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military. warfare.

조만간 한국과 연합군이 될 몽골군...

by 리치캣 2024. 10. 5.
반응형

조만간 한국과 연합군이 될 몽골군...

"몽골군"의 군사력 / 칭기즈 칸의 후예는 얼마나 강할까? [지식스토리]

https://www.youtube.com/watch?v=o_jTWZk8iQo

 

이 영상은 몽골군의 역사와 전투력을 분석하며, 이 유목 민족의 군대가 어떻게 세계를 정복하고 그 후 쇠퇴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합니다. 몽골군은 기하급수적으로 영토를 확장했지만, 문화적 및 경제적 한계로 인해 지속적인 힘을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현재 몽골군은 적은 인구와 제한된 자원 속에서도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군대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강대국 사이에서 생존 전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소중한 교훈과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영상입니다.

핵심주제

몽골군은 역사적으로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다.
  • 몽골군은 짧은 시간에 광범위한 지역을 정복하고, 중세 유럽의 군대에 비해 우수한 전술적 능력을 보여주었다.
  • 칭기즈 칸 시대의 몽골군은 하루에 100km 이상을 이동하며 공세를 펼쳤고, 이는 당시 다른 군대들과 비교할 때 압도적인 속도였다.
  • 그러나 역사적 전환점 이후 몽골 제국은 쇠퇴하게 되었다.
몽골의 군사력은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군사 개혁을 겪었다.
  •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개혁 개방 정책은 몽골 군대의 구조적인 변화와 체제 전환을 이끌었다.
  • 몽골 인민군은 기병대가 다수를 차지했고, 이후 유격대와 함께 현대화된 군사 훈련을 실시하게 되었다.
  • 과거 일본군과의 전투 및 소련 지원으로 군사 경험을 쌓으며, 전반적인 군사력 상승을 도모하였다.
몽골군은 해외 파병과 평화 유지 임무에도 참여하고 있다.
  • 2003년 이라크 전쟁에 군을 파견하면서 몽골군은 국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 또한 아프간 및 여러 국가에 평화 유지 활동을 실시하여, 글로벌 군사 동맹으로서의 역할을 확립하고 있다.
  • 이러한 파병은 몽골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며, 군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가 된다.
몽골의 군사력은 제한된 자원 속에서도 꾸준히 발전해 왔다.
  • 몽골은 인구가 적고 경제적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징병제를 통해 군사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 국방 예산은 낮지만, 육상 전력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장비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 그러나 자국 방어의 측면에서 전력 증강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몽골은 주변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 러시아와 중국의 군사적 확장에 대한 우려 속에서 몽골은 안전 보장을 위한 외교 정책에 의존하고 있다.
  • 몽골은 대규모 전력 대신 '작지만 강한' 군사 구조를 채택하여 방어적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에 따라 군사적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타임라인

완벽노트(GPT-4o) 적용됨1. 🏹 몽골군의 역사적 위력과 영향

  • 몽골군은 25년 동안 10만에서 20만 병력으로 로마군 보다 더 많은 영토를 정복했다.
  • 몽골군은 러시아 정복에 성공한 유일한 군대로, 혹독한 겨울도 이겨냈다.
  • 1241년 헝가리 정복 시, 몽골군은 하루 100km를 주파했다.
  • 몽골군은 중무장한 유럽 기사단을 200-300m 거리에서 활로 혼란에 빠뜨리고 돌격했다.
  • 영국 군사학자 리데 아트와 독일 기갑 군단의 아버지 구데리안은 몽골군 전술에 영감을 받았다.
  • 몽골 제국은 쿠빌라이 칸 시대 이후 문화적, 경제적 한계로 쇠퇴했다.

 

2. 몽골의 역사와 독립 과정

  • 몽골인은 피지의 민족들보다 인구 수가 적어 결국 피지 민족과 동화되거나 쫓겨났고, 원나라는 만리장성 밖으로 쫓겨났다.
  • 15세기 후반 명나라의 힘이 약해지자 몽골인은 다시 부흥했지만 후금의 홍 타이지에 정복당하고 청나라에 복속되었다.
  • 러시아와의 전투가 있었으나, 옹정제 시대에 오늘날 러시아-몽골 국경선이 정해졌다.
  • 몽골은 러시아 제국의 도움으로 복덕한국을 건국하며 청나라로부터 독립했으나, 1917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면서 다시 중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1921년 몽골 인민 혁명당이 설립되어 소련의 지원으로 독립을 위해 투쟁하였고, 1924년에 몽골 인민공화국이 세워졌다.
  • 하지만 몽골은 오랜 기간 동안 소련의 위성국으로 간주되었고, 독립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3. 몽골의 군대 역사와 개혁 개방 과정

  • 1980년대 후반부터 개혁 개방 정책을 실시한 몽골은 소련의 붕괴와 함께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도입하며 체제 전환을 이뤄냈다.
  • 몽골 인민 혁명당은 1921년에 창설되었고, 몽골 인민군은 1990년에 개편되었다.
  • 몽골 인민군은 기병대가 다수였으며 유격대가 창설된 후, 1923년에는 기병 군사 학교 포병 군사 학교가 세워졌다.
  • 일본의 만주 사변 이후 몽골 인민군은 일본군과의 전투에도 참전했고, 하린 골 전투에서 소련군과 함께 승리를 거두었다.
  • 1944년 독소 전쟁에서는 소련을 지원하며 일본군 만주 군을 작살했으나, 1948년 국공내전에서 좋지 않은 결과로 마무리되었다.

 

4. 몽골 군의 해외 파병 및 구조

  • 몽골 군은 2003년 8월 이라크 전쟁에 180명의 병력을 파견하였고, 2008년 9월 25일에 철수하였다.
  • 그 후 2009년에는 아프간에 114명의 병력을 파병하며, 아프간 군에 소련제 군사 장비에 대한 훈련을 제공하였다.
  • 또한 몽골군은 남수단, 차드, 조지아, 에티오피아 등 여러 국가에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 몽골은 내륙국이기 때문에 해군이 존재하지 않지만, 1993년까지 존재했던 몽골 해군은 사령관 포함 7명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수영을 할 줄 아는 사람은 한 명뿐이었다.
  • 해양 전력으로는 고속정 한 척만이 있었으며, 해체 이후에도 관광 목적의 운영이 계속되고 있다.

 

5. 몽골군의 구조 및 국제 관계

  • 몽골군은 육군과 공군이 구별되지 않는 통합군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국경 수비대는 중국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조직으로, 평시에는 국경을 넘어간 가축을 되찾고 탈북민을 한국 대사관으로 보내기도 한다.
  • 내무 보안군은 몽골의 체제 전환 후 불안정해진 국내 안전을 담당하기 위해 생겨난 조직이다.
  • 특수 부대인 084 특별임무대대는 이라크와 아프간 전 참전 및 1천명 이상의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했으며, 미 육군 특수부대에서 훈련을 받았다.
  • 하지만 몽골군은 러시아 군이나 중국 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해서, 이들 국가에 쉽게 점령당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몽골의 안보는 외교 정책을 통한 관계 조율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6. 몽골의 징병제와 군사력 현황

  • 몽골은 병역법에 따라 18세에서 25세 남성이 1년간 군복무를 수행하는 징병제를 시행하고 있다.
  • 징병 통지서는 지방 행정 기관을 통해 전달되며, 예비군 제도는 45세까지 운영된다.
  • 징병 면제를 위해 약 70만 원을 지불하거나 대학교 졸업으로 면제받을 수 있어 징병이 그렇게 엄격하지 않다.
  • 현재 몽골군은 인구 밀도가 낮고 경제 상황이 여유롭지 않아 국방 예산의 2.2%를 지출하지만, 다른 개발도상국에 비해 약하다.
  • 또한 몽골은 냉전 시대에 비해 항공 전력이 부족해 현재는 미그 29 두 기만 보유하고 있으며, 구소련 대공포도 여전히 운용되고 있다.

 

7. 몽골군의 군사력 및 장비 현황

  • 몽골군의 육상 전력은 양호한 수준으로, 전차 420대, 장갑차 640대, 견인포 500문, 다연장 로켓포 130문, 박격포 140문을 보유하고 있다.
  • 전차는 T-72, T-54, T-55를 운용하지만, 이들은 모두 2세대 모델로 수출형의 다운그레이드된 모습이다.
  • 북한이 T-62를 기반으로 한 전력을 운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몽골군의 전력 증강이 필요해 보인다.
  • 장갑차는 BRDM-2, BM-1, BTR 시리즈를 운영하며, 2차 대전부터 사용한 유서 깊은 견인포도 포함되어 있다.
  • BM-21 다연장 로켓포는 현대 전쟁에서도 사용되며, 몽골군은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군대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인구가 적어 대규모 전력 운용이 어렵다.

 

8. 몽골의 군사적 중요성에 대한 전망

  • 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중국은 대만을 원하고 있어 두 국가가 몽골을 노릴 가능성은 적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비무환'이라는 말처럼,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하여 겨울 전쟁 당시 핀란드처럼 작지만 강한 군대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세계의 주도권을 쥐었던 유목 민족의 군대인 몽골군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 영상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