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9801-9900

by 리치캣 2023. 1. 9.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9801-9900

번호                  용어                  해설

9801              충전층 필터[充塡層-]                유리 섬유, 면섬유, 합성섬유 등을 충전한 층을 여재로 하여 먼지가 함유된 가스를 정화하는 장치. 더스트의 포집에 의하여 통기저항은 증가한다. 통기저항이 일정치에 달하면 여재를 교환해야 한다 .

9802              충전탑[充塡塔, packed tower]                    각종 충전물을 가득 채운 탑. 기체-액체, 액체-액체 등 서로 다른 상 사이에 물질이동이 이루어질 때,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각 상 사이의 흐름을 흩뜨려 물질이동 속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탑 안에 여러 가지 충전물을 채운다. 충전물로 과거에는 암석 조각·코크스가 쓰였으나, 지금은 자제(磁製금속제·플라스틱제인 라시히링이나 폴링 등이 각종 형상·크기로 시판되고 있다. 충전방식으로는 지름이 작은 충전물인 경우는 불규칙 충전, 지름이 큰 경우는 규칙충전이 있다. 액체가 충전물의 표면에 엷은 막을 이루어 흘러내리고, 사이를 계속 흐르는 기체(또는 다른 액체)와 접촉시켜 기체와 액체 사이(또는 액체와 액체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한다. 또한 압력손실을 작게 하고 기체·액체 각 상의 흐름을 혼란하게 하여, 물질이동·열이동의 속도를 크게 한다. 보통 액체를 충전물의 맨 위에서 탑 꼭대기에 있는 액체 분포기로 균일하게 공급하지만, 탑내를 흘러내리는 사이에 탑벽 쪽으로 흘러 버린다. 따라서 액체 재분포기를 탑 가운데 설치하여 층내를 균일하게 흐르도록 한다. 한편 기체는 탑 아래쪽에서 공급하여, 충전물과 그 표면을 흘러내리는 액막의 간격을 크게 하여 기체·액체를 향류(向流)로 접촉시키는 방식이 쓰인다. 기체·액체를 동시에 탑꼭대기에서 공급하여 병류(竝流)로 접촉시키는 방식도 있다. 충전탑에서 기체·액체의 접촉은 계속 이어지므로 기체·액체의 농도(또는 온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접촉을 일반적으로 미분(微分) 접촉방식이라고 하며 단탑(段塔)으로 생긴 계단접촉과 대비된다. 충전탑은 기체와 액체 사이의 접촉 방법으로 가스흡수·증류·습도조절에 쓰인다. 그 밖에 액체와 액체 사이의 접촉 방법으로 추출에도 쓰인다. 고체의 촉매나 흡착제를 채운 탑도 충전탑이지만, 이것은 충전층이나 고정층이라 하는 경우가 많다.

9803              충전탑의 제해효율[充塡塔-除害效率]                     충전탑내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 아래의 표는 불화 암모니아 공장의 배기가스를 충전탑에서 제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詩料)   No                입구(入口) [/N]                출구(出口) [/N]                제해효율(除害效率)       [%]                1 2 3 4 5 6 7   평균(平均)                143.5 203.4 163.3 149.3 153.3 178.7 248.2 177.1                1.8 1.0 1.4 1.7 1.4 2.3 1.8 1.6                98.7 99.5 99.1 98.5 99.1 98.7 99.3 99.0

9804              충전해서 또 쓰는 건전지를 사용하자                     흔히 쓰이는 수은함유 건전지를 함부로 버리면 일반쓰레기와 같이 소각·매립되어 대기와 토양오염, 지하수 오염을 일으킨다.         자연에 노출된 수은함유 폐건전지는 독성이 강해져 농축산물, 어패류 등에 농축되고 인체에 쌓이면 수은 중독을 일으킨다. 회수되면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지만 회수가 잘 안돼 집에 그냥 있거나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게 태반이다. 가능한 충전해서 계속 쓰는 충전식 건전지를 사용하자.

9805              충청남도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 변동내역 (98 12월까지)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충청남도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원성동                원성동                SO₂, NOx, CO, O₃, TSP                천안시 원성동 261-38 (시립중앙도서관)                '93.9                신규설치                독곶리                독곶리                SO₂, NOx, CO, O₃, TSP                서산시 독곶리 123-20 (농협지소)                '94                신규설치                                SO₂, NOx, CO, O₃, PM10                                '95                측정항목변경 (TSP→PM10)                동문동                동문동                SO₂, NOx,CO, O₃, TSP                서산시 동문동 918-3 (서산초등학교)                '96                신규설치

9806              충청남도 산성비 자동 측정장치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충청남도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원성동                원성동                pH, 강수량                천안시 원성동 261-38(시립중앙도서관)                '93.7? ('94.2)                신규설치(자동)                파도리                파도리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198-1                '94.12                신규설치(자동)

9807              충청북도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 변동내역 (98 12월까지)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충청북도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충인동                충인동                SO₂, NOx, CO, O₃,TSP                충주시 충인동 147-17 (충인동사무소)                '89.8                신규설치                                SO₂, NOx, CO, O₃                                '94.11                TSP 폐기                서부동                서부동                SO₂, NOx, CO, O₃, TSP                제천시 서부동 3-1 (시보건소 )                '91.10                신규설치                                                제천시 서부동 5-1 (제천중학교)                '96.9                위치이전                송정동                향정동                SO₂, NOx,CO, O₃, TSP                청주시 향정동 148 (환경관리공단 청주사업소)                '89.7                신규설치                송정동                                청주시 송정동 140-50 (보건환경연구원)                '93                이전                내덕동                내덕동                SO₂, NOx,CO, O₃, TSP                청주시 내덕동 322 (청주농고실험실)                '95.6 ('96)                신규설치

9808              취관 분석[吹管分析, blowpipe analysis]                     불대(취관)를 써서 하는 건식정성분석(乾式定性分析). 불대분석이라고도 한다. 취관은 금속성의 대롱인데, 한쪽 끝에 입을 대고 불꽃을 향해 불면 다른 끝으로 나오는 바람때문에 불꽃이 옆으로 길게 쓰러져, 목탄 위의 구멍에 채워진 시료에 닿는다. 이렇게 하여 가열된 시료의 색조변화, 기체의 발생, 융해 등의 현상을 관찰한다. 또 목탄 위에서 승화하는 금속산화물의 색이나 형상을 보고 시료 속의 금속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구리 등은 금속산화물(鑛衣)이 생기지 않고 괴상의 금속(금에서는 노란색, 은에서는 흰색, 구리에서는 붉은색)이 생기고, ·코발트 등에서는 마찬가지로 금속산화물이 생기지 않고 검은색 금속가루가 생기며, 주석··안티몬 등에서는 어느 것이나 흰색 금속산화물이 생긴다. 대롱의 끝을 불꽃 속에 넣고 불면 산화불꽃을, 불꽃 밖에서 불면 환원불꽃을 간단히 만들 수 있다. 광물의 금속 성분을 검출하는 간편하고 쉬운 방법으로 사용되는 일이 많았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고전적 분석법의 하나이다.

9809              취급시설                     화학물질을 제조, 보관·저장, 운반(항공기·선박·철도를 이용한 운반은 제외한다) 또는 사용하는 시설이나 설비

9810              취급제한유독물 (Restricted-Use Toxic Substances)                 유독물 중 사람의 건강 또는 환경에 미치는 유행성의 정도가 특히 크다고 인정되어 제조·수입 또는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것을 말한다.

9811              취기 농도[臭氣濃度, odor concentration]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기체시료를 무취공기로 희석시켜 나가며 냄새를 느끼지 않게 될 때까지의 희석배율을 취기농도라 한다. 취기농도 100이란, 취기를 냄새가 없는 공기로 100배 희석시켰 을 때 냄새를 느끼지 않게 된 것을 의미한다. 이 취기농도 100의 상태를 취기도로 표현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2n = 100, n log2 = log 100 = 2          n= 2/log2 = 2/0.301 ≒ 6.6        따라서 취기도로 표현하면 6 7의 중간정도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취기농도와 취기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취기농도를 C, 취기도를 n 이라고 하면,         n logC/log2 = 3.32 logC        취기도 10과 취기농도 10의 둘 사이에 대해 희석배율을 비교하면 취기도 표시법에 의한 희석배율은 취기도 10에서는        = 1024, 1024배가 된다. 악취농도 10의 경우는 희석배율이 10배이므로 1024/10= 102.4 ,  따라서 희석량은 약 100배정도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9812              취기 단위[臭氣單位, odor unit]                  매우 강한 취기라도 무취 공기로 계속 희석을 하면 무취상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취기를 무취 공기로 어느정도 희석해야만 무취상태가 되는지를 나타낸 것이 취기 단위이다. 예를 들면, 취기 단위가  1만인 배기가스가 200 /min의 속도로 배출된다고 할 때, 이를 희석하여 무취화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1×200 /min=200만 ㎥/min이 된다.

9813              취기도[臭氣度, odo(u)r intensity index]                     냄새의 희석 배수치이며, pO로 약칭하기도 한다. 40 ℃  유지된 물에 검수를 가해, 명확한 취기를 느낄 때의 취기를 인정 하는 데에 필요한 검수량을 수해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pO : 취기도,  a: 희석에 필요한 물 (), V: 검수 (), TO: 취기의 희석 배수값

9814              취기의 공기 희석법[臭氣 - 空氣稀釋法]                     취기가 있는 공기를 무취 공기로 희석시킬 경우에 어느 정도 희석하면 무취(無臭)가 되는지를 구하는 방법이다. 취기 단위의 측정방법의 하나이다.

9815              취기한계(Odor Threshold)          (1) 무취수로서 연속하여 희석한 후, 검수의 취기가 검출되는 점. 한계취기는 시료가 무취수로 희석하는 도수로 정량적으로 표시된다.    (2) 취기물질이 무취의 공기와 구별할 수 있는 최소농도(detection threshold) 또는 취기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농도(recognition threshold). 후자는 약간 높은 값이 된다. 취기 한계는 물질의 성질과 한단의 감도에 따른다. 50% 한계는 취기를 시험자의 50%가 검출 또는 인식할 수 있는 농도이다. 한계자료는 주어진 물질이 유취인가 무취인가의 조건을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9816              취락지역[聚落地域]                   도시지역 이외의 지역으로서 주민의 집단적 생활근거지로 이용되고 있거나 이용될 지역을 의미한다.

9817              취소[臭素, bromine, Br₂]            원소기호 Br. 주기율표의 7B족에 속하는 할로겐원소의 하나. 원자번호 35, 원자량 79.904, 녹는점 -7.2℃, 끓는점 58.78℃, 기체의 밀도 7.59g/dm, 25℃에서 액체의 비중 3.10이다. 1824년 프랑스의 A.J.발라르가 해조회(海藻灰) 속에서 발견하였는데, 26년 악취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bromos를 따서 명명하였다. 흩원소 물질로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다. 바닷물속에는 염화마그네슘으로, 지각 속에는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브롬화물로서 존재한다. 그 존재량은 바닷물에 67/dm, 지각엔 2.5ppm이다. 브롬화물에 이산화망간과 황산을 첨가하여 가열하거나 염소를 반응시키면 얻을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간수와 해수를 원료로 하여 염소를 불어넣어 단리한다. 고체는 단사결정이고,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비금속이며, 자극성의 유독증기를 발생하여 금속이나 유기물을 침식한다. 반응성은 염소보다 작지만, 수소와는 열 또는 빛에 의해 브롬화수소를 생성한다. ·비소·주석·알루미늄과는 격렬하게 화합한다. 금과도 화합하지만 백금과는 반응하지 않는다. 물에 녹아 브롬수를 만들고 알코올·클로로포름·이황화탄소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빨간색 용액이 된다. 염기성 수용액은 저온에서 브롬화물과 하이포아브롬산염, 고온에서는 브롬화물과 브롬산염으로 불균등화된다. 산화제·브롬화제 등으로 사용되고, 농약(EDB·브롬화메틸 등의 殺線蟲劑)의 제조, 에틸액(테트라에틸납의 掃鉛濟의약·도료·난연제(難燃劑향료·브롬화합물 등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키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9818              취송류[吹送流, drift current]                     해상에서 부는 바람이 해면에 미치는 변형력 때문에 생기는 해류. 풍성해류(風成海流)라고도 한다. 바람이 불면 해면에 바람 응력이 작용하여 해수가 바람에 밀리게 되어 해류가 일어난다. 이때 북반구(남반구)에서는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오른쪽(왼쪽)으로 약 45 정도의 각도로 해류가 흐르게 되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각도가 점점 줄어들어 어느 깊이에서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해류가 일어난다. 이 깊이를 에크만수심이라고 한다. 1902년 스웨덴 해양물리학자 W.에크만이 바람과 해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해명한 것이 근대적인 취송류 연구의 시초이다. 오늘날 취송류라 할 때는 이 에크만 이론에 의한 해류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대규모의 해류를 대상으로 수평혼합(水平混合)이나 전향력의 위도변화 등을 고찰하는 해류이론에서는 풍성해류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다.

9819              취약성 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                     기후 다양성과 극한 기후 상황을 포함한 기후변화의 역효과에 대한 시스템의 민감도 또는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 (IPCC). 기후 변동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과 이에 대한 대처, 회복, 적응능력에 따른 노출단위의 위험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는 것 (UNDP)

9820              취연 기노시다식 취기 측정법[臭姸木下式臭氣測定法]                    기체의 취기단위(臭氣單位)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물 희석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50㎖의 물속에 취기가 있는 기체를 3 ℓ/min의 통기량으로 1~2시간 통기하며, 취기를 용해시킨다. 취기가 포화(飽和)된 액을 뷰렛에 담고, 한편 100㎖의 무취수를 증발접시에 담아, 뷰렛속의 취기포화수를 몇 방울 떨어뜨린 다음, 취기를 느끼지 않는 최대 희석치를 구한다. 이 때의 희석 배수치(倍數値)를 취기 단위로 한다. 이 측정방법은 일본 취기연구소에서 고안한 방법이다. → 식염수법.

9821              측정[測定, measurement]           장치를 사용하여 물리량(길이·질량·온도·압력 등)을 수치로 나타내는 조작. 측정의 대상이 되는 양을 측정량,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측정치라 한다. 그리고 측정에 사용되는 기계·기구를 측정기 또는 계측기계라 하고, 산업설비나 교통기관 등에 장비하여 그 가동상태를 지시하는 데 쓰이는 것을 계기라 한다. 한편 전기나 자기현상을 양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히 전기계측이라 한다. 어떤 양을 측정함에 있어서 길이나 시간을 측정할 때처럼 측정 대상의 양을 같은 종류의 양으로 직접 맞춰 재는 것을 직접측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직접측정을 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고 이론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부피는 각 부분의 길이를 재고 계산에 의해 구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를 간접측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물리량은 소수의 서로 독립적인 물리량을 골라 단위를 결정하면 다른 양의 단위는 물리학의 법칙이나 정의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이 소수의 서로 독립적인 물리량을 기본량, 단위를 기본단위, 유도된 단위를 유도단위라고 한다. 기본량만을 측정하여 정의에 따라 유도된 양을 결정하는 측정을 절대측정이라고 한다. 길이의 단위 미터의 정의는 특정한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도출되는데, 이 빛의 파장으로 직접 블록 게이지의 길이를 구하는 것이 이 경우이다. 측정방법에는 비교측정·원격측정·영위법(零位法편위법(偏位法치환법·합치법·보상법·차동법(差動法) 등이 있다. 비교측정은 직접측정과 같은 뜻이고, 원격측정은 측정량의 검출신호를 떨어져 있는 수신기에 전달해서 하는 측정이다. 영위법은 측정량과는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같은 종류의 기지량(旣知量)을 사용하여 측정량과 일치시키는 측정이다. 편위법은 측정량을 원인으로 하고, 그 직접적 결과로서 생기는 지시에 의한 측정이다. 치환법은 측정량과 기지량을 치환하여 2회의 측정 결과로부터 구하는 측정이다. 합치법은 눈금 등의 합치를 보고 측정량과 기준량의 관계로부터 측정하는 방법이며, 버니어 캘리퍼스에 의한 방법은 이 예의 하나이다. 보상법은 측정량에서 그것과 거의 동등한 기지량을 빼고 난 차를 측정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차동법은 같은 종류인 두 양의 작용의 차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한편 양()과 수()는 본래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이므로 양의 크기를 수치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양자간에 1:1의 대응규칙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는데 이를 측정의 척도라고 한다. 측정에는 측정 때의 불비나 측정시의 외적 조건 및 관측자의 감각차에 따라 오차가 생기게 마련이다. 측정값의 오차의 정도, 즉 정확도·정밀성을 그 측정기의 정도(精度)라 하며, 측정량의 변화를 잴 때 지침으로 하여금 일정한 크기의 지시를 하게 하는데 필요한 피측정량의 크기나 변화량을 감도라 한다. 실제의 측정에서는 정도의 향성과 감도의 적정을 기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측정의 정도에 대해서 W.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관계가 있다는 것은 고전물리학의 적용 영역에서는 일찍이 찾아 볼 수 없었던 사실이다.

9822              측정가스 [測定-]          측정 가능한 가스상태로 조정되어 시료셀에 도입된 시료.

9823              측정각(Measurement Angle)                     점휘도계의 렌즈에 따라 광전소자(빛 측정 센서)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입체각의 크기를 말합니다.

9824              측정망.자동측정망                    환경부는 기존에 1379개소였던 하천 및 호소 수질오염측정망 측정지점을 1441개소로 늘리고 대기질 측정지점도 기존의 199개소에서 211개소로 크게 확충할 계획이다. 특히 측정망 미비로 그 동안 정확한 오염실태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던 지하수 오염측정망 측정지점은 780개소에서 180개소로 늘리고, 780개소에 불과한 토양오염측정망 측정지점수도 3천개소로 대폭 늘려 지정했다. 이 밖에 소음측정망 측정지점은 기존 458개소에 13개소를 추가해 471개소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9825              측정면(Measureing Plane)          빛공해 측정 대상이 되는 면을 말하며   휘도의 경우는 발광표면, 조도의 경우는 피조면이 측정면이 됩니다.

9826              측정조도(Target Illumination)                    빛공해 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조도를 말합니다.

9827              측정휘도(Target Luminance)                      빛공해 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휘도를 말합니다.

9828              측풍 경위의 [測風經緯儀, balloon theodolite]                  측풍기구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측정하는 망원경. 접안렌즈축을 항상 수평면내에 두고 대물렌즈축의 방위각, 고도각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9829              측풍 기구[測風氣球, pilot baloon]              상공의 풍향·풍속을 측정하는 기구. 고무로 만든 기구에 수소나 헬륨을 충전하여 띄우면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동시에 주어진 부력에 따라 거의 일정한 속도로 상승한다. 기구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측풍경위의를 사용하여 30초나 1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기구의 움직임을 도면에 그리면 상공에서의 풍향·풍속이 구해진다. 비교적 간편한 상층기류 측정방법이지만 낮은 구름이 끼면 쓸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9830              층간소음                     공동주택의 한 층에서 발생한 소리가 다른 층 가구에 전달되는 소음을 말한다. 아이들이 뛰는 소리, 문 닫는 소리, 애완견이 짖는 소리, 늦거나 이른 시간에 세탁기 청소기 운동기구 등을 사용하는 소리, 화장실과 부엌에서 물 내리는 소리 등이 있다.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낮 40 dB, 30 dB 이상으로 층간소음 피해 기준을 정하고 있다.

9831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최근 급증하고 있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문제가 이웃간의 분쟁에서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고 분쟁을 조기에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개설된 제도이다.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 접수된 민원에 대하여 전문가 전화상담 및 현장소음측정 서비스를 제공하여 당사자간의 이해와 분쟁해결을 유도한다. 전국의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온라인('국가소음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noiseinfo.or.kr) 또는 전화 접수를 받는다.

9832              층류 [層流, laminar flow]           유체의 각 부분들이 상호 얽힘 없이 질서정연하게 흐르는 상태. 흐름이 균일한 물 속에 원기둥을 놓을 경우 유속이 작으면 물은 물체를 우회하면서 변함없이 정상적으로 흘러간다. 이때에 물의 유선(流線)은 교차되지 않는다. 이런 흐름을 층류라고 한다. 유속이 커지면 물체의 뒤쪽(하류)에 유선이 끊긴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된다. 유속을 더욱 크게 하면 발생한 소용돌이는 원기둥에서 멀어져 전체 흐름을 따라 하류 쪽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 상태를 난류(亂流)의 발생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기둥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서는 흐름이 정상적이고 유선은 규칙적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층류의 상태를 유지한다.

9833              층류 박리[層流剝離, laminar separation]                     물체가 물·공기 등의 흐르는 유체 속에 놓였을 때에, 이 물체의 표면에서부터 유속이 연속적으로 변하여 일정한 유속으로 되기 까지의 얇은 유체층인 경계층 상태가 층류일 때 일어나는 분리현상.

9834              층류 저층 [層流低層, laminar sublayer]                     난류에 접한 벽 근처에서는 속도 변위가 억제되어  층류상태로 유지된다. 이 층류에 존재하는 엷은 층을 층류 저층이라 한다. 이러한 상태의 존재 여부는 stanton 실험으로 증명되었다.

9835              층류 확산염[層流擴散焰, laminar diffusion flame]            연료 가스와 공기가 따로따로 연소실로 들어가고 그것이 합류하는 계면(界面)에 반응층을 형성하는 불꽃을 확산염(換算焰)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가스 유속이 느리고 반응면에서의 혼합이 분자 확산에 의한  것을 층류확산염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휘도(輝度)가 높다.

9836              층별 샘플[層別-]          표본에서 일정간격으로 샘플을 채취하는 것. 즉 샘플을 채취할 때 시간적으로 또는 공간적으로 일정해도 좋다. 이 방법의 최초의 샘플링은 랜덤으로 선택되어지는데 이것을 랜덤 스타프의 층별 샘플링을 행할 때에는 로트와 공정의 주기적 변동에 주의를 해야하며 층별 샘플링의 간격과 주기가 일치한다면 범주(Category)  발생한다.  샘플링의 실시 측면에서 본다면 층별 샘플링은 실시하기가 쉽다.

9837              층화 추출법 (Stratified sampling method)                     층별 추출법이라고도 한다. 모집단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가츨중에서 표본을 선출하는 표본추출법의 일종. 미리 그룹을 나눌때 가능한 크게 하는 방법을 층화라고 한다.

9838              치리               분포, 생육지 : 한반도(안성천, 금강, 만경강, 영산강, 섬진강)         형태 특성 : 배의 가장자리에는 가슴지느러미 기저 뒤쪽 끝에서 항문 바로 앞까지 융기연이 있고 배쪽의 외곽은 주둥이 끝에서 항문까지 활처럼 휘어 아래쪽으로 향하다가 뒷지느러미 기점에서 미병부 끝까지는 안쪽으로 약간 굽어지면서 위쪽을 향한다. 몸의 등쪽은 청갈색이지만 배쪽은 금속광택의 은백색이다. 전장은 약 20cm까지 성장한다.        생태 특성 : 연못의 중층과 상층이나 하천의 흐름이 느린 곳에서 산다. 빠르게 헤엄치며 성질은 급한 편이다. 잡식성으로 식물의 조각이나 종자를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6~7월이다.        특이사항 : 유속이 느린 하천과 저수지에서 수서 곤충이나 작은 동물 등을 먹고 살며, 6~7월에 산란한다.

9839              치밀가스 (Tight Gas)                지층이 심부에 퇴적되어 높은 압력에 의해 공극이 매우 치밀해졌거나 점토광물에 의해 공극이 치밀해진 저류지층에 가스가 저장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가스전의 특징은 퇴적규모가 매우 크나 공극이 치밀하여 인위적인 균열을 생성하지 못하면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스전에 대한 개발사업은 미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치밀가스 원시매장량은 약 100에서 400조입방미터(TCM)에 이르며, 이중에서 생산되고 있는 양은 미국 총 가스 생산량의 19%를 차지하며, 비재래 가스의 69%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캐나다, 호주,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이집트, 알제리 및 중국 등에도 많은 양이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9840              치사량 오십 퍼센트[致死量 50%,  lethal dose 50의 약칭]           반수 치사량이라고도 한다. 일군의 실험 동물 50%를 사망시키는 독성물질의 양 또는 방사선의 선량을 말한다. 독성물질일 경우는  동물의 체중 1kg에 대해 독물의 양[]으로 나타낸다. 이때  동물의 종류와 독물 경로(경구, 경피 또는 피하주사 등)에 따라 치사량이 다르므로, 이것도 부기한다. 예를 들면         = 700 mg/kg (래트, 피하주사)과 같이 표시한다. 방사선일 경우는 각종 생물의 감수성을 표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rad (래드) 또는 R (뢴트겐)으로 나타내고 X 선 또는 γ선에 대해 인체에서 전신 조사 후 30일 이내에 피조사체 수의 반수가 사망하는 양이다.

9841              치악산 국립공원          치악산국립공원은 1984 12 31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81,327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치악산국립공원은 우리 국토의 등줄기인 태백산맥의 오대산에서 분기되어 서남향하면서 중, 남부 지방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차령산맥 중북부의 주능선에 자리잡고 있다. 이 능선은 비로봉 (1,288m)에서 시작되어 남향하면서 향로봉, 남대봉에 이르는 1천미터 이상의 준봉으로 연결되어 차령산맥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산지형을 형성한다. 이 곳은 유달리 지형이 험하고 골짜기가 많아 곳곳에 산성과 사찰, 사적지들이 널리 산재해 있으며, 곳곳에 어울리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이처럼 치악산은 주능선 서쪽이 급경사를 이루고 동쪽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구룡사에서 비로봉을 향해 뻗은 북쪽은 능선과 계곡이 가파르기로 유명하다.        경관자원        치악산에는 구룡계곡, 부곡계곡, 금대계곡 등 아름다운 계곡과 신선애, 구룡소 세렴폭포 등의 명소가 곳곳에 산재해 있으며, 사계절에 따라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 여름철에는 구룡사의 울창한 송림과 깨끗한 물, 가을의 단풍, 특히 겨울 설경은 장관이다.        봄마다 치악산 구룡계곡에 철쭉이 만발하기 시작하면 사다리병창, 바로봉, 상원골에 눈길 닿는 곳마다 현호색, 금붓꽃, 천남성, 둥글레, 함박꽃 등 야생화가 연이어 피어나 아름다운 절경을 이룬다.        한여름의 뜨거운 태양도 계곡의 녹색 그늘을 침범하지는 못한다. 폭포와 소, 여울로 이어지는 계곡의 맑은 물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더위를 잊게하고 물소리는 듣는 이의 마음까지 씻어준다.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다워 예로부터 붉을 적자를 사용 적악산이라 불리웠다. 꿩의 보은설화를 간직한 상원사에서 바라보는 상원골의 단풍은 남녘의 내장산과 비견될 만큼 아름답다.        눈덮힌 겨울 산봉의 만발한 눈꽃은 흰옷을 입은 여인의 자태로 등산객의 눈을 유혹한다. 눈부시게 파란하늘을 배경으로 침묵에 쌓인 비로봉 미륵불탑은 겨울철 치악산의 백미이다.

9842              치크너[thickener]          액체 속에 분산·혼합되어 있는 소량의 고체 입자를 중력 작용으로 침강시켜 고농도의 슬러지(sludge)를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즉 시크닝(thickening; 침강농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공업적 장치. 침강농축장치라고도 한다. 대량의 고체혼합액을 고액분리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특히 청징액(supernatant; 상등액)을 얻기 위한 목적일 때에는 클래리파이어(clarifier;청징기)라 하여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의 위쪽 가운데에서 입자혼합액(슬러리)을 공급하면 청징해지는 액체는 거터(gutter)를 넘쳐 일류(溢流)함과 동시에 고농도로 농축된 진흙상태 슬러지는 배니(排泥)로서 중력 또는 펌프에 의해 조의 밑바닥에서 빠져나온다. 조는 콘크리트나 강판제로서 지름 200m를 넘는 것이 있고 설치소요면적을 줄이기 위해 다단(多段)으로 겹친 형식, 조 안에 다수의 경사판을 평행하게 삽입하여 침강유효면적을 증가시킨 형식이 있다. 화학반응에 따른 생성입자 및 추출 후의 고체분리세정에는 연속향류세정(連續向流洗淨) 시크너가 사용된다. 상하수·배수·화학공업·광업 등의 프로세스 고액분리장치로서 사용된다.

9843              치크로[chikuro]            치크로헥실설파민산 소다 또는 사이크라민산 나트륨의 약칭. 인공 감미료.

9844              치환 음원[置換音源]                 소음을 측정하는 대상이 된 음원과는 다른 음원으로서 소형이며 주파수 범위가 넓은 소음을 발생하는 음원(音源)펌프, 송풍기, 압축기 등의 소음 레벨 측정에 사용한다.

9845              친생 원소[親生元素, biophile element]                     V.M.Goldschmedt에 의해 분류된 원소의 1군으로, 지구표면에서 생물체를 조직하고 있는 원소를 의미한다.  H, C, N, O, P이 주된 원소이고, Na, Mg, S, Cl, K, Ca, Fe, B, Si, Mn, Cu, I도 이것에 속한다. → 원소(元素)의 지구화학적 분배(地求化學的 分配).

9846              친석 원소[親石元素, lithophile element]                     V. M. Goldschmedt에 의해 분류된 원소의 1군으로서 암석권의 지각과 맨틀상층, 중층을 만드는 규산염과 친화력이 높은 원소를 말한다.  친암원소라고도 한다.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란탄계열, 악티늄 계열이 친석원소에 속하고, 친석원소의 경향이 적은 원소에는 Zn, Cd, In, Tl, Ge, Sn, Pb, As, Fe, Co, Ni가 있다. 친석원소의 대부분은 2가 철보다 산화물의 생성자유에너지가 크다.

9847              친수구역조성사업                     친수구역을 국가하천과 조화롭게 주거ㆍ상업ㆍ산업ㆍ문화ㆍ관광ㆍ레저 등의 기능을 갖추도록 조성ㆍ운영하는 사업을 말한다.

9848              친수성 [親水性, hydrophilic properties]                     물에 대한 친화력이 강한 성질.  반대로 물에 대한 친화력이 약한 성질을 소수성이라고 한다.  친수성이 큰 분자(HLB 값이 큰 분자)는 물 등 극성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크다. 또한 계면활성제와 같이 다른 극성의 물질계면에 작용하는 물질군에서는 분자내의 분극성, 극성기의 위치가 물성(物性)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친수기·소수기(또는 극성기·비극성기)의 개념이 중요하게 된다.

9849              친수졸[親水-, hydrophilic sol]                    물과 친화성이 있고, 물 분자를 주위에 끌어당겨서 수화층을 만드는 경향이 있는 콜로이드를 말한다. 단백질, 전분, 젤라틴, 한천등이 여기에 속한다. 물을 분산매로 해서 소량의 전해질을 가했을 때, 전하를 중화시키지만 응결은 일어나지 않는다. 물과 결합력이 강한 알코올과 다량의 전해질을 가하면, 탈수 작용에 의해 수화층은 제거되고 응집 침전한다. 응집제는 알코올 이외에 아세톤, 황산 암모늄, 석회 등이 이용되고 있다.

9850              친숙도 (Familiarity)                   변형생물체와 외부 환경과의 접촉시 사용하는 용어로 생물체와 생물체사용방식(intended) 및 수용환경에 대한 지식과 경험정도를 일컫는다.          생물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연생물체보다 친숙도가 낮은 변형생물체(LMOs)에 대하여 위험도 평가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9851              친철 원소[親鐵元素, siderophile element]                     V.M.Goldschmedt에 의하여 분류된 원소의 1군으로, 지구의 내부 핵부분(-니켈 코어)에 농축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원소를 말한다.  운철의 분석, 야금학적 연구(冶金學的 硏究) 등에 의해 추론될 수 있다. Fe, Ni, Co, P, C, Ru, Rh, Pd, Os, Ir, Pt, Qu, Ge, Sn, Mo가 친철 원소에 속하고, 약간 그 성질이 적은 것에는 As, Se, Te, W, Pb 등이 있다. 산소, 황과 비교적 화합하기 힘들고, 유리금속(遊離金屬) 그대로 또는 철과 화합하여 철과 고용체를 만들기 쉽다.

9852              친해 원소[親海元素, thalassophile element]                     V. M.Goldschmedt에 의해 분류된 원소의 1군으로서, 해수에 반응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Cl, Br, B, S (SO₄이온으로서)가 주요한 것이며, 이러한 경향과 약간 먼 것은 I, Na가 있다. 이것에 반대되는 소해 원소(疎海元素)가 있는데, 수권(水圈)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침전하는 Al, Fe, Th등이 소해 원소에 포함된다.

9853              친핵반응[親核反應, uncleophilic reaction]                     친핵성 시약에 의해 일어나는 반응. 이온반응 중에서 시약의 공격을 받는 기질의 반응 부위가 전자의 부족(형식적으로는 양전하를 띤)상태에 있고, 음전하를 가진 이온종이나 비공유전자쌍을 가진 시약이 기질에 전자를 주는 반응이다. 구핵반응(求核反應) · 음이온성 물질반응라고도 한다. 루이스염기로서 작용하는 전자주게성 시약은 친핵성 시약이라고 한다.  친핵성반응은 친핵성 치환·친핵성 제거·친핵성 첨가로 크게 나뉜다. 어느 반응도 그 원동력은 기질 내의 전자 흡인기에 의해 생긴 양전하 중심에 대한 친핵성 시약의 공격이다. 지방족 화합물에서의 친핵성 치환은 실험실에서 잘 쓰이는 반응이며, 작용기 변환의 대표적 방법의 하나이다.

9854              친화도[親和度, affinity ]             어떠한 반응 또는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힘을 말한다.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힘을 화학 친화도라고 한다.  이밖에 전자 친화도, 양성자 친화도 등이 있다.

9855              친환경 설계                제품 기획에서부터 사용 후 단계까지의 전 과정에서 환경적·경제적 영향을 고려, 균형을 추구하는 친환경 제품의 설계 기법을 가리킨다.

9856              친환경 소비                소비자들을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람과 동물, 자연환경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친환경 상품에 대한 선호나, 개인이나 기업 단위 구매에서의 도덕적 불매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며 윤리적 소비, 친환경적 구매, 윤리적 구매, 친환경적 자원, 친환경적 쇼핑 또는 녹색 소비주의 등이 있다.

9857              친환경 에너지타운                   기피?혐오시설인 매립장, 소각장, 유기성폐기물(음식물?가축분뇨 등) 에너지화 시설 등의 폐자원과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열?전기 등 에너지를 생산하여 주변지역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자립과 생활환경 개선 및 문화관광 등으로 주민소득도 향상시키는 자원순환형 타운을 말한다. 2015 12월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이 최초로 준공되고 2017년 기준 24곳으로 확대되었으나 부실논란이 일고 있다.

9858              친환경 인증사업          친환경적인 가치를 보유한 우수한 기술 및 제품, 회사 등에 대한 공공 인증제도         목적 : 판매제품 또는 기술이 동일 용도의 타 제품에 비해 원료에서부터 생산에 이르는 각 단계에 걸쳐 자원, 에너지의 소비 절감 및 환경오염을 덜 야기하는 제품을 선정, 라벨을 사용해 표시하는 자발적인 인증제도로서, 인증 대상에 대한 공신력을 높이고, 구매를 촉진시켜 궁극적으로 환경보호와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

9859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란 건축물의 자재생산, 설계, 건설, 유지관리, 폐기 등 전과정을 대상으로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오염물질 배출감소, 쾌적성, 주변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평가를 통해 건축물의 환경성능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문제와 관련하여 건물의 에너지 사용과 CO2배출 저감 등 환경성 증진방안에 대한 논의가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진행중이고 대도시의 과밀화와 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한 건축물의 신축과 재건축이 활발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건축물의 건설과 관련하여 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수적이다.

9860              친환경농산물[親環境農産物,Environmental farm product]              환경을 보호하고 자연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일컫는다. 농약, 화학비료를 3년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것은 '유기농산물', 1년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은 '전환기유기농산물',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은 '무농약 농산물', 농약을 50% 이하로 사용해 재배한 농산물은 '저농약 농산물'로 표시한다.

9861              친환경상품                  상품의 원료채취에서 가공 및 제조에 이르는 생산과정과 유통과정, 상품을 사용하는 소비과정, 사용 후 폐기 및 처분과정까지의 전 단계에서 자원과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인체와 자연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한 상품을 말합니다.

9862              친환경설계의무지침                  Eco-Design되지 않은 에너지 사용제품의 시장진입을 금지하는 제도로 CE(conformity in European)마킹 요건에 친환경 설계 규정을 통합하여 시장진입 통제 ('05 7월부터 시행)

9863              친환경운전                  급발진, 급정지, 급가속 등을 지양하고 관성운전 등 한 템포 느리게 운전함으로써 연료를 적게 쓰고 환경을 보호하는 운전법을 말한다. 친환경운전을 하면 자동차 연료는 적게는 20%에서 40%까지 절감될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줄어들고 교통사고도 급감하게 된다

9864              친환경운전 안내장치(EMS)                       운행차량의 불필요한 급출발, 급제동, 급가속, RPM 등 비환경적 운전 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잘못된 운전습관을 교정하고 운행정보 분석 등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차 연료절감 및 배출가스 저감을 위해 2009년부터 부착을 추진해 2015년 기준 5,382대가 보급되어있다. 정부에서는 보조금을 지급해 친환경운전 안내장치 부착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9865              친환경잉크                  잉크는 그린프린팅에 사용되는 핵심소재로서, 기존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환경규제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성분을 최대한 배제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기능성 잉크 (: 도전성, 반도체, 절연성, 형광체 잉크 등)

9866              친환경자동차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차, 태양광차 등 기존 내연기관차보다 대기오염물질이나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고 연비가 우수한 자동차를 말한다.

9867              친환경자재                  환경마크인증 자재와 같이 제조, 사용, 폐기 등 제품의 전과정에서 환경성을 고려한 제품이다. 에너지절약, 물 절약, 유해화학물질 노출 저감 등을 통해 환경·경제적 이익과 인체의 건강과 안전을 지켜주는 자재이다.

9868              친환경차 협력금제도                배출가스가 많은 자동차를 사는 소비자에게 부담금을 걷어 친환경자동차를 사는 소비자에게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온실가스배출량 외에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까지 고려한 제도로, 2013년 도입된 '저탄소차 협력금 제도'를 모태로 한다. 2017 12월 『자동차 등의 대기오염 저감에 관한 법률안』이 상정되어 있으며 2019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9869              친환경포장                  과대포장 제한, 띠지, 리본 등 부속포장재 사용중단, 재활용가능 포장재 사용, 용기부피를 감소 등의 방법으로 쓰레기를 줄이는 포장방식을 가리킨다.

9870              침강 농축 장치[沈降濃縮裝置, thickener]                     액체 속에 분산·혼합되어 있는 소량의 고체 입자를 중력 작용으로 침강시켜 고농도의 슬러지(sludge)를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즉 침강농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공업적 장치. 시크너라고도 한다. 대량의 고체혼합액을 고액분리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특히 청징액(supernatant; 상등액)을 얻기 위한 목적일 때에는 클래리파이어(clarifier;청징기)라 하여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화학반응에 따른 생성입자 및 추출 후의 고체분리세정에는 연속향류세정(連續向流洗淨) 시크너가 사용된다. 상하수·배수·화학공업·광업 등의 프로세스 고액분리장치로서 사용된다.

9871              침강 부유선별[沈降浮遊選別, precipitation flotation]                    부상 분리법의 일종. 배수중의 중금속 이온을 적당한 침전제로 침전시키고, 이를 부상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법. 카드뮴 이온을 황화물로서 침전시켜 양이온 계면 활성제의 일종인 옥타데실아만 초산염을 가하여 부상 분리하는 것 등이 이러한 예이다.

9872              침강 분리[沈降分離, settling separation]                     배수(排水)에 포함된 고형물질 또는 부유물질을 분리하는 고액분리(固液分離)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 물속의 단일입자가 중력을 받아 침강할 때 그 속도는 초기에 점차 가속되다가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이 발생하여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과 저항력이 같아진 시점에서부터 일정한 속도로 침강하게 된다. 이 속도를 입자의 침강속도라고 한다. 예를 들면 지름이 0.1, 0.01㎜인 미세한 모래의 침강속도는 각각 0.74/s, 0.07/s이고 지름이 0.01㎜ 이하인 모래는 침강분리법으로 분리하기 어렵다.

9873              침강 속도[沈降速度, settling velocity]                     (입자의) 단립자가 정수(靜水) 속을 중력의 작용을 받아 침강할 때, 처음은 가속도가 가해져 침강속도는 커지지만, 입자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력이 커져, 결국에는 양자의 힘이 균형을 이뤄 입자는 등속도로 침강한다. 이때의 일정속도를 말한다. 종말속도 또는 종속도라고도 한다. 구형 입자가 층류 속에서 운동할 때는 침강 속도는 스토크스 법칙에 따른다. 밀도        [kg/], 직경        [m]의 구형 입자가 밀도        [kg/], 점도 μ [kg/m · s]의 유체속도를 속도  u [m/s]로 운동할 때, 입자의 침강력        [kg/m/s²] 및 유체의 저항력 F [kgm/s²]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등속도 운동을 하게 되는 입자 침강의 종속도        는 다음 식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 이 법칙은 레이놀즈수 Re 1보다 작은 범위일 경우, 즉 유체의 점성 영향이 크고 속도가 작은 경우에 적용된다. 모래 입자와 콜로이드 입자의 침강 등을 취급할 때 유효한 식이다.

9874              침강[沈降, settling, sedimentation]             다량의 액체에 잘 혼합, 분산되어 있는 미세한 분말이 중력의 작용으로 점차 가라앉으며 액체의 윗부분이 묽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입자의 농도에 따라 자중 (自重) 침강, 간섭 침강, 압축 침강(압밀)이 있고, 침강 속도를 촉진시키는 데 응집제를 첨가해서 하는 응집 침강도 있다.

9875              침강성 물질[沈降性 物質]          배수 중에 포함되는 고형 물질의 일종으로서 공장배수법에서는 검수를 30분간 방치했을 때 침강하는 물질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침강성 물질(ppm)은 침강 이전의 현탁 물질(ppm)에서 침강 후의 윗물 중의 현탁 물질을 빼고 구한다.

9876              침강성 역전층[沈降性逆轉層]                    고기압권 내에서는 공기가 주위로 유출되기 때문에 상공의 공기가 침강한다. 이 하강 공기가 단열압축을 받아 그 아래쪽의 층보다도 따뜻한 공기의 층을 만들게 되는데 이를 침강성 역전층이라 한다.

9877              침강역전[沈降逆轉, subsidence inversion]                     고기압의 중심부로부터 공기가 사방으로 확산되므로 이를 메꾸기 위하여 상공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고기압의 중심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기는 단열압축(斷熱壓縮)되어서 온도가 상승되고, 하층의 공기보다 고온이 되어 역전층(逆轉層)이 생기는데 이를 침강성 역전이라 한다. 이는 지상 500~1,000m 부근에서 생기며 밤과 낮의 구별이 없으며 계속 지속되기 쉽다.  방사성역전(放射性逆轉), → 지형성역전(地形性逆轉).

9878              침강제(deposited matter)           공기중에 빠르게 침강하는 입자성 물질

9879              침루 (percolation)                    물이 토양면을 통해 토양속으로 스며들면 중력의 영향 대문에 계속 지하로 이동하여 포화대까지 도달하게 되는 현상으로 침투된 뒤 흙속에서 물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 일반적으로 그 양은 겨울에 가장 많고 여름에는 거의 없다.

9880              침묵의 봄                   미국 해양 생물학자이며 작가인 레이첼 카슨(1907~64)의 대표 저서. 미국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유기염소계 농약인 DDT, BHC, 드린계 농약의 무서움이 과학적이며 감성 풍부한 필치로 묘사되어 자연보호와 환경보전의 중요함을 인류에게  인식시킨 선구적 저작으로서 큰 의의를 갖는다. 농약이 환경속에 어떻게  확산되는가, 이동을 제어할 수 없다는 것, 잔류농약은 동물조직에 축적되고  식물 연쇄에 의해 그 피해를 확대해 간다는 것, 발암성 물질은 다음 세대에게도 피해를 준다는 것 등, 인류가 잘못된 삶의 방식을 취하였을 때 멸망의 미래를 피할 수 없다는 예고를 하고 있다.        당시 카슨 자신이 암으로 임종이 다가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주민이나 학자의 지지 및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수많은 주 의회가 유기 염소계 농약 규제를 결의하였고, 1963년에는 대통령 과학 고문위원회가 『농약에 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 카슨이론의 정당성을 입증하였다. 그 바로 다음 해인 1964, 카슨은 사망하였다.

9881              침묵의 봄                   미국 해양 생물학자이며 작가인 레이첼 카슨(1907∼64)의 대표 저서.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다. 유기염소계 농약인 DDT, BHC, 드린계 농약의 무서움이 과학적이며 감성 풍부한 필치로 묘사되어 자연보호와 환경보전의 중요함을 인류에게 인식시킨 선구적 저작으로서 큰 의의가 있다. 농약이 환경 속에 어떻게 확산되는가, 이동을 제어할 수 없다는 것, 잔류농약이 동물조직에 축적되고 식물 연쇄 작용으로 그 피해가 확대된다는 것, 발암성 물질은 다음 세대에게도 피해를 준다는 것 등 인류가 잘못된 삶의 방식을 취하였을 때 멸망을 피할 수 없다고 예고하고 있다. 당시 카슨은 자신이 암으로 죽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주민·학자 및 여론의 지지 속에 수많은 주 의회가 유기염소계 농약 사용 규제를 결의하였고, 1963년에는 대통령 과학고문위원회가 「농약에 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여 카슨 이론의 정당성을 입증하였다. 카슨은 바로 다음해인 1964년 사망하였다.

9882              침사지            정수장 처리공정의 최초에 자리잡고 있는 수조. 하천물에서 상수원수를 취수할 경우, 토사가 함께 섞여 들어온다. 강에서 착수조로 들어온 원수는 우선 침사지에 옮겨져 가라앉기 쉬운 토사부터 제거하게 된다.

9883              침사지(沈砂池)             정수장 처리공정의 최초에 자리잡고 있는 수조. 하천물에서 상수원수를 취수할 경우, 토사가 함께 섞여 들어온다. 강에서 착수조로 들어온 원수는 우선 침사지에 옮겨져 가라앉기 쉬운 토사부터 제거하게 된다.

9884              침사지[沈砂池,  sedimentation basin]                     배수(排水)할 때 물길을 따라 떠내려가는 모래·자갈 등이 수로를 막지 않도록 여러 군데에 만든 웅덩이. 사방공사에서는 물길로 흘러내리는 모래와 흙을 막기 위해 설치한다. 모래·자갈이 침전할 때 유기물이 함께 침전하면 악취를 풍기므로 유기물질이 침전되지 않을 정도의 유속(流速)을 유지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속은 0.15∼0.3m/s가 적당하다.

9885              침식 [侵蝕, erosion]                  유체의 급속한 흐름과 충격에 의해 또는 토사 등이 혼입하고 있을 때, 금속이나 제방 등의 물체 표면이 점차 깎여 소모되는 현상이다.

9886              침식성 유리 탄소[浸蝕性遊離炭素, aggressive free carbon dioxide]              종속성 유리탄산 이외의 유리탄산을 말하며 침식성 작용을 한다. 이것이 많으면 철관에 녹이 발생한다.

9887              침염[浸染, dip dyeing]               섬유 또는 섬유제품을 염액(染液)에 담가 무늬 없이 물들이는 염색법이다. 화려한 채색으로 여러 가지 무늬를 선명하게 염색하거나 자잘한 무늬를 염색하기 위하여 칠하거나 판박이 또는 문지르는 염색방법과 달리, 염색하려는 대상물을 염액에 담가 염색하는 방법이다. 직물을 짜기 위한 실 염색은 대부분 이 방법을 사용한다. 염료를 끓이거나 뜨거운 물을 부어 색소를 우려낸 액체에 담그는 방법이 널리 쓰인다. 염료에 따라서는 가열하지 않고 물 속에서 물리적으로 염료를 우려내어 만든 염액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염료 자체만으로 염색되지 않을 때에는 철염·타닌·알루미늄염 등의 매염제를 이용하는데, 염액에 담그기 전에 피염물에 매염제를 침투시켜 놓는 선매염(先媒染)과 염료에 적신 뒤 매염제를 쓰는 후매염(後媒染)방법이 있다. 염료를 잘 녹이고 발색을 좋게 하는 산이나 알칼리 등의 조제(助劑)는 양이 많은 염액에 타서 이용한다. 화학염료와 달리 미리 염료를 섞을 수 없는 천연염료로 원하는 색을 내기 위해서는 한 번에 한 가지씩 여러 번 거듭하여 염색하여야 한다. 무늬모양 염색일 경우 이 과정에서 홀치기··밀 등 방염법(防染法)을 적절하게 쓰면 여러 색을 곱게 물들일 수 있다. 2장의 널판지 사이에 천이나 실을 끼워 물들이는 경우 피염물을 끼운 형판(型板)을 염액에 담그는 대신 염액을 붓는 주염(注染)방식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 역시 침염법의 일종이다.

9888              침입해충[侵入害蟲, exotic insect pest]                     타지역에서 침입한 해충, 토착해충, 외래해충이라고도 한다.  때때로 원산지에서의 천적과 관계 없이 새로운 지역으로부터 침입함으로 인해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식할 때가 있다.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그 원산지부터 천적을 도입하는 생물적 방제가 과거에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9889              침전 적정[沈澱滴定, precipitation titration]                     조작이 비교적 간단하며, 신속히 정량할 수 있지만 반응의 종점을 확인하는 방법이 적기 때문에 이용되는 침전반응은 한정되어 있다. 표준액으로서 AgNO₃, NaCl,        (티오시안암모늄) 또는 KSCN (티오시안산칼륨)을 사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분석 원소는 거의 할로겐 원소로 한정되어 있다.

9890              침전[沈澱, precipitation]            액체 속에 존재하는 고체 입자가 액체 바닥에 침적(沈積)하는 현상. 화학적으로는 액체 속에서 화학변화가 일어나 생긴 생성물이나 용액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그 용액 속에 용해도 이상으로 존재하고 있던 용질이 세립상이나 콜로이드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생기는 고체상의 물질을 침전물이라 한다. 침전생성법은 물질의 분리와 정량(定量)분석에 이용되며, 중량분석·용량분석(침전적정현미경분석 등에도 이용된다. 또한 황화수소법에 의한 침전 생성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침전 생성에는 목적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른데, 균일(均一)침전 등도 그 하나이다.

9891              침전막[沈澱膜, precipitation membrane]                     두 용액의 접촉면(接觸面)에 생성된 침전에 의해 만들어진 막(), 반투명막으로서 사용되며 주로 구리, 니켈, 코발트 등의 페로시안화물 및 규산니켈, 올레인산니켈 등이 사용된다.

9892              침전물 [沈澱物, sediment, precipitation]                     시수(試水)를 일정시간 (보통 30분간) 정치시켰을 경우에 침전되는 물질을 말한다.

9893              침전법[沈澱法, precipitation method]                     원수(原水) 중의 현탁물질을 침전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이다.  침전법에는 보통침전 또는 자연침전으로서 수중의 부유물질을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침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응집제를 가해서 플록을 만들어서 침강속도를 향상시켜 침강분리하는 응집침전법이 있다. 같은 입자일지라도 입자의 밀도가 물보다 적을 때나, 밀도는 물보다 크다 해도 그 차이가 적을 때는 부상분리법이 적용된다.

9894              침전용량[沈澱容量, sludge volume : SV]                     활성오니법에 있어서, 폭기조의 액 1ℓ를 채취하여 30분간 방치· 침전시킨 오니의 용량을 ㎖로 표시한 값을 말한다. 이 값이 크면 벌킹(Bulking)이 일어나기 쉽다.

9895              침전조 [沈澱槽, precipitation tank]             침전시키는 조(). 침전지가 소형인 것을 말하며,  조가 크면 침전지라고 한다. 침전조를 소형화하려면 응집제를 가하여 액중 부유물을 응집시켜 침전시킨다.

9896              침전지[沈澱地, sedimentation basin]                     물질(고체)과 물(액체)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한 못. 물보다 밀도가 큰 물체(입자 등)가 중력의 작용을 받아 물 속으로 침강하는 점을 이용한다.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한쪽 끝에서 원액을 유입시키고 다른 쪽의 수면에서 청징액(淸澄液), 바닥에서는 침전물을 얻는다. 침전지의 내부에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침전효율을 높이는 정류장치(整流裝置), 침전물의 농후화와 배출을 쉽게하는 배니장치(排泥裝置), 침강속도를 빠르게하는 응집장치(凝集裝置)등을 설치한다. 용배수처리(用排水處理화학공업·요업·광업 등의 시설 일부로서 널리 이용된다. 침전지의 종류로는 원수(原水)를 느린 속도로 흐르게 하는 상류식(常流式)과 일정한 시간 정지 상태로 두는 단류식(간헐식)이 있다. 침전지 안의 배수 평균 유속은 30~40/min 정도가 효과적이며, SS제거율은 45~50, BOD 제거율은 25~35% 정도이다.

9897              침전지의 오니 제거장치[沈澱池 - 汚泥 除去裝置]           침전지 내의 오니 제거장치의 설치는 오니 제거에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대형 침전지의 경우는 링크벨트식을 사용하며, 포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저부에        의 테이퍼로 설치한다.

9898              침출수 [浸出液, leachate]          쓰레기가 썩은 물로 쓰레기 매립장에서 흘러내리는 더러운 물을 말한다.  침출수는 유기물 부하가 매우 높아 적정 처리하지 않으면 인근지역의 농작물 등에 피해를 준다.  침출수 발생은 강우량, 매립장 면적 등 매립장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강우량의 20-30% 발생된다.  침출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매립지 사용기간과 쓰레기 특성에 따라 다르나 5-3ppm에 달하며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수도권 매립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온 침출수 문제가 심각하게 지적되어왔다. 하루 4-4500t씩 발생하는 침출수는 매립지내 정화처리장에서 처리하기에는 너무 양이 많아 처리장 바로 옆에 있는 저류조를 거쳐 처리된다.  장마철에 집중 강우로 저류조의 침출수 수위가 올라갈 경우 제방 붕괴 등 환경 사고를 일으킬 우려도 제기된다.  오염농도가 높아 처리에도 한계가 있는 침출수는 매립가스, 복토되지 않은 쓰레기 등과 뒤엉켜 심한 악취를 내뿜고 있어 인근 주민들에게 고통을 주고 있다.   침출수원은 1) 폐기물 보유수 (간격수등)   2) 강우등 기상조건의 물  3) 지하수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폐기물보유수에 대해서는 발생수량은 비교적 적어 무시되고 오히려 수질면에 대한 영향이 크다. 침출수량은 강수의 영향이 대단히 크며, 침출수량의 산출은 아래식으로 구한다.        Q: 침출오수량(/day),   I : 년평균의 일일강수량(/day),   C : 유출계수,   A : 매립지내의 매립면적()        유출계수는 매립지의 형상에 따라 크게 변한다. 침출수의 수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1) 매립폐기물의 종류와 매립량   2) 강수량 3) 매립방법  4) 매립년수  5) 매립지 지형이다.

9899              침투능 ( 浸透能 infiltration capacit )                     지표에 공급된 물이 단위 시간에 지층으로 침투하는 비를 침투도(浸透度)라 하고, 그 토지의 최대 침투도를 침투능이라 한다.

9900              침투수/유입수              외부로부터 침투 및 유입되는 물로서 토양과 지하수 오염의 주원인이자 모든 수자원 오염의 원인이 되며, 지하수 침투에 의한 하수의 과잉 희석으로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발생시기 및 원인에 따라 지하수 침입수(GWI), 강우 침입수(RII), 건기 유입수(DWI), 강우 유입수(SWI) 등으로 나눌 수 있다.

https://smartstore.naver.com/smallme/products/5605946432

 

컬러링 스몰미빌딩 (20개 도시 세트) 미술교육. 창의력 발달. 해외여행. 창의력교육. 색칠공부, :

[스몰미 와 아트리트] 나만의 작은 나. 스몰미, 색다른 자기표현. smallME.

smartstore.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