일간 배양한다. 그리고 BOD 값은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BOD (mg/L)= ( D₁- D₂) - ( B₁- B₂) × f / P D₁: 희석된 시료의 용존산소 DO(mg/L), D₂: 5일 배양 후 희석된 시료의 DO(mg/L), B₁: 배양 전 희석식종수의 DO(mg/L), B₂: 5일 배양 후 희석식종수의 DO(mg/L), f : 희석식종수에 대한 시료의 식종비, P : 시료량의 비율 f = D₁에서의 식종 (%) / B₁에서의 식종 (%)
5138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시험법[生物學的酸素要求量試驗法,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 시료를 20℃에서 5일간 저장해 두었을 때 물 중의 호기성 미생물 증식과 호흡 작용에 의하여 소비되는 용존 산소의 양으로부터 측정하는 방법으로 용존 산소가 소비되는 산소의 양보다 적을 때에는 시료를 희석수로 적당히 희석하여 사용함. 시험 방법으로는 시료(또는 전처리한 시료)의 예상 BOD값으로부터 단계적으로 희석배율을 정하여 수종의 희석 검액을 3개를 한 조로 하여 조제함. 예상 BOD값에 대한 사정 경험이 없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희석하여 검액을 조제함. 강한 공장 폐수는 0.1∼1.0%, 처리하지 않은 공장 폐수와 침전된 하수는 1∼5%, 처리하여 방류된 공장 폐수는 5∼25%, 오염된 하천수는 25∼100%의 시료가 함유되도록 희석 조제함. BOD용 희석수 또는 식종한 BOD용 식종 희석수를 사용하여 검액을 희석할 때에는 메스실린더에 공기가 갇히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1/2용량만큼 채우고, 시료 또는 전처리한 시료 적당량을 넣은다음, BOD용 희석수 또는 BOD용 식종 희석수로 희석배율에 맞는 눈금의 높이까지 채움, 공기가 갇히지 않게 적은 막대로 조심하면서 섞고 3개의 300㎖ BOD병에 완전히 채운 다음 두 병은 막대를 꼭 닫아 물 속에 넣어 외부와 차단하여 20℃의 BOD용 부란기에 넣어 5일간 저장하고, 한 병은 희석된 시료 자체의 처음 용존산소를 측정하는데 사용함. 시료를 같은 방법으로 단계적으로 정해진 희석 배율에 따라 몇 조(組)의 희색 검액을 조제하여 두개의 300㎖ BOD병에 완전히 채운 다음 두병의 마개를 꼭 닫아 물 속에 넣어 외부와 차단하여 20℃의 BOD용 부란기에 넣어 5일간 저장함. 나머지 한 병은 희석된 시료 자체의 처음 용존 산소를 측정하는 데 사용함. 처음의 희석 시료 자체의 용존 산소량과 20℃에서 5일간 저장할 때 소비된 용존 산소의 양을 용존 산소 측정법에 따라 측정하여야 두 개의 평균값을 구함. 5일간 저장한 다음 산소의 소비량이 40∼70% 범위 안인 희석검액을 선택하여 처음의 용존 산소량의 평균값의 차로부터 BOD를 계산함.
5139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生物學的 酸素要求量, biochemcal oxygen demand, BOD] ◆ 물속에 사는 미생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유기성 오염물질을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하여 안정화하는 데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말하는 것으로, 물속에 있는 유기성 오염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간접 지표가 된다. 그러나 유기성 오염물질 중 섬유소나 리그닌 등은 제한된 시간 내에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아 산소의 소비도 거의 없게 되므로 BOD로는 이들의 함유량을 정확히 나타낼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질의 경우에는 BOD가 COD에 비해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게 되며, 폐수나 오수의 경우도 이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라 BOD와 COD의 값이 각기 다르게 되며 일반적으로 20℃에서 5일간 소비되는 산소량이 사용되며 BOD로 표시된다.
5140 ◆ 생물학적 산화 처리[生物學的酸化處理] ◆ 생물산화 처리라고도 함. 생물학적 처리에는 산화처리와 환원 처리가 있음. 산화 처리는 호기성(好氣性)균에 의한 처리이며, 이를 이용한 오수 처리에는 활성오니법(活性汚泥法),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 에어레이션법 등이 있고, 가정 하수의 처리조에 이용되는 처리법도 이에 속함. 이 방법에는 호기성균의 증식을 위하여 공기 중의 산소를 에어레이션 등이 방법으로 충분히 공급해야 하며, 분뇨(糞尿), 기타의 영양물을 공급하고 적당한 pH와 온도를 유지시키며, 균의 증식에 방해가 되는 독성(毒性)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5141 ◆ 생물학적 수질 판정[生物學的 水質判定] ◆ 오수(汚水)생물질계나 수질 계급으로 수질 판정을 하는 것을 말함. 화학 분석은 채수시(採水時)의 수질만을 판정할 수 있는 반면 생물학적 수질 판정은 과거의 수질의 총화(總和)를 표시함.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오탁 정도에 대한 판정을 내릴 수는 있어도 오탁 성분을 확인할 수는 없음.
5142 ◆ 생물학적 수질지표 [生物學的 水質指標 biological index of water] ◆ 수중에 생존하는 생물에 의해서 수질을 판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생물변화는 판정이 용이하며, 장기에 걸친 오염의 영향을 알 수가 있다. 지표를 구하는 방법에는 BIP, BI, 다양성지수, 생물검정, AGP 등이 있다.
5143 ◆ 생물학적 수질평가기법 ◆ 수생태계의 상태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어류와 저서생물 지표종, 서식지 및 생물특성을 이용해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독일,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특정 환경상태를 선호하는 주요 생물종을 고려하여 생물지표종 평가등급을 매우 좋음에서 매우 나쁨까지 4개 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5144 ◆ 생물학적 오염도[生物學的 汚染度, biological index of water pollution] ◆ 지표수오염의 정도를 오염도라 하며 이것을 생물학적으로 나타낸 것. 현미경하에 나타나는 전단세포생물수에 대한 무색생물수를 백분율로 나타낸다. 약하여 단지 오염도 또는 BIP라고도 한다.
5145 ◆ 생물학적 인 제거법[生物學的 隣 除去法,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인은 생물의 구성물질로서는 불가결의 원소로 활성오니에는 1∼2%인이 포함된다. 활성오니에는 제거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량의 약 50%상당의 잉여오니가 검출되며 이와 더불어 배수중의 인은 10∼30% 최대로 40%가 제거되나 이것이 충분한 제거법은 아니다. 활성오니 생물은 적응도의 BOD와 호기적 조건요인으로 필요이상의 고농도(6∼8%)에 인을 축적하는 과잉섭취의 현상이 있다. 이 반대로 염기성하 또는 pH의 저하, 독성물질의 존재등 외에 자기소화과정에서 활성오니생물은 균체내의 인을 액중에 방출한다. 이 과잉섭취와 방출과 물을 교대로 조합시키는 프로세스에 의해 인을 다량포함한 오니를 계외에 배출하는 것이 되고 처리수중 잔유인농도를 1㎖/ℓ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5146 ◆ 생물학적 작용[生物學的 作用] ◆ 생물학적 작용이 자정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자정작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생물상에 영향을 끼치는 외적환경조건으로 온도, PH, DO, 햇빛 등이 중요한 인자이다. 수중 생물은 흡수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수중의 DO에 의지하고 있으므로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산소를 보충하지 않으면 DO가 감소하고 마침내는 그것을 소비하는 호기성 미생물(유리산소만을 소비하는 미생물)이 대신 활동을 개시하게 된다. 전 단계에서는 호기성분해인 산화가 주가되며, 후 단계에서는 혐기성분해, 즉 부패인 환원이 주가된다. 호,혐기성 분해에 의해 오염물질은 결국 간단한 안정된 무해무기물이 된다.
5147 ◆ 생물학적 정화[生物學的 靜化, biological purification] ◆ 산업 활동이나 일상생활의 결과, 생기는 오수, 하수, 산업배수, 미생물(세균류, 균류, 원생동물류, 미소후생동물류, 미소조류등)을 써서 자연수레벨 또는 별도로 정한 수질기준치까지에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처리법) 또 하천, 호수, 저수지 등에 있어 인정되는 자정작용(自淨作用)중 생물이 관계되는 정화기구를 가리킬 때도 있다.
5148 ◆ 생물학적 지표[生物學的 指標] ◆ 수질오염의 정도를 생물을 대상으로 하여 수량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로서, 수질·대기오염의 판정의 기준으로 활용된다.
5149 ◆ 생물학적 처리[生物學的 處理, biological treatment] ◆ 배수 처리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 크게 호기성(好氣性)처리와 혐기성 처리로 나뉘어짐. 전자는 호기성 균에 의해 배수 중의 오탁 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방법이고,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 활성오니법(活性汚泥法)등이 이에 속함. 후자는 혐기성 균에 의하여 배수 중의 오탁 물질을 환원 분해하여 메탄가스, 탄산가스, 수소 등으로 만드는 방법임. 활성오니의 소화처리, 펄프 배수의 처리, 알콜 증류 배수의 처리 등에 이용됨, 가정 하수의 소화조는 호기성 균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가 많음.
5150 ◆ 생물학적 탈질법[生物學的 脫窒法] ◆ 활성오니법(活性汚泥法)을 이용, 배수 중의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 우선 소화조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산화시킴. 이 반응에는 긴 시간이 요구되며 Nitrosomonas등의 세균이 활동함. 탈질조에서는 질산을 환원시켜 질소 가스로서 공중에 방출함. 탈질조에는 세균의 영양원이 될 수 있는 유기물이 없기 때문에(BOD 제거조에 미리 제거)메탄올 등을 보급해야 함.→질소제거법.
5151 ◆ 생물학적 탈질소 ◆ 하수·분뇨 처리장의 2차 처리 단계에서 질소는 50%가 제거된다. 질소가 배수처리와 함께 강에 방류되면 하천의 부영양화나 하류 상수도 오염의 원인이 된다. 탄질소균이 슈드모터스 테니트 리퓌칸스, 파라콕스 데니트리퓌칸스 등은 초산이나 아초산을 질소가스로 만들어 주므로 탈질소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탄질소균은 질소분을 경지로부터 빼앗는 기능을 하므로 농업에 불리한 면은 있으나 자연계의 질소순환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5152 ◆ 생물학적 탈질작용 ◆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혐기적 조건 하에서 미생물은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를 이용하여 N2(질소) 또는 N2O(아산화질소)를 생성하는데 이와 같이 생물에 의해 아질산성질소 및 질산성질소가 질소가스로 환원되는 것을 말한다. 폐수 및 하수 처리 시 산소를 공급하는 호기조 외에 혐기조를 설치하는 이유는 질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다.
5153 ◆ 생물학적 환원 처리[生物學的還元處理] ◆ 혐기성(嫌氣性)균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를 말함. 오염 오니(汚泥)의 소화처리, 펄프 공장 배수의 처리, 알콜증류 공장 배수의 처리 등에 이용됨. 혐기성균은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하에서는 유기물을 분해 환원시켜, 메탄가스, 탄산가스, 수소 등으로 변화시킴 → 환원
5154 ◆ 생물활성탄법 ◆ 정수공정의 하나로 활성탄탑을 통과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일정기간 사용을 계속하면 활성탄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 막이 생물막처리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므로 널리 활용되게 되었다.
5155 ◆ 생분해 ◆ 생분해라 함은 biodegradation을 번역한 단어이고 생물에 의한 분해를 의미하지만 생물 중에서도 미생물의 분해역할이 큰 점에서 미생물 분해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생분해란 미생물을 이용한 환경개선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토양 혹은 오염원인 유기 합성 물질을 분해하여 무해한 물질로 전환 시키는 작용이다.
5156 ◆ 생분해도 ◆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정도를 가리킨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사용 후 7일째 생분해도가 90% 이상 되는 것'을 세제의 기준치로 정하여 수질오염을 막고 있다. 현재 세계 기업들은 생분해도가 높은 천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5157 ◆ 생분해성 플라스틱 ◆ 1. 정의 석유화학 및 고분자화학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나무, 철강 등의 천연소재의 대용품으로 합성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저렴한 가격, 낮은 비중, 뛰어난 성형성 등으로 큰 인기를 끌게 되어 더 이상 플라스틱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조차 없게 되었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자연환경에서 분해되는 데 짧게는 수백년, 일반적으로는 거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나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한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자연환경에서 쉽게 분해가 되어 환경오염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이에 대두되는 것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대체로 전분을 이용하거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해서 만든다. 전분을 사용하는 방법은 옥수수나 감자를 첨가해서 만들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생분해성이 없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주로 의류에 사용)의 분자구조 중 벤젠고리 부분을 탄화수소로 대체, 자연환경에서 완전 생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전분을 이용한 제품은 가격이 저렴하고 분해성은 뛰어나지만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가격이 고가이지만, 강도가 높고 가공성이 뛰어나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2. 종류 및 특성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천연계 고분자, 화학 합성 고분자, 미생물 생산 고분자 그리고 천연계 고분자와 화학 합성 고분자의 혼용 등 크게 4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 천연고분자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적용되는 천연 고분자는 곡물에서 추출되는 전분, 곡물의 잎이나 갈대 등에서 유래되는 Cellulose, Hemi-cellulose, 그리고 게, 새우 등의 껍질에서 유래되는 키틴질과 Protein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계 고분자는 고유 특성으로 인해 합성 또는 미생물 생산 고분자에 비해 플라스틱 가공성은 떨어지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편이다. 고분자 중에서도 전분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로 가장 선호되고 있고, 실제로 전분을 원료로 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포장 용도로서 현재 가장 많이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분이 새로운 플라스틱의 주원료로 부각된 이유는, 전분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료 중에서 생분해도가 가장 우수하다는 점, 가격이 타 원료에 비해 매우 저렴하며 자원이 풍부하고 공급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즉 전분은 고갈 위기에 처해있는 석유 자원에 비해, 지구상에서 녹색 식물이 존재하는 한 무한하게 공급될 수 있는 무독성의 천연계 원료라는 것이 큰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생분해성 프라스틱에의 적용을 위한 대표적인 전분 변성 기술로는 기존 범용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처럼 일정 온도 이상에서 탄화되지 않고 형태가 자유자재로 바뀔 수 있는 열가소성을 전분에 부여한 열가소성 전분 (Thermoplastic Starch)을 들 수 있다. * 합성고분자 발효기술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산등의 원료를 중합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고분자를 말한다. 미생물에 의한 생산에 따르는 물성 불균일, 생산성 저하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제시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물성 조절이 자유로워 매우 이상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나, 아직은 단가가 매우 일반화 되지 못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료로 사용되는 합성 고분자에는 PCL[Poly(ε-caprolactone)], PLA[Poly(lactic acid)], Diol/Diacid계 Aliphatic polyester, PG[Poly(glycolic acid)], Poly(phosphate ester) 그리고 Poly(phosphazene)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일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 또는 소모성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용도로는 PCL, PLA, Diol/Diacid계 Aliphatic polyester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기타 다른 합성 고분자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의료용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 생산 고분자 일부 미생물은 양분의 저장형태 또는 배설물의 형태로 고분자물을 생산한다. 이러한 고분자물은 생분해성이 뛰어나지만, 생산량 및 속도에 제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분자량면에서도 범용수지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PHB(poly-hydroxy butyric acid)이다. PHB는 poly-hydroxyalkanoate의 일종으로 D-3-hydroxy-butyric acid가 직선상으로 연결된 단일 중합체이다. 이들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기존의 범용 수지와 유사한 물성을 갖고 있으나,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플라스틱 포장재나 소모성 플라스틱 제품으로의 실용화는 현재로선 어려운 면이 있으며, 고부가가치의 의료 용도로서 일부 사용되고 있고 높은 생산 단가를 낮추고 경쟁력 있는 가격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혼합형 생분해성 수지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생산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점에서 천연물 혼합형은 가장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천연물 혼합형이란 전분 같은 천연물과 올레핀등의 기존 수지를 혼련하여 생산하는 형태로 공정도 비교적 간단하고 원가도 그다지 많이 들지 않기 때문에 많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결국 분해가 되는 것은 천연물뿐이고 기존 수지는 여전히 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의 분해성 수지라고 할 수는 없다.
5158 ◆ 생분해성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 ◆ 흙 속이나 물속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미생물이 생산하는 플라스틱, 전분이나 셀룰로스 등의 천연소재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하는 것과 다시 분해성을 부여한 화학합성플라스틱으로 분류
5159 ◆ 생산공정단계 ◆ 제품이 만들어지는 중간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서는 물, 전기, 연료 등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각종 설비를 사전에 완벽히 정비하거나 재배치를 하여 원활한 흐름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부적합한 설비 배치와 부적정한 에너지 사용으로 자원의 낭비와 폐기물ㆍ각종 오염물질의 증가는 곧 생산효율과 제품품질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독물이나 위험물을 저장하고 있는 탱크나 배관시설에 대해 정기적인 검사를 하여 누출여부를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더불어 최악의 경우를 대비한 사전 예방 위주의 훈련도 실시해야 합니다. 적정포장으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사용 후 재활용이 될 수 있는 포장재질을 선택하도록 해야 합니다. 생산공정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따라 최종처리되는 방지시설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5160 ◆ 생산녹지 ◆ 일반적으로 도시 계획법에서는 무질서한 도시계획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계획지역을 시가화구역과 시가화 조성구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대도시 근교의 농지는 대부분이 시가화 구역으로 되어 택지로 되지만, 장기간 영농을 계속하는 것을 희망하는 농가 및 공해라든가 재해 등에 대비하여 좋은 도시환경을 지키려는 목적에서 생산녹지법이 공포되는데 이러한 토지를 예외적으로 생산녹지라고 하고, 생산녹지에 대해서는 고정자산세의 감면 등 세제상의 우대조치가 취해진다. 소위 농지를 택지수준의 과세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다.
5161 ◆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란? ◆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이하 EPR)란 제품의 생애주기에 있어 제품의 판매와 사용과정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소비한 이후 재활용까지 생산자의 책임을 확장시키는 제도이다. 여기서 책임이란 법적, 경제적 물리적 책임을 모두 포함한다. EPR제도의 실행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째, 폐기물의 물리적, 재정적 관리 책임이 자치단체에서 생산자에게로 이전된다. 폐기물 발생의 원인 제공자인 동시에 상품에 대한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진 생산자가 폐기물의 재활용까지 담당함으로써 재활용을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생산자들에게 상품의 계획과정에서부터 환경적인 고려를 하도록 동기부여를 한다. 사전에 폐기물이 적게 발생하고 재활용하기 쉽게 설계된다면 폐기물 발생량과 재활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품 설계시부터 부품 재활용성, 분해 용이성, 에너지 절감 등의 환경적 측면을 고려함으로 제품의 환경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EPR의 대상은 텔레비전과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오디오, 컴퓨터 등 가전제품과 타이어, 윤활유, 형광등, 전지류 그리고 종이팩과 금속캔, 플라스틱 포장재, 스티로품 등 18종이다. 재활용 여건이 부족한 형광등과 과자봉지 등 필름류는 2004년부터, 이동전화 단말기와 오디오는 2005년부터 EPR 대상에 포함된다. 선진국에서도 폐기물을 생산자가 책임지게 하는 제도를 확대 실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1년 4월 ‘폐가전 리사이클 법’이 도입되었고, EU에서도 오염자부담의 원칙에 따라 2002년 4월 가전제품 회사가 자사 제품의 재활용 책임을 지도록 의무화하였다. EU에서는 폐가전을 포함한 80여개 품목에 대해 생산자들이 회수해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제도화를 위한 논의가 진행중이다.
5162 ◆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 ◆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의 일정량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생산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재활용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실제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이상을 생산자로부터 재활용부과금으로 징수하는 제도
5163 ◆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 ◆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의 일정량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생산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재활용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실제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이상을 생산자로부터 재활용부과금으로 징수하는 제도 재활용의무대상 품목 재활용의무 면제자 - 포장재를 사용한 제품의 제조업자 및 농·수·축산물 판매업자, 포장재 제조업자 : 전년도 연간 총매출액이 10억원 미만이거나, 당해연도 상반기 매출액 5억미만 - 포장재 및 포장재를 사용한 제품의 수입업자 : 전년도 연간 총 수입액이 3억원 미만이거나, 당해연도 상반기 수입액이 1억5천만원 미만
5164 ◆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 지난 30년간 각 국가들은 새로운 매립장과 소각장건설을 통해 쓰레기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정부 등 공공의 환경비용 지출이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매립장, 소각장 증가에 따른 환경문제와 이로 인한 국민적, 사회적 저항이 격렬하였고, 이에 따른 대안으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가 등장하였다. 즉, 현대 대량생산, 대량소비체계 하에서 폐기물감량 및 재활용을 통한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와 소비자의 책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생산자의 책임을 강화하여 제품의 설계, 제조과정에서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선택, 디자인 및 구조개선을 통해 폐기물의 원천적인 감량화와 발생된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를 도입하는 원리이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란 제품의 생산자들로 하여금 제품의 설계, 제조, 유통, 소비 및 폐기 전과정에 걸쳐 환경친화적인 경제활동을 유도함으로서 폐기물의 감량(Reduction), 재이용(Reuse), 재활용(Recycling)을 촉진하여 「자원순환형 경제, 사회 체계」를 도모하려는 제도로 독일(DSD), 영국, 프랑스, 헝가리 등 유럽 15개국과 일본, 대만, 호주 등 대부분의 선진국가들이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을 위해 1992년부터 생산자재활용제도의 일종인 폐기물예치금제도를 도입, 시행해 왔는데 기존의 예치금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계를 발전시킨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를 2002. 2월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을 개정하여 도입하였다.
5165 ◆ 생석회[生石灰, lime] ◆ →생석회(quick lime)
5166 ◆ 생석회[生石灰, quick lime] ◆ 산화칼슘의 관용명.석회석을 석회로에서 석탄 또는 가쓰로 가열하여 생산함.
5167 ◆ 생수 ◆ 생수란 본래 지상표층까지 암반 틈새로 솟아오르는 포화대수층의 지하수를 의미한다. 1980년대 초 한 업자가 생수란 용어를 상품명으로 표기하고 오염되지 않고 살아 있는 물이라고 선전함으로써 생수 본래의 뜻이 왜곡되기 시작했는데. 이때 생수는 단순히 유해한 물질이 없다는 의미보다는 건강상 필요한 미네랄이 적당량 포함된 물을 말한다. 병에 넣어 판매하는 생수는 마시기 적합한 수질을 가진 지하수를 가공한 것으로서 법적 용어가 광천음료수였으나, 1995년 5월부터 「먹는 물 관리법」이 시행됨에 따라 ''먹는 샘물''로 명칭이 바뀌었다. 생산 전량을 수출하거나 주한 외국인에게 판매한다는 조건으로 제조허가가 난 ''생수'' 즉 먹는 샘물이 일반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다. 먹는 샘물은 1994년에 시판이 허가되면서 기름값(1ℓ에 8백여 원)과 맞먹는 비싼 가격임에도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1994년 기준으로 먹는 샘물 제조 허가를 받은 업체는 15개 업체며 먹는 샘물을 마시는 인구는 약 5백만 명에 달하고, 그 시장규모도 9백억 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먹는 샘물 시판으로 정부의 맑은 물 공급 정책이 흔들릴 우려가 있고, 계층간에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여론 또한 일고 있다. 먹는 샘물 관련 업무는 1994년 이전까지 보건복지부에서 담당해 왔으나 최근 환경부로 일원화되었다. 이와 같은 먹는 샘물의 시판 허가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이 지하수이므로 자원보호를 위해 먹는 샘물 제조업자와 수입업자에게는 수질개선부담금과 환경 영향조사서를 제출해야 하는 의무가 부과된다.
5168 ◆ 생수와 먹는 샘물 ◆ 생수와 먹는 샘물은 같은가? 생수는 원래 지상표층까지 암반 틈새로 솟아오르는 포화대수층의 지하수를 의미한다. 1980년대 초 한 업자가 생수란 용어를 상품명으로 표기하고 오염되지 않고 살아있는 물이라고 선전함으로써 생수 본래의 뜻이 왜곡되기 시작했는데, 이때 생수는 단순히 유해한 물질이 없다는 의미보다는 건강상 필요한 미네랄이 적당량 포함된 물을 말한다. 병에 넣어 판매하는 생수는 마시기 적합한 수질을 가진 지하수를 가공한 것으로서 법적 용어가 '광천음료수'였으나, 1995년 5월부터 『먹는 물 관리법』이 시행됨에 따라 '먹는 샘물'로 명칭이 바뀌었다. 생산 전량을 수출하거나 주한 외국인에게 판매한다는 조건으로 제조허가가가 난 '생수' 즉 먹는 샘물이 일반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이다. 먹는 샘물은 1994년에 시판이 허가되면서 기름값(1ℓ에 8백여원) 과 맞먹는 비싼 가격임에도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5169 ◆ 생식연쇄 (Grazing food chain) ◆ 부식연쇄에 반대되는 말이다. 식식 식물연쇄, 채식 식물연쇄라고도 한다. 녹색식물을 기점으로 하여 식식자, 채식자와 계속 먹히고 먹는 생물의 연결고리이다. 먼저 식물연쇄는 포식연쇄, 기생연쇄, 부식연쇄의 3가지 형으로 구분된다. 그 후 생태계에서의 생물부분의 2가지 기능(독립영양 활성과 종속영양 활성)과 이것을 시간적 및 공간적인 분리로부터, 생식연쇄와 부식연쇄 2개의 에너지회로를 기본형으로 하는 것이 많아졌다. 영양단계가 올라 갈수록 몸이 대형화하는 포식연쇄에 대해서, 소형화하는 기생연쇄도 생체의 소비자로부터 되므로, 에너지적 관점에서는 양연쇄에 기본적인 상이는 없다고 생각된다. 이 연쇄는 생태계의 상부를 차지하는 독립 영양층으로 전개되지만, 육상의 식생, 초목층보다 해양의 생산층에서 비율이 높은 에너지의 유입이 보여진다. 연쇄를 구성하는 개개 생물의 과계 및 에너지의 생태학적 효율 등 포식연쇄, 기생연쇄 각각의 내용을 기본으로 성립하고 있다.
5170 ◆ 생애독성시험[生涯毒性試驗, life epen toxicity test] ◆ 실험동물의 일생을 시험기간으로 하고 행하는 독성시험. 주로 식품첨가물, 농약, 약물 등 사람이 장기간 섭취할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의 안정성 평가로 행하는 만성독성시험에 사용된다. WHO(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 및 각국 만성 독성 시험의 가이드라인에는 2종이상의 동물에 대해 생애독성시험이 필요로 되어 있다.
5171 ◆ 생애리스크 ◆ 장래 질병발병으로 연결되는 리스크요인은 일상생활 가운데서도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스크원에 노출됨으로써 입게 되는 피해가 생애기간 동안에 나타날 확률을 생애리스크라고 한다. 방사선피폭의 경우 피폭에 의하여 발생하는 암은 오랜 잠복기를 거쳐 생애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에 생애리스크는 방사선피폭에 의하여 일생동안에 암이 발생(또는 암에 의하여 사망)하는 확률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방사선리스크」라고 할 때는 방사선기인의 생애리스크를 지칭하고 있다.
5172 ◆ 생오니[生汚泥, raw sludge, fresh sludge, crude sludge] ◆ 침전지에서 갓 빼낸 아직 분해가 과히 안된 진행되지 않은 오니, 즉 최초침전지 및 최종침전지에서 볼 수 있는 침전물 또는 부유물질로서, 소화가 되어 있지 않은 오니를 말한다. 생오니는 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신선한 것은 분해되기 쉽지만, 일반적으로 단시간에 연회색에서 진회색 또는 흑색으로 변하며, 악취를 발산하여 탈수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생오니는 적절한 소화 처리로 유기물에서 무기물로 만들어 안정화 시킬 필요가 있다.
5173 ◆ 생오니[生汚泥, raw sludge, fresh sludge, crude sludge] ◆ 침전지에서 갓 빼낸 아직 분해가 과히 진행되지 않은 오니.
5174 ◆ 생체 고분자[生體高分子, biopolymers] ◆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물질의 총칭. 단백질(구상, 섬유상단백질), 핵산(DNA 및 RNA)등이 포함된다. 생체고분자를 합성 고분자와 비교하면 반드시 아이소탁틱플리머이며 또 다당류(多糖類)를 빼면 고분자전해질로서의 성질을 겸한 것에 생체고분자의 특징이 있다.
5175 ◆ 생태·경관보전지역 ◆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으로서 자연환경보전법에 의거해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지역을 말한다.
5176 ◆ 생태경제학 ◆ 경제를 생태계의 일부로 보는 관점을 적용한 경제학 분야이다. 1970년대에 인류의 복지 향상을 위해서 인류 사회와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움직임으로 태동되었다.
5177 ◆ 생태계 농약 연락회의 ◆ 1988년 일본 농림수산성에 의해 발족된 유기농산물의 기준 작성을 검토하는 회의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많이 사용하는 근대 농업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1970년대초, 무농약 무화학비료의 농법, 유기농업 운동이 일어났다. 최근 「유기농법에 의한」농산물이나 가공식품이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유기농법의 명확한 정의가 없고, 공통된 기준도 없다는 점이 이전부터 문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동 연락회의를 설치, 관계 단체와 기준 내용의 검토를 병행하고 있다.
5178 ◆ 생태계 서비스 ◆ 자연 생태계가 제공하는, 생명을 유지하고 인간 복지에 핵심적인 프로세스 및 기능들.
5179 ◆ 생태계[生態系, ecosystem] ◆ 생물 군집(식물 군집과 동물 군집) 및 그것들을 둘러싼 자연계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요인이 총합된 물질계(Translery, 1935). 생태계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및 환원자로서 구성되며,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에는 물질 대사계가 성립되어 있음. 자연 환경을 기준으로 하여 육지 생태계, 해양 생태계 등으로 구별되고, 생물 군집군을 기준으로 하여 삼림(森林)생태계, 조류(鳥類)생태계 등으로 구별됨. 생태계의 일부가 인위적으로 변경 또는 파괴되면, 그 생태계 전체의 물질 대사회로가 큰 영향을 받게 됨. 먹이를 모으던 시대의 인간은 자연환경의 공생자(共生者)였지만, 공업화의 진전과 함께 자연의 생태계는 파괴되어, 서로 다른 생태계가 계속 생기고 있음. 최근의 인구의 폭발적 증가도 생태계 변화의 하나로서 주목해야 할 문제임.
5180 ◆ 생태계교란생물 ◆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않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유전자변형 생물체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서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것을 말한다.
5181 ◆ 생태계보전지역 ◆ 생태계보전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거 ① 생태, 자연도에 의하여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 ②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학술적 가치가 큰 지역 ③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④ 멸종위기 야생동, 식물 또는 보호야생동, 식물의 서식처, 도래지 등으로서 보전의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 ⑤ 각종의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을 환경부장관(육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해양)이 지정하며, 시, 도지사는 생태계보전지역에 준하여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시, 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한다. 2002년 말 현재 전체 생태계보전지역은 낙동강하구 등 20개(191.712km2)이며 이중 시, 도 생태계보전지역은 광양 백운산 등 10개(37.629km2)이다. 또한 생태계보전지역안에서 특별히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등을 보호하거나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구역은 ‘자연생태계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는데 현재 ① 지리산생태계보전지역, ② 대암산용늪생태계보전지역, ③ 우포늪생태계보전지역중 수면전역, ④무제치늪생태계보전지역이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5182 ◆ 생태계보전지역[生態界保全地域,ecosystem conservation area] ◆ 멸종된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야생동식물의 서식지 ·도래지로서 중요하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에 대하여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지역을 말한다. 생태계보전지역 안에서는 일정한 야생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할 수 없고, 건축물이나 공작물을 축조할 수 없으며, 토지의 형질을 변경할 수 없는 등 각종의 행위 제한이 따른다.
5183 ◆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TEEB) ◆ 자연의 가치를 가시화하는 데 중점을 둔 글로벌 운동으로, 주요 목표는 모든 수준의 의사 결정에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주류로 삼는 것이다.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생태서비스 계량의 방법론과 구체적인 사례, 이의 필요성을 정책 입안자들에게 호소하는 전략, 생태서비스의 가치를 고려한 경제적 유인책의 디자인 등 여러가지 현실적이고 유용한 주제들을 다룬 보고서들을 발간하고 있다.
5184 ◆ 생태계위해외래동·식물 (Invasive Alien Species) ◆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국내 생태계의 균형유지에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는 동·식물을 말한다(황소개구리, 파랑볼우럭(불루길), 큰입배스).
5185 ◆ 생태계위해외래동·식물(Invasive Alien Species) ◆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국내 생태계의 균형유지에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는 동·식물을 말한다(황소개구리, 파랑볼우럭(불루길), 큰입배스).
5186 ◆ 생태공원 [ecopark, 生態公園] ◆ 생물의 생활과 그 환경을 중시하고,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목표로 하며 도시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증진을 기여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공원을 말한다. 공간구성으로는 생물권 보전개념으로 핵심, 완충, 전이지역을 설정하고, 야생동물 서식처를 위해 습지, 초지, 숲, 깊은 물과 채소원에서 먹거리를 제공하고, 관찰공원으로는 환경교육을,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정서함양을 유도한다.
5187 ◆ 생태관광 ◆ 다양한 생물상, 희귀 동식물, 원시림 등을 소유한 지역을 본래 생태특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개념이다.
5188 ◆ 생태도시란? ◆ 생태도시란 개념은 1992년 브라질 리우환경회의 이후 전세계적으로 개발과 환 경보전을 조화시키기 위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제기되었다. 환경보전적 도 시개발 논의와 관련하여 녹색도시, 환경도시, 생태도시, 환경공생도시, 환경친화 적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에코시티, 에코폴리스 등의 용어들이 혼용되고 있는 데, 이는 도시를 하나의 생태계 또는 유기체로 파악하는 새로운 파라다임의 도시 관을 표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네델 란드의 암스테르담이 지난 92년 3월 주민투표를 실시해 도심의 차량진입을 금지시키기로 결의하고 도심을 녹지와 보행공간으로 개조하고 있다. 일본 중공 업의 상징인 가와사키시는 2000년까지 전체 시 면적의 30%를 녹지로 바 꾸는 작업에 들어갔다. 독일의 도시들은 자연을 질식시켰던 강변의 콘크리트를 뜯어내고 수초와 생물이 모여드는 공간으로 강변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다. 런던 시는 도심 6곳에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생태공원을 만들어 반경 32㎞ 의 도시 안에 3백14종의 척추동물들이 살고 있다. 파리시 10구 시민들은 시장이 군대병원이 철수한 공터에 상가를 만들려고 하자 담을 헐고 들어가 나무 를 심고 ‘빌맹공원’을 만들었다.
5189 ◆ 생태독성 관리제도 ◆ 산업폐수에 들어있는 다양한 화학물질들에 대해 일일이 기준을 정해 평가하는 기존 수질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폐수 방류수의 유해 물질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물벼룩을 이용해 검사하는 제도이다. 공공 하·폐수처리 시설과 1·2종 사업장은 2011년부터, 3~5종 사업장은 2012년부터 생태독성관리제도가 도입되었다. 방류수에 물벼룩을 넣어 사멸 또는 유영저해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미지의 독성물질이 방류수에 함유되어 있을 경우 물벼룩이 영향을 받는 정도를 TU(Toxic Unit)라는 단위로 표현한다.
5190 ◆ 생태독성[生態毒性, ecotoxicology] ◆ 생태계(환경요인, 동물, 식물)미생물이 상호평형을 유지하는 계(系)외 생물밀도, 기능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인자, 화학적 인자를 연구하는 학문영역을 말함. 연구방법으로는 생태계의 일부를 실험실적으로 재현하고 그 안에의 물리적, 화학적 인자의 영향을 연구하는 방법과 가능한한 자연의 생태계에 가까운 조건을 시험적으로 또는 야외에 재현하고 물리적, 화학적 인자의 영향을 연구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현재 화학물질의 규칙에 쓰이고 있는 생태독성시험은 전자의 범주에 드는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MPD에 있어서 자연생태계의 영향에 관한 시험으로선, 조류(燥類), 어류에 대한 독성시험이 정해져있고 이것들은 생태계의 저변을 구성하는 생물종이면서 각기 식물연쇄 관계에 있다.
5191 ◆ 생태마을[ecovillage] ◆ 인간의 활동을 자연환경과 해롭지 않게 통합하고 건강한 개발을 유지하고자 부지를 구입하고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비전을 가지고 생물지리적인 특성과 지방적이고 유기적인 식물생산, 생태건물 축조 등으로 이루어진 마을을 말한다.
5192 ◆ 생태면적률 ◆ 생태면적률 은 공간대상 계획지 면적 중에서 자연의 순환기능 을 가진 토양{녹지,수공간(투수,차수), 옥상,벽면녹화,부분포장 등} 면적의 백분률로 도시공간 의 생태적 기능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계획 지표. 생태 면적률 추산방법'' 먼저 공간 유형별 로 생태측면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가중치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자연녹지는 1,콘크리트 포장면은 0로 하고 인공지반녹지(0.5~0.7),옥상녹화(0.5~0.6), 투수포장(0.2~0.3) 등으로 부여한다. 각각의 해당 면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태면적을 계산하고 이를 합산한 면적을 전체 사업대상자 면적으로 나누면 당해 사업의 생태면적률이 산정된다.
5193 ◆ 생태모방(biomimicry) ◆ 진화를 통해 환경에 적응한 생물체의 구조·기능을 모방하고 응용함으로써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성장을 달성하는 융합 협력 과정 사회, 환경, 경제의 통합적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을 위한 모델을 자연에서 탐색하고 모방한다는 의미 내포
5194 ◆ 생태모방기술(biomimicry technology) ◆ (정의) 생물체와 생태계의 구조, 원리 및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얻어 공학적으로 응용하는 기술로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특성을 강조 (특성) 자연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생물학 기반과 이를 활용가능한 기술로 구현하는 공학적 설계‧제조가 결합된 다학제적 융합연구 (비교개념) 자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여러 분야에 활용하는 광의의 자연영감(Nature-inspired), 단순한 기술문제 해결이나 유용 기술개발 중심의 생체모방(Bionics, Biomimetics) 등이 유사한 의미로 사용
5195 ◆ 생태모사습식접착제 ◆ 물이 있는 곳에서도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며, 생태계에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독성이 없는 접착제 (홍합모사)
5196 ◆ 생태발자국 ◆ 사람이 사는 동안 자연에 남긴 영향을 토지의 면적으로 환산한 수치이다. 인간이 지구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의식주, 에너지, 시설 등의 생산, 폐기물의 발생과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개인 단위와 국가 단위, 지구 단위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생태발자국은 헥타아르(ha) 또는 지구의 갯수로 나타내는데, 수치가 클수록 지구에 해를 많이 끼친다는 의미이다.
5197 ◆ 생태보고 갯바위 ◆ 경남 거제, 다도해에는 갯바위가 발달해 있다. 갯바위에는 생존을 위한 그들만의 질서가 있다. 파도가 만들어낸 갯바위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그 질서를 지켜가며 살아가고 있다. 바다의 토끼라고 부르는 '군소'. 갯바위의 식구인 군소는 해조류가 많은 곳에 서식하며 갯바위에서 산란을 한다. 바위의 한 곳에 평생 붙어사는 '따개비', 돌맹이 밑에 서식하는 연체동물 '군부', 갯바위를 돌아다니는 '고둥'과 '갯지렁이' 등 많은 식구들이 작은 생물들의 텃밭인 갯바위에 서식한다. 갯바위 해안의 생물 분포를 살펴보면 해안의 상단 부분 (가장 건조한 지역)에는 총알고둥, 갈고둥, 조무래기 따개비 등이 서식하고, 해안 중단 부분에는 군부, 바위게, 따개비 등이 서식하고, 해안의 하단 부분 (가장 수분의 많은 지역) 에는 진주담치, 성게, 해조류 등이 서식한다. 이들은 모두 하루 두 번의 밀물과 썰물의 영향 속에서 자기들만의 생존 법을 터득하며,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고둥은 햇볕 때문에 갯바위 수분이 없어지면 그늘진 곳으로 이동해 뭉쳐서 수분이 없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대비한다. 갯바위에는 해조류가 많이 분포한다. 해조류는 육지의 숲과 같이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생물들이 유생단계를 해조류에서 안전하게 보내며, 산란 또한 해조류에서 많이 한다. 그리고 각종 플랑크톤의 서식지로도 해조류는 중요하다. 이와 같이 갯바위는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는 공간이며, 종 다양성이 뛰어나므로 생태적 역할이 중요한 곳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갯바위가 훼손되고 있다. 마산항은 해양오염이 가장 심하며 바다 오염의 현 주소 이기도 하다. '마산 돌섬'에는 이미 죽은 생물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거제 근처의 '홍도'는 청정해역으로 유명하다. 그만큼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곳이기 때문이다. 홍도는 해조류가 숲을 이룬다. 즉 갯바위가 건강하다는 증거인 것이다. 마산 돌섬과 홍도의 비교를 통한 종 다양성을 분석해 본 결과 마산 돌섬 같은 경우는 연체동물의 종 단순화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수리 고둥의 성변이 (생식기 기형화) 수준이 심각하였다. 즉 TBT로 인한 임포섹스 현상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BT란 선박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페인트이며 여성호르몬을 억제하는 역기능이 있음이 밝혀졌고 외국에서는 엄격히 규제되고 있는 화학약품이다. 우리나라는 소극적인 규제로 인해 임포섹스 현상이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이다. 대수리 고둥의 임포섹스 조사를 해본 결과 96년 마산에서만 발견되었지만 지금 현재는 거제, 포항, 여수, 제주, 강진 등 전국해안에 광범위하게 퍼져있음을 알 수 있었다. TBT오염에 대한 노출은 먹이 사슬 균형이 무너짐을 의미하고 이는 인간에게 위험신호임에 틀림없다. 최근 갯바위의 중요성이 제기 되면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갯바위를 연장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반구형 인공어초'가 구축되고 있다. 하지만 갯바위의 본래 역할을 완전히 대신 할 수는 없다. 갯바위를 살리기 위한 연구로써 해조류 이식도 있다. 이와 같이 실험이나 연구를 통해 살리기 위한 방법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갯바위의 소중함을 알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갯바위는 이 바다의 마지막 전선이다. 모든 생명은 살아 숨쉬는 것만으로도 소중하기에 우리는 노력해야 할 것이다.
5198 ◆ 생태보전협력금 (National Trust Fund for the Environment) ◆ 환경부 장관은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자연자산을 관리·활용하기 위하여 자연환경 또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하거나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초래하는 개발사업을 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생태계보전·협력금을 부과·징수한다. 단, 생태계보전·협력금을 납부한 자가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대체자연의 조성, 생태계의 복원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연환경보전사업을 시행한 경우에는 생태계보전협력금의 일부를 돌려줄 수 있다.
5199 ◆ 생태복원 ◆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으로 훼손된 생태계를 원래의 상태나 원래의 상태에 가깝도록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조성해 주어 생물서식처 및 생물종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환경 기술이다.
5200 ◆ 생태분포(Ecological distribution) ◆ 각각의 생물은 그 종에 특유한 생활요구르 가지고 생물적 또는 비생물적 환경요인이 서로 다름에 따라서 각각의 종에 특유의 분포양식이 보여진다. 이와 같은 요인에 의한 분포의 방법을 생태분포라고 부른다. 지리분포는 비교적 커다란 지역의 분포에 대해서 사용하고, 생태분포는 지역내에 세심한 환경에 의한 분포는 나타내는 일이 많다. 생물적 환경으로서는 그 장소에서 얻어지는 식물자원의 종류, 크기 , 밀도등이 중요한 것이다. 비생물적 환경으로서는 게나 조게등의 바다 연안성의 경우에는 해저의 기질, 염분농도, 조간대내의 위치등이 자주 대상이 되며, 어류나 공춘의 유생등의 담수성 생물에 대해서는 수심이나 유속이 상위한 깊은 곳과 여울, 도마뱀이나 조류등의 육생동물의 경우에는 일조의 강약, 지상고, 습도등이 중요시 된다. 이들의 생물적, 비생물적 요인은 수평적인 것과 수직적인 것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표고차에 다른 환경조건의 변화에 의한 생태 분포는 수직분포라고 부른다..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2875259458
'놀면서 일하기 > ♣ goBLUEgoGRE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5301-5400 (0) | 2023.01.06 |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5201-5300 (0) | 2023.01.06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4901-5000 (0) | 2023.01.06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4801-4900 (0) | 2023.01.06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4701-4800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