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 류 : 완전무작위 실험설계, 블럭 실험설계, 요인 실험설계, 반복측정 실험설계,
계층 실험설계, 부분 실험설계
○ 완전무작위 실험설계(CRD,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 통계적 실험설계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 단 하나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데 유용함.
- 이때 종속변수는 계량적으로 측정되어야 하며, 독립변수는 하나 이상의 범주를 갖는
명목척도인데 독립변수의 각 범주는 실험처치라고 함.
- 어떤 요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설계로 실험 요인을 실험단위에 무작위 배치하는
설계방법으로 둘 이상의 모집단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적인 무선 표본을 사용함.
○ 블록 실험설계
- 연구대상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블록으로 구분한 다음 연구를 진행하는 실험설계임.
○ 요인 실험설계(Factorial Design)
- 두개 이상 독립변수의 분류항목 결합의 수만큼 실험집단을 난선화하는 방법으로 설정하고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실험처리를 한 후 각 집단의 종속변수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
- 요인설계의 가장 큰 장점은 한가지 이상의 독립변수 각각의 다른 영향을 인정하는 가운데
개별 독립변수의 영향을 보여 조사결과의 일반화 정도가 높아지게 되어 외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과 두 독립변수 이상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알 수 있음.
○ 반복측정 실험설계(Repeated Measures Design)
- 연구대상이 사람이고 선택된 연구대상을 여러차례 수준을 거치면서 반복적으로 적용되어
결과를 측정하는 실험설계임.
- 각 피험자는 통제와 실험 조건의 모든 측면에서 검사를 받은 후, 여러 학습 시행이나
다양한 정신 물리학적 판단을 이용하여 동일한 참가자를 여러 번 측정하는 방법임.
- 실험 중 나타나는 순서효과와 혼입변인의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실행되는 설계방법임.
○ 계층 실험설계(Layered Design)
- 외부층 층화기준에 의해 계층을 설정하고 계층별로 시험단위들을 추출한 후, 이들에게
각 실험처치를 무작위로 할당하는 설계방법임.
- 각 계층은 최소한 처치의 수만큼의 시험단위를 포함하게 됨.
- 이와 같이 계층화 설계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종속변수에서 나타나는 변이 층의
일부를 외부적 층화기준에 할당함으로써 실험 오차를 줄이려는 것임.
○ 부분 실험설계
- 인자수준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실험에 적용하지 않고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실험횟수를
줄여나가는 실험설계 방법임.
- 완전요인 실험설계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대표적인 형태로 라틴스퀘어 실험설계와 지분
실험설계가 있음.
[출처] ★ 통계적 실험설계의 분석방법 _ 도종원 ★ (서울시립대학교 양성돈 박사의 수업자료실) |작성자 doe21th
'공부하기 > 경영학과 군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설계의 유형 (0) | 2017.11.05 |
---|---|
ANOVA(3) : Factorial design(Two-way ANOVA) R (1) | 2017.11.05 |
실험설계의 종류 (0) | 2017.11.05 |
유니클로의 디지털마케팅 전략? 볼거리, 참여하고픈캠페인,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라 (0) | 2017.06.21 |
주간 중국 창업 주간 중국 창업 (0) | 2017.06.19 |
댓글
리치캣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