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FUTURE industry-메타버스

15-온라인/오프라인 조사 관련 마크로밀코리아의 결과 보고서

by 리치캣 2011. 5. 16.
728x90
반응형





나의 iPhone에서 보냄

온라인/오프라인 조사 관련 마크로밀코리아의 결과 보고서

■ 연구 목적 : 본 조사 연구는 마크로밀코리아에서 보유하고 있는 리서치패널을 이용한 Online 리서치가 기존의 Offline을 이용한 전통적인
                 마케팅 리서치에 비해 어느 정도 대표성과 적합성이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연구자 :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임병훈 교수 (2009년 3월)
【 세 부 연 구 설 계 】
< Online 조사 설계 >

- 2008년 인터넷진흥원에서 발표한 지역별/성별/연령별 인터넷 이용자의 구성비 적용
- 주요 5개 도시 20대~50대의 남녀, 1,000명을 지역별/성별/연령별 비율에 따라 무작위 할당 표본 추출 방법(Quota Sampling)으로 표본 선정
조사 방법 : 마크로밀코리아의 리서치 패널을 활용한 Online 자료 수집
조사 지역 : 주요 5개 도시(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조사 대상자 : 20대 ~ 50대 남녀
표본 구성 : 총 표본수 : 1,000명(인터넷 이용자)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합계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20-29세 83 72 12 10 19 16 27 24 12 10 285
30-39세 94 82 13 12 22 19 31 27 13 12 325
40-49세 79 69 11 10 18 16 26 22 11 10 272
50-59세 34 30 5 4 8 7 11 10 5 4 118
합계 290 253 41 36 67 58 95 83 41 36 1000
543 77 125 178 77
조사 기간 : 2009년 3월 23일 오후 1시~3월 24일 오후 1시(24시간)
조사시행기관 : 마크로밀코리아

< Offline 조사 설계 >

-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8년 인구 통계 추정치자료의 성별/연령별/지역별 구성비를 적용
- 주요 5개 도시 20대~50대의 남녀, 1,000명을 지역별/성별/연령별 비율에 따라 무작위 할당 표본 추출방법(Quota Sampling)으로 표본 선정
조사 방법 : 개별 면접 조사(Face to Face Interview)
조사 지역 : 주요 5개 도시(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조사 대상자 : 20대 ~ 50대 남녀
표본 구성 : 총 표본수 : 1,000명(일반인)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합계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20-29세 57 57 10 9 15 13 21 19 9 9 219
30-39세 80 77 10 10 15 15 21 20 10 10 268
40-49세 68 68 11 11 18 18 23 23 10 10 260
50-59세 64 69 9 9 16 16 25 27 9 9 253
합계 269 271 40 39 64 62 90 89 38 38 1000
540 79 126 179 76
조사 기간 : 2009년 3월 18일 ~ 3월 27일 (10일)
조사시행기관 : 맥스리서치
【 조 사 분 석 항 목 】
1) Lifestyle
1. 의식주에 대한 인식 파악을 위한 항목 4. 재테크 행태 파악을 위한 항목
- 주위 사람들이 입는 옷을 관심 있게 본다.
- 옷이나 구두 등에 개성을 표현한다.
- 연예인의 패션이나 액세서리를 따라 한다.
- 패스트푸드점을 종종 이용한다.
- 외식 할 때 한식보다는 양식 종류를 찾는다.
- 먹는데 돈을 많이 쓰는 편이다.
- 맛있다고 알려진 집을 찾아 다닌다.
- 단독주택보다는 아파트를 선호한다.
- 온돌보다는 침대 생활이 좋다.
- 복잡해도 교외보다는 도심에 살고 싶다.
- 남들보다 재테크 정보에 빠른 편이다.
- 현재까지 주식 투자로 돈을 벌었다.
- 우리 집은 중산층에 속한다.
- 우리 집의 경제 상황은 작년보다 좋아졌다.
- 위험이 높아도 수익성 높은 상품에 투자한다.





   
2. 건강 및 여가 활동에 대한 인식 파악을 위한 항목 5. 준법, 사회적 참여, 정치에 대한 인식 파악을 위한 항목
- 나는 건강한 편이다.
-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는다.
-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
- 육식보다는 채식을 좋아한다.
- 체중 조절을 위해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
- 전보다 여가 활동 시간이 늘었다.
- 전시회, 음악회, 연극 등에 자주 간다.
- 주말, 연휴 때 길이 막혀도 어딘가를 간다.
- 주말에는 주로 TV를 보며 시간을 보낸다
- 사람들과 모이는 활동을 열심히 한다.
- 남들에게 피해를 안주면 법을 조금 위반해도 상관없다.
- 교통 법규를 잘 준수한다.
- 우리나라에는 법대로 살면 손해 보는 경우가 많다.
- 우리나라는 선진국이다.
- 과대 포장한 제품을 사지 않는다.
- 야외에서 쓰레기가 생기면 치우고 온다.
- 환경보호를 위해 세금을 더 낼 용이가 있다.
- 사회 봉사 활동을 자주 한다.
- 선호하는 정당이 있다.
- 내 지역구의 국회 의원이 누군지 알고 있다.
   
3. 제품 구매 성향 파악을 위한 항목 6. 사회적 의식에 대한 인식 파악을 위한 항목
- 새로운 유행이나 제품을 바로 받아 들인다.
- 제값을 다 주고 물건을 사면 손해 본 기분이다.
- 할인점의 PB 상품은 잘 안 사는 편이다.
- 비싸더라도 유명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한다.
- 제품 구매 전 인터넷으로 정보나 가격을 확인한다.
- 인터넷에서 제품을 많이 구매하는 편이다.

- 결혼은 꼭 해야 한다
- 결혼을 하면 딸 보다는 아들이 있어야 한다.
-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혼전 관계도 가능하다.
- 공공장소에서 여성이 담배를 피워도 상관없다.
- 우리나라에서 성공하려면 일류 대학에 가야 한다.
- 자녀가 초등학생이라도 해외 유학을 시키고 싶다.
- 대학은 학교보다는 전공이 더 중요하다.
2) 제품 및 서비스 이용 실태
1. 주요 제품에 대한 보유 여부 2. 제품별 보유 브랜드
- 자동차
- 에어컨
- 냉장고
- 휴대폰
- TV
- TV
- 에어컨
- 디지털 카메라


3. 금융 투자 상품 이용 행태
- 금융 서비스 별 이용 현황
- 주거래 은행
3) 미디어 매체 이용 행태
1. 주 이용 미디어 매체 이용 2. TV 이용 실태
- 주 활용 미디어 채널

- TV 이용 시간 및 수준
- 주 이용 TV 프로그램
3. 인터넷 이용 실태
- 인터넷 이용 수준
- 주 이용 인터넷 사이트
【 연 구 결 론 】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크로밀코리아에서 자체 보유한 리서치 패널을 이용한 Online 리서치 결과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실시되었던 Offline 방식의 리서치 결과와 비교해서 그 대표성이 별 차이가 없으며 마케팅 의사 결정에 있어서는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해 줄수 있는 방법인 것으로 분석되었음
[ 마크로밀코리아의 리서치 패널을 이용한 Online 리서치는 Offline 개별 면접을 이용한 리서치 방법에 비해 그 대표성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
■ 결과 1 : 라이프스타일 및 사회적 가치관에 대한 응답결과가 전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분석됨.
의식주에 대한 인식, 건강 및 여가 활동 행태, 사회참여, 정치성향 등에 있어 Online 조사결과와 Offline 조사 결과 간에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됨



■ 결과 2 : 가정 내 주요 보유 제품의 보유율 및 상표 별 보유율이 거의 동일함.
자동차, 가전, 통신제품 등의 대부분의 성숙기 제품 군의 보유(이용)률 및 브랜드 선택에 있어 Online 조사 결과와 Offline 조사 결과 간에
차이가 없음



[ 마케팅 전략 상의 중요한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마크로밀코리아의 Online 리서치가 더 의미 있는 분석 결과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 결과 3 : 소비자들의 의견을 주도해 나가는 ‘여론 선도층’인 경영, 관리, 연구, 전문직의 의견을 얻기 위해서는
마크로밀코리아의 Online 리서치가 훨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남.

마크로밀 코리아의 리서치 패널을 이용한 Online 리서치에서는 기존의 개별면접 방식(Face to Face Interview)에서 접근이 어려웠던
경영, 관리, 연구, 전문직등과 같은 ‘여론 선도층’에 대한 접근이 훨씬 용이한 것으로 분석됨.
이들 ‘여론 선도층’의 경우에는 소비자들의 의견을 앞장서서 선도해 나가면서 주변 집단들의 의견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집단이라는 측면에서 마케팅 전략상의 의사 결정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집단임



■ 결과 4 : 마크로밀코리아의 Online 리서치 패널은 마케팅 전략 상의 의사 결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소비자
집단인 ‘초기 다수 수용층’ (Early Majority)의 비중이 큼.

Lifestyle 성향 분석에 따르면 Online 조사 참여자들이 Offline 조사 참여자들에 비해 다음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됨.
- 패션이나 유행에 대해 민감하다.
- 여가 활동을 상대적으로 많이 한다.
- 신제품 및 IT 제품에 대한 니즈가 강하다.
-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탐색을 많이 한다.
- 환경 의식이나 사회적 변화에 대한 수용력이 강하다.

이 밖에도 Online 조사 참여자들이 성장기 제품군의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보유 브랜드의 분포가 대중 브랜드에서 전문 브랜드까지
다양함. 또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취득 활동 및 활용 측면에서도 Offline 조사 참여자에 비해 보다 적극적임. 따라서, 이들은 신제품을
누구보다 가장 먼저 수용하는 중요한 소비자 계층인 ‘초기 다수 수용층’(Early Majority)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음.



【 주 요 조 사 내 용 】
1. 의식주에 대한 인식 및 행동 차이 비교 2. 건강 및 여가 생활에 대한 차이 비교
Online 리서치 결과와 Offline 리서치 결과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건강 및 여가 생활에 대한 조사 역시 조사 방법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음
   


   
3. 제품 구매 성향에 대한 차이 비교 4. 재테크 인식 및 행태에 대한 차이 비교
Online 조사 대상자들이 제품 구매 전 다양한 정보 취득 등의
사전 검색을 통해 꼼꼼히 따져 보고 가치지향적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경향이 다소 높음.
Online 조사 및 Offline 조사 모두 재테크에 대한 인식 및
행동에 차이가 없음.

   


   
5. 준법,사회적 참여,정치에 대한 사회적 가치 차이 비교 6. 사회적 의식에 대한 가치 차이 비교
Online 조사 결과와 Offline 조사 결과 간에 차이가 없음.


전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Online 조사
대상자들이 전체적으로 다소 개방적이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음.
   


   
7. 주요 제품에 대한 보유 현황 비교 8. 보유 TV 브랜드에 대한 차이 비교
성숙기 주요 제품 군에서의 보급률은 Online 및 Offline
조사 간의 차이가 없음. 반면, Online 조사 대상자의 성장기
제품 군의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TV 제품의 브랜드 선택에 있어서 Online 조사와 Offline
조사간의 차이는 없음.

   


   
9. 보유 에어컨 브랜드에 대한 차이 비교 10. 보유 디지털 카메라 브랜드에 대한 차이 비교
에어컨 제품의 브랜드 선택에 있어서 Online 조사와 Offline
조사간의 차이가 없음.
성장기 제품 군에 있어서는 Online 조사 대상자가 전문가용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비중이 다소 높음.
   


   
11. 금융 투자 상품에 대한 차이 비교 12. 주거래 은행에 대한 차이 비교
금융 투자 상품의 경우 Online 조사와 Offline 조사간에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Online 조사 응답자의 펀드 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주거래 은행에서 Online조사와 Offline조사간의 차이는 없음.


   


   
13. 주 활용 미디어 채널에 대한 차이 비교 14. TV 및 인터넷 이용 수준 차이 비교
Online조사 대상자가 Offline 조사 대상자 대비 보다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Online조사 대상자의 주중/주말의 TV 및 인터넷 이용시간이
Offline조사 대상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음.
   


   
15. 주 시청 TV 프로그램 유형 차이 비교 16. 주 이용 인터넷 사이트 종류 차이 비교
Online 및 Offline 조사 대상자 모두 쇼 / 오락프로그램,
드라마, 뉴스의 시청비율이 높음.
Online조사 대상자들은 Offline조사 대상자들 대비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정보 Surfing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