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11801-11900

by 리치캣 2023. 1. 10.
728x90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11801-11900

번호                  용어                  해설

11801             활성 금속 [活性金屬, reactive matal]                     고온도에서 산소, 수소, 질소에 대하여 강력한 친화성(親和性)  나타내는 금속. , 강력 한 환원성(還元性)을 지닌 금속을 말한다. 티나늄, 지르코늄, 바나듐, 탄탈, 몰리브텐, 텅스텐,  우라늄, 레듐 등의 금속이 이에 속한다.

11802             활성 산화 망간법 [活性酸化-, activated mangan oxide method]             배연 속의 아황산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의 일종. 분말 상태의  활성산화 망간을 굴뚝 속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SO₂, SO₃ MnSO₄의 형으로 만들어서 MnSo₄의 분말을 포집하는 것이 이 방법의 특징임. 포집된 MnSo₄는 암모니아로서  다시 활성 산화 망간으로 환원시키고 이때에 분리된 황산 성분은 류안(硫安), 석고의 형으로  시판함. 배기 가스 중의 SO₂ 90%는 황산 망간이 되며 탈황율은 90% .화력 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다.

11803             활성 수소 [活性水素, active hydrogen]                     자외선조사, 방전 등의  방법으로 화학반응을  쉬이 일으킬 수  있게 된  수소. 예컨대, R.W.Wood의 방전관을 써서 0.5mmHg 정도인 저압수소속에서 방전하거나 (수십% 농도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약 1500℃로 가열한 텅스텐필라멘트나 아아크 속에 수소가스를 불어 넣어 열분해하거나, 수은증기함유  수소에 수은등의 수은공명선(2357Å)  조사하여 광화학증감분해하는 방법으로서 얻을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수소는 활성화하여 원자상태가 되므로, 강력한 환원작용을 나타낸다. 알칼리금속염에서 금속을 유리시켜 여러  가지 금속의 산화물이나  황화물 등을 쉽게  환원시켜 금속이 되게 한다.  비소(砒素(산소(酸素할로겐·안티몬·실석(失錫)들과의 그 수소화물을 만들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와는 포름알데히드를 만든다. 또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과 부가, 치환, 수소원자  빼냄 등의 반응을 일으켜, 불포화 유기화합물에는 수소를 첨가한다. 이와같은  원자상태에 있는 수소는 그 상태에서 비교적 안정하나, 금속 표면에 닿으면 매우 다량의 열을 방출하여 보통 분자로 된다. 2H→H₂+ 100.   다량의 열은 공업적으로 이용되며, 금속을 용접(熔接)한다. 산화수염(3200℃)보다 고온(4000℃)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을 녹슬게 하지 않으므로 훌륭한 용접법이다. 고농도인 경우는 압력차에서, 미량인 경우는 산화텅스텐의 변색 등에 의해 검출된다. 또함 금속에 산을 작용시킬 때나 전기분해할 때 발생하는 수소도 반응성이 크고, 일종의 활성수소이지만, 이들은 특히 발생기의  수소이라고도 한다. 또 유기화합물 속의 수소원자를, 탄소에 직접 결합된 것과 탄소나 질소 등과 결합된 것으로 분류하여, 후자는 반응성이 강하므로 활성수소라고도 한다.

11804             활성 슬러지 공정 [activated sludge process]          미생물을 함유한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오 ·폐수처리법. 폭기조내에 활성 슬러지를 주입하여, ·폐수와 폭기혼합하여, 유기물을 활성 슬러지에 흡착, 미생물에 의해 산화분해하는 처리법.

11805             활성 슬러지 농도 [活性汚泥濃度, sludge volume index, SVI]                   정상적인 활성 슬러지의 SVI 50~100이지만, 슬러지가 벌킹상태로 되면 300~400으로 상승한다. 또한 같은 침전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슬러지 밀도계수(SDI ; sludge density index)가 있다. 이것은 SVI와 같은 방법으로 혼합액을 30분 정치한 경우에 그 슬러지  침전물 100 ㎖중에 포함되는 활성 슬러지량(g)를 말한다.

11806             활성 슬러지 처리장치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1차 침전지, 폭기조, 2차 침전지, 슬러지 농축조, 산기관, 에어펌프, 물펌프, 유량계, 슬러지 탈수기, 슬러지 소각기(혹은 퇴비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1차 침전지 전단계에 하수처리장에서는 스크린이 있고, 폭기조 앞에는 공장 등에서는 유량 조정조 등이 있다.

11807             활성 슬럿지 [活性-, activated sludge]                     배수처리시 에어레이션과 침전을 되풀이 하면 응집속도가  빨라짐. 이러한 침전물을 활성 슬럿지라고 함.  활성 슬럿지 중에는 산화된 양성의 수산화물의 둘레에,  음성의 오수 콜로이드가 응집되고, 이에 산화균류가 부착됨. 이 균류가 응집을 촉진하는 것으로 활성 슬럿지를 일부 순화시켜 효과적으로 청징(淸澄)작용을 함. 이렇게 배수 처리를 하는 방법을 활성 슬럿지법이라고 함. 활성 슬럿지중에는, 적어도 50종류의 균이 생식함.  활성 오니와 활성 슬럿지는 동일하며 전자가 많이 사용됨.

11808             활성 실리카 [活性-, activate silica]             활성 규산이라고도 함. 보통의 규산과는 달리 황산반토 등의 응집제와 병용하면, 플록의 형성을 돕고, 침전 효과가 증대됨. 활성 실리카는 규산 소다의 희석액으로 황산 등을 가하여 만들어진 종합 규산졸임.

11809             활성 오니 [活性汚泥, activated sludge]                     하수나 폐수에 생기는 세균 등의 미생물로 이루어진 오니. 유기물질이나 무기물질을 섭취·분해하는 능력을 갖는다는 점이 일반오니와의 차이다. 호기성 세균군과 통성혐기성(通性嫌氣性) 세균군을 주체로 하며, 이 밖에 균류, 원생(原生선형·환형·절지동물 등과 남조류가 공존하고 있다. 호기성세균군과 균류는 용존산소의 존재하에서 물 속에 있는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탄산가스·암모니아 등의 무기물질을 만든다. 통성혐기성세균군은 유기물질을 산화 또는 환원시켜 유기산·탄산가스 등을 생성시키는데, 탈질소균 같은 통성혐기성세균은 질산호흡을 하여 하수·폐수 속에 들어 있는 질산·아질산에서 산소를 취하고 질소가스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유기물을 산화 분해한다. 원생동물이나 후생동물은 입자모양 유기물질이나 세균을 먹이로 하여 공존하며 남조류는 빛이 있는 곳에서는 광합성을 하고 빛이 없는 경우는 호기성세균과 마찬가지로 유기물질을 분해한다. 이처럼 활성오니에는 유기물질을 산화·환원시켜 생존하는 데 필요한 기본에너지를 획득하는 종속영양세균과 무기물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는 독립영양세균이 공존한다.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아질산을 질산으로 각각 산화시키는 아질산균과 하수·폐수 속의 질소를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탈질소균 및 독립영양세균인 질산균과 함께 활성오니에 중요한 세균이다. 호기성세균군·통성혐기성세균군은 수십에서 수백종의 세균종을 이루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한정된 몇 종만이 확인되어 있다. 유기물질과 무기물질을 분해하는 활성오니의 활동은 하수와 폐수를 처리하는 데 이용되며 활성오니법이라고 한다. 활성오니는 세균군이 응집하여 깃털 또는 해면(海綿)처럼 덩어리를 형성하므로 중력침강하기 쉽다. 침강이 일어나면 처리된 하수·폐수와 활성오니의 분리가 용이하며 다시 활성오니를 새로운 하수·폐수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활성오니 속에 사상세균·사상균과 고분자물질을 세포 밖에 축적하는 세균이 증가하면 활성오니가 응집하여 침강하기가 어려워지는 팽화(膨化)상태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것을 막는 일이 활성오니법에 중요하다.

11810             활성 오니법 [活性汚泥法]          하수에 공기를 불어넣으면(에어레이숀),  하수 중에 호기성균이 증식되고, 하수 중의 부유물을 응집, 침전시킴. 침전 분리한 활성 오니는 꺼내져서 처리되지만, 일부는 접종으로 폭기조에 반송됨. 표준 활성 오니법의 변법으로는, 스텝 에어레이션법, 스태빌리제이션법, 고속 에어레이션 침전지, 모디피드 에어레이션법, 디프 에어레이션법 등이 있슴.

11811             활성 오니법에 의한 하수처리 성적 [活性汚泥法- 下水處理成績]                 표준 활성 오니법에 의하여 하수를 처리하면 BOD 86∼94%, 부유물은 88∼97% 제거 됨. 반송오니율은 21∼24%가 많지만, 83%의 고율의 것도 있음. 에어레이션 시간은 4∼16 시간 정도임. 에어레이션에 필요한 공기는 하수 1㎥당 4∼14㎥임.

11812             활성 오니법의 블록 다이아그램 [活性汚泥法-]                1916년 활성 오니법이 미국에서 실용화(實用化)된 이후, 장기간에 걸쳐 그 방법이 표준화되고, 표준활성 오니법이 완성되었음. 도시 하수를 스크린, 침사지를 통하여 예비침전지에 넣고, 처리하수의 20∼30%의 활성 오니(반송 활성  오니)를 유입 하수에 혼화(混和)하여, 에어레이션 탱크 중에서 4∼8시간의 에어레이션을 행하고, 플록화, 흡착, 산화시킴. 최종 침전지에서는 2시간 정도 체류(滯留)시켜  청징수(淸澄液)를 염소 처리에 의하여 살균 방류함. 재 사용하지 않는 잉여오니는 소화 처리함.

11813             활성 오니법의 종류 [活性汚泥法-種類]                     표준법, 분주법(分注法), 완전 혼합법, 재폭기법, 산화구법이 있음. 표준법은 유입구 부근의 BOD 부하가 과대하게 되는 결점이 있으며, 분주법, 완전혼합법은 이러한 결점을 개선한 것임. 재폭기법은 표준법보다 다량의 배수가 처리될 수 있음. 산화구법은 구조 및 유지관리가 간단한 것이 특징임.

11814             활성 오니의 방해 물질 농도 [活性汚泥-妨害物質濃度]                 활성 오니법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호기성균의  증식이 순조로와야 하며, 따라서 호기성균의 증식을 방해하는 유해 물질이 유입되지 않아야함. Kiebman 40종에 이르는 물질의 유해 농도 한계를 발표한 바 있음.

11815             활성 오니의 작용 [活性汚泥-作用]             활성 오니란 하수 중의  부유물이 에어레이션에 의해서 증식(增殖)  미생물에 의하여 응집된 것임. 오니의 표면에는 하수중의 오폐물이 흡착되어 있음. 이 흡착에 의하여  하수가 정화됨. 플록 중에는 다수의 호기성균이 생식하고 있으며  효소를 분해하여 유기 화합물을 가수 분해하므로서 가용성 물질로 변환시키고 있음(호기성균에 의한 산화작용). 활성 오니에 의한 처리가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산화 작용과 흡착 작용이 밸런스를 유지하여야 함.

11816             활성 오니의 팽화 [活性汚泥-膨化, bulking]                     활성오니의 용적이 극도로 증대하고, 밀도가 작은 플록을 발생하며, 침강성과 압축성이 저하하여 고액 분리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오니 지표가 현저히 커지고, 오니처리의 효율이 나빠진다. 발생 원인으로는 실 같은 미생물이 플록사이에 들어가 다량으로 증식함으로써 부패오니를 생성하거나, 오니속의 결합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플록 자체가 변성한다. 대책으로서는 유입하는 물의 온도, PH, 용존산소 등의 저하 및 BOD부하의 증대에 주의하여 오니를 빼내는 양과 반송 오니의양 등의 적절한 조정을 한다.

11817             활성 탄화 수소 [活性炭化水素, active hydrocarbon]               전 탄화 수소 중에서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제거한 오레핀 탄화 수소, 방향쪽 탄화 수소 등의 총칭. 식물에 직접 피해를 주는 탄화 수소임.

11818             활성규산 [活性硅酸, active silica]               활성 실리카라고도 함. 규산 소다 용액을 염소가스, 탄산가스, 녹황산 등의 산성 활성제로 중화해서 만든 콜로이드상의 중합 규산으로, 황산 암모늄과 같은 응집제와 병용하면 플록형성의 조제로써 효과를 발휘한다.

11819             활성백토 [活性白土, activated clay]             일본의 화산 지대에 넓게 분포하는 산성백토를 황산으로 처리하여 활성을 높여 흡착 능력 및 탈색 능력을 증대시킨 백토. 유류의 제조와 탈색 외에 악취 물질의 흡착제로 사용되고 있다.

11820             활성산소 [活性酸素, active oxygen]                     보통 산소에 비해 훨씬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산소를  말한다. 활성화의 원인은 원자상태인 산소의 생성 또는 산소분자의 준안정산태에서의 여기로 귀착됨에 있다. , 금속  특히 알칼리토금속이나 그 아말감이 물에서 산화되는 동시에 과산화 수소가 되는 현상은 다음 2단계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Zn + O₂→ ZnO + O , H₂O + O → H₂O₂. , 금속산화물과 함께 원자상태인 산소를 생성하여 그것이 물과 결합하여 과산화 수소를 만든다. 2  과정에 필요한 산소가 제 1과정에서 생성한 활성산소이다. 이와  같은 보기는 인의 산화로  오존이 생성되는 것에도 있다.  , 건조한(오존은 포함하지 않음) 산소는 전기방전을 받아 약한 청녹색의 빛을 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빛을 내는 것은 산소분자가 준안정상태로 여기된 것이지만, 이것도 활성산소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산소나 오존은 활성질소의 작용을 받지 않으나 활성산소는 활성질소와 섞이면 산화질소를 만든다.

11821             활성산소종                  활성산소종은 산소가 전자와 반응해 만들어져 독성의 산소를 발생하여, 생성된 장소에서 무작위로 세포막을 분해하고  단백질합성의 억제등 생체를 죽게하다. 일체 질병의 대부분은 이러한 활성산소종이 발병되고 있다. 옛날부터 감기 또는 몸살감기가 있을때 귤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왔는데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항상화물질인 비타민 C가 함유돼 있어  감기바이러스 등에 의해 만들어진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여 감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11822             활성알루미나 (activated alumina)              알루미나 수화물을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다공성 물질. 그 자신은 촉매이면서 또한 다른 촉매의 담체로서 용도가 넓다. 흡착제, 크로마토그래프법의 담체로도 사용된다.

11823             활성탄 [活性炭, activated carbon]              세공을 띤 탄소질의 다공체로, 우수한 흡착능이 있다. 야자껍질이나 목탄, 무연탄을 원료로 활성화한 것이다. 이런 원료를, 불활성 가스 중에서 가열 처리하여 탄화한 후, 1,000℃ 정도의 고온에서 수증기·연료가스와 반응시켜, 탄소의 일부를 가스화하여 제조한다. 용도는 탈취정제, 수처리, 용제회수 등 다양하다.

11824             활성탄 [活性炭, active carbon, activated carbon, activated charcoal]                    색소·가스 등에 강한 흡착성이 있는 검은색 탄소질 물질. 무정형(無定形) 내지 미소 결정상 탄소로 이루어지고, 미세한 구멍이 많은 게 특징이다. 구멍지름은 0.1∼1 nm 정도, 부피는 1g 0.6∼0.8㎝이다. 수많은 구멍이 형성하는 내부 표면적은 모든 다공체(多孔體) 물질 중 가장 커서 1g 500∼1500m에 이르는 것도 있다. 흡착능력은 이 수많은 구멍과 그 내부 표면에 산소·수소·질소··할로겐 등이 탄소와 결합한 착화합물(錯化合物) 형성으로 생긴다. 야자껍질로 만들어진 활성탄 1g 0℃, latm의 수소를 2000m나 흡착한다. 흡착되는 분자는 활성탄의 구멍이 비교적 큰 통로를 지나 흡착성 있는 1∼2nm의 수많은 구멍 표면에 흡착된다. 그러므로 흡착하려는 물건에 따라 구멍 크기를 조정하여 색소처럼 큰 분자에는 큰 세공이, 가스처럼 작은 분자에는 작은 세공이 많은 활성탄을 사용한다. 물리적·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알칼리성에 강하며, 각종 유기용제에도 녹지 않는다.

11825             활성탄 재생로 [活性炭 再生爐]                 흡착이 포화에 달한 활성탄의 재생을 행하는 노로, 로타리킬른, 다단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재생법은 공기를 제한해서 가열 배소를 하거나 850~950℃에 소성하여, 압력0.3~0.6d의 수증기를 불어 넣어 활성화를 행한다. 노 내에서의 체류 시간은 30~60, 배소에 의한 손모는 4~10%정도이다.  재생 회수율은 80∼94%, 재생탄의 흡착 능력은 새로운 활성탄과 큰 차이가 없다.

11826             활성탄 흡착법[活性炭吸着-]                      활성탄의 흡착성을 이용한 방법으로, 공기 조화, 배연 탈황, 상하수 처리 등에 사용 되고 있다. (1)공기 조화; 활성탄을 2매의 다공판 사이에 충전하고, 파형으로 접어 구부린 플레임에 부착해 유닛형으로 하여, 공기조화기나 덕트 등의 기류 통로에 설치해 악취와 유해가스를 제거 한다. (2) 배연 탈; 연소 가스를 약 100℃로 활성탄 흡착탑에 통과 시키면 가스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 유황은 산소나 수증기와 반응해 황산으로 활성탄에 흡수되어 수세 또는 불활성 가스로 황산을 회수한다. (3)상수 처리 ; 예측할 수 없는 수질 오탁과 미생물 발생에 의한 이상한 냄새나 맛의 제거 등에 사용된다. 분말인 경우는 약품 처리지에 직접 투입되지만 입상보다 흡착량이 적다. 입상은 개방형 여과조가 사용되고 있고, 통상은 모래 여과조 후에 설치하지만, 여과층을 설치한 하나의 조내에서 흡착, 여과를 하는 것도 있다. (4)하수 처리; 입상탄의 흡착탑, 재생로로 용해 유기물, , 악취, 계면 활성제 등을 제거한다. 2차처리수의 재생이용을 행할 목적으로, 염소 소독의 전처리로 활용되고 있다.

11827             활성탄소 흡착시설 [活性炭素 吸着施設, activated cabon]          과립상의 활성탄소(qranular activated cabon)를 하수처리에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새로운  하수처리방법으로 화학, 물리적 하수처리장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분말상의 활성탄소는  재 생시키는 방법이 연구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수처리장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앞으로는  많이 이용될 전망이다. 유기물을 함유하는 하수가 활성탄소와 접해지면 덜극성인 분자는 흡 착되고 큰 입자는 여과되며 콜로이드상의 물질은 활성탄소표면에 부분적으로 침적하므로 하 수내의 유기물은 제거된다. 활성탄소는 단립무게당의 표면적이 대단히 크고 또 표면이 매우  활성적이기 때문에 매우 양호한 흡착제이다.         * 활성탄소재생방법 - 활성탄소층을 통하여 저압의 수증기를 통과시키면 피흡착제는 증발 내지 제거된다.

11828             활성탄에 의한 탈색 [活性炭-脫色]             활성탄의 흡착작용을 이용, 용폐수 중의  색소를 제거하는 것. 입상(粒狀)  활성탄이 많이 사용되고, 흡착작용을 잃은 것은 재생하여 되풀이 이용함. 호료(糊料)와 염료의 양자를 포함하는 염색 배수인 경우에는 호료가 활성탄  표면에 부착하여 염료의 흡착 작용이  둔화됨. 처리된 물 중에 활성탄의 미분이 혼합되어 처리수에 다소  검은 빛이 도는 결점이 있음.

11829             활성탄에 의한 탈황 [活性炭-脫黃, desulfurization by active carbon]            연소가스 중의 유황산화물(아황산 가스 등)을 활성탄으로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법. 아황산 가스와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약 100℃정도로 유지하여 활성탄층을 통과시키면 활성탄으로 흡착된 SO₂ O₂가 반응하여  SO₃가 되고, 가스 중에  수중기가 있으면 황산으로됨. 따라서 활성탄에는 황산으로서 흡착됨. 이 활성탄을 물로 씻으면 황산이 다시 회수됨.

11830             활성화 분석(activation analysis )                시료안의 여러성분을 감지할수있는 민감한 분석방법은 어떤 분석물의 방사에의해 형성된 핵종에서의 특수한 복사량 측정과 증명에 기초를 두고 있다.

11831             활성화 흡착 [活性化吸着, activation adsorption]                 화학 결합력에 의하여 그 상간(相間)  계면(界面)에서 일어나는 흡착을 화학흡착이라고 하는 바, 그 과정에서 활성화 열을 필요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 흡착을 활성화 흡착이라고 함.

11832             활성화제 [活性化劑, activator]                   1) 촉매의 활성을 도와 반응촉진작용을 증대시키는 물질. ()촉매·촉진제·()촉매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촉매에 소량의 다른 금속이나 금속산화물, 알칼리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염류 등을 넣으면 현저하게 활성이 커진다. 이를테면 암모니아합성시 철을 주촉매로 하여 알루미나·산화칼륨의 활성화제를 첨가하는데, 그 역할은 촉매의 표면적을 증대·안정화시키고 균일한 표면구조를 조성하여 반응의 활성점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2) 형인광체에 발광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가해지는  물질. 구리, , , 망간, 비슴트 등의 중금속과 칼륨, 사마륨, 유로퓸 등의 희토류(稀土類)가 유효하다. 첨가량은 모체 1mol에 대해서 10-5∼10-2mol이며,  목적에 따라 몇 종류를 혼합할 때도 있다.

11833             황린 [黃燐, yellow phosphorus, P4]                     인의 동소체(同素體)의 일종으로서 황색의 고체임. 공기 중에서 황린이 피부에 접촉되면 심한 화상을 입힘. 34℃로 발화(發火)하나  폭발성은 없음. 각종 인화합물(燐化合物)의 제조에 사용함.

11834             황사(Yello Sand)현상                 중국과 몽고의 사막지대(타클라마칸, 몽고고원, 만주 등), 황하중류의 황토지대(황토고원)에 저기압이 통과할 때 다량의 누런 먼지가  한랭전선 후면에서 부는 강한 바람이나 지형에 의해 만들어진 난류에 의해 상층으로 불려올라가 공중에 부유하거나 장거리이동 도중 지표에 낙하 하면서 생기는 시정장애 현상임. 발원지로 부터 고도 약 5.5Km에서 강한 편서풍 기류를  타고 약 3-5일만에 우리나라를 통과하며, 하강기류 발생시 지표면에 낙하함.  구성성분은 발원지에 따라 다르나 사막지대는 석영(규소), 황토지대는 장석이 주성분이며 알루미늄 과 철,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음. 발원지에 강수량이 적고 풍속이 강한 기상조건에서 강한 편서풍 기류가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봄철(3-5)에 발생함. 인천지역은 특히 지리적으로 발생원에 가까워 다른 내륙지방에 비해 황사의 영향을 많이 받음. 황사가 미치는 영향은 먼지의 증가로  인해 호흡기질환 및 눈병의  유발 등 인체의 건강에 피해를 주게 되며 농작물 및 활엽수의 기공을 막아 생육에 장애를 일으키고 태양빛을 차단하고 산란시켜 시정악화로 교통장애를 유발함. 그러나 중금속으로 인한 악영향은 거의 없으며 강우시에도 산성비에 의한  악영향은 없고 오히려 강우의 산도를 중화시키거나 알카리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남

11835             황사가 주로 봄에 발생하는 이유               (1) 봄철에는 겨울내내 얼어있던 건조한 토양이 녹으면서 잘 부서져 부유하기 쉬운 20 ㎛이하 크기의 모래먼지가 많이 발생한다. 여름에는 강수도 있고, 가을까지는 땅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있어 모래먼지가 묶여 있지만 겨울을 지나면서부터는 모래먼지가 땅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2) 황사의 고향인 유라시아대륙의 중심부는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고, 물과 식물이 부족해 모래바람이 항상 일어나고 있지만 멀리 떨어진 우리나라에 주로 영향을 주는 시기는 대규모 황사가 발생하는 봄이다.                   (3) 우리나라에 황사발생일수는 일년에 3~6일로 주로 4월에 관측되며, 중국의 자료에서도 1년중 25% 4월에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1년에 평균 5일 관측되며, 주로 일본의 서쪽 규슈지방에서 자주 발생한다.

11836             황사대비 국민행동 요령            황사가 발생중일때   가정에서 :    - 창문을 닫고 가급적 외출을 삼가되, 외출시 보호안경, 마스크를 착용하고 귀가후 손과 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섭취     - 식품가공, 조리시 철저한 손씻기 등 위생관리 2차오염 방지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    -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실외활동 금지 및 수업단축 또는 휴업   축산시설 원예 등 농가에서 :    - 방목장의 가축은 축산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 노출 방지     - 축사의 출입문을 닫고 외부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할 것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 천막 등으로 덮기        황사가 종료한 후      가정에서 :    - 실내공기의 환기 및 황사에 노출된 물품은 세척 후 사용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    - 학교 실내?외 방역 및 청소, 감기?안질 등 환자는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조치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에서 :    - 축사, 방목장 사료조 및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 및 소독     - 황사에 노출된 가축은 황사를 털어낸 후 구연산소독제 등으로 분무소독     - 황사가 끝난 후 2주일정보 질병의 발생유무 관찰     - 구제역 증상과 유사한 병든 가축 발견시 신고(1588-4060)

11837             황사발원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고향은 중국과 몽골의 경계에 걸친 드넓은 건조지역과 그 주변에 있는 반 건조지역입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황하 상류와 중류지역에서 발원한 황사가 우리나라에 주로 영향을 주었으나, 최근 3년 전부터는 이 지역보다 훨씬 동쪽에 위치한 내몽골고원 부근에서도 황사가 발원하여 우리나라로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전영신 등. 2002) 이것은 황사발원지가 동쪽으로 더 확대되고 한반도로 더 가까워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지금까

11838             황사의 원인은 중국 내륙의 무분별한 개발과 사막화 탓               황사의 진원지인 중국 서북지방 (신장 위구르 자치 지구, 간쑤성 등) 과 화북비장 (네이멍구 자치지구 등)의 무분별한 토지 개간은 목초지와 물 부족 현상을 가져왔고 이는 지표의 건조화와 사막화라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의 사막화 속도가 60년대 이전에는 매년 1,560km2이었으나 70~80년대에는 2,100km2, 현재는 2,160km2 (서울 면적의 4)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중국 전역의 가용 초지 면적의 매년 2%씩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 다른 진원지인 몽골의 경우도 전국토의 60%가 사막화 위기에 처해 있으며 과거 30년 동안 목초지 6.9km2가 감소하고 있다. 중국의 황사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앞으로 황사가 더 자주, 더 크게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어 황사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일본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 북부 지역과 해안지역의 도시와 공장에서 발생한 대기오염과 황사가 결합하여 망간-철 등 중금속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황사에서 망간은 지난해 평균 농도보다 15.8, 철은 13.1배 높게 나타났다. 망간이나 철 등은 일반토양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인체의 위해성이 낮다고 하지만, 황사의 발생일수가 늘어나고, 중구그이 산업화가 진행될수록 위해성이 높은 납이나 카드뮴 등의 함량이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11839             황사의 특징과 영향                  - 황사의 특징                          (1) 황사먼지 입경분포                  황사먼지의 입경분포를 보면 발생원지역과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데 우리나라에서 측정한 자료들을 종합하면 조대먼지에 해당하는 영역의 입자개수농도의 증가가 현저하다.                     (2) 황사의 화학적인 조성                         황사의 원료라고 할 수 있는 중국 북부의 사막 토양은 3~5㎛의 미세먼지로써 풍화되기 쉬운 장석이 다량 잔류하고 있는, 탄산칼슘 등을 비교적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알카리성 토양이다. 그러나 장거리 이동되는 황사의 성상은 발원지에서의 토양성분이외에도 이동과정 중에서 오염된 지역의 가스상 물질들이 추가된다. 그리고 가스와 입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SO2, NOx 등의 가스상 물질이 입자표면에 흡착되어 황산염이나 질산염 등이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조사된다. 이과정 중에서 오존과 같은 산화제 등이 입자표면에서 SO2 등의 가스상물질들을 산화시켜 황산염 등의 입자상물질을 생성시킨다.                    '- 황사의 영향                          (1) 황사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징                          황사 발생시는 대기의 광학적 두께와 에어로졸의 소산계수가 크게 증가시켜 지구 냉각화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구름을 생성하는 응결핵으로 작용하여 대기복사 체계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효과도 있다.                        (2) 황사의 위해도 측면                        대기중의 분진농도는 심할 경우 환경기준치의 2~3배 이상 초과하기도 하며, 식물의 기도를 막아 광합성작용을 방해하여 식물에 피해를 준다. 황사현상이 발생하면 기관지염, 천식, 안질, 알레르기 등의 질환이 발생 또는 기존 질환이 악화되며, 특히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고통과 피해를 받을 수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고 산업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 토양에 좋은 비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음.

11840             황사특보제                  황사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산업 등을 보호하기 위해 2002 4월 도입된 제도로, 대기 중 미세먼지 오염도의 단계에 따라 기상청이 황사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는 것을 말한다. 황사주의보는 황사로 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 400/m3 이상, 황사경보는 1시간 평균 미세먼지 800/m3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11841             황사현상                     바람에 의해 하늘 높이 불려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황사에는 마그네슘·규소·알루미늄··칼륨·칼슘 같은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불어오는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대(타클라마칸, 고비사막 등)와 황하중류의 황토지대로 편서풍을 타고 주로 봄철에 발생한다. 중국 서북지대의 사막화의 확대로 황사의 규모와 횟수가 급격히 증가 추세에 있다. 황사에 노출되면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질환, 눈병, 심혈관 질환을 앓을 수 있다.

11842             황산 [黃酸, sulfuric acid, sulphuric acid]                     H₂SO₄ 무색의 무거운 액체로 강산성, 석탄, 석유, 중유 등의 연소 가스 중에 포함되는 아황산가스(SO₂)는 대기중에서 대기중의 산소로 점차 산화되어  무수 황산(SO₃)이 되고, 또 대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미스트상태의 황산이 되어 공해원이  . 이같은 연소 가스를 습식 배연 탈황 장치로 처리한 경우에도 가스중의 아황산 가스는 황산으로 회수되어 재이용됨. 알칼리성 배수의 중화제로 널리 사용됨. 알루미늄과 황산이 결합해서 생긴 황산반토는 응집제로서 배수 처리에 중요함.

11843             황산 공장 배수 [黃酸工場排水, sulphuric acid industry sewage]               황산은 유화공석을 태워 발생한 아황산 가스를 원료로 함.  가스의 냉각 세정에 사용한  물이 배수가 됨. 배수는 pH 1∼2로 낮고, 외관은 적갈색 혼탁 상태로 1∼10g/ℓ의 산화 철을 함유하며 수온은 약 50℃. 아황산 가스의 냄새가 남. 황산 1톤의 제조에  이용되는  수량은 10톤 전후임.

11844             황산 미스트 [黃酸-, sulphuric acid mist]                     황산의 미립자. 미립자의 직경은 3㎛이하의 것이 많음. 황산을 사용하는 공장에서도  발생하지만 석탄이나 석유, 중유를 사용하는 공장의 매연으로 생기는  것이 많아 대기 오염의 중요 발생원임. 매연 중의 아황산가스가 무수 황산으로  되어 공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황산 미스트가 됨. 공기의 상대 습도가  50%인 경우는 아황산가스의 20%가 황산으로 되고, 상대 습도가 90%인 경우는  60%가 황산이 됨. 이들 황산은  미스트로서 공중에 부유함.

11845             황산 알루미늄 [黃酸-, aluminium sulphate]                    황산 반토라고도 함. 응집제로 널리 사용됨. 종래는 고형으로 사용되었으나  액체반토가 사용되게 되었음. 액체 반토로 하면 용해 설비가 불필요하고 용해 자루, 투입 등의 수고도 덜 수 있음. 사용 장치의 자동 제어화가 용이해지기 때문임.

11846             황산 카드뮴 [黃酸-, calmium sulfate]                     금속 또는 탄산염을 묽은 황산으로  용해한 용액에서        를 얻는다.  무색의 주상정. 단사정계         대하여        4O        가 정()8면체형 6배위를 이루고 있다. 비중        .  카드뮴표준전지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의약이나 카드뮴염의  원료로도 된다. 1수염(단사정계, 비중 d=3.8)과의 전이점은 75℃. 그 밖의 온도 이상에서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용해도는 감소된다.  100g에 대한 용해도 76.2(18℃),  86.9g(75℃),  60.8(100℃). 함수염의 포화수용액에 다량의 황산을 가하면 무수염(주상정, 사방정계, 비중  4.691)이 침전된다. 융점 1000℃. 또는 4℃ 이하의 수용액에서  7수염(단사정계, 비중 2.48) 을 얻게 된다.

11847             황산 핏치 [Sulfate pitch]           석유제품의 정제공정시 황산처리 황산세정을 할 때 배출되는 폐유와 폐산의 혼합물이다. 석유제품중의 유황분 아스팔트질 껌상() 물질 등의 불순물을 용해 산화 중합시켜 황산으로 흡수시키고 황산피치로서 분리한 것이다. 황산타르 또는 황산슬러지로도 불리워지며 아황산 냄새가 강하고 유동성이 적은 물질이다.

11848             황산수은 [黃酸水銀, mercury sulfate]                     [1] 황산수은(黃酸水銀] (I) Hg₂SO₄ : 과잉의 수은(水銀)은 진한 황산(黃酸)과 서서히 가열하여 얻어지는 무색의 주상정(柱狀晶). 단사정계이며, 비중 7.56.  질산수은(I) 용액에 황산(黃酸)  가해서도  얻는다.   열황산, 묽은 질산에  녹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는 0.06g/100g(20℃). , 가수분해하여 난용성의 염기성염(녹황색)이 된다. 진한 황산과 혼합하여 나프탈렌 등의 산화할 때 촉매로서 쓴다.          [2] 황산  수은(II) HgSO₄ : 수은에 과량의 진한 황산을 가하여  가열하던가 또는  산화수은(II)을 황산에  녹여 만든다.  Hg+2H₂SO₄→HgSO₄+SO₂+2H₂O. 무색의 성상정(星狀晶), 융점 850℃. 비중 6.47.  산에 녹으며 알코올에는 녹지 않는다. 소량의 물을 가하면 1수은(주상정, 사방정계, 비중 6.747)이 얻어진다.  상온에서 가수분해되어 등황색이 2HgO·HgSO₄ 기타, 각종  염기성염을 만든다. 정염은 감홍, 승홍의 제조원료, 아세틸렌에서 아세트알데히드를 얻는 반응이 촉매가 된다.

11849             황산염 펄프 [黃酸鹽-, sulfate pulp]                     목재의 소편(小片) 등을 황화나트륨과 가성소오다의 혼합용액으로  끓이고 리그닌을 용해하여 얻어지는 펄프, 표백하지 않은 펄프로부터 황갈색의 질긴 종이를 만들 수 있어 그래프펄프라고도 부르며 포장지(시멘트대 등), 봉투 전기절록지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표백도 가능하게 되어 상질지나 표백정제하여  용해펄프에도 사용된다. 목재를 끓인 폐액을 바짝 조린 후에 연소시켜 약품을 회수한다.

11850             황산오염 (Sulfur Oxide Pollution)              유황과 산소가 결합한 산화유황을 말하지만, 공해관계에서는 매연속에 포함된 이산화항(SO2), 삼산화항(SO3), 황산미스트를 말한다.          대기오염의 원인이며 이산화황, 삼산화황의 최대발생원은 중유의 연소이나, 그 외 황산제조나 금속을 정련할 때 생기는 배기가스에도 함유되어 있다.

11851             황산제일철 [黃酸第一鐵, ferrous sulfate]                     화학기호는 FeSO₄로서 이것의 7수화물(FeSO₄.7H₂O)은 녹반(green vitriol)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공업적으로는 철부스러기를 묽은 황산에 녹여 그것을 진공 증발시켜 농축한다. Fe + H₂SO₄ = FeSO₄ + H₂ 녹반은 연한 청록색의 결정으로서 공기중에 방치하면 풍화하여 결정수의 일부를 잃어버리고, 산화하여 황갈색의 염기성 황산제2철이 된다.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는 응집제로서 이용된다. 분뇨 또는 정화조 슬러지를 해양투기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0.1%정도 첨가함으로써 침강성을 좋게 할 수 있다.

11852             황산지 [黃酸紙, parchment paper]             파아치멘트지라고도 한다. 양피지 즉 피아치멘트의 모조품이며 목재펄프에서 만든 화학펄프 및 면섬유펄프 등을 원료로 해서 종이를 만들고 그 종이를 진한 황산에 적셔서 교화시켜 물에 잘 씻는다. 반투명이며 내수성, 내유성이 있으므로 버터, 치이즈 등의 식품,  약품 등의 포장에 쓰인다.

11853             황산치환법                  황산치환법은 폐염산에 황산을 첨가하여 복분해반응으로 FeCl₂ FeSO₄로 전환하고, HCl을 유리시켜 폐산액 중의 모든 HCl을 회수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특히 완전밀폐장치내에서 습식으로 반응시킬 수 있고, 초고순도의 염산이 회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치가 간소하여 설비비가 저렴하고, 폐염산 중에 황산이 혼입하는 경우에도 처리가 가능하다.

11854             황산화물[黃酸貨物, sulfur oxides]              일반적으로 산화물 전체를 말하나 그중 주로 대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는 이산화황(SO₂;아황산 GAS). 삼산화황(SO₃;무수황산)을 말한다. 이들을 통칭하여 SOx로 표기하기도 한다. 황 또는 황을 함유하는 연료가 연소될때 양쪽 모두가 발생되거나 보편적으로 SO₂가 많이 나온다. 그러나 대기 중에서는 SO₂가 태양광선의 영향으로 SO₃로 산화된다. SO₂는 대기오염의 지표로 이용되며 무색으로 자극성이 강하며 액화하기 쉽다. 연료중에 함유된 황성분이 연소될때 생성되는 SO₂는 환원성 물질로서 표백효과를 갖고있다.         습기 흡수하는 성질이 강해서 물에잘 녹으며 습기가 있는 대기중에서는 수증기와 결합하여 황산미스트로 변화게 된다. SO₂는 사람과 동물에 대해 의외로 높은 수치인 몇10ppm부근에서 급성장해를 유발시키며 식물에 대해서는 1ppm가량에서 몇시간 노출되면 피해가 나타난다. 현재 측정된 통계치에 따르면 연간 평균 0.05ppm에서는 40세 이상의 성인 남자의 만성기관지의 유병율이 5%정도라는 수치가 있으며 인체에 대한 피해로는 SOx단독 보다는 분진과 먼지 등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일때 보다 큰 피해를 주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상승효과라고 한다.

11855             황산화물의 분석 방법 [黃酸化物-分析方法]                     연소 등에 의하여 연도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중의 황산화물(SO2+SO3)을 분석하는  방법(환경오염공정시험법 제3장 제2절 시험방법 2-6).  분석 방법의 종류로는 중화적정법 과 침전적정법이 있음. 시료의 채취위치는  대표적인 가스가 채취될 수 있는  지점 즉 유속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위치를 선정하여야 함.

11856             황산환원균 [黃酸還元菌, sulphate-reducing bacteria]          유기물질(有機物質) 또는 수소(水素)의 존재하에서 산화수소로 환원하고 그 반응에너지로 생활하는 토양의 혐기성세균.

11857             황색포도상 구균 (Staphylococcus) (남은 음식물 안전성)               황색포도상 구균 (Staphylococcus)             균의 특성                - 그람 음성 구균,  - 호기성으로 내염성이 있어 남은 음식물에서도 쉽게 생육함, - 살모넬라와는 달리 장내독소를 생성이 독소는 120℃에서 20분간 가열하여도 완전히 파괴되지 않음, - 자연계에 아주 널리 분포                감염증상                - 잠복기는 1~6시간, - 심한 구토와 설사 동반, - 발열 하지 않음                감염원                - 화농부위에서 오염되거나 유방염이 걸린 젖소의 젖이나 그 가공품                방지법                - 낮은 온도에서 저장 (5℃이하)

11858             황서도            일반개요         행정구역: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외2리 산 262          면적: 36,000          토지소유현황: 사유         자연환경         지형·지질·경관          흑운모질의 화강암이 많이 발견되며, 풍화흔적이 거의 없는 신선한 암석으로 도처에 암석을 채취한 흔적이 남아 있다.          육지식물·식생          개요          황서도의 동사면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북사면, 남사면  및 서사면은 비교적 완만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남쪽 해안만 제외하면 암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쪽 해안의 백사장은 매우 청정한 상태이다.          그러나 섬 전체에 염소를 방목하고 있기 때문에 식생의 상태는 매우 불량하다. 그리고 얼마 전까지만 하여도 주민이 거주하였던 곳이다.           출현종 및 주요종          조사된 식물종은 총 115종이며 생육 가능한 종은 195종이다. 모감주나무, 금방망이가 특징적인 종이다. 어평도보다 남쪽에 위치하면서도 남방분자가 적고 귀화종이 7종이며, 대부분의 식물종이 경작지 등 교란된 곳에 나타나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기사항          식생은 완전히 교란된 상태이다.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부분 억새와 칡이 주를 이루는 망토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섬의 동부와 남부의 가장자리는 주로 아까시나무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데 수고는 약 8m 정도이다. 면적이 좁을 뿐만 아니라 하층식생의 발달이 대단히 미약한 상태이다. 간혹 팽나무, 모감주나무, 누리장나무, 꾸지뽕나무, 주엽나무, 만주고로쇠, 느릅나무, 닥나무, 보리수나무가 관목형의 상태로 생육하고 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식생을 복원할 필요가 있는 섬으로 생각된다.          육지동물          개요          황서도는 어평도로부터 서남쪽 3km 지점에 위치해 있는 섬으로, 1970년대까지 한 가구의 사람이 살고 있었지만 지금은 무인도이다.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이며 산세는 완만한 편이다.          섬 한쪽의 하층부에는 약간의 모래벌이 펼쳐져 있었지만 다른 쪽 조간대에는 바위들이 많이 드러나 있고, 가까운 물 건너에도 암초들을 볼 수 있었다. 섬 상층부에는 여느 섬들과 유사하게 소나무와 낙엽활엽수의 혼효림이 있었고, 관목들과 초본류도 무성하게 자라나고 있었다. 그러나 몇몇 그루의 교목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나이가 어린 나무들이었다.          출현종          조류는 물수리(1), 가마우지(4), 직박구리(2), 바다직박구리(2), 노랑부리백로(1), 까치(2), 황조롱이(1), 검은머리물떼새(1발자국)이고, 포유류는 염소(발자국, 배설물, 식혼), 집쥐이다.          특기사항          황서도에 접근할 때부터 물수리 1개체가 섬으로부터 날아올랐고 주위를 계속하여 선회하다가 멀리 동남쪽 무인등대 방향으로 사라졌다가는 다시 돌아오곤 하였는데, 이 섬을 근거지로 삼는 듯 보였다. 이 섬 또는 인근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충분하리라 믿는다.          황서도 앞 암초 위에서 가마우지 4개체와 노랑부리백로 4개체가 휴식을 취하고 있었는데, 번식기 이후의 이들 노랑부리백로는 크고 작은 무리로 옹진군 일대에 널리 분산되어 있는 듯 보였다.          섬 아래 모래벌을 비롯하여 섬 위쪽으로도 방목된 염소의 발자국과 풀을 뜯은 흔적 및 배설물 등을 흔히 발견할 수 있었다. 염소의 개체수가 상당히 많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섬 하층부 조간대까지 내려와 동물성 먹이를 찾고있는 집쥐의 모습을 직접 확인하였고 발자국과 배설물도 보았다. 사람에 의한 유입종들과 이들에 의한 생물환경 훼손이 적지 않은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해안무척추동물          개요          둥근배무래기, 대수리, 갯강구가 우점하고, 개울타리고둥, 눈알고둥, 갈고둥, 총알고둥이 서식하고 있었다(채집자: 최병래).          출현종          둥근배무래기, 개울타리고둥, 눈알고둥, 갈고둥, 총알고둥, 대수리, 갯강구.          우점종          둥근배무래기, 대수리, 갯강구.          특기사항          좁쌀무늬총알고둥이 서식하지 않는 등 섬업벌과 생태가 비슷하여 빈약한 생물상을 구멍갈파래와 잎파래는 서식가능성이 있는 종이었다.

11859             황소개구리                  형태 : 우리나라 기존 개구리에 비해 월등히 큰 체구(참개구리에 비해 크기는 약 2)를 지니고 있어 야외에서 쉽게 구별됨 / 어린 개구리는 머리부터 등에 걸쳐 녹색을 띠고 있고, 성장에 따라 흑색으로 바뀜  어린 개구리의 성장 속도는 매우 빨라 부화된지 2년 후에는 어른 개구리로 자라며, 몸의 크기는 15~20Cm 전후이다. / 울음 소리가 황소가 우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여 황소개구리라고 함.        생태 : 황소개구리는 1회에 약 6,000 ~ 40,000개의 알을 낳으며 올챙이의 주식은 수초 등 식물성이나 간혹 단백질 섭취를 위하여 다른 개구리의 유생이나 어류 등의 알을 잡아먹음. 1년 이상을 올챙이로 지낸 뒤 개구리로 자라며, 다 자란 황소개구리의 식성은 매우 왕성하여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 등을 주식으로 함. 수명은 야생에서 평균 5~7년 정도임        도입역사 : 1957년과 1973년 이후 식용과 농가소득증대를 위하여 일본에서 들여옴. 양식장에서 빠져나간 개체에 의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됨. / 물고기들의 알, 어린 고기, 작은 어류와 개구리, 도룡뇽 등 양서류를 잡아먹어 우리나라 고유의 생물들을 감소시킴 / 우리나라의 생태계와 고유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황소개구리의 퇴치가 시급하므로 황소개구리 잡기 운동에 전국민이 적극적인 참여가 요망됨.

11860             황소개구리에 대하여?               - 황소개구리 퇴치 필요성:        황소개구리는 지난 70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어 우리나라의 곤충, 물고기, 개구리 등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어 고유 생물종 및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으나 번식력이 강한데다 이렇다 할 천적이 없어 생태계보전을 위하여 인위적인 퇴치가 시급합니다.        '- 황소개구리 식별방법:        황소개구리나 참개구리, 청개구리의 알은 모두 그 크기나 모양이 비슷하므로 구분이 어려우나 올챙이의 경우 참개구리 올챙이가 6∼7cm 청개구리 올챙이가 3∼4cm임에 비하여 황소개구리 올챙이는 12∼13cm 까지 달하여 쉽게 구분이 가능함. 또한 겨울철에는 토종개구리 올챙이는 보이지 않으나 (1년 내 올챙이에서 개구리로 됨). 황소개구리 올챙이는 겨울에도 활동하므로 (올챙이로 1∼2년을 지냄) 겨울철에 보이는 올챙이는 모두 황소개구리 올챙이로 볼 수 있음.        특히 어미 황소개구리의 경우 그 크기가 12∼20cm 몸무게 200∼400g에 달하여 크기로 쉽게 구분이 가능함.        서식장소: 저수지, 호수, , 하천, 늪지대 등 물이 고여 있거나 유속이 느리며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함        번식기: 번식기는 5월에서 9월이며 수컷이 수면위에서 우엉 우엉하며 울면서 암컷을 유인하여 5∼50cm의 알덩어리를 산란하며, 알은 수면위에 떠 있다.        '- 포획방법        개구리: 낚시로는 미끼는 가짜미끼 (곤충, 게 형태)를 이용, 미끼를 흔들면서 포획하며, 그물로는 저수지, 댐 가장자리에서 45cm 지역을 중심으로 저녁에 그물을 설치한 후 아침에 가장자리부터 몰아서 포획하거나 그물을 개구리가 숨어있는 장소로 2 1조에 이동하면서 포획한다.        올챙이: 투망이나 그물을 이용 하여 포획        : 수심이 낮고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뜰채 등을 이용하여 포획

11861             황해볼락                     분포, 생육지 : 한반도(서해 연안;군산, 인천)         형태 특성 :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체고가 약간 높은 타원형이다. 위턱의 뒤 끝은 눈의 중간부분 아래에 이른다. 위턱의 상단을 덮는 2개의 가시가 있고, 전새개골에 5개의 가시가 있다. 측선공비늘 수는 30~31, 척추골수는 26개이다. 몸은 연한 갈색 바탕에 등 쪽에 작은 어두운 반점들이 있고, 체츠겡 너비가 넓은 4~5개의 불명료한 가로무늬가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와 협부에 검은 반점이 없다. 뺨에 3개의 줄무늬가 있다. 전장 약 20cm.         생태 특성 : 연안의 암초지역에서 조피볼락과 함께 서식하지만, 먹이를 달리해서 거미불가사리나 따개비류를 먹는다.         특이사항 : 몸은 연한 갈색 바탕에 등 쪽에 작은 어두운 반점들이 있고, 체츠겡 너비가 넓은 4-5개의 불명료한 가로무늬가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와 협부에 검은 반점이 없다. 뺨에 3개의 줄무늬가 있다.

11862             황혈 칼리 [黃血-, yellow prussiate of potash]           : 황혈염, 페로시안화 칼륨이라고도함.  시안화 칼륨과 유산철로 만 들어짐. 시안 배수중에 함유될 경우는 시안 처리로서 일반적인  염소 처리나 염소산염 처 리로는 처리할 수 없음. 황혈칼리도 황혈 칼리도 염소처리나 염소산염 처리로는 처리되지  않음. ⇒ 감청법(紺靑法).

11863             황화 수소 [黃化水素]                   Sulfuretted hydrogen 천연으로 화산가스 등에 함유되어  있고 인공적으로는 황하철과  산과의 작용으로 벌어지는 무색기체이고 계란이 썩은 냄새가 나는 대표적인 악취물질로서  유독성 가스로 취급되고 있다.  인위적인 발생원으로는 석유정제공장이나 화학공장,  특히  인견사 공장, 고무, 염료, 약품, 피혁, 아교제조, 제당, 정유, 가스공장이나 쓰레기 처리장을  들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도시의 오염된 하수에서 특히 더운 여름철 산소가 부족한 상태 에서 부패에 의해서도 많이 발생되며 자연적으로는 황이나 그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지각층에서 배출되는데, 예를 들면 화산이나 온천  또는 납, 석고, 유황 광산에서  발생한다.  광산에서는 황철광의 분해로 인하여 발생되는데 폭발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거나 수중에 녹아 있다가 물이 흐르면서 공기중으로 휘발되기도 하며 전세계적으로 황화수소의  자 연발생량은 연간 1∼3억 톤의 많은 양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자연농도는 0.2ppb(ppb:10억 분의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주로 단백질 등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어 천연적으로 발생된 황화수소는 대기중에서 산화하여 아황산가스나 황산염으로 변화하는  순 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유정(油井)에서  천연가스에 섞여 있는 경우도  있는데, 특히  멕시코나 텍사스산 원유는 생산, 수송, 정제할 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보고에 의하면 공장에서 발생되는  인공적인 발생량(300만 톤/)보다 해면(3200  / )이나 육지(7200만 톤/)에서의 자연적인  발생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양은 자연발생량에 비하면 문제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양 이지만, 한정된 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를  주게되며 황화수소는 악취물질의 대표 적인 것으로 소규모 공장이나 축산업에서부터 화학공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발생원에서  배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에 황화수소를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대 기오염물질로 정하고 배출허용기준을 배출시설에 따라 10ppm 15ppm으로  규제하고 있 으며 황하수소는 대표적인 악취 물질에 속한다.

11864             황화 수소 검지관 [黃化水素檢知管]                     고농도 검지관과 저농도 검지관이 있음. 검지제는 350∼860㎛의  실리카겔 입자 100g에 초산납 33%와 초산 2%로 된 초산 산성 초산납액 100ml를 부착 건조시킨 것으로 황화 수소와 반응하여 검은색을 띔. 저농도 검지관의 검지제는 200~350㎛의 실리카겔 입자 100g 60% 질산납 액 100㎖를 부착 건조시킨 것으로 황화 수소와 반응하여 갈색을 나타냄.

11865             황화 수소 분석 방법 [黃化水素分析方法]                     화학반응 등에 따라 연도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황화 수소를 분석하는 방법(환경오염공정시험법 제3장 제2절 시험방법 2-10). 분석 방법의 종류로는 용량법(요오드 적정법)과 흡광 광도법(메틸렌블루법)이 있음. 시료의 채취 위치는 대표적인 가스가 채취될 수 있는 점. 즉 가스의 유속이 심하게 변하지 않는 위치를 선택하여야 함.

11866             황화 염료 [黃化染料, sulfur dye]               물에 녹지 않으나 황화나트륨에  의하여 로이코화합물(化合物)이 되어 물에  녹고 목선 (木線)에 직접선을 가지며, 산화(酸化)에 의하여  다시 염료를 재생하는 염료군. 분자내에  -S-S- 결합, -SH결합, -SO결합을 갖는 큰 분자가 되고 이것들이 황화나트륨과 반응하여  로리코화합물이 된다고 생각된다. 여러 가지 중간물을  폴리황화나트륨 또는 황과 융해하 여 합성된다. 이 조작을 가황(加黃)(티오네이션(thionation))이라 한다. 대다수의 것은 화학 구조가 불명하다. 색상은 적색계 외에  각 색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선명하지 않다. 일광,  세탁에 대하여 견()○하지만 표백(漂白)에 대해서는 약하다는 것과 염색한 목선이 장기  보전에 의해 심히()하는 결점이 있으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값이 싸므로 합성염 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술파블랙 B는 최대의 생산량을 갖는다. 황화염료이지만 건염염료의 염법으로도 염색할 수가 있고 견뢰도도 건염염료와  황화염료의  중간에 있는 것을 총칭하여 황화건염염료(sulfur vat dye)  한다. 이의 대표적인 예로서  히드론불루우가 있다.

11867             황화 카드뮴 [黃化-, cadmium sulfide]                     Cds카드뮴염용액에 황화수소를 통하면, 반응의 조건에 따라 선황색에서 적황색의 침전으로 얻어진다.  섬아연광형구조(閃亞鉛鑛型構造). 격자상수  α=5.832Å, 원자간거리   Cd-S  2.52Å. 묽은 산 및 황화알칼리용액에는 불용. 산화카드뮴과 황(공업적으로 탄산 카드뮴과 황화)을 융해하면, 황카드뮴광과 같은 결정의 것이 얻어진다. 이것은 6방정계, 우르쯔광형구조, α=4.150,  c=6.738Å. 원자간  거리 Cd-S   2.51, 2.53Å. 비중  4.8. 융점   1750℃(100atm), 질소기류 속에서 약 900℃에 승화한다. 屈折率 2.5. 에너지갭 0.015eV  압전형반도체. 가전자대의 끝은 브리유앙대역의 중심에 있다. 전자의 질량을 m으로하고, 유효질량은 대개 등방적이며,0.25m 정공의 유효질량은   c축 방향에서는 5m,수직방향에서는 0.7m ,  전자의이동도는  저온에서 압전형산란, 고온에서 광학모우도의 표면에 의한 산란으로 지배되고, 상온에서는        정도. 음향전기효과가 크고, 전류포화현상, 초음파의 증폭(增幅), 발진이 관측되고 있다. 광전도성이 있고, 형광체로서도 저명(著名). 물에 대한 용해도는 0.13/100g, 묽은 산에 불용. 가열된 묽은 질산에 가용. 암모니아수에도 난용(難溶). 황색의()(cadmium yellow)로서 쓰인다.

11868             황화물 [黃化物, sulfide]             유황과 금속 또는 수소등과의 화합물이 무기계 황화물과 유기계 황화물이 있음. 수소와의 화합물에는 황화 수소가 있고, 금속과의 화합물은 황화 수소의 금속염에 해당함.  유기계 화합물에는 멜카프탄(R-SH), 이황화 탄소(CS₂)등이 있음. 유황은 지구 상에 유리 상태로 또 화합물로서 널리 존재함. 다량 존재하는 원소의  순위로는 15번째 (클라크수 0.052) . 유황의 주요  산화 상태는  -2,0,+4,+6으로 각각 반응하는  화합물의 예로서  황화수소 (H₂S)        , 유황(S), 이산화유황(SO₂), 삼산화 유황(SO₃)  등이 있고, 수질오염, 대기오염에 큰  영향을 줌. 유황은 상온에서는 화합력이 약하지만 고온에서는 반응성이 매우 커 유황보다 양성의 원소, 즉 금, 백금  이외의 금속 및 수소와 화합하여  황화물을 만듦. 이황화 탄소 및 멜카프탄은 각각 특유한 냄새가 있는  유독 가스 및 액체로, 황화 수소  및 질이 나쁜 멜카프탄은 물에 녹아 산성을 나타내 pH를 떨어뜨리고 금속을 부식시킴. 메틸멜카프탄은 펄프 공장이 악취의 주요원인이 됨. 이황화 탄소는 마취  작용과 신경조직에 장해를 미치는 독성을 가지며, 또한 인화성의 액체로 공기와 혼합한 증기는 폭발위험이 있음. 화학 섬유 공장에서 사용되므로 배출되는 물 중에 황화물로서 배출됨.  황화물의 배출 허용 기준은 황화 산화물(SO₂)로서 1800ppm이하이며 이황화 탄소(CS₂) 120ppm  이하임. ⇒ 황화수소 이황화 탄소 유황산화물 멜카프탄.

11869             황화물 응집 침전법 [黃化物凝集沈澱法, sulfide coagulation]                  일반적으로 금속황화물의 용해도곱은 매우 작으므로 배수 중에 포함되는 금속이온을 황 화 금속의 형태로 침전시키고 응집 제거하는 방법이  배수 처리법으로 쉽게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황화수소의 독성이나 취급이  곤란함. 황화나트륨을 이용할  경우의 pH 조정이  곤란함. 황화 이온의 과잉에 의한 침전의 용해등 문제점이 있어, 금속이온의 일반적인  제 거법으로 되어 있지는 않음. 수은 이온처럼 배수중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는 유화물 응집 침전법은 유효한 제거법이 될 수 있음. 배수 중에 포함되는 산화성  물질을 미리 환원시킨 후, 수은 이온에 대해 1.1 당량의  황화 나트륨을 가하고 pH10이하로  황화 수은을 침전시켜 응집제로서 황산 제1철을  5ppm 가해 침전을 제거하면 배수  중의  수은 이온 잔량은 0.05ppm이하로까지 떨어짐. 이 경우, 최적 처리 조건의 범위가 좁기 때문에 주의해야 함.

11870             황화수소의 정량 분석 [黃化水素-正量分析, quantitative analysis hydrogen sulphilde]            용량법으로서 요오드 적정법이 있으며, 흡광 광도법으로서 메틸렌블루법이 있고 검지관 법도 있음.

11871             황화스모그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한 매연과 이산화황 등이 안개와 어울려 이루어진 스모그(런던형 스모그)를 말한다.

11872             회고화설비 [灰固化設備, ASH solidification equipment]                 폐기물소각 시설에서 발생하는 소각잔사, 비회등 소각회 및 오니의 감용화와 안전성, 안 정성을 다시 향상시켜 위생적인 측면의 신뢰성을 높여 처분방법의 다각화를 기도하는 설비 를 말한다. 회고화처리를 크게 나누면 결합재를 써서 고화하는  방법과 고온처리한 후 고 화하는 방식이 있다.  1. 처리물을 결합재를 써서 고화하는  방법에는 시멘트의 수경성 결 합재를 이용하는 콘크리트고화방식과  아스팔트를 결합재로하는  아스팔트 고화방식이 있다.   2. 처리물을 고온처리한 후 고화하는  방법으로는 처리물이 융점이하의 온도에  응집하여  굳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소결고화방식과 처리물을 융점이상의 온도까지 연료 또는 전기로  승온시켜 용융물을 만들고 그것을 냉각고화하는 용융고화방식이다.

11873             회귀선 [回歸線, tropic]              지구표면상에서 위도(緯度) 23°27·S  또는 23°272·N의 선()이며,  각각 남회귀선  또는 북회귀선이라고 한다. 이 양선 사이의 구역을 열대라고 한다. 천구의 황도(태양의 중심이 그리는 곡선을 평균화한 것)를 지구표면에 투영하면 대개 이 범위에 든다.

11874             회귀이동 [回歸移動, recurrent migration]                     동물(動物)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이동을 반복하고 태어난 생식지에 돌아가는 것. 조 류의 이동과 같이 계절변화에 따라 번식지와 비번식지를 연주기이동(年週期移動)하는 것도 있고  제비 가 봄에 한국에 와서 생활하다 가을에 돌아가는 것이 그  예이다. 조류중 어떤 것은 자기 가 태어난 곳에 가서 산란한다. 연어나 가물치는 산란 때문에 모천을 찾아가는 습성이 있 는데 이런경우를 모천회귀라고 부른다.

11875             회귀해석 [回歸解析, regression analysis]                     회귀분석(回歸分析)이라고도 한다. 2개의 변량        ()        의 관계가 주어질 때 x부터 y  예측함이 된다. 이러한 방정식을 회귀식이라 부른다.

11876             회분 [灰分, ASH content]          연소물중 무기물량의 비율이며 통기연소할 때 잔류분을 말한다. 측정시 승화. 휘산되는 것 도 있어 반드시 무기물전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폐기물  회분을 측정할때는 우선 건조 시료중 불연소물을 제외하고 시료를  2㎜이하로 분쇄한다. 이것은 105℃  2시간 가열하여  평량(枰量)한다. 그후 전기로에서 800℃ 2시간 열을 주고 평량한다.

11877             회분 침강 곡선 [回分沈降曲線]                 현탁액(懸濁液)을 직경 5㎝이상, 높이 100㎝이상의 투명 실린더에 넣고, 현탁용액의 높이 H가 시간 t와 함께 감소하는 상황을  플로트한 것. 침강의 초기는  직선이며, 이것을 정속 침강 구간이라 함. 어느 시간에서 침강속도는 감소되기 시작하며 이를 감속 침강구간 (減速 沈降區間) 이라함. 그 경계를 압축점(壓縮點) 또는 임계점(臨界點)이라고 함. 침강 농축 (沈降濃縮)의 방법에 이용됨.

11878             회분(灰分) ash combustion residue                     석탄의 연소 후 남는 찌꺼기. 탄속에 포함된 광물질의 불순물이 주성분이며 미연소탄도 포함될 수 있다.

11879             회분식 [回分式, batch cycle]                     〓 배치식

11880             회분식 반응조 [回分式 反應槽 batch reactor]          한 공정이 끝나고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일정 시간이 걸리는공정으로 반응시간이 길고 소규모 처리에 적합하다.

11881             회분식 진공 여과기 [回分式眞空濾過器, batch cycle vacuum filter]          도어형여과기(무어형여과기라고도 함) 에 진공 여과를 응용한 것. ⇒ 연속 진공 여과기,  올리버 진공 여과기

11882             회분함량(ash content)               연료를 815°C온도와 기타의 명시된 조건하에서 연소 시켰을 때 얻어진 전여분의 무게 백분율

11883             회분함량(Ash content)              연료를 815℃ 온도와 기타의 명시된 조건하에서 연소시켰을 때 얻어진 잔유분의 무게 백분율.

11884             회수에너지 (Recovery Energy)                   냉매체에 프레온가스 등을 이용하여 냉난방에 이용할 수 있는 기계장치이다.         프레온가스는 콤프레셔를 고압으로 하면 액화하는데 그때 발생하는 응축열을 난방에 이용하고 한편 액화한 프레온가스는 상압으로 되돌리면 기화하여 주위에서 열을 뺏기 때문에 이것을 냉방에 이용한다.

11885             회오리바람                  육상에서 일어나는 심한 공기의 소용돌이를 말한다. 토네이도보다 규모가 작고, 지면에서 불어 올라간 먼지나 모래알들이 기둥 모양으로 선회한다. 선풍(旋風)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전체 규모를 볼 수 있는 소규모의 현상만을 회오리바람이라 한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공기의 소용돌이이며, 지름은 높이의 몇 분의 1에서 수십 분의 1 정도로 수 m에서 수십 m 정도이다. 수명도 몇 분 정도로 매우 짧다. 기둥의 크기는 작고 대체로 수직이며, 높이는 수시로 변동한다. 지면 부근의 대기가 불안정할 때에 생기며, 대체로 봄·초여름 등에 골목 모퉁이 또는 운동장 등에서 자주 일어난다.

11886             회오수 [灰汚水, Waste water from ash pit]                     소각회 배출시는 고온이기 때문에 화재의 재해방지상 물로 온도를 내려 회핏트로 이송한다. []핏트로부터 침출(浸出)한 오수가 오회수(汚灰水) 또는 재[]핏트 오수이다. 회냉각수(灰冷却水)와 플라이애쉬[비회(飛灰)]를 물로 이송하는 경우 일반 소각로에서는 동계통(同系統)의 배수로 되지만, 연소잔사 중의 미연물[유기물]이 잔존하여 이것이 부패하면 악취를 발생시킨다.

11887             회전  날개  용적  유량계  [回轉-容積流量計,,  rotary  vanetype positive   displaccment  flowmeter]                     케이스 안에 회전자(回轉子)가 있으며 회전자에는 몇 개의 날개가 있는 바, 그 날개는 스 프링으로 케이스 내부에 붙어있음. 액체가 흘러 들어가면 회전자가  회전하여 날개와 날개 사 이에 흘러들어간 액체를 튓겨냄. 따라서 날개의 회전을 측정하면  유량(流量)을 알 수 있음.  주로 액체의 유량 측정에 사용함.

11888             회전 섹터 [回轉-]                     회전에 의하여 광선을 단속하는 판.

11889             회전 피스톤  용적  유량계 [回轉-容積流量計,  rotary  piston type  positive  displacement  flowmeter]                  로타리 피스톤을 이용한 유량계. 원통형(員筒型)  케이스 안에서 로타리 피스톤이 편심 (偏心)회전할 때 내보내는 액체의 부피를 그  회전수에 따라서 측정함. 액체의 유량 측정에  사용됨.

11890             회전로 [回轉爐, rotary kiln]                      〓 로타리 킬른.

11891             회전로식 소각로 [rotary klin incinerator]                     폐기물 소각방식의 일종. 회전원통내에 원료를 투입하고 열풍 또는 화염을 투입시켜 가열하는 방식으로, 회전원통 내부가 고온이 되므로 내화벽돌로 내장하고 있음. 시멘트,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이 소성에 사용됨. 소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분진은 제거해야 하며, 가스나 분진이 고온이기 때문에 냉각하여 처리함. 소각로 자체가 빙빙 돌면서 소각하므로 소각효율이 높음. 산업폐기물등의 소각에 적합한 방식.

11892             회전식 드럼형 진공 여과기 [回轉式-型眞空濾過器, rotarry vacuum filter]                 진공 여과기.

11893             회전식 버너 [回轉式-]               고속도로 호전하는 무화통(霧化筒)의 끝에서 기름을 원심력으로  비산(飛散)시켜, 다시 고속 의 공기류(空氣流)에 의하여 미립화(微粒化)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소형의 보일러용으로 널 리 사용되고 있음.

11894             회전식 살수기 [回轉式撒水機]                   철수여상법(撤收濾床法)에서의 살수 방법의 하나로 워엄에 장치한  노즐에서 분사되는 오 수(汚水)의 반동에 의해서 위엄이 회전함. 위엄이 2개인 경우에는 2/min, 4개이면 1/min 의 회전수로 운전하는 쪽이 효과적임. 또 살수의  반동을 이용해서 회전시키려면 50∼100㎝ 의 수두(水頭)가 필요하며, 고속살수 여상법에서의 살수량은 25/m²/일 임.

11895             회전식 세정 집진 장치 [回轉式洗淨集塵裝置]                 유수식 세정 집진 장치.

11896             회전식 파쇄기 [回轉式 破碎機 rotating shredder]                    회전축이 수평으로 지지된 횡형, 수직으로 지지된 수직형, 그리고 충격작용을 주체로 하는 고속 회전형과 전단작용을 주체로 하는 저속 회전형이 있다. 냉장고 세탁기 등의 금속제품을 포함하는 대형쓰레기의 파쇄에는 고속 회전식 충격전단 파쇄기를 이용하며, 투입된 폐기물은 고속 회전하고 있는 회전칼(Ring hammer)과 고정칼(전단도 또는 Cutter라고도 함) 사이에 충격과 동시에 강력한 전단력을 받아서 파쇄 절단되어 그레이트바아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다시 링 해머와 그레이트바아 사이 및 폐기물 상호간에서 충격전단이 되어 그레이트바아 간극 이하로 파쇄된 것은 원심력 및 링해머의 자전에 의한 배출작용에 의해 그레이트바아에서 파쇄기밖으로 배출된다. 링해머의 회전주속은 40~60㎧ 정도이다.

11897             회전원판법 [回轉圓板法, rotary disc method]          원판면에 발육(發育) 고착(固着)한 생물막(生物膜)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정화작용(淨化作 用)으로 액 중의 오탁 물질이 분해됨. 활성오니법에 비하여 장치가 소형이며 조작도 간단해 서 생활 배수 등의 처리에 사용됨. 생물막으로의 산소공급은 원판이 공중에 나타났을 때 이 루어짐. 원판의 직경은 대규모인 경우 3m나 되며, 원판 매수는 1000매 이상, 원판 간격은 2 ㎝ 전후, 주속(周速) 2m/min 이하임 → BOD 표면적(表面的) 부하(負荷).

11898             회전원판접촉법(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생물학적 폐수처리공법의 하나이다. 독일에서 개발된 방법으로 활성오니법과는 달리 회전원판이라는 고정매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부착시키고, 이 부착된 미생물로 하여금 폐수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처리효율이 높고 운전이 편리하며, 특히 소규모처리장에 적합하다. 동절기의 온도영향이 활성오니법보다 민감하다.

11899             회전판 접촉법 [回轉板接觸法]                   RBC (rotary biocontactor)이라고도 하며 에너지가 절약되고 BOD부하를  높일 수 있으며 옥내에 설치하거나 보온 복개를 하므로서 겨울에 처리능률을 정상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

11900             회전판에의한 생물학적 처리공법 [回轉板-生物學的 處理工法, rortation biological reactors)                 직경이 비교적 큰 플라스틱판을 회전(回轉)하는  수평축()에 연결하여 콘크리드 tank내에 설치하는 공법. 이 회전판(回轉板)은 전속으로 회전하며 회전판 표면적의 약 40%가 물에 잠기는 것이 상례이다. 회전 초기에  하수가 유입되게 하면 하수내의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회전판상에 서식하게 되며 약 1주일 정도되면 1-4㎜두께로 미생물이 완전히 회전판에 피복된다. 이렇게 부착된 미생물의 농도는 부유물(ss)  5∼10만㎏/ℓ가량이나 된다. 회전판의 회전작용은 회전판이 공기중에 노출될 때에 대기중의 산소가 회전판 표면의  수막(waterfilm)으로 전달되며 동시에 이 막속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러한 회전 작용은 단속적(斷續的)으로 유기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만약 수막에 전달된 용존산소가 유기물의 제거에 소요되는 양보다 크게 되면 tank내의 몸속으로 전달된다.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6133820192

 

스몰미 메모시트 [A3 크기] - 내맘대로 골라담는 10장 세트 스몰미메모시트. / 스몰미메모시트, 냉

스몰미,메모시트,스몰미메모시트,메모,정리,보드,보드마카,달력,캘린더,플래너,계획,계획표,일정,시간표,A3

smartstore.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