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201-3300
번호 용어 해설
3201 ◆ 마그네시아 혼액〔- 混液, magnesia mixture〕 ◆ 결정(結晶)염화마그네슘 110g과 염화(鹽化)암모늄 100g에 진한 암모니아수 50㎖를 가하고, 물로 희석(稀釋)하여 1ℓ로 한 용액(溶液)을 말한다. 마그네슘염은 암모니아성인산염(性燐酸鹽)에 작용(作用)하여 인산마그네슘은 암모니아성인산(性燐酸)에 작용(作用)하여 인산마그네슘암모늄 의 백색침전(白色沈澱)을 생성하므로 인산(동일하게 하여 비소(砒素))의 분석용시약(分析用試藥)으로 된다.
3202 ◆ 마그네틱 펌프〔magnetic pump〕 ◆ 보통의 전동(電動)펌프는 펌프실과 회전축 사이에서 액누설(液漏洩)이 발생함. 배수처리의 경우, 이 누설된 폐액(廢液)이 바닥에 흘러 처리 시설에서 처리되지 않은 채, 바닥에 침투하거나 공공용수역(公共用水域)에 배출되거나 하는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액누설이 전혀 없는 마그네틱 펌프를 사용함. 모터로 자석을 회전시켜, 그 자력으로 펌프를 회전하므로 전혀 액누설이 없음.
3203 ◆ 마그녹스〔magnox〕(magnesium no oxidation) ◆ 마그네슘을 주체로 하여, 1%의 알루미늄과 각각 0.05%정도의 칼슘·베릴륨으로 된 합금, 영국의 콜더호올(colder Hall)원자로의 천연 우란연료봉의 피복재(被覆材)로서 연구 개발됨.
3204 ◆ 마그누스 염〔- 鹽, Magnus' salt〕 ◆ 클로로백금(II)산의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에 암모니아수를 작용시키면 타화합물과 함께 생긴다. 물에 난용인 암록색염(暗綠色鹽)이며, 최초로 발견된 백금의 안민착염이다. 등몰비의 와 를 작용(作用)시켜도 생기며, 또 이 화합물을 소량의 물 및 질산은과 비비면 가 되어 용액 중에 가 남고, 를 작용시키면 먼저의 마그누스염이 되므로 의 구조라 한다. X선해석(線解析)에 의하여 평면형인 와 가 번갈아 겹친 무한다핵착물(無限多核錯物)의 구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밖에 구조가 불명(不明)하고 불안정(不安定)한 붉은 이성체( 라 한다)가 있는데 이것과 구별하여 마그누스녹색염이라 불린다.
3205 ◆ 마그누스 효과〔 Magnus effect〕 ◆ 구(球) 또는 원기둥이 회전하면서 유체(流體) 속을 지나갈 때 회전축(回轉軸)과 진행 방향의 양쪽에 수직으로 힘을 받는 현상. 단면(斷面)이 원형인 물체를 유체 안에서 회전시키면 점성(粘性) 때문에 유체가 물체에 끌려서 물체와 똑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1852년 독일의 H.G. 마그누스가 회전하면서 날아가는 포탄에 관해 최초로 연구했으므로 그의 이름이 붙었다. 야구나 골프에서 공을 회전토록 함으로써 곡선을 그리게 하는 것도 마그누스효과의 좋은 예이다.
3206 ◆ 마그니튜드〔magnitude〕 ◆ 지진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양. 음(音)의 경우에는 파뤠 레벨에 상당함.
3207 ◆ 마그마 (magma) ◆ 지각 또는 맨틀 내에 존재하며, 주로 규산염으로 생성되는 고온 융해 물질을 말한다.
3208 ◆ 마라존 ◆ 유기린계 농약의 일종으로, 여러 종류의 해충구제에 사용됨. 인축(人畜)에 대한 독성은 약하나 농업종사자의 혈액중에서 마라존이 검출된 후부터 조심하게 되었고, 마우스에 대한 경구 독성은 Ld50=550mg/kg으로 약함.
3209 ◆ 마라치온 ◆ 유기린계 살충제. 잔류 기준은 0.1~2.0ppm. 풀멸구, 벼멸구, 야채 및 과수의 진딧물, 노린재 등에 사용된다. 닭의 수정란에의 주입 실험에서 발에 기형이 나타났고, 산화물인 마라옥손에는 발암성의 의심이 있다. 인간의 중독사건도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다. 수입 밀가루에 잔류하는 유기린 농약중 오스트레일리아 산의 것은 스미치온이 많으며, 미국산에서는 마라치온이 많은 경향이다. 미국에서는 마라치온을 수확 후에 사용할 수 있는 농약(포스트 하베스트)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다.
3210 ◆ 마라케쉬 합의문(Marrakesh Accords) ◆ 2001년 11월 모로코의 마라케쉬에서 개최된 당사국총회의 협상결과로 채택된 결정문. 제 7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한 의정서의 구체적인 이행방안에 대한 합의문으로, 여기에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 청정개발체제의 모니터링,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금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자세한 규정들이 명시되어 있음.
3211 ◆ 마루폴 73/78 조약 ◆ 『1973년의 선박에 의한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조약에 관한 1978년의 의정서』의 약칭으로 1978년 2월 런던에서 채택되었다. 이 조약은 선박이나 해양 시설로부터의 기름, 기타 유해 물질의 배출을 규제할 목적으로 제정된 것으로 본문과 5개 부속서로 이루어져 있다.
3212 ◆ 마루풀73/78조약 ◆ 1973년 선박에 의한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조약에 관한 1978년 의정서』의 약칭으로 1978년 2월 런던에서 채택되었다. 이 조약은 선박이나 해양 시설로부터 기름, 기타 유해 물질의 배출을 규제할 목적으로 제정된 것으로 본문과 5개 부속서로 이루어져 있다.
3213 ◆ 마르세이유 비누〔marseille- 〕 ◆ 냉수에 풀리기 쉬운 중성(中性)비누·올리브유·낙화생유 따위로 만드는데, 견직물이나 모직물 따위의 세탁에 쓰임.
3214 ◆ 마리노베이션 구상(構想) ◆ 제4차 전국종합개발계획을 토대로 하여 일본 수산청이 제출한 수산(水産)을 핵심으로 하는 도시개발이나 산업진흥을 추구하는 해양개발 계획. 1985년도부터 수산시책의 하나로서 등장한 것으로 다음 4개의 기본적 구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대규모 수산도시 정비와 근해 자원의 증대, 안정화를 도모하는 마린 콤비나트 구상 ② 순(純)어촌 지역에서의 양식어업과 생활환경 정비의 추진을 도모한 마리타임 빌리지 ③ 바다문화의 전승과 어장환경 보전을 도모하는 마린 컬쳐구상 ④ 수산분야에 첨단기술을 도입하고 어업기술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마린 테크 구상. 마리노베이션(marino-vation)이라는 것은 바다(marine)와 혁신(innovation)의 합성어로, 바다에 관한 문화도 염두에 두면서 주거 환경의 정비나 자원의 증대, 지방정착의 촉진을 도모하는 등 해양사업을 폭넓게 추진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3215 ◆ 마리치온 ◆ 유기인계 살충제. 잔류 기준은 0.1∼2.0ppm. 풀멸구, 벼멸구, 야채 및 과수의 진딧물, 노린재 등에 사용된다. 닭의 수정란에 주입한 실험에서 발에 기형이 나타났고, 산화물인 마라옥손에는 발암성의 의심이 있다. 사람이 중독된 사건도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다. 수입 밀가루에 잔류하는 유기인 농약 중 오스트레일리아산에는 스미치온이 많으며 미국산에는 마라치온이 많다. 미국에서는 마라치온을 수착 후에 사용할 수 있는 농약(포스트하베스트)으로 여기고 있다.
3216 ◆ 마스커〔masker〕 ◆ 〓 방해자.
3217 ◆ 마스키 법 (Musie's Law) ◆ 법의 자동차에 대한 규제(規制)로서는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는 1975년형 차에서, 질소산화물은 1976년형 차에서 각각 평균 배출량을 5년 전 차의 90 %로 줄어야 되는 것으로 했으며, 그러한 규제로 5만 마일(8만 km)의 주행에 견딜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배출기준은 환경보호국(EPA)에서 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1마일(1.6 km) 주행당 일산화탄소 3.4 g 이하, 탄화수소 0.41 g 이하, 질소산화물 0.4 g 이하로, 이것에 위배되면 자동차 1대당 1만 달러의 벌금을 과할 수 있도록 한 엄한 법이다. 그 후 1973년의 석유파동 등에 의하여 업계로부터 정치적 압력이 가해져서 최종목표치(最終目標値)의 규제실시가 유보되었다. 1977년 8월 상하 양원 협의회에서 합의를 본 수정법안에 의하면, ① 탄화수소는 1마일당 0.41 g을 80년형 차부터 적용, ② 일산화탄소는 1마일당 15 g을 1979년형 차까지로 하고, 1980년형 차부터는 7.0 g을 적용, ③ 질소산화물은 1980년형 차까지 1마일당 2.4 g으로 되어 있다
3218 ◆ 마스킹 [masking] ◆ 은폐 등을 뜻하며, 악취나 소음, 분석화학 등의 분야에서 사용된다. 악취 분야에서는 악취 성분보다 강한 방향물질을 사용하여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불쾌감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소음 분야에서는 2개 이상의 음원에 대하여 한쪽의 음이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고음은 저음을 은폐하기 어렵다. 화학분야에서는 시료중의 목적 물질을 정량할 때, 공존하는 방해 이온에 적당한 화학 처리를 행하여 계외로의 제거를 하지 않고 방해를 없애는 것을 말한다.
3219 ◆ 마스킹〔masking(미국). auralmasking(영국)〕 ◆ ① 소음이 없을 때는 최소 가청치(加廳値)로 말소리를 들을 수 있으나, 소음이 있으면 최소 가청치의 레벨을 올려야 말소리를 들을 수 있음. 이런 경우 말소리가, 그 소음에 마스킹 되었다고 하며 그 소음을 마스커(방해음)라고 함. ② 악취 성분을 분해하거나 흡착하는 일이 없이 다른 물질의 향기로 그 악취를 느끼지 않게 하는 경우, 악취가 그 물질에 의하여 마스킹되었다고 하며 그 물질을 마스커라고 함. ③ 분해 화학에서 방해 이온을 반응계로부터 무시되는 상태로 유도하는 것을 마스킹이라고 하며, 이에 사용되는 물질을 마스킹제(劑)라고 함.
3220 ◆ 마스킹량〔- 量〕 ◆ 예컨데 말소리가 트럭의 주행음으로 마스킹된 경우 말소리를 듣기 위해서 최소가청치를 올려야 함. 음이 없을 때의 최소가청치와 주행음에 마스킹되었을 때의 최소가청치의 차(差)를 마스킹량(단위는 dB)이라 함.
3221 ◆ 마스킹제〔- 劑, masking reagent〕 ◆ ⇒ 마스킹.
3222 ◆ 마시다 남은 술의 활용 ◆ 우리나라에서 술은 어떤 모임이든 빠지지 않는 단골 품목중의 하나일 것이 다. 그러나 모임이 끝나고 난 후의 술은 두었다가 마시기도 곤란하여 하수구 에 버리는 게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마시다 남은 술을 활용하는 주부들이 의외로 많아 여기에 소개한다. 1. 마시다 남은 청주는 주부들이 멸치국물을 낼 때 조금 넣으면 멸치의 비린내를 없앨수 있다. 2. 김빠진 맥주는 전골이나 불고기 요리시 조금 넣으면 부드러운 맛을 내는 데 쓸 수 있으며 머리를감고 헹굴 때 물에 조금 넣고 헹구면 린스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맥주는 비듬제거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3223 ◆ 마시다 남은 우유의 활용 ◆ 1. 마시다 남은 우유로 장롱이나 가죽소파, 가죽잠바 등에 묻은 때를 뺄 수 있다. 2. 우유가 남아 있던 우유팩을 헹구었던 물로 화초잎을 닦아 주는 것도 좋다고 한다. 3. 또한 상한 우유는 물에 희석하여 비료대용으로 화초에 부어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3224 ◆ 마안도 ◆ 일반개요 행정구역: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산 369-1 외 6 면적: 130,914㎡ 토지소유현황: 사유 자연환경 지형·지질·경관 남북으로 길게 뻗은 섬으로 높이 71m이다. 중성화산암류로 구성된 마안도는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을 띠며 섬의 정상 또한 비교적 평탄하고 애안도 45。~60。의 경사형 해식애로 이루어져 있다. 해식애는 높이 20~40m, 경사 45~70。이나 남단과 북단에서 발달이 뚜렷하고 서단과 동단에는 미약한 편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남단은 높이 40m, 경사 50~60。이고 북단은 높이 20~30m와 경사 60~70。, 동단과 서단은 높이 20~25m와 경사 45~60。이다. 해식애 기저에는 특히 북단을 중심으로 너비 2~5m, 높이 7~10m의 소규모 해식동굴이 발달한다. 파식대의 발달은 미약하나 북단을 중심으로 너비 2~3m의 파식대가 단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북서안에는 소규모의 자갈해안이 분포하며, 자갈은 평균직경 10~15cm(최대경 50cm)의 원력과 편평력으로 되어 있다. 마안도는 해식애 부분을 제외하면 울창한 해송과 낙엽림으로 피복되어 있다. 육지식물·식생 개요 마온도는 북위 34。45', 동경 128。 04'으로 이번 조사대상 도서중 가장 북쪽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섬이다. 육지에 가깝게 인접해 있어 육지식물이 많이 유입되어 있다. 섬의 동쪽과 남쪽은 높고 가파른 절벽이며, 육지 방향인 서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능선부로 갈수록 해송과 소나무, 굴참나무가 높게 나타났다. 정상능선부에는 상록활엽수보다 낙엽활엽수인 진달래와 굴피나무, 굴참나무, 쇠물푸레, 소사나무의 출현율이 높았다. 초본류는 다른 섬들에 비해 매우 낮은 다양성과 밀도를 보였으며 보춘화와 산일엽초, 하늘말나리가 발견되었다. 출현종 및 주요종 마안도의 출현종은 58과 107속 110종 16변종 1품종 총 128종류로 육지식물들이 많이 출현하고 있었다. 섬의 서쪽은 다소 완만한 사면으로 구실잣밤나무가 크게 우점하고 있었고, 능선부로 갈수록 해송과 소나무, 굴참나무가 높게 나타났다. 서쪽의 구실잣밤나무림, 중층에는 감탕나무와 광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가 출현하였고, 하층은 마삭줄이 매우 높게 우점하였으며, 자금우와 멀꿀, 보리밥나무, 개맥문동, 노루발풀, 보춘화, 은난초, 산일엽초 등이 나타났다. 정상능선부에는 상록활엽수(광나무와 다정큼나무, 돈나무)보다 낙엽활엽수(진달래와 굴피나무, 굴참나무, 쇠물푸레, 소사나무)의 출현율이 높았다. 초본류는 다른 섬들에 비해 다양성과 밀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보춘화와 산일엽초, 하늘말나리가 귀하게 발견되었다. 섬가장자리의 절벽과 바위틈에는 제주하늘지기와 갯하늘지기, 무릇, 갯강아지풀, 번행초, 갯질경이, 털머위, 도깨비쇠고비 등이 드물게 관찰되었다. 이창복은 마안도에서 팔손이나무를 채집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시간 관계상 관찰할 수 없었다. 현재에도 분포하고 있다면 마안도가 팔손이나 무의 우리나라 제일 북한계선에 위치한 자생지가 될 것이다. 특기사항 마안도는 육지에 가깝게 인접해 있어 육지식물인 진달래와 덜꿩나무, 개옻나무, 쇠물푸레, 굴피나무 등이 많이 유입되어 있는 섬이지만,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고, 구실잣밤나무림이 잘 형성되어 있으며, 중하층에는 감탕나무와 광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므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육지동물 개요 마안도는 유인도서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각종 목본과 초본 등 식생이 다양한 편이나 육지동물상은 단조로운 편이다. 출현종 괭이갈매기(3), 동박새(6), 직박구리(2) 등 4종의 조류만 출현하였고 구실잣밤나무에서 흰배지빠귀의 묵은 둥지 2개 등이 관찰되었다. 특기사항 멀리 떨어져 있는 작은 무인고도에 흰배지빠귀가 번식한다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다. 해안무척추동물 조사지점은 섬의 서쪽 해안 중간 지점으로 모래해안과 자갈지대 및 암석해안 등 다양한 서식처가 이어져 있는 곳이다. 조사 결과 해안동물은 해면동물 4종, 자포동물 2종, 태형동물 1종, 환형동물 4종, 연체동물 23종, 절지동물 10종, 극피동물 3종 등 47종이 확인되어 출현종이 다양하였고 서식상태도 대단히 양호하였다. 모래해안에는 동물들이 사고있지 않았다. 자갈지대에는 자갈 밑에 납작게와 같은 갑각류인 납작잔벌레가 살고 있으며, 암석해안에 사는 동물들도 일부 발견할 수 있다. 주변 해안의 수심이 낮아 파도가 약한 탓에 암반지대에 바위게 대신 무늬발게가 서식하고, 개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 밤고둥, 팽이고둥, 보말고둥, 눈알고둥, 갈고둥, 총알고둥, 좁쌀무늬총알고둥, 대수리, 두드럭고둥 등 고둥류와 긴다리참집게, 참집게, 털다리참집게 등 집게류가 다양한 편이었다. 암석지대 조간대 동물의 대상분포는 상부로부터 좁쌀무늬총알고둥-조무래기따개비-검은큰따개비와 굴-진주담치의 순서로 나타나며, 굵은줄격판담치는 진주담치 사이에 드문드문 눈에 띈다. 진주담치 군집은 섬 전역에 매우 발달하여 있고 굴도 있고 인근 섬에 비해 풍부하다. 진주담치 군집의 틈에는 쿠릴염주발갯지렁이, 큰깨점박이참갯지렁이, 원참갯지렁이, 짧은미륵비늘갯지렁이 등의 갯지렁이류와 좀털군부가 살고 있다. 조간대 하부에는 회색해변해면, 주황해변해면, 황록해변해면, 보라해면 등 해면류가 다양하고 물속에는 별불가사리와 아무르불가사리가 서식한다. 그밖에 담황줄말미잘, 풀
3225 ◆ 마을단위종량제 (Village-level Volume-based Waste Collection) ◆ 농촌지역도 주거환경 개선 및 소득수준 증가로 도시지역과 유사한 성상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나 쓰레기 수거체계 미비 등으로 종량제봉투 사용은 30%대에 머무르고 60% 이상이 무단소각 등 부적정 처리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농촌지역에서는 종량제봉투로 버리는 방법이 아닌 마을단위로 쓰레기 수거함을 설치하여 수거하는 집중수거방식으로 전환하고 수거량에 따라 처리비용을 분담하는 마을단위 종량제를 도입하고 있다.
3226 ◆ 마을상수도 ◆ 지방자치단체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도시설에 따라 100명~ 2,500명의 급수인구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일반수도이다. 1일 공급량이 20㎥ 이상 500㎥ 미만 정도이며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한다.
3227 ◆ 마이크로 그리드 ◆ 스마트 그리드의 연장선 상에 있는 시스템으로, 에너지의 소비자이자 생산자인 프로슈머들이 전력공동체를 구성해 각 가정 및 시설의 잉여 에너지를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공동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100% 충당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을 위해선 신재생에너지 생산시설 및 에너지 저장장치가 필수이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오지, 사막, 도서지역 등 전력망 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지역에서 주로 추진된다.
3228 ◆ 마이크로 큐리〔micro curie〕 ◆ 기호 μc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1큐리의 100만분의 1, 1밀리 큐리의 1000분의 1임. 1큐리는 1초간 개의 원자 붕괴가 이루어지는 방사능의 세기임.
3229 ◆ 마이크로그램(㎍) ◆ 질량의 단위로, 100만 분의 1g을 말한다.
3230 ◆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 측정 정밀도(精密度)가 높은 길이의 측정기. 측미경(測微鏡)이라고도 한다. 나사의 이동과 회전을 이용하여 철사의 지름, 정밀기계 등의 미소(微小)한 치수를 측정하는 기구이다. 수나사와 암나사를 짜맞추어 회전시키면, 상대적인 축(軸) 방향의 이동량은 회전각에 비례하므로 회전각을 측정하여 나사의 이동거리를 구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나사의 피치가 1㎜라면, 나사의 이동에 따른 회전각은 360가 되며, 회전 부분에 1㎜의 100분의 1 혹은 그보다 더 작은 눈금을 달 수가 있다. 금속봉의 지름 등을 측정하는 바깥쪽용과 구멍의 안지름 등을 측정하는 안쪽용의 것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나사용·길이용·톱니바퀴용 등이 있다. 측정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장치가 붙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또한 이 장치와 연동(聯動)하여 세부를 읽어낼 수 있는 지침(指針)이 달려 있는 것도 있다. 또한 공기압의 유출량을 이용한 공기마이크로미터 또는 치수변화를 전기량의 변화로 바꾸어 측정하는 전기마이크로미터 등과 같이 측정기의 원리에 따라서 이름을 붙이는 것이 보통이다.
3231 ◆ 마이크로스키리닝〔microscreening〕 ◆ 수중의 미세한 부유물(浮遊物)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리닝. 상수도의 입구에서 많이 사용됨. 사용되는 스크리닝은 35매쉬 이하인 경우가 많고, 거친 매쉬의 금망(金網)이나 금속 격자(格子)를 이용하는 보통의 스크리닝은 하수 처리장의 입구 등에서 사용함.
3232 ◆ 마이크로스트레이너〔microstrainer〕 ◆ 회전식 원통형 드럼의 외주(外周)에, 직경 약 35μ의 스테인레스 금속망(micro fabric)을 장치하여 회전시키면서 원수(原水)를 드럼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시켜 걸린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장치. 드럼내부의 수위(水位)는 호퍼의 상단 밑부분 상태를 유지하며, 드럼은 전 주의 약 2/5가 수면 밖에서 회전함. 드럼 내부에 포착된 물질은 세정 노즐로 호퍼 내로 모이게 되어 있음.
3233 ◆ 마이크로시스틴 ◆ 조류 발생 시 물 속의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소의 한 종류로 직접노출되면 간독성을 일으킨다. 다만, 정수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대부분 제거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먹는물의 조류독소를 1μg/L 이하로 권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와 동일한 기준을 설정하여 감시하고 있다.
3234 ◆ 마이크로파 복사계 (microwave radiometer) ◆ 대지나 해면이 대상물로부터 그들의 온도와 복사율에 따라서 마이크로파가 복사되는 것으로 그 복사를 안테너에 의해 수신하여, 주가 되는 대상물의 휘도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마이크로파 복사계이다. 온도측정의 원리는 적외선 복사계와 같지만, 마이크로파의 파장이 긴 것에서 프랭크 복사법칙(planck's Law of radiation)에서 유도된 Ragleigh-Jeans law가 사용된다. 따라서 관로파대 역에서의 물체의 복사율은 주파수, 편파면, 입사각, 표면의 거칠기. 물체의 유전율이나 전도율 등의 여러 인자에 복잡하게 지배된다. 마이크로파의 파장은 가시광이나 적외선 보다 약 천배 정도 길므로 구름이나 안개 등의 빛의 경로 중에 안테너 등으 장치가 대형이 되며, 공간분해능 등 나쁜 결점도 있다. 미이크로파의 파장이 길수록 물체중에서의 마이크로파의 감쇠가 적게 되므로 인체내부의 온도측정 등의 연구도 행하여지고 있다.
3235 ◆ 마이크로파 장해 (microwave hazard) ◆ 마이크로파는 적외선과 무선용 초단파와의 중간 파장(1㎜~1m)의 전자파이다. 그의 작용은 조사시킨 물질에 따라 다르다. (1)통과하는 것 : 고분자체로서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가 갖는 전자가 운동하지 않은 것으로 유리, 플라스틱, 종이. ?, 도자기가 있으며, 발열하지 않는다. (2) 반사하는 것 : 금속류로서 원자의 사이를 전자가 자유로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발열하지 않는다. (3) 흡수하여 발열하는 것 : 수분을 함유하는 물질로서 물분자의 상호간에 진동운동이 여기되어 마찰열을 일으킨다. 표면은 수분증발로 기화열(593㎉/kg)을 빼앗기고 심층부에서 온도가 상승한다. 사람의 지각신경은 심층부에 없기 때문에 영향을 일으키지 않는다. 혈관분포가 많은 부위에서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방해를 받는다. 혈관이 작은 고환에서는 일시적으로 무정자증, 혈관이 없는 수정체에서는 백내장을 일으킨다. 허용기준은 미국(ACGIH, 1982)에서는 주파수 1GHz~300GHz의 것에 대해서 10mW/㎠(8시간 이내)로 되어 있다. 예방에는 금속섬유 혼방의 방호복을 이용한다
3236 ◆ 마이크로폰〔microphone〕 ◆ 음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기기.
3237 ◆ 마이크로플로라 (microflora) ◆ 미생물상, 미생물군이라고도 한다. 특정 대상 혹은 환경하에서 분포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수량, 가령 신조어분류의 마이크로플로라라고 하면 염수세균 혹은 수생세균이 주체로 되고, 야채, 과일, 곡물 등의 마이크로플로라 라고 하면 토양세균, 곤중세균 등이 주체가 된다. 또 인체에는 외계와 교차되는 피부, 점낙면에 소위 정상세포군(normal bacterial flora)이 분포하며, 대개는 비병원성균으로 되어 있어 그 종류는 거의 일정하다. 식품의 마이크로플로라는 식품의 본존, 부패 등과 중요한 관련성이 있으며, 또 이 식품이 병원균에 의해 오염을 받는 경우에는 이들에 의해서 감염, 중독, 질병 등과 관련해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3238 ◆ 마진,홍역〔痲疹, 紅疫, measles〕 ◆ 홍역바이러스 감염으로 일어나는 급성발진성 전염병. 제 2 종 전염병의 하나로 마진(痲疹) 또는 홍진(紅疹)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누구나 일생에 한번은 걸리는 전염병으로 알려져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오늘날에는 정기 예방접종으로 환자 발생이 크게 줄었다. 〔면역학〕 사람은 홍역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미감염자의 경우 나이에 관계없이 90% 이상 발병되지만 한 번 걸리고 나면 평생면역이 생긴다. 소아기에 많이 발생하며 성인에게 옮는 일은 드물다. 또 홍역에 걸렸던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유아는 생후 3개월까지 저항력을 가지며, 생후 4∼6개월 사이에는 전염되더라도 가벼운 증상을 일으키지만, 7개월부터 4세까지는 발병률이 가장 높다. 〔감염〕 환자의 기침·재채기·대화 등에 의해 직접 감염된다. 홍역바이러스는 호흡기 점막에서 증식하여 발진이 나타나기 3∼4일 전부터 번지기 시작하고 발진이 나타난 뒤 4일까지 계속된다. 전염력은 발병 초기에 강하므로 홍역으로 진단되면 격리치료한다. 〔증상〕 잠복기는 11일 전후이고, 증상은 비교적 일정하게 경과하여 전구기(前驅期;카타프기)·발진기(發疹期)·회복기로 구분된다. ① 전구기:38℃ 전후의 발열로 시작하여 기침과 눈꼽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유아는 구토와 설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발병 뒤 2∼3일이 지나면 구강점막에 특유한 코플릭반이 나타난다. 어금니 부분의 점막에는 흰색의 좁쌀알만한 수포가 보인다. 3일 쯤 지나면 열이 내렸다가 다시 높아지면서 발진기로 들어간다. ② 발진기:발병 뒤 4일 무렵부터 얼굴과 가슴에 발진이 나타나 온몸으로 퍼진다. 처음에는 작고 붉은 반점이 점점이 나타나다가 차츰 커져서 인접한 발진이 융합하여 크고 작은 불규칙한 모양이 된다. 3∼5일 동안 38∼39℃의 고열이 계속되고 발진·기침·눈의 충혈이 심해지며 극도로 쇠약해지지만, 발병 7일 무렵을 고비로 상태가 호전된다. 그러나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이상(異常)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③ 회복기:발병 뒤 8일 무렵부터 열이 내리고, 발진도 출현순서에 따라 7∼10일이면 거의 사라진다. 이때 피부에 갈색 얼룩을 남기지만 차츰 없어진다. 〔합병증〕 발진기에는 저항력이 감소하여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가장 흔한 것은 폐렴으로, 홍역으로 인한 사망은 대부분 폐렴병발에 의한 것이다. 이 밖에 뇌염·중이염·심근염(心筋炎)·충수염(蟲垂炎)·가성(假性) 크루프 등이 합병되기도 한다. 발병 뒤 8일이 지나도 열이 내리지 않거나, 열이 내린 뒤 다시 열이 나는 경우에는 합병증을 의심해야 한다. 〔이상경과〕 허약아인 경우 발진기에 경련·심장쇠약을 일으켜 발진이 갑자기 줄어들며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또 홍역에 걸리면 결핵이 악화될 수도 있다. 〔치료〕 특효약은 없으며, 합병증 예방에 항생물질을 쓰는 외에 증상에 따라 조치를 취한다. 열이 높은 경우 얼음베개를 사용하고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하며 안정을 취한다. 식욕부진이 되기 쉬우므로 소화흡수가 잘 되는 적은 양의 고열량 식사가 좋고,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고열로 인한 탈수를 방지한다. 〔예방〕 예방접종은 생후 18개월에서 36개월 사이에 실시한다. 거부반응으로서 접종 후 7∼12일 지나 발열과 가벼운 발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2∼3일 후면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발열과 함께 경련(경풍)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는데 경련이 지속되거나 이전에 경련을 일으킨 적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한다. 또한 홍역환자와의 접촉으로 긴급한 예방조치가 필요한 경우 백신 접종으로는 부족하므로 γ―글로불린(사람 면역 글로불린)을 주사하여 예방한다. γ―글로불린의 효과는 1∼2개월 정도이며, 약효가 남아 있을 때 백신을 주사하면 백신효과가 적으므로 3개월 쯤 간격을 둘 필요가 있다. 〔홍역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의 일반적 성상(性狀)을 지닌 병원체로, 사람과 원숭이에 병원성(病原性)을 나타낸다. RNA 바이러스로 56℃에서 30분 가열하면 불활성화된다. 홍역환자의 침·가래·오줌에 있다. 홍역바이러스가 존재하면 림프구 증가와 백혈구 감소가 보이고 림프절·편도선 등에는 다핵세포가 나타난다.
3239 ◆ 마찰 진동〔摩擦振動, frictional oscillation〕 ◆ 기계적진동계(機械的振動計)에 있어서 마찰제진력이 음인 것에 기인하는 일종의 백려진동(白勵振動)을 말한다. 이것은 마찰력이 점성적일 때는 일어나지 않고, 경계마찰에서 미끄러지는 속도의 증대와 함께 마찰력이 저하하는 영역이나, 정지마찰에서 운동마찰(運動摩擦)로 옮길 때의 불연속적인 마찰저하 등을 포함한 진동(振動)으로 나타난다. 바이올린의 현의 진동(振動), 분필과 칠판사이의 삐걱거림, 컵의 언저리를 손으로 마찰할 때 나는 소리 등은 모두 마찰진동(摩擦振動)에 의한다.
3240 ◆ 마하수〔mach number〕 ◆ 유체(流體) 속도와 그 유체 속을 전파하는 음파 속도의 비율. 오스트리아 물리학자인 E. 마흐가 도입한 개념으로, 해면에서 약 1225㎞/h, 성층권(成層圈)에서 약 1060㎞/h가 마하수 1의 속도이다. 유체 흐름의 양상은 마하수가 1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 마하수가 1보다 작은 흐름을 아음속류(亞音速流), 1보다 큰 흐름을 초음속류(超音速流)라고 한다. 마하수가 1보다 충분히 작은 흐름에서는 유체밀도의 변화를 무시하고, 줄어들지 않는 유체로 본다. 한편 초음속류에서는 흐름 중에 충격파가 발생하는 등 흐름의 양상이 복잡하다. 공기 속을 운동하는 물체 주위의 흐름에서도 마하수가 1을 넘으면 충격파가 발생하여 공기저항이 급속히 커진다. 따라서 초음속비행기 등에서는 가능한 한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또는 약화되도록 후퇴날개로 하여 비행기의 앞끝을 뾰족하게 하는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241 ◆ 마하의 원리〔- 原理, Mach's principle〕 ◆ 실험실(實驗室)에서 알아낼 수 있는 법칙은 우주전체의 관측사실과 대응한다는 원리로서, 이를테면 지구(地球)의 자전은 직접적인 전체관측에서 알 수 있으나 실험실내의 푸코진자운동에서도 알 수 있다. 우주공간의 대국적일양성은 계의 해밀터니안 병진에 대한 불변성을 뜻하며 운동량보존측법을 이끈다. 관성계는 우주 전체의 물질분포에 준거하여 정해질 것이며 이 때문에 관성질량(慣性質量)과 중력질량(重力質量)과의 등가성이 요청된다.
3242 ◆ 마하파〔- 波, Mach wave〕 ◆ 음속(音速)보다 빠른 기류(氣流)속의 한 점 O에 극히 작은 교란을 주면 정점, 기류(氣流)방향을 축으로 하는 원추형(円 醜形)의 파면을 갖는 음파가 발생한다. 이것을 마하파라 한다. 기류의 마하수를 M이라 하면 원추(円錐)의 반정각은 arcsin(1/M)로 주어지며, 마하각(Mach angle)이라 불린다.
3243 ◆ 마헤(mache) ◆ 공기나 온천수 등에 함유되어 있는 라듐이나 라돈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 기호로는 che를 사용한다. 1905년 공기 속의 라돈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을 고안한 H.마헤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1ℓ의 공기나 온천수가 이온화작용으로 10-3esu(정전단위)의 전류, 즉 1/3×10-12A의 전류를 유지할 때, 그 공기나 온천수 속에는 1che의 라듐이나 라돈이 있다고 한다. 라돈을 8.2che 이상 함유한 온천을 방사능천이라고 한다.
3244 ◆ 막분리 (Membrane Separation) ◆ 액상의 식품을 장기저장이나 부피의 감소, 농축 또는 탈수 등을 위해 반투막을 이용하여 탈수, 농축하는 방법이다. 열에 안정성이 약해 가열할 수 없는 식품류나 향기가 있는 휘발성이 강한 식품에 주로 이용한다.
3245 ◆ 막분리 기술의 종류 ◆ 역삼투법(RO) 역삼투법은 증류법을 대신하는 새로운 해수담수화법으로 미국에서 개발되었다. 역삼투는 미립자의 크기가 10-2∼10-4 m범위의 현탁물질, 콜로이드, 용해물질등을 분리하기 위해 구동력으로 10∼70kg f/cm2의 압력을 사용함으로써, 농도가 높은 용액 쪽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농도 용액측의 용매(물)가 저농도의 용액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역삼투의 활용은 해수 등 염분이 높은 용수를 처리하여 공업용수나 생활용수, 음료수등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작은 설비로서 대량의 물을 처리할 수 있다. 역삼투를 이용한 분리막의 개발목표는 높은 투과선속과 배제율로써 공정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으며, 역삼투 공정에 쓰이는 분리막 중 Cellulose Acetate계 막이 염수 처리용으로 사용되어 왔고, 해수 담수용으로는 Polyamide계 복합막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역삼투 공정에 의하여 처리된 물은 재순환하여 사용되며 농축액은 재처리하여 공정에 투입된다. 이밖에도 공장폐수의 폐쇄화, 이른바 무방류 시스템에도 유기물 제거 능력이 탁월한 역삼투 공정이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를 이용한 분리공정은 에너지 절감 효과와 시설비 투자의 감소, 폭 넓은 응용분야로 인해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다. 따라서, 역삼투 공정에 사용되는 분리막을 실제 플랜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액과 막이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하고 고압에서 운전이 가능하도록 막을 하나의 장치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을 모듈(module)이라 한다. 지금까지 역삼투 공정에 관해서 개발된 모듈을 기하학적 구조로 분류하면, Plate and frame type(판틀형), Tubular type(관형), Spiral wound type(나권형), Hollow fiber type(중공사형)등이 있다. 이중 Spiral wound type은 막의 선택이 넓지 못하며 고농도의 용액을 분리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Hollow fiber type은 고압에 견디지 못하며 유체 흐름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Tubular type은 장치가 크고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Disc Plate and frame type(원판틀형) 모듈은 고점도물질에 적용하기 쉽고 발효 broth처리에 좋으며, 막의 교체 및 배열이 용이해서 막교체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막분리공정은 분리막에 의하여 배제되는 물질이 분리막 표면에 축적되는 농도 분극화 현상(concentration polarization), 또는 분리막의 기공을 막게 되는 막오염현상(fouling)이 불가피하게 동반되므로 막의 분리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역삼투막은 열출입 없이 단순히 기계적인 압력을 이용해 분리하는 에너지 절약형 분리기술로 인식되면서 최근의 해수담수화 시설은 증류법에서 역삼투막법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하루 몇 만톤 규모의 담수를 제조하는 플랜트가 가동되고 있다. 일본 오키나와에서는 1996년부터 하루 4만t 규모의 장치가 운전을 시작했고, 막분리 장치는 스케일 이점이 적은 장치로 이야기되어지나 시설규모에 따라 물생산 비용이 낮아진다는 계산에서 199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지나얀브 플랜트에서 하루 12만 8천t의 역삼투막 해수담수화 시설이 가동되어지는 등 이후에는 대형화가 계속되어질 가능성이 있다. 나노여과막(NF) 막시장은 그리 넓지 않아 주로 반도체 제조와 의약품 공업에 사용되는 초정제수의 제조공정에 사용되었다. 이 응용분야에서 저압으로 탈염이 가능한 막과 유기용질도 제거할 수 있는 막개발이 요구되면서, 막제조 회사들이 개발경쟁에 들어가 우수한 성능을 가진 막이 개발되었다. 이것이 현재 나노여과(Nanofiltration, NF) 라고 분류되는 막이다. 이 막의 정의는 아직 확실하게 내려져 있지 않지만 하전을 가진 역삼투막 또는 한외여과막으로 무기, 유기의 두가지 용질을 분류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막이다. 막재질은 회사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성능도 일정하지 않아 응용을 하는데에 있어서는 막성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외여과막(UF), 정밀여과막(MF) 종래에 이러한 막은 일괄적으로 한외여과(Ultrafiltration)막이라고 불리워졌는데 특별히 새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1990년대 초반부터 개발되었던 막이다. 그러나 역삼투막 발전의 영향을 받아 그 처리대상을 넓힌다는 의미에서 막분리 기술로서 일괄 취급되기에 이르렀다. 역삼투막과 나노여과막을 사용할 때는 원수중의 현탁물등을 전처리에서 제거해 막면 오염을 방지하는데, 한계외 여과막과 정밀여과(Microfiltration, MF)막의 경우는 전처리를 하지 않는 대신 역삼투법 등의 전처리로서 이용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막이나 모듈도 오염에 대처할 수 있고, 또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3246 ◆ 막분리법(膜分離法, membrane separation method〕 ◆ 수중의 콜로이드, 유기체(有機體), 이온등의 용존물질(溶存物質)을 막을 통하여 노여과함에 따라 배제분리(排除分離)하는 총칭. 고분자막의 발달에 의하여 다용(多用)해진 한외여과법(분자량(分子量) 100∼100,000의 고분자의 배제(排除)), 역침투법(逆侵透法) 이온 및 용존 유기물의 배제(排除)가 그 대부분의 방법이다.
3247 ◆ 막여과 Membrane Filtration ◆ 막(Membrane)을 여재로 하여 물을 통과시켜 수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술. 막여과 기술은 고액분리, 이온분리, 가스분리 등을 행하는 분리기술로써 정수처리, 하폐수처리, 해수담수화, 식품 및 의료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막여과법의 분류 막여과 공법은 제거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역삼투(RO; Reverse Osmosis)법, 나노여과막 또는 저압역삼투(NF; Nanofiltration)법, 한외여과(UF; Ultrafiltration)법, 정밀여과(MF;Microfiltration)법, 전기투석(ED, Electrodialysis)법으로 분류된다. 막여과 공정에 이용되는 막(Membrane)에는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 나노여과막 또는 저압 역삼투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정밀여과막(MF;Microfiltration Membrane) 등이 있다.
3248 ◆ 막장(幕場) working face ◆ 석탄, 금속 등의 광산에서 석탄, 광석 등을 채굴하고 또는 갱도 굴진을 하고 있는 작업 개소를 말한다.
3249 ◆ 만네브 (maneb) ◆ manganese ehtylenebis(dihtiocarbamate)의 농약명. 융점 이하에서 분해하는 황색 결정성 분말. 비중 1.92, 물에 약간 녹고, 유기용매에 녹는다. 광범한 병해에 유효한 농업용ㅇ 살균제로서 사용된다. 상품명 M-Dilher, Dihtane-M-22, Mangate. 어독성Ⅱ이고, 흰쥐 경구투여로 성선장해, 수정감소, 사산증가, 신생생명의 사망증가, 발육지연 등이 관찰되고, 또 최기형성의 보고도 있다. LD50은 흰쥐 경구투여로 7500mg/kg. 장관에서 분해되기 쉽고, 이 분해산물의 최기형성도 의문시 된다. FAO/WHO 합동식품 규격위원회 잔류농약 규격부회(1968)는 만네브의 독성에 대하여 사용의 실제적인 면에서 거의 문제시 되지 않는다고 하고 있지만, 살포자에 접촉성 피부염이 나타나는 등, 제조현장이나 대량으로 취급되는 때는 문제가 남게 된다. 1일 섭취허용량은 0.05mg/kg이며, 농약으로서의 잔류 허용량은 과일 0.5ppm, 야채 0.4ppm, 감자류 0.2ppm 콩류 0.1ppm으로 되어 있다.
3250 ◆ 만능 지시약〔萬能指示藥, universal indicator〕 ◆ 넓은 pH범위에 걸쳐 개개의 pH에 따라 다른 정색(呈色)을 나타내는 산염기지시약을 말한다. 수종의 단일지시약 용액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해서 만든다. 약간의 pH의 차이에 의해서는 단일 지시약만큼 예민하게 정색은 변하지 않지만 변색하는 pH를 간편하게 알 수 있는 잇점이 있다.
3251 ◆ 만델린 시약〔- 試藥, Mandelin reagent〕 ◆ 알칼로이드의 정색반응에 사용되는 시약의 일종으로 바나딘산암모늄(또는 염화(鹽化)바나듐 III), 산화(酸化)바나듐(V) 0.5g을 진한 황산 100cc에 녹여서 만든다. 반응(反應)에 대해서는 ⇒ 알칼로이드.
3252 ◆ 만발효과(late effect) ◆ 방사능에 노출된 뒤 오랜기간이 지나서야 뒤늦게 이에 따른 폐해가 나타나는 것을 말함. 현재까지 다량의 방사능에 노출된 인체가 장기간에 걸쳐 어떠한 반응과 장애를 일으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가 없어 막연히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방사능에 대한 인체의 폐해는 수년 혹은 수십년 후에 백혈병, 암, 악성빈혈 등을 발명시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같은 사례가 수집되고 있다.
3253 ◆ 만성 노출(Chronic Exposure) ◆ 인체의 경우 전 생애 기간의 약 10%이상의 기간 동안, 경구, 피부 또는 흡입 경로를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실험 동물의 경우에는 보통 약 90일에서 2년 이상의 기간을 말함)
3254 ◆ 만성 피해〔慢性避害〕 ◆ 〓 만성해. ⇒급성해.
3255 ◆ 만성기관지염〔慢性氣管支炎, chronic bronchitis〕 ◆ 담을 수반한 기침이 1년에 3개월 이상 계속되고 적어도 2년 이상 오래 끌어 멎지 않는 것을 이르는데, 기관지확장증·폐종양(肺腫瘍)·폐결핵 등의 폐질환에 따르는 것은 제외된다. 병리학적으로는 기관지선(氣管支腺)이라든지 점막상피배(粘膜上皮杯)세포의 비대 및 증식(增殖)으로 인한 과분비를 수반하는 기관지의 만성염증이다. 만성기관지염은 영국에서 대기오염과 관련해서 중대하게 여겼던 질환으로서, 이 나라에서는 이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구미 여러 나라의 5∼15배라는 고율에 달하고 있다. 원인은 흡연이 가장 큰 요인인데, 그 밖에 대기오염, 티끌·먼지를 들이마시는 직업 등에 많으며, 유전적 소인(素因)의 관여도 생각되고 있다.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서 병에 걸리는 율도 높아진다. 진단은 병력(病歷)과 임상소견에 근거해서 하게 된다. X선사진은 조기에서는 거의 이상영(異常影)을 나타내지 않으나, 진행되면 전폐야(全肺野)에 망상영(網狀影)·선상영(線狀影)이 나타나고, 특히 폐하야(肺下野)에 소반점(小斑點) 모양의 음영·색상영(索狀影)·소봉와상(小蜂窩狀) 등이 드러나게 된다. 기관지 조영(造影)을 하면, 비대해진 점액의 선관(線管)이 조영되어서 기관지벽의 부정(不整)을 보게 된다. 환자는 보통 여러 해에 걸치는 기침과 담의 병력을 가지며, 여러 해 동안의 다량흡연을 자주 만나게 된다. 초기에는, 겨울철이면 기상 뒤에 곧 담을 뱉어내어 낮 동안은 약간의 점액담을 뱉어내는데 의사의 진찰을 받으려는 사람은 거의 보기 어렵다. 그러면서 기침은 1년 중 이어지게 되고 기관지감염과 기관지폐렴이 반복되며, 기관지확장·폐섬유증(肺纖維症)·폐기종(肺氣腫) 등의 병변을 합병하고, 숨이 차 헐떡이며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된다. 치료를 위해서는 흡연 중지를 강력히 설득하여야 한다. 이미 감염이 된 경우에는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하여야만 효력을 보게 된다. 금연은 우선적으로 하되 오염환경으로부터 멀리 하는 일과 상기도감염(上氣道感染)을 방지한다면 예방도 가능한 질환이다.
3256 ◆ 만성독성〔慢性毒性, chronic toxicity〕 ◆ 장기독성이라고도 함. 1회량으로 충분한 생체영향을 나타내는 화학물질에 의해 일과성 내지 영구성의 생체기능이 회수적으로도 장기화되고, 더욱 1회량이 적을 때 보이는 만성중독은 단적인 급성중독의 연장만이 아니라, 당연 생체반응이 가미되어, 내용적으로 급성 영향의 축적과 여기에 대한 생체반응(협의의 만성중독)발암성, 채기형성, 총합영향으로서의 수명의 단축등이 포함된다. 사람이 여러 가지 화학물질에 장기간 폭로된 경우에 일어나는 중독의 예측과 그 사용이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량의 측정에는 만성독성시험이 행해져, 기본적으로는 반복하여 장기간 투여에 의한 중독경과와 그 용량(확실중독량)과 전연중독을 인정치 않는 용량(최대 무작용량)을 명확하게 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2종이상의 동물에 대해 거의 일생(3∼6개월 이상으로 할 때도 있다)이 급성독성시험에서 예비적으로 낸 중독량을 중심으로 단계량을 경우(경구독성)주사, 경피(경피중독), 흡입(흡입중독)으로 투여하며, 일반중독증상 및 사망률, 체중, 사료나 물의 섭취량을 조사 하거나, 혈액학적 검사, 임상생화학검사, 병리학적검사, 발암성 검사 채기형성검사, 번식장해성, 필요에 따라 의존성검사, 알래르기성검사, 피부, 점막자극성(접촉독성)검사, 변이원성검사 등을 행한다. 이외에 환경중에 방출된 화확물질의 생산 사용에 대해서는 환경중에의 분해성, 동물(고기 등)에의 축적성등이 요구되어 있다.
3257 ◆ 만성독성시험 (Chronic Toxicity Test) ◆ 급성독성시험에 대한 것으로서, 원칙적으로 쥐와 새양쥐를 사용하여 시험첨가물을 혼합한 사료에 의하여 사육되며, 그의 전생애에 가까운 기간에 걸쳐 독성시험을 한다.
3258 ◆ 만성비소중독증〔chronic arsenic poisoning〕 ◆ 비소는 지구상에 널리 분포되어 옛부터 의약품으로 쓰이고 있다. 살충제, 농약으로 각종비소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다. 만성중독증의 특징은 ① 피부장해, 습진상 피부증상으로 주로 손·발에 많이 나타난다. 이것이 만성이 되면 각화증(角化症)이 인정된다. 경과에 따라 Bowen병, 피부암 등 다발성이 있다. ② 점막장해, 피부염, 비염, 인후염, 기관지염 등의 점막염이 일어나고 특히 비소분잔의 장기폭로로 비중격(鼻中隔) 공(孔)이 생긴다. ③ 말초신경장해, 사지말초부신경장해, 신경염이 일어난다. ④ 간장해, 간경변(肝硬變), 간암, 등이 일어난다.
3259 ◆ 만성중독 ◆ 유기인계의 살충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만성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유기인계 농약은 신경에 침투하여 현기증이나 일어서면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세 등을 일으키지만 탈린제로 회복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갖가지 화학 물질의 만성중독이 있다.
3260 ◆ 만성해〔慢性害〕 ◆ ⇒급성해.
3261 ◆ 말단처리기술[末端處理技術,end-of-pipe,EOP] ◆ 생산공정에서 오염제어에 관한 기술적 대책의 하나. 이 기술은 대량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생산공정에서 오염제어에 관한 기술적 대책의 하나. 이 기술은 대량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생산공정은 여건상 기본적으로 변한 것 없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최후의 단계에 오염제거(처리)장치를 부착하여, 오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형태의 기술이다. 문자 그대로, 오염이 배출되는 '파이프의 끝'에서 처리한다고 하여 이런 명칭이 붙었다.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배연탈황기술 등은 말단처리기술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3262 ◆ 말라카이트 그린 [malachite green] ◆ CuCO₃(OH)₂의 광물명. 천연 공작석(mlachite)으로 생산하는 녹색의 광석으로 가열하면 220℃에서 분해된다. 냉수에는 용해되지 않으나 탄산칼슘 수용액과 같이 끓이면 갈색의 산화물이 된다. 말라카이트 그린의 용도는 유해곰팡이, 세균, 기타 기생충감영 방지제, 혹은 섬유ㆍ가죽ㆍ목재 등 산업용 색소로 사용하는 물질이며 1990년도 초에 발암물질로 밝혀져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은 2005년 7월~8월 사이에 중국에서 수입한 장어, 잉어, 붕어, 바다양식어인 홍민어의 일부를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이들 어류에서 말라카이트 그린을 검출하였다. 중국정부는 2002년부터 말라카이트 그린의 사용을 금지했으나 일부 어민과 어류양식 업체가 불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3263 ◆ 말라티온〔malathion: 〕 ◆ 파라티온계 살충제의 온혈동물에 대한 독성경감을 위해 연구 개발된 유기인산에스테르계 살충제. 1952년 미국에서 개발되어 (말라톤)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살충력은 파라티온이나 스미티온에 약간 떨어지나 효과가 빠르고 잔효성(殘效性)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벼의 해충인 끝검은매미충의 방제에 많이 이용되는데 최근 이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고 있다. 다른 유기인산에스테르계 살충제와 같이 신경계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살충력을 나타낸다. 포유류에 대해서는 급성독성을 나타내는 50%치사량 LD=720∼886㎎/㎏(생쥐에게 경구투여한 실험결과)으로 현저하게 낮다.
3264 ◆ 말레인 산〔- 酸, maleic acid〕 ◆ 무색(無色)의 주상 또는 판상결정, 융저 130.5℃, 비등점 160℃(분해(分解). 냉수에도 잘 녹는다. 벤젠을 산소로 접촉기상산화(接觸氣相酸化)하면 말레이산 무수물과 함께 생긴다. 푸마르산과 기하이성을 이루고 그것과 같이 나트륨아말감으로 환원(還元)하면 호박산(琥珀酸), 물과 같이 가열하면 DL-사과산, 과망간산칼륨으로 산화하면 메소주석산이 된다. 말레인산은 무수물을 만들기 쉽고 무수말레인산은 수화해서 말레인산을 만드는데서 시스형으로 본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樹脂)의 원료가 된다.
3265 ◆ 말론 산〔- 酸, malonic acid〕 ◆ -프로판2산에 해당한 카르복실산이며 대응하는 아실기를 말로닐이라 한다. 백색의 침상결정, 융점은 134℃이고, 물, 알코올, 에에테르 등에 녹기 쉽다. 또, 융점 이상으로 가열(加熱)하면 2산화탄소와 아세트산으로 분해한다. 칼슘염은 사탕무우 속에 있으며, 모노클로르아세트산의 알칼리수용액에 시안화칼륨을 작용시켜서 시안아세트산염 으로 하고, 염산(鹽酸)을 가해서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에에테르로 추출하면 생긴다. 말론산 무수물 중 는 존재하지 않지만 2중탈수물로서 OC=C=CO(⇒산화탄소)가 있다.
3266 ◆ 말론산 니트릴〔- 酸, malononitrile〕 ◆ 말론산디니트릴, 시안화메틸렌이라고도 하는 디니트릴의 일종이다. 무색(無色)의 결정(結晶), 융점 30℃, 비등점 99℃(11mmHg). 시안아세트산(말론산모노니트릴)의 아미드와 5염화인은 혼합하여 가열하고, 진공증류(眞空蒸溜)하여 얻게 된다. 메틸렌기의 수소(水素)는 말론산에스테르의 경우처럼 작용한다.
3267 ◆ 말론산 메틸〔- 酸, methyl malonte〕 ◆ ⇒ 말론산(酸) 에스테르.
3268 ◆ 말론산 에스테르〔 malonic ester〕 ◆ 말론산 에틸 은 방향(芳香)이 있는 액체, 비등점 198℃. 말론산을 만드는 과정의 중간생성물(中間生成物) 시안아세트산염을 증발건고(蒸發乾固)하여 황산알코올과의 혼합물(混合物)을 가하여 가열하고, 생성물을 냉수 중에 주입하여 에에테르로 추출하고, 증류하면 생긴다. 메틸렌기> 의 수소(水素)가 반응하기 쉬우므로 여러 가지 카르복실산의 합성(合成) 등에 이용된다. 이를테면 나트륨 또는 그 에톡시드를 작용(作用)시켜 로 하고 이것에 할로겐 화 알킬을 작용시키면 알킬 말론산 에스테르 로 되고, 같은 조작을 반복하면 디알킬말론산에스테르 로 된다. 이들은 영화로 유리산(遊離酸)을 만들고, 이것을 가열하면 이산화탄소를 잃고 또는 로 된다.
3269 ◆ 망간 ◆ Mn. 은백색 금속. 통상 2가와 4가의 원자가를 갖는다. 물 속에 녹아 있을 때는 2가이며 무색. 산소나 염소에 닿으면 산화되어 4가가 된다. 4가는 검은 색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침전물이다. 독성이 강하고 만성중독증으로는 중추신경 침식이 일어난다.
3270 ◆ 망간 ◆ Mn. 은백색 금속. 통상 2가와 4가의 원자가를 갖는다. 물 속에 녹아 있을 때는 2가이며 무색. 산소나 염소에 닿으면 산화되어 4가가 된다. 4가는 검은색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침전물이다. 독성이 강하고 만성중독증으로는 중추신경 침식이 일어난다.
3271 ◆ 망간 박테리아[manganese bacteria] ◆ 용해성망간에 작용, 수산화망간으로서 침전(沈澱)시키는 박테리아.
3272 ◆ 망간 산화물 ◆ 망간이 산화된 것. 상수원수에 망간이 다량 존재하면 염소 처리에 의해 산화되어 이산화망간이 생기고 물이 흑갈색으로 변한다.
3273 ◆ 망간 제거법[-除去法] ◆ 수중의 용해성 망간을 제거하는 방법은 용해성철의 제거방법과 같음. 그러나 철보다 제거가 어려움. 망간은 철과 공존하는 경우가 많아 흔히 철과 동시에 제거됨 ① 염소에 의한 산화 제거, ② 과망간산 칼륨에 의한 산화 제거, ③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교환 제거, ④ 철박테리아를 이용한 제거 등의 방법이 있음.
3274 ◆ 망간〔manganese〕 ◆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08. 자연계(自然界)에 널리 분포(分布)하나 유리(遊離)해서는 산출되지 않는다. 주광석은 파이로루우수광 , 브라운광 , 수망간광 , 사이로메렌광, 맥망간광 등이며, 공업적(工業的)으로는 산화물(酸化物)을 그대로 탄소로 환원(還元)해서 만드나(탄소를 함유), 테르밋법에서는 를 일단 로 했다가 환원(還元)한다. 염화(鹽化)망간(II), 염화(鹽化)알칼리의 융해람(融解藍)을 전해(電解)하거나 염화(鹽化)망간(II), 염화(鹽化)망간(II)수용액을 수은(水銀)을 전극으로 해서 전해하고 수은(水銀)을 증류하여도 얻어진다. (순도(純度) 99.97%). 순수한 것은 은백색(銀白色)이며, 탄소를 함유하면 회색(灰色)의 금속이 된다. 4개의 동소체가 있으며, 그 전이온도는 이다. 실온에서 안정한 ℃α-망간은 철과 비슷하나 철보다 굳고 부서지기 쉽다. 테르밋법으로 얻어지는 것은 보통 α와 β의 혼합물(混合物)이고, 전해(電解)망간은 γ이며, 물러서 휘거나 절단할 수 있고 실온에서는 α로 이행하기 쉽다. α-망간은 입장정계, 공간군 143m, 단위격자 중의 화학단위수(化學單位數) Z=58, 격자상수(格子常數) a=8.894Å, 원자간거리 2.24∼2.96Å. β-망간은 입방정계, 공간군 Z=20, a=6.30Å, 원자간거리 2.34∼2.67Å, γ-망간은 면심입방격자이며, a=3.863Å,(1100℃)이다. 또 δ-망간은 체심입방격자로, a=3.081Å(1140℃). 원자반경(原子半徑) 1.12Å, 1.50Å, 이온반경 0.80Å(6배위), 0.60Å(6배위), 0.44Å(4배위), 융점 1244℃, 비등점 2095℃ 비중 α7.44, β7.29, γ7.21, γ7.21, 선팽창계수(線膨脹係數) (0°∼20℃). 비저항(比抵抗) , 비열 융해열(融解熱) 6.48cal/g. 전이열(轉移熱) a→β535. β→γ545, γ→430cal/g-atm. 자화율(磁化率) 이다. 공기(空氣) 중에서 산화(酸化)되기 쉽고, 분말상(粉末狀)에서는 가열(加熱)하면 때에 따라서는 발화(發火)할 때가 있지만 상 혼상(魂狀)의 것은 표면(表面) 성한다. 희산(稀散)에 녹기 쉽고 수소(水素)를 발생하여 망간(II)염(鹽)이 된다. 할로겐 등 여러 가지 원소(元素)와 직접 반응(反應)해서 등을 만드나 수소(水素)와는 직접 반응(反應)하지 않는다. 합금(合金)으로서 망간강 외에 페로망간, 경철은 제철할 때의 탈산제로서 사용된다. 구리와의 합금(合金)도 중요하며 호이슬러합금, 망가닌이 알려져 있다.
3275 ◆ 망간단괴 ◆ 깊은 바다 밑바닥에 퇴적물로 형성된 암석층에 있는 망간 덩어리 . 해저에 구상, 편평상 등 다양한 형태로 분포한다. 그 주성분은 망간과 철의 산화물 혹은 수산화물로 구리, 코발트, 니켈 산화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단괴 채취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3276 ◆ 망간모래 ◆ 정수 공정의 모래 여과 때 4가의 산화 망간 결정을 우선 여과 모래 속에 넣어 두면 이것을 씨로 하여 물속의 산화 망간도 결정이 되기 때문에 물 속에서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여과 모래를 망간 모래라고 한다.
3277 ◆ 망간박테리아 (manganese bacteria) ◆ 용해 망간을 이용해 이것을 수산화망간으로 하여 침전시키는 박테리아.
3278 ◆ 망간산[-酸, maganic acid] ◆ 염(鹽)만이 알려져 있으며, 해당하는 유리산(遊離算) H₂MnO₄는 얻지 못하고 있다.
3279 ◆ 망간산칼륨[-酸-, potassium manganate] ◆ K₂MnO₄, 산화(酸化)망간(Ⅳ)와 수산화칼륨을 융해(融解)하고 공기산화(空氣酸化)하거나, 과(過)망간산칼륨과 수산화칼륨수용액을 가열해서 만들어진다. 암녹색결정(暗綠色結晶). 사방(斜方) 정계이며 황산칼륨과 같은 형이다. 비중(比重)은 5.18이며, 순수 또는 산성용액 중에서는 불균일하게 되어 산화망간(Ⅳ)와 과망간산칼륨이 된다. 2N 수산화칼륨 용액에는 224.7g/ℓ, 10N용액에는 3.15g/ℓ 녹는다(20℃). 고체는 500℃이상에서 산소를 내며 과망간산칼륨 K₂MnO₃로 된다. 강산화제이다.
3280 ◆ 매개변수화 [Parametrization] ◆ 기후모델에서 이 용어는, 아격자규모 과정들과 좀 더 큰 규모의 흐름의 시간 또는 공간 평균 효과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모델의 공간 및 시간 해상도(아격자규모 과정들)에서 명백하게 분석될 수 없는 과정들을 표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3281 ◆ 매개변수화(Parametrization) ◆ 기후모델에서 이 용어는, 아격자규모 과정들과 좀 더 큰 규모의 흐름의 시간 또는 공간 평균 효과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모델의 공간 및 시간 해상도(아격자규모 과정들)에서 명백하게 분석될 수 없는 과정들을 표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3282 ◆ 매립 ◆ 움푹 파였거나 낮은 땅을 메워 돋우는 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폐기물 처리방법이며, 단순매립과 위생매립이 있다.
3283 ◆ 매립시설 (Landfill Facilities) ◆ 폐기물 중간처리시설로 차단형 매립시설, 관리형 매립시설(침출수 처리시설, 가스 소각·발전·연료화 처리시설 등 부대시설 포함) 등이 있다.
3284 ◆ 매립지 ◆ 매립에 의해 발생한 미세한 입자는 장시간 침전되지 않은 채 바닷물 속을 떠돈다. 특히 물이 정체하는 지역에서는 수질오염의 중대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매립은 산업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반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또한 크다.
3285 ◆ 매립지 이용계획[埋立地 利用計劃,landuse plan of completed landfill] ◆ 폐기물 최종처분장의 처분완료 후(폐쇠 후)의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한 계획으로 매립 폐기물의 질이나 안정화의 정도 등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잡목립, 공원, 운동장 등의 전용으로 학교, 주택단지, 공장용지로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3286 ◆ 매립지가스( Land Fill Gas (LFG) ) ◆ 쓰레기 매립지에 매립된 폐기물 중 유기물질이 혐기성 분해 과정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말하며 그 성분은 주로 메탄(CH4;40∼60%)과 이산화탄소(CO2;30∼50%)로 구성
3287 ◆ 매립처분 [埋立處分 reclaiming disposal] ◆ 폐기물을 최종적으로 매립하여 끝내는 것을 말한다. 폐기물의 처리 및 청소에 관한 볍률시행령에 의하면, 일반폐기물의 처분에 갖출 시설로는 주위에 포위망을 설치하고, 동시에 일반폐기물의 처분장소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처분의 장소에서의 침출액, 악취의 발산, 쥐의 생식, 모기, 파리 등의 외충발생이 되지않도록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오니의 매립에서는 분뇨정화조에 관계되는 것에 한하여, 분뇨처리 시설에서 처리하고, 소각설비에 의해 소각하며, 또는 소석회를 0.5%이상 혼입한다. 분뇨는 분뇨처리시설로 처리하고 또는 소석회를 0.5%이상 혼입한다. 산업폐기물의 처분에서는 산업폐기물 처분장소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침출액, 악취 쥐, 외충 등의 방제는 앞의 것과 똑같이 하지만, 매립할 수 있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상세한 규제가 행해지고 있다.
3288 ◆ 매스터 스레이브 조작기[master slave 操作機] ◆ 방사능(放射能)이 강한 물질을 다루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
3289 ◆ 매스틱[mastic] ◆ → 유향(乳香)
3290 ◆ 매연 ◆ 굴뚝 등에서 방출되는 검댕이나 매진을 함유한 연소 배출 가스를 가리킨다. 대기오염의 측면에서는 연료나 기타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유황산화물이나 매진, 물질의 연소나 화학반응(합성, 분해)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질 중 유해한 것을 말한다.
3291 ◆ 매연 농도계[煤煙濃度系, smoke concentration meter] ◆ 매도(煤道)내의 매연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 자동 기록하는 장치. 투광기(投光器)에서의 빛을 수광기(受光器)로 받아, 그 빛을 전류로 전환, 지시계를 작동시켜 기록계에 기록함. 투광기의 설치 장소는 매연이 소용돌이치며 돌거나 한편으로 모이지 않는 장소여야 함. 횡매도(橫煤道)의 경우, 매연은 천정부에서 진하며 바닥부분에서는 엷음. 연도의 상부로부터 30% 아랫 부분에 설치함. 빛의 투과율과 링겔만 농도의 관계는 투과율이 100, 80, 60, 20, 10%인 경우, 링겔만 농도는 0, 1, 2, 3, 4, 5도로 됨.
3292 ◆ 매연[煤煙, smoke] ◆ 일상 용어로는 굴뚝 등에서 방출되는 검댕이나 매진(煤塵)을 함유한 연소 배출 가스를 가리키나 대기 오염의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물질을 매연이라고 정의함. ① 연료, 기타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유황산화물. ② 연료, 기타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매진이나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전기로 등에서 발생하는 매진. ③ 물질의 연소나 화학반응(합성, 분해)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질로서 유해한 것. 예를 들어 보일러, 배소로(焙燒爐), 소결로, 가스로, 가열로, 용광로, 용해로, 전기로, 가스 발생로, 반응로, 반응 장치, 소각로, 건조로 등의 광범위한 시설에서 배출되는 가스 등 → 유해물질 → 유황 산화물 → 매진.
3293 ◆ 매연공해 ◆ 대기오염가스, 특히 이산화황 및 연기 등에 의한 인체나 동물, 농작물, 수목 등의 피해. 예전에는 제련소 등의 배기 연기에 함유된 이산화황 등에 의한 피해를 매 연이라고 하였다. 일본에서의 유황산화물을 중심으로 한 매연의 예에는 가미오카, 고자카, 히타치 제련소 주변 등이 있다. 이러한 제련소의 대부분이 매연을 경감시 키기 위해 피해 지역의 토지 매수, 공장 이전, 굴뚝 높이기, 조업 제한, 제련 방식 의 개선같은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3294 ◆ 매연농도[煤煙濃度, smoke concentration] ◆ 매연발생 시설의 배출구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배출물에 함유된 매진, 또는 유해 물질의 양을 매연 농도라고 함. 단 특정 유해 물질은 제외됨. → 매연량
3295 ◆ 매연농도측정법[煤煙濃度測定法, measurement of smoke concentration] ◆ 링겔만 매연 농도표가 있으며, 이는 매연 중의 미연소 탄소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흑연(黑煙) 농도를 측정하는 것임. 이와 유사한 것으로 로파즈 농도표가 있으며, 이들 두 측정법의 결점을 보완한 망원경식 매연 농도 측정기(미국)나 Telesmoke(영국) 등이 있음 → 매연 → 매연 농도.
3296 ◆ 매연발생시설[煤煙發生施設] ◆ 공장이나 사업장에 설치되는 시설로서 매연을 발생, 배출하는 것 중 그 매연이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는 것을 법령으로 규정한 것.
3297 ◆ 매연여과장치 (DPF장치: Diesel Particulate Filter) ◆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매연 등의 입자상물질을 걸러내거나 포집·연소하는 방법 등으로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경유자동차에 부착 (휘발유차는 삼원촉매장치 부착)한다.
3298 ◆ 매연의 배출 기준[煤煙-排出基準, smoke emission standard] ◆ 매연 발생 시설로부터 발생하는 매연 중에 함유된 유황 산화물, 매진(煤塵), 유해물질 및 특정 유해 물질의 허용 한도. 허용한도 측정은 매연 발생 시설에 설치된 굴뚝, 기타 시설의 개구부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장소에서 행함. → K값.
3299 ◆ 매연의 배출구[煤煙-排出口] ◆ 매연 발생 시설에서 매연을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된 굴뚝, 기타 시설의 개구부.
3300 ◆ 매연의 지표 농도[煤煙-地表濃度, ground concentration of smoke] ◆ 바람이 지표에 평행하게 불고 있다고 할 때, 굴뚝으로부터의 매연 형태는 굴뚝 꼭대기를 정점으로 하는 원추형이 됨. 이 원추형과 지표가 최초로 접촉하는 지점은, 지표에 있어서의 매연농도는 이 지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낮아짐. 단 원추의 단면을 잡은 경우, 그 단면의 어느 부분이나 매연 농도가 균일한 것으로 간주함. 중유 소비량 40t/h. 중유중의 유황량 20%, 굴뚝의 높이 500m, 풍속 1m/s라 할 때, 아황산 가스의 최대 지표 농도는 0.1ppm임.
'놀면서 일하기 > ♣ goBLUEgoGRE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401-3500 (0) | 2023.01.06 |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301-3400 (0) | 2023.01.06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101-3200 (0) | 2023.01.06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3001-3100 (0) | 2023.01.06 |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2901-3000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