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701-3800

by 리치캣 2023. 1. 6.
728x90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701-3800

번호                  용어                  해설

3701              민가 방음공사 [民家防音工事 noise-proof work on private residesce]                     도로교통 소음, 항공기 소음, 간선철도 소음 등에 의한 장해의 방지를 꾀하기 위해 실시되는 주택의 소음방지 공사이다. 창의 氣密化, 천정의 차음 등 소음의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의 공법이 있지만, 그의 소음저감효과로서는 공사 실시에 따른 옥내외에서의 소음레벨차가 20~30폰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702              민간단체(NGO)의 반대말은 GO?               [환경운동연합], [배달녹색연합], [경실련], [대한YMCA], [한국소비자연맹] 우리가 신문 뉴스를 통해 자주 접하는 민간 사회운동 단체들이다. 물론 이 중에는 환경운동연합이나 배달녹색연합처럼 환경운동에만 전념하는 단체들도 있고 일반 사회운동을 펼치면서 환경운동을 병행하는 단체들도 있다. 어쨌든 1990년대 들어서 환경문제가 우리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되면서 환경운동을 펼치고 있는 이들 민간단체들의 위상이 급부상하고 있다. 달리 말해 민간 환경단체의 영향력이 급격히 커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만 독특한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이제 민간단체는 전 세계 조직망이 구성되고 있을 정도이다. 원자력 발전에 대한 조직적인 반대운동과 삼림보호 운동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른바 NGO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NGO란 국가정부의 반대개념으로 비정부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s)을 가리키는 말이다. NGO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유엔이었다. 애초에 유엔은 NGO란 용어를 국가기관 이외의 조직이나 단체를 지칭하는데 사용했다고 한다. 현재는 NGO가 민간단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좀더  정확하게는 국제적으로 연대 제휴하여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민간조직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환경보전에 관심을 갖고 운동을 전개하는 CBO(Community Based Organization)와는 구분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우리나라 환경운동 단체들은 몇몇을 제외하곤 대부분 CBO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NGO가 비정부조직이므로 이의  반대말은 정부조직(Governmental Organizations)인 고(GO)가 되겠지만 유엔이 국가들의 연합기구인 까닭에 굳이 [정부조직]이라는 의미의 GO라는 용어를 쓰지 않을 뿐이다. 전 세계적으로 NGO의 위상이 급부상한 시기는 1991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 NGO 포럼]이 개최되고 난 이후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NGO라는 용어가 비정부 민간단체에서 민간환경단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다 시피한 계기는, 1992  6월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각국 정부 대표가 참석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와 함께 개최되었던 NGO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글로벌포럼]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NGO의 수는 얼마나 될까? 국가마다 차이는 있지만 한 국가 내에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의 단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그린피스(Greenpeace), 지구의 친구들(Friends of the Earth), 세계야생생물기금(WWF)과 같이 국제적인 조직을 갖추고 연대 활동을 펴나가는 NGO의 수는 20여개 내외이다.        NGO의 활동이 활발한 미국의 경우 전국 조직을 갖춘 십여개의 환경단체의 회원 수는 1981년 약 400만명에서 1990년 초 약 1,100만명으로 늘어났으며 예산은 3억 달러에 달했을 정도이다. 또한 미국내 20개의 주요 NGO 단체장들은 그린그룹(Green Group)이라는 위원회를 만들어 미국 의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NGO의 본격적인 활동이 노동운동이나 여성운동과 같은 다른 사회운동에 비해 늦게 출발했다는 점은 미국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의 유명한 자연보호  단체인 시에라클럽(Sierra Club) 1892년에 설립되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나 대부분의 환경단체들의 활동은 1970년대 초 이전까지만 해도 미미한 수준이었다. 현재 미국 내에는 그린피스처럼 행동을 앞세우는 어스퍼스트(Earth  First) 같은 단체에서부터 [지구환경보고서]로 유명한 월드워치연구소(Worldwatch Institute)와 같이 세계 환경과 자원에 관한 연례보고서를 간행하는 연구단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민간조직이 있다.        자연자원보호협회(NRDC)처럼 법률가를 고용하여 환경 관련법 제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체도 있다.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지구를 살리는 50가지 방법]은 이 단체가 간행한 책이다. 1993년 현재 우리나라의 민간 환경단체의 수는 모두 133개이다.        우리나라 민간 환경단체가 생겨난 시기는 1980년대 초반으로 1990년대 들어서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환경단체들이 [환경사회단체협의회] [한국환경회의]와 같은 협의체를 구성한 것도 최근의 일이다.        그러나 극히 일부 단체를 제외하고는 외형적인 활동에 비해 재정이 빈약하다는 공통점을 안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시민들이 심정적으로 공감은 하면서도 이들 단체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재정적으로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환경단체의 회원이 되어 회비를 꼬박꼬박 내는 것도 환경운동의 한 방법이다. 이제 환경보전을 위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환경단체가 어려운 여건에서 힘들게 얻어낸 성과만을 향유하려는 무임승차 의식을 버려야 될 때도 되지 않았을까?

3703              민간수질감시활동 지원제도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참여 및 파트너십에 기초한 유역관리 추진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계관리기금에서 민간수질감시활동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지원대상은 각 수계별로 지역적 기반을 두고 활동하고 있는 비영리 민간단체이며, 이중 환경보전을 위한 활동을 주목적으로 하는 단체로서 지역 주민들이 쉽게 인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단체, 그리고 환경보전활동 실적과 경험이 풍부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가, 사회적으로 기여한 바가 큰 단체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지원대상사업은 상수원수질보전 홍보, 교육 및 각종 캠페인 등 대국민 환경의식 고취사업, 유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오염물질 배출감시 및 모니터활동, 기타 상수원수질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인정되는 사업 등이다.        각 수계별 연간 지원규모는 한강 10억원, 낙동강 5억원, 금강 및 영산강은 각각 1 5천만원이다.

3704              밀도류 (Density current)            수온이나 염분농도 등의 불균일에 대하여 생기는 유체의 밀도경사가 원인으로 되어 생기는 흐름. 감만의 차가 큰 하구부의 底層을 역상하는 해수의 흐름도 이에 기인되는 것으로서 해류의 주요한 원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바닷물의 수평적 밀도차(密度差:수온과 염분의 函數)에 의하여 생긴다고 생각되는 해류(海流)를 말하며, , 이것은 해양에서 역학적 추산법(力學的推算法)으로 밀도분포를 써서 계산한 해류가 실측(實測)과 잘 일치한다는 것뿐이며, 밀도분포가 해류의 원인이 되는지, 바람 등으로 생긴 해류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밀도분포가 생기는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근년에는 밀도류로 인정되는 해류는 심층류(深層流)에 국한되며, 종래의 밀도류에 상당하는 것은 해수(海水)의 압력분포나 등압면(等壓面)의 경사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지형풍(地衡風)처럼 지형류(地衡流)라고 한다.

3705              밀란코비치이론(지구공전궤도의 변화)                     세르비아의 과학자 밀란코비치가 지구 기후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이론이다.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함에 따라 지구공전궤도 이심률과 자전축경사의 변화, 세차운동에 따라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며, 도달하는 태양에너지 양도 달라지는데 이러한 태양에너지 변화가 지구기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3706              밀론시약[-試藥, Millon]             밀론 반응에 쓰이는 시약(試藥). 수은 100g 150cc의 농도가 짙은 질산[50%]을 가한 다음  뜨거운 물 위에서 가열하여 수은을 녹이고 다시 2배의 물을 가하여 만듦.

3707              밀론염기[-鹽基, Millo's base]                     새로이 만든 황색화수소(黃色化水所)(Ⅱ)에 암모니아가스를 작용시키면 생기는 담황색(淡黃色)의 소결정(小結晶).  비중 4.08, 물 그 밖의 용액에는 녹지 않음. 불안정하여 마쇄(磨碎)하면 소리를 내면서 분해하고 암모니아를 내 보낸다. 아래의 왼쪽과 같은 구조라고 한다. 각종의 산()과 작용해서 한 분자만큼 물이 적은 이의 오른쪽과  같은 염()을 만든다. (X F, Cl, Br, CN, NO₂, NO₃, (1/2)SO₄(1/2)CO₂). 이것에 해당하는 염기(鹽基)는 밀론염기(鹽基)를 암모니아기류(氣流) 속에서 수산화칼륨 위에 방치하면 얻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밀론염기(鹽基)는 이것의 1수화물(水和物)이라고도 생각된다. 암황색(暗黃色)의 분말(粉末). 비중 7.42, 또한  암모니아 기류 속에서 125℃로 가열하면 암갈색(暗褐色)의 분말 Hg₂NOH가 된다. 비중 8.52, 모두 불안정하며  () 두 개는 감광성(感光性)이 있다. 최후의 것은 타격이나 가열(130℃)로 폭발한다. 해리도(解離度)가 큰 수은염용액(水銀鹽溶液) 또는 염기성수은염(鹽基性水銀鹽)에 암모니아를 작용시키거나 백강홍을 물 또는 알칼리로 끓이거나 하롤게노수은착염에 수산화알칼리와 암모니아를 작용시키면 밀론염기의 염이 생긴다. 최후의 반응은 네슬러시약의 반응이다.

3708              밀리그램[mg]               질량을 단위로, 1천분의 1g을 나타낸다.

3709              밀봉된 방사선동위원소[-放射線同位元素]                     기계적인 강도가 충분하여 파손될 우려가 없고 부식되기 어려운 재료로  된 용기에 넣은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사용할 때에 방사선은 용기외부로 방출하지만 방사선동위원소는 누출하기 힘들다.

3710              밀봉용기[密封容器]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

3711             밀즈-링케 현상[Mills-Reincke phenomenon]                     음료수를 정화처리(여과)하여 급수함으로서 장티프스등의 수계전염병의 발생률이 감소되고 일반 사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 1983 9월 미국 Massachusetts Lawrence시에서 수도물을 여과하여 급수하였더 니 그 결과로서 장티프스의 환자와 사망율이 감소하였고 일반사망율도 현저 하게 저하된 것을 Mills Hiram F.  가 발견하였다. 같은 해 5월 독일 Hamburg시 수도에 있어서 Elbe 강의 물을 여과하여 공급하였을 때 같은   결과를 Reincke J.J가 발견하였다. 이 현상에 대하여Sedwich   W. W씨와 MacNutt J.scott씨가 Mills-  Reincke현상이라 명명하였다.

3712              밀폐용기[密閉容器]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이물(異物)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용기.

3713              바나나 (BANANA) 현상             Build Absolutely Nothing Anywhere Anybody. '어디에든 아무것도 짓지마라' 쓰레기 매립지나 핵폐기물 처리장등 각종 환경오염시설물등은 자기지역내에는 절대 설치불가라는 지역이기주의의 한 현상으로 님비(NIMBY)라는 용어와 함께 자주 사용된다.

3714              바나나현상                  어디에든 아무것도 짓지마라(Build Absolutely Nothing Anywhere Anybody.)를 뜻하는 말로, 쓰레기 매립지나 핵폐기물 처리장등 각종 환경오염시설물등은 자기지역내에는 절대 설치불가라는 지역이기주의의 한 현상이다. 님비(NIMBY)라는 용어와 함께 자주 사용된다.

3715              바나듐 색소 [ -色素, vanadium pigment]                     어떤 종류의 멍게류의 바나듐세포(vanadocyte)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色素).        를 갖는 것은 녹색(綠色)이고,        를 갖는 것은 청색(靑色),        를 갖는 것은 오렌지 색이다. 이 색소는 바나듐산화물과 단백질이 결합한 것이다. 비단백질 부분을 바나듐색소원(vanadium chromogen)이라고 하며, 그 속에 10%의 바나듐을 포함한다. 피로르핵()은 직쇄상(直鎖狀)으로 줄을 지은 물질(物質)이지만 바나듐원자가 어느 것에 결합되어 있는지는 불명이다. 이 물질은 산소를 결합시키지만 산성(酸性)에서는 그것이 풀린다. 바나듐은 미량(微量)이 존재하는 해수에서 멍게에 축적되는 것이지만 일본의 Kimura K. 목촌(木村)에 의하여 다른 종류의 동물에도 함유되어 있음이 판명되고 있다.

3716              바나듐 황 [ -, vanadium yellow]            바나듐산암모늄에서 만들어지는 황색안료(黃色顔料),        인 조성으로 생각되며, 바나듐산의 암모니아알칼리성용액을 질산산성으로 하여 침전시킨다. 광택이 있어 황금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한 용도가 있지만 그 양은 많지 않다.

3717              바나듐[vanadium]                     V원자번호 23. 바나딘이라고도 한다. 원자량 50.9414. 단독 광상으로서 존재하는  것은 드물며 퇴적암중에 소량이지만 비교적 널리 분포하고 있다.  주요 광물은 갈연광        등 석탄, 석유의 회분에서나, 어떤 종류의 어류, 멍게류 등의 체액 중에서 발견된 때도 있다. 산화물을 금속칼슘과 염화칼슘으로 환원하고, 아르곤 기류 중에서 아아크융해시켜 금속을 얻는다(순도 99.2∼99.8%). 요오드화물의 열분해 등도 이용되지만 순수한 것은 만들기가 힘들며, 물리적 성질의 확실한 값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강회색의 금속. 체심입방격자, 격자상수 α=3.03Å, 원자 사이의 거리 V-V 2.63Å. 융점 약 1700℃, 비중        융점에서의 증기압(蒸氣壓)은 금속 중에서 최소이다. 자화율(磁化率)        4.3∼4.4K에서 초전도(超傳導)를 나타낸다. 공기중에서 가열하면 산화(酸化)가 진행되어 갈색, 흑색, 청색, 적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볼 수 있다 .분말(粉末)은 산소 중에서 가열하면 타고, 불꽃 속에서는 섬광(閃光)을 발한다. 염소와 가열하면 염화(鹽化)바나듐(Ⅳ)을 만들고, 고온(高溫)에서는 N,Si,B.C등과 직접 반응한다. 티탄과 비슷하여 내식성(耐蝕性)이 크고, 보통의 산()과는 반응하기 힘들지만 프루오르화 수소산(水素酸), 질산(窒酸), 열농황산(熱濃黃酸) 등에는 녹는다. 알칼리 수용액에서는 녹지 않고, 융해알칼리에는 녹는다. 몰리브덴-바나듐강(), 크롬-바나듐강() 등 고력강(高力鋼)에 사용된다.

3718              바나듐강[(),vanadium steel]                    바나듐을 가()한 합금강(合金鋼), 구조용강(構造用鋼)에서는 터빈로오터재() 등 사용 온도가 약 450℃ 에 달하는 부분에서 니켈강()의 성질(性質)을 개선하기 위하여 니켈몰리브덴바나듐강()을 사용한다. 바나듐 첨가량은 0.15%이하이며 결정입세화(結晶粒細化)에 필요하다. 같은 고온도용(高溫度用) 크롬몰리브덴강()도 바나듐 소량(小量)을 첨가한다.대형(大型)인 단조품용(鍛造品用)의 니켈크롬몰리브덴강()도 결정입도(結晶粒度) 조정(調整)을 위하여 알미늄 대신에 바나듐 0.05∼0.15%를 첨가한다. 고항복점용(高降伏點用) 탄력강(彈力鋼)으로서 크롬강()에 바나듐 0.15%정도를 첨가한 것도 있다.  절삭공구용 강(切削工具用 鋼)에서는 바나듐의 탄화물(炭化物)생성 경향을 이용하여 고속도강(高速度鋼) 1∼1.5% 첨가한다. 18-4-1() 고속도도강(高速度度鋼)의 텅스텐 함유량을 10% 저하시킨 것에서는 바나듐 2%를 첨가하여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텅스텐-몰리브덴계() 고속도강(高速度鋼)에서는 바나듐 2∼5% 첨가한다. 이밖에 절삭공구용저합금강(切削工具用低合金鋼), 다이스강() 특수공구용강(特殊工具用鋼) 등에 소량(小量)을 첨가한다. 그리고, 바나듐탄화물(炭化物)의 고경도(高硬度)를 이용한 소결초경질합금(燒結超硬質合金)도 있다.

3719              바나듐산[-()]          바나딘산()

3720              바나딘 [ - ]                 〓 바나듐.

3721              바나딘 산 [ - , vanadic acid ]                산화바나듐(V) 수화물        를 산의 형식으로 쓰고 이와 같이 부른다. n=3       를 오르토(Ortho)바나딘산(遊離로서는 얻어지지 않는다), n=2         을 피로(Pyro)바나딘산이라 부른다. 바나딘 산이온인 수용액은 각각 pH에 따라 각종 이소폴리산이온이 되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구조와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V에 대한 O 또는 OH 3방양추형 5배위의        등의 구조가 단위이며, 이것이 축합하여        등의 다핵착(多核錯)이온을 만드는 것으로 되어 있다.

3722              바니시(니스)                전색제(안료를 포함한 도료)를 용제, 기름, , 가소제 등에 용해하거나 분산시킨 유동체를 말한다. 제품 표면에 발라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사용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대기 중에 배출되어 흡입하면 발암을 일으킨다.

3723              바다 울림 [oceanic noise]          바다로부터 계속적으로 들려오는 遠雷와 같은 일종의 소리이다. 태풍 또는 저기압이 바다위에 나타나 울림이 생기면 그것이 해안까지 와서 꺾여 되돌아갈 때에 말려든 공기가 틈을 찾아 분출함으로써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 음파의 주기는 불규칙하지만 진폭은 비교적 크다. 海鳴이라고도 한다.

3724              바다골재                     바다밑에서 채취하는 골재를 말한다.

3725              바다를 잡아먹는 불가사리                        지금 바다에선 아무르 불가사리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그물을 끌어올리면 곳곳에 뜯어 먹힌 흔적이 역력한 물고기들이 드문드문 걸려 있을 뿐이다.  그러면 아무르 불가사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자. 아무르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 (Lutken), 불가사리과) 란 별 모양이며 보라색에 베이지색 무늬가 있다. 조간대의 갯벌에 살며 잘리면 다시 자라는 능력이 있다. 또한, 식성이 좋아 굴, 조개, 고둥, 해초류 등 닥치는 대로 먹는다. 우리나라 전 해안에 살며 달리 이용되지는 않는다. 양식장이나 연안 어장에 피해를 많이 주고 있으며 최근 일부 지역에서 석회비료로 개발 중이다. 우리 연안에는 대략 4930만 마리의 불가사리가 서식하는데 연간 패류 생산량의 6.6% 18400t을 먹어치우고 있다. 토종인 별 불가사리가 죽은 고기를 주로 먹는 것에 반해 일본에서 건너 온 아무르 불가사리는 살아있는 것을 먹기 때문에 피해가 더욱 크다. 아무르 불가사리는 한번에 2천 만개의 알을 낳는다. 엄청난 번식력과 포식력으로 바다의 무법자로 골칫거리가 된지는 이미 오래이다. 각 지자체에선 97년부터 불가사리 구제 작업에 예산을 쏟아 붓고 잡아들인 불가사리를 수매하기도 한다. 이렇게 잡아들인 불가사리의 일부는 비료나 인산, 칼슘 생산의 원료로 쓰인다. 불가사리 포획량은 매년 늘어가지만 그러나 아무르 불가사리의 원산지인 일본 역시 원시적인 구제방법 외엔 뾰족한 대책이 없다고 한다. 50년대부터 연구했으나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제 아무르 불가사리는 광양만부터 북동쪽으로 올라가 섬진강 하구까지 올라온 상태이다. 최근 연구를 통해 불가사리의 천적이 나팔고둥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하지만 껍질 모양이 아름다워 무차별 남획 되어온 나팔고둥은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해 급기야 98년에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물로 지정되었다.  마지막 희망은 나팔고둥의 인공증식이라고 최근 정부와 각 연구기관들은 결론짓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식용과 장식용,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한 나팔고둥.  이는 인간이 파괴시킨 바다환경으로 인해 다가온 시련이다. 지금은 비록 어민들만이 피해를 보고 있지만, 이러한 생태 파괴가 모든 사람들에게 더 큰 시련으로 다가오지 않으란 법은 없는 것이다.

3726              바다에 철분 뿌려 지구온난화 방지                     바다에 철분을 뿌려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는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황산철을 바다에 뿌리면 식물플랑크톤이 철분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먹고 대대적으로 번식을 하고, 식물플랑크톤 사체가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도록 한다는 것이다.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면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철 원자 한 개당 1-10만개의 탄소 원자를 붙들고 늘어진다는 것이다.        바닷물 속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들면 다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녹아 들어가기 때문에 결국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드는 셈이다.   차가운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은 식물플랑크톤 사체는 쉽게 분해되지 않아 온실가스를 바다 아래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다의 식물플랑크톤은 육지에서 공급되는 철분에 의존하고 있는데, 육지에서 공급되는 양이 적어 성장이 제한되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이 주로 성장하는 곳은 육지 주변이나, 혹은 깊은 바닷물이 솟구쳐 오르는 곳이다. 어장이 형성되는 곳이다. 넓은 대양에서는 철분이나 다른 영양분이 부족해 식물플랑크톤이 자라기 어렵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해양학자들은 남극 연안에서 1.7t의 황산철을 뿌리는 실험을 진행하기도 했는데, 학자들은 이런 방법으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15%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큰 바다에서 대규모로 이 같은 작업을 진행할 경우 지구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독일 등 유럽 쪽에서는철분 살포 프로젝트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연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3727              바다휴식년제               환경오염이 심한 어장에 대해 일정기간 어장 경영을 정지하는 제도.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어장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양식수산물의 품질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이다. 어장이란 수산업법에 의한 어업면허 또는 어업허가를 받고 어업을 하는 일정한 수면을 말한다.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환경오염이 급속도로 진행되어 인근 어장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어장을 어장관리해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어장관리법 5).        어장관리해역에 대해서는 국립수산과학원이 5년마다 수질과 퇴적물 오염도·어장 관리실태 등을 종합 점검하는 어장환경조사를 실시한다. 조사 결과 특히 환경오염이 심하여 어장휴식이나 신규 어업면허 금지 등의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어장에 대해서는 해양수산부장관이 어장관리특별해역으로 지정한다(어장관리법 7).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어장관리특별해역의 어장휴식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어장관리법 9 1). 어장휴식은 10년마다 1년씩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휴식계획을 새로 수립하거나 수립된 계획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해역 안에서 어업면허를 받은 자와 미리 시기·기간·방법 등에 관하여 협의하여야 하며, 그 내용을 고시하여 관계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어장휴식계획에 따라 어장휴식을 실시하는 어장에 대해서는 휴식기간 중 어장의 정화·정비를 우선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어장면허 유효기간 중 어장휴식을 한번도 실시하지 아니한 어장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그 어업면허 유효기간이 종료된 날로부터 2년간 어장휴식을 실시한 후에 신규 어업면허를 내주도록 되어 있다. 기타 어장휴식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어장관리법 9).        어장휴식년제는 1999 7월에 입법예고된 어장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2001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3728              바덴포공정(4단계) [Bardenpho prosess (4-stage)]            탈질화를 위해 폐수 내  탄소와 내생분해 탄소를 모두 사용하며 폐수 내 암모니아는 첫번째 무산소조에서 변화 없이 통과하여 첫번째 포기조에서 질산화되고 여기서 질산화된 MLSS는 두번째 무산소조에서 내생탄소를 이용한 추가탈질이 일어난다. 두번쨰 포기조는 질소가스 제거에 사용되고, 두 번째 무산소조 슬러지에서 용출된 암모니아는 마지막 포기조에서 질산화된다.

3729              바덴포공정(5단계) [Bardenpho prosess (5-stage)]            인을 제거하기 위한 5단계가 포함되어 질소와 인을 모두 제거하는 공정으로 질소, 인 탄소 제거를 위해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 공정은 A²/O 공정에 비해 긴 일령을 사용하기 때문에 탄소산화능력이 증대된다.

3730              바륨 이온[barium ion]              가용성 바륨염을 물에 용해하면 양이온의 바륨 이온

3731              바륨 화합물[(化合物),barium compound]                     안정된 화합물에서는 항상 산화수 2. 대체로 무색의 이온 결정. 탄산염, 황산염, 크롬산염, 수산염등의 물에 난용(難溶) 내지는 불용. 이경우 BaSO₄,BaCrO₄는 칼슘이나 스트론튬의 염과 비교하여 더욱 난용이지만,        에서는 반대로 어느정도 녹기 쉽다. 황산바륨 이온은 산에 녹는다.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질산염, 수산화바륨 등은 물에 녹지만, 이들은 칼슘염과 같은 흡습성 내지는 조해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유기 바륨화합물은 불안정한 것이 많다.        는 유독하므로 황산염이외의 염의 취급에는 주의해야만 한다.

3732              바륨(Barium)               바륨은 은백색 금속이며 자연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황이나, 탄소, 산소와 같은 다른 화학물질과 결합되어 일어난다. 이러한 결합을 합성이라 불린다. 바륨은 또한 산업에서 생산된다.        바륨 합성은 dri.lling muds를 만들기 위한 기름과 가스 산업에 이용된다. drilling muds는 드릴을 매끄럽게 유지함으로써 바위를 통해 구멍을 뜷는 것을 쉽게 한다. 그것들은 또한 페인트, 벽돌, 타일, 유리, 고무를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바륨 합성(황산 바륨)은 의료 시험을 행하기 위해서와 위의 X-ray를 찍기위해서 의사들에 위해 사용된다.        바륨에의 노출은 대부분 작업장이나 오염된 물을 마심으로써 일어난다. 높은 수준의 바륨섭취는 심장, , 간장, 신장, 다른 조직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ATSDRIC@cdc.gov

3733              바륨[barium]               Ba 원자번호56. 원자량 137.34 알칼리토금속의 하나. 천연적으로 유리의 상태로는 산출되지 않는다. 칼슘에 비하여 산출량이 적다. 주요 광석은 중정석(重晶石) BaSO₄및 독종석(毒種石) BaCO₃. 금속은 보통 산화바륨과 알루미늄의 혼합물을 진공(眞空) 1200℃로 가열, 증류하여 만들지만, 산화바륨 수용액을 수은을 음극(陰極)으로 하여 전해해서 생긴 아말감에서 수은을 증발시켜도 좋다. 은백색의 부드러운 금속. 구조는 체심입방격자, 격자상수 a=5.025Å. 융점 710℃, 비등점 1537℃. 비중        화학적 성질 칼슘 및 스트론과  비슷하지만, 그보다도 작용은 현저하다. 염색반응은 녹색. 금속의 탈산제, 각종합금 특히 차량용 베어링 합금 등에 사용된다.

3734              바마코협약 [-協約 Barmako Convention of the Ban of the Import Into Africa and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 of Hazardous Waste within Africa                     1991 1 29일 아프리카 29개국 대표들이 말리의 바마코에서 회동하고, 유해폐기물의 아프리카 수입금지와 아프리카 내의 국가간 이동규제에 관한 바마코 협약을 채택하였다. 이 협약은 바젤협약을 모델로 하여, 바젤협약보다 더 강력한 환경보호원칙을 규정한 지역적 협약이라 볼 수 있다.

3735              바이러스[virus]             일반 세균보다 작으며 특히 100∼3,000Å의 생물로서는 가장 작은 일군. 다른 생물에 기생하여 증식할 수 있음. 기생하는 숙주의 종류에 따라 동물 바이러스, 곤충 바이러스, 식물 바이러스, 세균 바이러스로 크게나뉘어짐. 바이러스의 전파 양식은  접촉 감염, 수영장 감염, 경구 감염, 비말 감염, 곤충과 가축 등으로부터의 감염 등이 있음.

3736              바이메탈 (Bi-metal)                  팽창계수가 다른 2종의 얇은 금속판을 밀착하여 하나의 판으로 만든 것으로서, 온도가 조금만 변화해도 크게 굽어지는 성질이 잇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기나 자기 온도계등 각종 조절장치에 사용된다. -50~200℃정도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황동과 인바(Ni 36%)의 조합이 있다. 온도의 변화에 따라 현저하게 구부러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변화의 검출, 온도조정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재료는 팽창이 적은 쪽에는 니켈과 철의 합금, 팽창이 큰 쪽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 니켈 ·망간 ·철의 합금, 니켈 ·몰리브덴 ·철의 합금, 망간 ·니켈 ·구리의 합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간단한 바이메탈은, 저온(低溫) 때에는 수평이던 것이 고온이 되면 니켈 ·철 합금 쪽으로 구부러지며, 따라서 저온에서는 바이메탈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만, 고온 때는 접점이 떨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기구를 보온밥통 내에 장치하면 밥통 안의 온도가 오르내림에 따라 접점이 떨어졌다 붙었다 하여 온도를 어느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런 바이메탈은 접점이 떨어질 때 불꽃이 발생하여 접점이 빨리 열화(劣化)하므로, 구성을 연구하여 접점의 동작이 빨라지도록 해야 한다. 가정용 ·공업용 ·수송용 ·군사용 등 각 방면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전기기구의 온도 조절장치나, 일반 전기 기구류 안에서 전류제한기 ·자동개폐기 등 넓은 범위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3737              바이오 가스 (biogas)                바이오 매스의 험기성 (anaerobic) 발효에 의하여 얻어지는 가스연료

3738              바이오 리파이너리 (Bio-refinery)               기존 산업 체계에서 석유가 담당하던 역할을 재생가능한 자원인 바이오매스로 대체하려는 개념이다. 즉 지금까지 오일 리파이너리(Oil Refinery, 석유 정제)를 통해 휘발유, 경유와 같은 연료와 수많은 화학제품을 생산했듯이,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를 통해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과 같은 연료와 바이오플라스틱 등의 각종 화학제품을 생산하려는 시도이다. 태양열/태양광, 풍력, 지열 등과 같은 대체 에너지원들이 단순히 발전과 열 이용 측면에서 석유의 대체 수단인 점을 감안할 때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훨씬 포괄적인 범위에서 석유를 대체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 곳은 미국이다. 미국은 지난 2002 10, ‘ 미국의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 제품의 비전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바이오 연료는 연평균 15%, 바이오 제품은 연평균 5.7%의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산업 창출 장기 전략을 밝힌 바 있다. 또한 2020년까지 석유를 원료로 생산되는 소재의 20%, 2050년까지 50%를 바이오 제품으로 대체할 계획을 밝히는 등 바이오 리파이너리를 통해 거대 천연 소재 신시장을 창출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럽과 일본에서도 이와 유사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지난 2003년 유럽 생물산업연합(EuropaBio)이라는 단체를 구성하고 유럽의 현실에 맞는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 제품의 개발 및 실용화에 나서고 있다. 일본도 지난해부터 경제산업성 주관으로 바이오프로세스 실용화 및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활용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3739              바이오 시밀러 (Bio-similar)                      특허가 완료된 오리지날 바이오의약품과 동일한 효능과 안정성을 갖춘 의약품. 신약에 비해 개발기간에 짧고, 개발비용은 신약의 1/10 수준

3740              바이오 에너지 [Bio Energy]                      농작물 · 목재 · 축분 등을 이용하여 연료로 쓸 수 있는 대체에너지로서 생체에너지 떠는 녹색에너지라고 불린다. 이들 생물자원이나 생체자원은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에 비해 무한하므로 바이오매스, 즉 양의 생물체라고 표현된다. 바이오 에너지는 볏짚, 보릿짚 등의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와 목재, 사탕수수, 고구마를 발효시켜 휘발유 대용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알코올 연료로 구분되는데,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개발을 적극 추진중에 있다.

3741              바이오 의약품             유전자, 단백질, 세포 등의 바이오 물질을 이용하여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의약품(’07년 세계시장 680억불)

3742              바이오 탄소펀드(BioCarbon Fund, BioCF)                     2003 11월에 공식적으로 설립된 펀드로서 산림, 농업 및 다른 에코 시스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 및 격리사업 등의 투자자금 조달 목적이 있음

3743              바이오 테크놀로지(Biotechnology)             생물공학 또는 생명공학이라고도 한다. DNA 재조합 기술을 응용한 여러 가지 새로운 과학적 방법 등도 이에 속한다. 생물공학의 정의와 대상 내용은 시대에 따라 크게 변화되어 왔다. 현재는 생명과학의 전체 분야를 학제간의 구별없이 연구하는 기초적 학문과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을 목적으로 삼은 응용분야를 모두 내포하고 있다.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이 대두되면서 바이오테크놀로지란 용어를 쓰기 시작했지만 유전자 공학의 공업적 응용에 국한되지 않고 발효공학, 하이브리도마공학(모노클로날 항체 생산), 농업공학(동식물의 형질전환)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용한다.        1. 연구사 바이오테크놀러지의 시초는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여 공학적 기계생산 또는 그 공정을 응용해서 물질을 생산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 1960년대까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공업과 같은 식품 ·조미료 ·알콜 생산의 산업적 공정 및 생산과 의약품을 개발하는 분야였다. 1960년대 이후 컴퓨터기술의 개발과 함께 로봇 제어기술을 뒷받침하는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 인간의 작동에 적합한 기계설계를 위한 인간공학의 연구 등이 등장했다.        특히 생물계에 존재하는 피드백 조절(feedbeck regulation)을 이용한 동물의 신경계와 운동의 조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학기술이 대두하여 이를 바이오닉스(bionics)라고도 한다. 병의 치료와 진단에 전자공학-기술을 활용한 분야를 의용공학(medical electronics 또는 medical engineering)이라 하며, 인체의 생리적 특성을 공학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생체공학과 구별한다.        생체기능의 메커니즘이 분자 수준에서 이해되면서 생체공학 분야의 응용은 방대한 영역을 점유했다. 1970년대에는 생체의 기능조절을 공학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바이오테크롤러지는 대상과 영역이 급속히 확대되어 생물공학의 전성기로 진입하였다.        종래의 미생물공학은 주로 유전공학으로 발전되었으나 현재는 그 외에 발생공학 ·세포공학 등과 같이 새로운 분야가 개척되었다. 이 분야에서는 생물 구조의 여러 단위 수준에서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인간의 입장에서 보다 더 편리한 특징과 성질을 지닌 생물체의 일부 또는 전 개체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공심장과 같은 인공장기나 조직의 개발도 재활의학 측면에서 연구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1980년대는 생물학 전체 분야가 생물공학과 연관되어 있다.        2. 이용 특히 분자유전학적 연구 업적에 의해서 유전자 산업 ·유전()공학 등 생물산업의 분야는 새롭게 확장되고 있다. 생물산업의 한 가지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은 생체 활성물질이므로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 우리는 대형동물을 이용해서 주로 인슐린을 생산했다. 그러나 분자의 아미노산 서열이 밝혀졌고, 바이오테크놀러지가 발전하여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를 클로닝하는 데 성공했으며, 그 유전자의 염기 배열순서도 정확히 밝혀졌다.        이처럼 클로닝된 인슐린 유전자는 플라스미드(plasmied)라는 작은 DNA단편에 붙여서 미생물 체내에 옮겨주면 그 미생물 체내에서 도입된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서 사람의 인슐린을 사람이 아닌 미생물이 합성해 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밟아서 합성된 인슐린을 잘 정제하여 새로운 의약품 개발산업이 된 것이다.        인슐린 생산을 위한 연구가 단기간내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연구진행의 여러 단계에서 나타났던 문제들을 기초과학적 연구로서 해결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기술개발에 관련된 기초과학적 연구는 매우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DNA 재조합 기술의 이용은 농학 및 축산학 분야에서 새로운 품종개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유전적 질병의 진단과 유전자 치료법의 개발에도 바이오테크놀러지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유전병은 종류에 따라서 사람의 발생 초기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고, 소년기 ·청년기, 혹은 장년기에 가서야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발생 초기에 발병하면 일반적으로 태아는 유산 또는 사산된다. 그래서 출생전 진단법도 다양하게 발전되었고, 출생 후에 진단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뿐만 아니라 발병은 하지 않더라도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보인자 여부의 검사도 바이오테크놀러지에 의해 가능하다.        의학에서 관심깊은 과제 중의 하나는 유전자 치료이다. 건강한 사람의 DNA(유전자) 또는 mRNA와 상보적인 cDNA를 만들어 이것을 DNA 재조합법으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와 결합시키고, 그것은 그 DNA 결합으로 생긴 유전병 환자의 세포에 효율적으로 도입시키는 방안이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는 배양세포를 이용한 실험적 단계에 있지만 응용될 수 있는 시기가 곧 올 것이다. 그런데 실제 응용할 단계에 이르면 윤리적 문제를 포함하여 많은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순수 분자생물학의 연구에서도 DNA의 구조 비교, 생물의 특성에 대한 동질성과 이질성의 원인, 종의 특성과 분화, 생물의 진화 등 생명현상의 해석에 한 차원 높은 연구가 실시되고 있는데 대부분 바이오테크놀러지를 이용하고 있다.

3744              바이오 폐기물 고형연료(Bio-SRF)              폐기물 고형연료 중 유기성 폐기물고형연료를 따로 부르는 용어이다. 폐목재로 만든 우드칩(WDF), 목재팰릿 폐지류, 농업폐기물, 탈수 슬러지케익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745              바이오 플라스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플라스틱이다. 소각시 유해가스를 발생시키고, 매립하더라도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제품의 보급에 의해 플라스틱 공해가 문제화되면서, 자연계에서 분해되는 플라스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미생물이 합성하는 폴리에스틸로 만든 플라스틱으로써 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자연계에 흩어지기 쉬운 낚시줄이나 투망 등으로의 실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구미(毆美)에서는 이미 시판되고 있고,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분해성 이외의 플라스틱 사용을 1992년부터 금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광분해성인 포장 봉지와 쓰레기 봉투를 판매하여 주목받기 시작했다.

3746              바이오가스                  미생물 등을 사용해서 생산된 수소·메탄 등과 같은 가스상태의 연료

3747              바이오가스                  생물 반응(미생물 발효나 효소 등의 이용)에 의해 생성되는 연료용 가스를 총칭하여 바이오가스라 한다. 주요한 것으로는 메탄과 수소가 있다. 메탄은 폐기물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유망하지만, 온실효과 가스라는 점에서 환경 속에 누출되지 않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수소는 연소시켜도 대기오염의 염려는 없다. 생성능력이 높은 균주(菌洙)의 탐색이나 유전자 공학에 의한 생성능력 증대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3748              바이오가스 [biogas]                 생물체 또는 그 배설물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얻은 가연성 가스(주로 메탄가스)를 말한다.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미이용의 자원이나 폐기물을 재생하는 것, 깨끗한 에너지원의 것 , 분산형인 것이 특징이다. 원료로서는 giant kelp(미역의 일종), 도시쓰레기, 하수오니 등을 들 수 있다. 종이펄프배수를 30 t/day로 처리해서 회수한 메탄가스는 14,500m³N/day(N은 표준상태)를 얻은 예가 있다. 또 하수종말처리장에 있어서 혐기성 소화를 채용하면 가연가스를 얻을 수 있다.

3749              바이오가스 發電(발전)              바이오가스발전은 태양광으로 합성되는 유기물을 가스화하고 연소시켜 전기로 변환시키는 기술이다. 유기물을 가스화하여 발전하는 기술은 대별하여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나무, 건초, 농산물의 줄기를 비롯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건류하거나 열적 또는 촉매를 이용한 가스화 반응을 통하여 가스화하고 이를 연소시켜 가스 엔진이나 터빈을 돌려 열과 전기를 얻는 것으로 보통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이라 한다.          다른 하나는 물을 많이 함유한 유기물이 혐기 상태(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발효되며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이용하는 발전 방식이다. 이 방식은 종래에는 유기물 농도가 높은 축산 분뇨 폐수, 전분질 폐수 등을 혐기소화 처리할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유기성 고형 폐기물(음식 쓰레기 등)을 반응기 안에서 혐기 소화시킬 때 나오는 가스를 이용하거나(바이오가스 발전) 또는 이들을 매립하였을 때 발생하는 농도 50∼70 %의 메탄가스를 이용하는(매립지 가스 발전) 방식도 보편화되고 있다.          이같은 바이오가스 발전이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것은 먼저 바이오매스 자원은 이용되지 않을 경우 폐기물로서 주변 수계나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폐기물성 바이오매스 자원(예를 들면, 축산 폐수, 음식 쓰레기, 폐지 등) 은 재활용되거나 에너지로 재순환되지 않으면 폐기물로 환경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다른 이유는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이용하면 화석 연료와는 달리 대기중의 CO₂를 증가시키지 않고 순환되기 때문이다.          , 바이오매스의 생장 기간 동안 CO₂는 유기물로 고정화 되고 이를 연소시키거나 분해시키면 CO₂가 방출되는 사이클이 반복되어 CO₂보다 11배나 강력한 지구 온난화 물질인 대기중의 메탄을 연소시켜 CO₂로 방출하는 효과도 있다(지구상의 유기물은 결국 장기간에 걸쳐 분해되면서 메탄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고 100여년 전만 하더라도 지구의 주종 에너지였던 바이오매스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 때문에 그 독보적 지위를 석유에 내주었다.           바이오매스 자원은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에는 모두 분포되어 있으나 에너지 밀도가 낮아 이들의 채집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든다.            자원의 종류가 다양하여(나무, , 슬럿지) 이용 기술이나 기기가 다양하게 요구되며 바이오매스는 취급이 불편한 저급의 에너지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해묵은 문제점은 화학공학과 생물공학의 발전으로 점차 해소의 가능성이 엿보이고 있다. , 에너지 밀도가 낮은 문제는 대단위 계획 조림이나 에너지 작물 재배와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태양광 고정능이 뛰어난 종자의 개발로 해결이 가능하고, 취급이 불편한 점은 바이오매스를 알코올(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액체 연료나 가스 연료 또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수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은 나무칩 등을 직접 연소시켜 난방이나 발전에 이용하던 것을 가스화하여 정제하고 연소시켜 전기를 얻는 기술로서 스웨덴, 브라질, 독일, 미국 등 목재 자원이나 폐기물이 풍부한 국가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다. 이 기술은 현재 선진국의 경우도 1 /일 정도의 pilot plant를 운영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가스화발전의 전단계로도 볼 수 있는 바이오매스 직접 연소 발전 기술은 영국, 덴마크, 스웨덴 등지에서 활발히 보급되고 있다. 덴마크는 밀짚이나 나무칩을 사용하여 지역 난방과 전기를 공급하는 플랜트가 8개나 가동하고 있다. Maabjerg의 열병합 발전소는 연간 15만 톤의 쓰레기와 5만 톤의 밀짚 그리고 3만 톤의 나무칩을 연소시켜 150GWh의 전력과 1,500 TJ의 열을 공급하고 있다(발전 용량 38 MW). 우리나라에는 아직 발전 설비를 갖춘 소각장은 없으며 안양 평촌 쓰레기 소각장, 대구 성서 소각장이 열공급 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소각 발전 혹은 가스화 발전은 2001년까지 계속되는 2단계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사업에 개발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바이오가스 발전과 매립지 가스 발전은 현재 전자는 유럽에서, 후자는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폐기물 이용 발전 방식이다. 바이오가스 발전은 유기성 폐기물(음식, ·식물성, 식품공업 쓰레기 등)을 고농도 혐기 반응기에서 소화시켜 메탄을 발생시키고 이를 발전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쓰레기 처리 및 에너지 생산 공장이 1988년 프랑스 아미앙(Amiens)에 최초로 건설된 이래 1933년 현재 유럽에만 12 기 이상 가동되고 있다. 덴마크에서는 음식 쓰레기를 축산 폐기물과 통합 처리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우리 연구소가 1993년 음식 쓰레기의 효율적 처리 기술 개발을 목표로 1996년에 5 /일 처리 규모의 pilot plant 실험을 마치고, 의왕시에 15 /일 처리 규모의 바이오가스 발생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매립지 가스 발전은 1993년 현재 전세계에 독일의 98 개소, 미국의 248 개소를 포함한 481 개소에서 연간 약 240만 톤의 석유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매립지 가스 발전은 매립쓰레기의 성상(수분, 입도, 매립 밀도, 온도 등)에 크게 좌우되며 입지 조건에 따라 이용 방법도 달라진다. 예를 들면, 매립지 가스에서 흡착법 등을 이용하여 CO₂와 황화수소 등을 소각하고 메탄가스가 주성분인 도시 가스로 공급하거나(네델란드) 가스 자동차의 연료로 공급(브라질)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사업으로 연구가 진행중이나 경제성과 매립지 자체의 문제와 수분이 많은 특성 때문에 아직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매립지 자체의 문제는 많이 해결되었고 한정된 매립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보급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3750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BD, BioDiesel)은 폐식용유나 쌀겨 등 식물성 오일을 알코올에 반응시켜 만든 순도 97% 이상의 메틸에스테르라는 물질로, 분자 내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친환경 제품이다. 그리고 대체에너지촉진법상 대체에너지로 인정돼 면세해택을 받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바이오 디젤의 혼합 정도에 따라 BD5(5% 혼합), BD20(20% 혼합), BD30(30% 혼합), BD100(순 바이오 디젤)로 제품이 나뉘어진다.

3751              바이오로지칼 클린 룸 (biological clean room)             미생물 오염에 관한 오염물질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정된 공간. 공기 중에서의 부유 미생물, 그 공간에 공급되는 재료, 약품, 물 등의 미생물 오염 등이 요구되는 청정도 이하로 유지되고 필요에 따라 온도, 습도, 압력 등의 환경 조건에 대하여도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3752              바이오리액터               생체 기능 재료, 즉 진료·치료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인공 장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총칭.수술 기구, 인공뼈, 인공관절 등에 사용되는 금속재료나 세라믹스, 일회용 주사기, 인공심장,인공혈관 등에 사용되는 폴리마(플라스틱류), 인공피부나 인공혈관에 사용되는 콜라겐 등의 생체 고분자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바이오 재료는 생체 적합성과 기능성을 겸비해야 하며 의료용에 한정되지 않고 바이오 소자나 화장품, 식품 등의 '바이오 신소재' (바이오 머티리얼. 생물 유래 재료)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3753              바이오매스                  생물량, 생체량, 생물체량 이라고도 한다. 특정 생물체의 양을 중량 또는 에너지량으로 나타낸 것. 개체, 개체군, 군집 등에 대하여 쓰인다. 본래는 살아 있는 생물에 대해 쓰이지만, 현재는 죽은 생물에도 이용된다. 최근에는 달라져서 에너지원으로 보이는 생물을 의미하게 되었다. 생물을 발효시켜서 메탄, 알코올, 수소 등으로 만든 에너지를 바이오매스 에너지라고 말한다. 생태계에 따라서 바이오매스의 분포는 다르다. 단위면적당의 바이오매스는 열대 다우림에서 최대이다. 지구 전체로는 1.84×1012 톤의 바이오매스가 존재하며, 그의 대부분 (99.9%)은 식물이 차지한다. 식물량이라고 하여 피토매스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3754              바이오매스 [Biomass]               주어진 영역이나 체적 내에서 살고 있는 유기체의 총량 또는 전체 집단을 말한다; 최근에는 죽은 식물체가 간혹 죽은 바이오매스로서 포함되기도 한다.

3755              바이오매스 자원 (Biomass Resources)                     에너지원 또는 화학공업용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일정규모로 집적한 생물체를 말한다.           목재와 같이 태워서 연료로 하는 것, 수액처럼 분해하여 석유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 혹은 식물중의 전분처럼 발효시켜 알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농축산폐기물이나 도시쓰레기 등의 미이용 자원도 포함된다.

3756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재생 가능한 유기 자원 유래의 물질을 포함한 원료보다,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합성하는 것으로써 얻을 수 있는   고분자 재료

3757              바이오메스 에너지(Biomass Energy)                     바이오메스는 본래 생물량인데, 최근에 그의 개념이 확장되어 식물, 유기계 폐기물의 에너지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바이오메스의 이용형태는 고채, 액체, 기체로 구분된다.        1)고체이용으로서는 목재의 직접연소, 목판, 톱밥의 압축 성형한 것등,        2) 액체이용으로서는 알코올(에너지 작물등 당류의 발효에 의해서 생산됨) ,        3) 기체이용으로서는 메탄가스(유기물의 혐기성 소화 등), 열분해 가스, 조류에 의한 수소발생등이 있다.        바이오메스 에너지는 태양광의 변환 및 저장에 의해 이용되며, 태양에너지의 이용효율은 0.2~2% 정도이다. 유기계 폐기물에서의 에너지 회수가 현실적인 가치가 높고, 에너지 작물의 경우에는 1) 식량과의 경합, 2) 물질 재료자원으로서의 이용(예를 들면, 플프, 의료, 일용품에 이용), 3) 에너지 투입, 산출 4) 토지이용 패턴, 5) 수집, 운반방식과 비용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바이오매스에 들어 있는 석유 성분을 추출하거나,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을 메탄발효시키거나, 특수한 해조나 폐기물 바이오매스를 메탄발효 또는 알코올발효 등에 의하여 연료로 만드는 것 등이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전세계에 서식하는 식물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육상에서 새롭게 성장하는 식물의 양은 매년 시들어 죽는 양인 1.5x1011톤과 같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을 연소하거나 바이오매스에너지원과 같은 용도로 사용한다면, 매년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9배에 가까운 에너지가 생산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적절한 생각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산림이 파괴되고 식물은 물론 농경지 토양이 피해를 입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료용 식물을 잘 통제하여 수확한다면, 산림을 파괴하거나 식량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고서도 연료용 바이오매스에너지 사용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브라질·미국·중국 등 세계의 몇몇 나라에서 이러한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3758              바이오부탄올               폐목재·볏짚·해조류 등에서 뽑아낸 포도당과 박테리아를 이용해 만든 액체 연료로,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과 함께 3대 바이오 에너지로 불린다. 특성이 휘발유와 비슷해 휘발유와 혼합하면 엔진 개조 없이 차량용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연료로 불린다.

3759              바이오브릿지 이니셔티브          2014년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하여 채택된 것으로, 협약 제18(과학기술협력)와 아이치목표19(과학기술 공유)에 따라 협약 당사국들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필요한 과학기술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760              바이오산업                  현대 생물공학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제품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기존 산업과는 다르게 생물공학기술 적용 여부에 기초하는 화학, 전자, 의약, 환경, 농업, 식품 등 여러 산업부문에서 생물공학기술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창출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3761              바이오센서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뛰어난 생물기능을 적극적으로 응용하면서 발전하여 왔다. 전자공학의 관점에서 뇌의 정보처리나 신경전달, 에너지 변환 혹은 생체막이 갖는 정보수용이나 전달기능, 물질 운송기능 등 뛰어난 생체기능은 실로 매력적이다. 이러한 생체기능을 전자공학 분야에 응용하려는 연구 및 개발 분야를 생물전자공학(Bioelectronics)이라 한다. 생물전자공학은 생체기능을 모델로 하여 바이오컴퓨터나 새로운 정보전달 시스템, 에너지 생산 및 변환 시스템, 새로운 센서 등을 실현시키려는 것이다. 그중에서 생물이 물리·화학적 정보를 감지하는 기능을 모방한 바이오센서가 가장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리액터 (고정화 효소나 고정화 미생물을 매체로 물질의 분해 합성이나 화학 변환 등을 행하는 생물 반응기 혹은 반응 시스템) 중에서 효소와 전극을 조합하여 물질의 농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바이오센서라 한다. 식품의 발효 공정 관리나 임상 검사에 이용된다.

3762              바이오소옵션법[(),bio-sorption process]                     활성오니의 농도를 높혀, 유기영양물과 미생물의 비를 저하시킴으로서 오니의 프록 형성 및 그 흡착 작용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방법.Activated Sludge Process

3763              바이오안전성               생명공학의 적용 및 유전자 이식식물과 기타 생물, 특히 미생물의 방출이 식물 유전자원, 동식물 또는 인간의 건강 또는 환경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과 관련된 안전 측면에 대응하는 조치 또는 행동.

3764              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 의정서                     * 원명 :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비준국가 : 113개국+EC (2005. 2. 현재)         * 대상업종 : 농수산업, 식품업         * 발효시점 : 2003 9 11         생물다양성협약 제19 3에 근거하여 채택된 것으로, 현대의 바이오 기술에 의해 유전적 변형 생물(Living Modified Organism. 이하 LMO)이 생물 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미칠 가능성이 있는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규정         LMO의 규제에 대해서는 최초 1999.2.에 카르타헤나(콜롬비아)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특별당사국회의에서 이 의정서를 채택하고자 하였으나, 이에 반대하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 LMO 수출국과 규제를 요구하는 EU 및 개발도상국과의 사이에 의견차이가 있어 2000.1.에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채택됨         - LMO의 국가간 이동시 수출국과 사전통보합의(AIA)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으며, 각국은 위해성평가 및 관리 등을 위한 국내법을 마련토록 함         - 국가간 이동시에는 LMO임을 명시토록 하고 있으나 식용·사료·가공용과 같은 직접 사용 목적의 LMO농산물의 경우 현재의 집하체계 정비 등 세부 명기사항 준비를 위하여 발효후 2년간 명기를 유보함         - AIA 절차는수출국의 수출통보수입국의 접수확인위해성평가수입여부 결정수출국에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시 피해 당사국은 원산국에 문제된 LMO를 수거하거나 파괴하는 등의 처리와 그 비용의 부담을 요청할 수 있으며, 각 당사국은 자국과 관련된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의 사례에 관한 정보를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에 제공토록 함

3765              바이오안전성의정서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2000.1 생물다양성협약 특별당사국회의에서 채택, 유전자변형생물체(LMOs: Living Modified Organisms)의 국제이동 측면에 초점을 두고 유전자 변형생물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당사국들의 의무 등을 규정하였고, 동 의정서는 50번째 비준국가 발생일로부터 90일째 발효된다.        우리나라는 2000. 9. 6일 서명하였다. 비준시기는 일본, EU 등 주요국의 동향에 따라 결정할 계획이다.

3766              바이오에탄올               사탕수수나 옥수수 가루에 물, 효소, 설탕, 효모를 집어넣어 증류시킨 뒤 알코올을 분리해내면 연료용 에탄올이 만들어진다. 이 연료는 이론적으로 재생가능하며 가솔린보다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한다.

3767              바이오연료(Biofuel)                   바이오매스의 혐기발효를 목적으로 설계된 탱크를 말한다.

3768              바이오재료                  생체 기능 재료, 즉 진료·치료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인공 장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총칭.수술 기구, 인공뼈·인공관절 등에 사용되는 금속재료나 세라믹스, 일회용 주사기, 인공심장,인공혈관 등에 사용되는 폴리마(플라스틱류), 인공피부나 인공혈관에 사용되는 콜라겐 등의 생체 고분자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바이오 재료는 생체 적합성과 기능성을 겸비해야 하며 의료용에 한정되지 않고 바이오 소자나 화장품, 식품 등위 '바이오 신소재' (바이오 머티리얼. 생물 유래 재료)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3769              바이오필터[bio-filter]                고속 살수여상법의 일종. 여상 유출수를 최초 침전지의 유입수에 반송하는 방식.

3770              바이콜러지(bicology)                대기오염과 소음의 근원인 자동차를 추방하고 자전거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운동과 그 생태학적 사상. 자전거(bicycle)와 생태학(ecology)의 합성어로서 1971년 미국 청년의 제창으로 공해추방 시민운동으로 발전하였다.

3771              바이패스(By-path, By-pass)                       부관 또는 측관 등의 의미로서, 주관의 보조를 하거나 또는 주관에서 갈라져서 다시 주관에 연결하는 관로를 말한다.

3772              바이훌로우 여과 (biflow filtration)             미여과수의 대부분을 밑에서 위로 흐르게 하고 동시에 일부 를 위에서 밑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

3773              바제도()                Basedow's disease 또는 Grave's disease.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호르몬의 과잉생산에 의한 제증상을 중심으로 해서 이것에 안구돌출, 침윤성안증등 눈병, 국한성점액수종, 빈맥 등의 피부병을 합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함. 원인은 자기면역성 이상으로 갑상선 TSH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생산되어, TSH와 마찬가지로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호르몬의 과잉생산 및 분비가 일어나(갑상선가능항진증) 갑상선호르몬 과잉의 여러 증상 즉 조직의 열생산항진, 교감신경 과민상태 등을 유발한다.    바제도병의 치료방법에는 약물(항갑상선약) 치료, 아이소톱(I-131) 치료, 수술요법이 있다. 미국에서는 임신중, 젖먹이는 동안을 제외한 7할의 환자에 아이소톱 치료가 적용되고 있으며, 부작용은 통계적으로 확인되어 있지 않다.

3774              바젤 협약                   1976, 이탈리아에서 농약을 생산하는 화학공장이 폭발하여 다이옥신으로 오염된 토양이 국경을 넘어 처분되었다. 이른바세베소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유해 폐기물의 월경 이동이 문제가 되어, 당초 EC(유럽공동체) OECD(경제협력 개발기구)가 검토에 들어갔으나 그 뒤 개발도상국도 참여하게 되었다. UNEC(국제연합 환경계획)가 재검토를 맡아 1989 3 22일 스위스의 바젤에서 『유해 폐기물 등의 월경 이동 및 그 처분 관리에 관한 바젤 협약』을 116개 참가국 전원 일치로 채택하였다. 조약은 20개국의 비준을 달성한 뒤 90일 뒤부터 발효되었다.  조약의 주된 취지는 유해 폐기물은 원칙적으로 발생국에서 처분하며 어쩔 수 없는 월경 이동 시에는 수입국, 통과국의 동의를 얻은 다음 조약의 기준에 준하여 행할 것이며, 처분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수출국이 회수할 것, 그리고 벌칙 조치도 정해졌다. 유해 폐기물 대상물질은 금속카보닐, 베리륨, 6가크롬, , 아연, 비소, 세렌, 카드뮴, 안티몬, 테룰, 수은, 타튬, , 불화칼슘 이외의 무기 불소화합물, 시안, 산성용약, 혹은 고체상태의 산, 염기성 용액, 혹은 고체상태 염기, 아스베스트, 유기린, 페놀류, 에테르, 할로겐화 유기용제, 유기용제, 폴리염화 디벤조프란류, 폴리염화 디벤조-P-다이옥신류, 유기 할로겐 등 47종류의 성분을 가진 폐기물이다.

3775              바젤사건                     장소 : 스위스 바젤         원인물질 : 유해화학물질 (살충제, 살균제, 솔벤트 연료 및 중금속 수은)         . 발생과정 및 원인규명         라인강 상류유역 스위스 바젤부근 Schweizerhalle에 위치하는 산도스제약회사에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 창고에는 1,300톤에 달하는 90여종의 화학물질이 보관되어 있었는데 화재 진화를 위해 사용한 다량의 물과 함께 이들은 곧바로 라인강으로 흘러들어가 라인강을 하루 아침에 죽음의 강으로 변모시키고, 부근 토양과 지하수로 스며들어 오염시켰다.         . 피해상황         라인강에 서식하던 수중생물은 떼죽음을 당하였고 사고지점 하류 400킬로미터에 해당하는 하천구간의 저서생물은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피해액은 400억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하천정화 노력으로 많이 회복되긴 했지만 지금도 하천 퇴적물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이 검출되고 있어 라인강을 본래대로 회복하기란 지금으로서는 불가능하며 매우 오랜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 사고후 처리과정 및 조치         사건발생 직후 관리당국의 솔직한 발표와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아 하류지역 프랑스와 독일에서 용수관리에 많은 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산도스사는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대하여 1억 스위스프랑을 지급하게 되었다. 유독물질을 보관하는 회사에서 사고시 인접 라인강에 미칠 재해에 대한 아무런 사전 대책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지속적으로 이어진 것이었다.

3776              바젤협약                     1976년 이탈리아 세베소에서 농약공장 폭발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다이옥신 함유토가 불법적으로 국외로 반출된 사건이 일어났다. 이른바 '세베소 사건'이다. 이를 계기로 1989 3월 스위스 바젤에서 116개국의 대표자들이 참석한 가운에 유해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과 그 처분통제에 관하여 서명한 협약이 바로 바젤협약이다.

3777              바젤협약                     1980년대에 유럽의 선진국으로부터의 폐기물이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에 방치되어 환경오염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 특히 사전연락 및 협의없는 유해폐기물의 월경 이동으로 최종 처분의 책임자 소재가 불명확한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OECD UNEP의 검토를 거쳐, 1989. 3. 스위스위 바젤에서 특정 폐기물의 월경이동에 대해 규제.         * 원명 : 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s and Their Disposal         *  비준국가 : 163개국+EC (미국 미가입) (2005.2. 현재)         * 대상업종 : 철강, 석유화학 등         * 발효시점 : 1992 5 5         수은, 카드뮴, , 페놀, 의료폐기물, 폐광물유 등 유해폐기물 47종을 지정하여 바젤협약 비당사국으로의 수출, 남극으로의 수출, 해당 유해폐기물의 수입을 금하는 국내법 또는 지역기구에 가입한 국가로의 수출 등이 금지됨         - 부속서 I : 규제폐기물 (47)         - 유해폐기물 (18) : 의료폐기물, 폐광유, PCBs 함유폐기물, 폐타르잔재물, 사진현상 및 인화과정에서 생긴 폐기물, 산업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잔재물         - 기타성분폐기물 (27) : 금속카보닐, 베릴륨, 6가크롬, 구리화합물, 아연화합물, 비소화합물, 세레늄, 카드뮴, 수은, , 불화칼슘 등         , 유해폐기물 수출국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폐기물을 취급할 시설이 없거나 수입국에서 재활용이나 자원회수산업에 투입될 원자재로 필요한 경우에만 국가간 이동이 예외적으로 허용         그러나 특정 유해폐기물 및 그 외 폐기물의 수출시 수입국의 서면동의가 필요하며, 폐기물의 불법거래를 범죄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해 이 협약의 위반행위시 처벌을 요구         6회 당사국 회의에서 의료 폐기물, 플라스틱 폐기물과 그 처리, 폐납축전지와 관련되는 기술 가이드라인 채택. 금속 및 금속 화합물의 재이용과 관련되는 가이드라인에 관해서는 현재 검토중         * 바젤협약의 산업계 파급 효과         - 재생용 원자재로 수입하는 폐기물 산업외에 철강, 전기전자, 석유화학, 자동차산업이 영향을 받음         - 특히 전기전자의 경우 주요 유해폐기물은 PCBs, 배터리, CRT LCD 모니터 등에서 발생하며, 일부 품목의 경우 납, 수은, 카드뮴, 6가크롬, 브롬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바젤협약과 함께 EU WEEE/RoHS 시행시 회수 및 재활용 비용 발생         - 또한 1999.12. 채결된 바젤 책임배상 의정서가 발효할 경우 폐기물의 월경이동 등에 수반하여 생긴 손해의 책임에 대해 '무과실 책임원칙'이 적용됨         - 최근에는 새로운 개념의 유해폐기물로서 휴대폰 및 컴퓨터 등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제고되고 있음. 특히 중고제품의 수입국인 개도국의 관심 지대         - 휴대폰의 회수 및 재활용 등에 관한 지침이 모색중으로 초기에 우리의 이익을 반영할 필요

3778              바젤협약상 폐기물과 유해폐기물 (Wastes under the Basel Comvention Hazardous Waste)                  폐기물은 처리가 의도되거나 처리가 요구되는 물질 또는 물건으로, 바젤협약상 처리란 재활용, 자원회수, 재생이용, 재사용, 대체이용 행위에 연결되는 것은 물론 최종처리에 연결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그 예로는 매립, 육지 및 해양에서의 소각, 내륙수역의 투기, 해양투기 등이 있다.          유해폐기물은 바젤협약상 부속서 III의 특성을 갖고 부속서 I에 포함되는 폐기물이다.

3779              바지섬(상바지·중바지·하바지)                    일반개요         상바지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리 산1          면적: 7,000          토지소유현황: 사유          중바지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리 산2          면적: 5,000          토지소유현황: 사유          하바지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리 산3          면적: 30,000          토지소유현황 : 사유         자연환경         육지식물·식생          바지섬은 울도의 동부에 위치하며 동·서로 뻗은 여러 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면은 남사면과 북사면으로 구분된다. 남사면은 해풍의 영향으로 관목성의 소사나무림이 우세하고 북사면은 졸참나무, 굴피나무, 물푸레나무, 소사나무가 혼합된 혼효림을 이룬다. 전자는 2m 이내의 수관층을 형성하며 피도는 100%에 이르고, 후자는 수관층의 높이가 5m 이내이며 피도는 80%이다.

3780              바켄로오더 액[(),Wackenroder's solution]                     0℃이하에서 황화수소를 아황산의 농용액에 통하여 얻는 용액. 여러 가지 폴리티온산과 콜로이드황을 함유하고 불안정하며 서서히 황산, 아황산 및 황으로 분해한다.

3781              바퀴벌레 방제            유기인계의 DDVP, 다이아지논, MEP(페니트로치온, 스미치온)나 피레스로이드계의 페노트린, 페르멘트린의 단제 혹은 복합제다. 이들 약품에는 급성 독성 이외에도 변이원성, 최기형성, 신경 독성 등이 있으며 발암성의 의심도 높다. 훈연제나 에어로솔제 등은 가정에서 사용하면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 붕산에 물을 넣어 둥글게 반죽하고 바퀴벌레의 통로에 놓아두는 방법

3782              바탕시험액(Blank Test):              문제로 삼은 조건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그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문제의 조건으로 덧붙인 경우와 덧붙이지 아니한 경우를 비교하여 시험하는 실험조작을 일컫는다. 보통 시료내의 특정문제를 분석하고자 하는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시료  x ㎖ 대신 증류수  x ㎖ 에 시료의 실험방법과 똑같은 조작을 하는 것을 공시험 또는 대조시험이라고도 한다.

3783              바트 염료[(染料),Vat dye]           〓건염염료(建染染料).

3784              박리[(剝離), separation]             물체의 표면에서 이탈되는 현상.

3785              박막 태양전지 ( Thin Film Solar Cells )                     비정질실리콘, CuInSe2 등의 화합물반도체를 소재로 한 것으로, 두께 수 um 내외로 유리 등의 기판위에 박막형태로 만든 태양전지로 대면적의 모듈을 일관공정으로 제조 할 수 있음.

3786              박막태양전지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활성층으로 실리콘 웨이퍼 대신에 유리 등의 기판 위에 박막을 증착한 것으로서, 태양전지 제작에 필요한 반도체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서 싼 가격으로 대면적의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3787              박센 산[-(),vaccenic acid]                       트랜스-11-옥타데센산에 해당하는 불포화지방산. 융점 39℃. 중국산 목랍이나 여름에 짜낸 우유에서 만든 버터 속에도 함유된다.

3788              박층 크로마토그라피[(薄層),thin layer chromatography]          유리판, 또는 플라스틱판 위에 흡착제를 얇게 도포하여 이를 고정층으로 하고 적당한 용매를 이동층으로 해서 전개시키는 일종의 표면 크로마토그라피. 고정증으로는 실리카겔, 알루미나가 흔히 이용됨. 조작이 간단하고 존재 시간이 짧으며, 분리 성능이 우수하고, 발색성 검출 시약이 사용되어 검출감도가 높아 널리 이용됨. 검출 속도는 페이퍼 크로마토그라피의 10∼100배임.

3789              박테리아                     세균이라고도 한다. 단세포 생물로 크기는 0.2∼l0㎛정도다. 세균은 외측에 세포벽이 있고, 구상, 타구상, 나선상 등을 나타낸다. 각종 병원균이나 탈질균, 초산세균 등이 포함된다. 호기성 세균과 혐기성 세균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다.

3790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세균에 기생하여 식균 현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총칭으로서, 단순히 파지라고도 한다.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인분이나 하수 속에서는 대장균파지, 말이나 돼지의 똥에서는 이질균파지, 화농조직 속에서는 포도상 구균 파지가 발견되고, 세균 배양중의 기생파지에 의한 발육저지가 확인되고 있다. 이질 등 세균성 질환의 치료에 대한 시험을 성공하지 못했지만, 바이러스 세균에 대한 식균과정의 연구나 유전학의 연구 등에 이용되고 있다. 세균여과기를 통과하며 광학현미경으로는 직접 볼 수 없는 미소한 입자이다.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고, 대사활성을 나타내는 일도 없다. 1915년 영국의 세균학자 F.W.트워트가 포도상구균(Micrococcus) 집락이 어떤 것에 의해 투명하게 녹는 현상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그는 그 원인이 세균여과기를 통과하는 데서 세균 자체의 어떤 병 또는 바이러스나 효소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1917년에는 프랑스의 세균학자 F.H.데렐이 이질환자 변의 여과액 중에 적리균을 녹이는 작용을 가진 것이 있다는 것을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세균을 잡아먹는다는 뜻에서 박테리오파지라고 명명하였다. 이런 현상은 파지 활성의 한 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그 후의 연구에서 밝혀졌다. 그러나 당시에는 병원세균의 파지를 이용하여 그 세균에 의해 병을 고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생물의 자기증식의 연구재료로 이용하면서부터 현대 분자생물학 발전의 선구라고 할 수 있는 성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M.델브뤼크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국으로 건너간 유럽의 과학자들에 의해 대장균의 파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40년 이후에는 이들 연구로 알려진 바이러스 증식이 다른 일반 바이러스 증식 연구의 기초가 되고, 또 가장 단순한 형의 생명현상으로서 분자유전학의 연구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791              ()댐 건설 [anti-dam construction]                     1977년 미국 정부의 대규모 댐 건설을 포함하는 수리 사업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정서가 뒤끓자 지미 카터 대통령은 ''Hit List''를 작성토록 지시했다. 이 리스트는 연방 정부가 건설을 계획 중인 서부의 18개 댐 사업을 취소하여 25억 달러를 절약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댐의 안전성, 경제 사정, 환경에 대한 배려였으나 1976년 붕괴된 ''테턴 댐''과 그 보상 여파가 크게 작용한 단안이었다. Hit List가 작성된 이래 USBR의 댐 건설 정책 방향은 크게 변경되었으나 1993년 서부 개척의 목표는 달성되었다는 선언을 하였다.

3792              반감기            한 물질의 방사능 강도가 반으로 줄어들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이를테면 요소 131의 반감기는 8일이므로 이 방사능은 8일 만에 반, 16일반에 4분의 1, 24일 만에 8분의 1이 된다. 이러한 물리적 반감기(Tb)에 대해 생물이 체내에 섭취된 방사능을 2분의 1 배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생물학적 반감기(Tp)라고 하며, 그 길고 짧음은 핵종의 화학적 특질에 따라 다양하다.

3793              반건성유[(半乾性油),semidrying]                건성유와 불건성유의 중간에 속하는 기름. 참기름, 채종유, 면실유 등 유지 중에서 생산량이 많으며, 식용유로서 중요한 것이 많다.

3794              반고속 퇴비화법 (Semi-high Rate Compositing)               파쇄된 진개에 오니를 섞어 우묵한 땅이나 습지를 메워 발효시키고, 퇴비화한 것을 그대로 축적해 두고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평지를 이용할 때는 홈을 파고다공관이나 산기판 등의 폭기장치를 매설하여 통기용으로 한다. 공기의 교환은 1~3일마다 행해진다. 보통 1~3개월간 퇴비화 되고 장기간의 비축이 가능하며, 악취의 발생도 진개가 파쇄 됨으로써 감소된다.

3795              반금속[반금속(半金屬),metalloid]                장주기형 주기표에서 붕소B와 아스타틴 At를 잇는 사선의 좌측에 위치하는 모든 원소는 대체로 금속으로 분류되며, 그 우측에 위치하는 모든 원소는 그들에게 근접하는 원소의 어떤 것은그   성질의 점에서 금속과 비금속과의 중간에 속하므로 반금속이라 불리운다. 이와 같은 원소 중에서 붕소, 규소, 비소, 텔루르의 4원소는 반금속의 대표적이 것이며, 이들은 단체로서 상온에서 고체이지만, 전기의 도체는 아니다. , 그들의 결정격자는 금속과 같은 밀충전의 구조를 갖지 않는다.② 금속과 동일한 자유전자(양공)를 갖지만 그 밀도가 보통의 금속보다도 훨씬 작은 물질을 말한다. 단체결정으로서는 그라파이트, 비소, 안티몬, 비스무트가 그 보기이다. 이들 물질에서는 가전자대와 전도대가 약간 겹치므로 절대영도(絶對零度)에서도 같은 밀도(密度)의 자유전자와 자유양공이 존재하지만, 그 밀도는 보통 금속의 1만분의 1정도 밖에 없다. 그러나 이들 전자 또는 양공의 유효질량은 매우 작고 이동도(移動度)는 크다. 전자와양공의 거의 같은 농도를 가질 경우, 저온도에서는 현저한 전류자기효과, 플라스마효과를 나타낸다. 또 반자성 등 자기적인 성질에도 특징이 있다.

3796              반대수층 ( 半帶水層 aquitard )                 물로 포화되어 있지만 투수성이 낮아 아주 적은 양의 물만이 이동하거나 산출될 수 있는 지층

3797             반데르 왈스 흡착[van der waals adsorption]                     물리흡착

3798              반데르 왈스력[-(), vander waals force]                     분자 사에에는 어떠한 에너지가 작용하고 있으며 (분자간력), 이 에너지는 분자간의 거리를 r이라 할때 대개        에 반비례하고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게 됨. 분자간력이 인력(척력인경우도 있음)인 경우를 반데르 왈스력이라고 하며 이론적으로 계산이 가능함.

3799              반류[반류(伴流),wake]                후류, 물체에 평균류에 닿았을때, 그 물체의 후면에 생기는속도가 느린 영역.

3800              반복재현성                  농도변화가 심한 지역에서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 성능유지여부를 판단하는 척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