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1901-2000

by 리치캣 2023. 1. 5.
728x90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1901-2000

번호                  용어                  해설

1901              급수설비                     수도사업자가 일반 수요자에게 원수나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배수관으로부터 분기(分岐)하여 설치된 급수관(옥내급수관을 포함한다)ㆍ계량기ㆍ저수조(貯水槽)ㆍ수도꼭지, 그 밖에 급수를 위하여 필요한 기구(器具)

1902              급수여과기 [給水濾過器]           수증기가 응축기에서 냉각되어 물이 된것을 다시 기관(汽罐)에 급수하기 위하여 물을 맑고 깨끗하게 여과하는 장치.

1903              급수연화정치 [-軟化裝置]          급수할 물에 화학약품을 넣어 연화(軟化)를 하는 장치

1904              급수장치 [給水裝置]                 수도사업자가 일반의 수요자에게 원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배수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급수관, 계량기, 저수로 수도권, 기타 급수에 관련된 기구를 말한다.

1905              급수펌프 [給水-, boiler feed pump]                     보일러나 급수를 보일러 내에 보내는 펌프로, 보일러 압력에 의해 높은 압력이 나오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규칙에 의하면 보일러의 최대 증발량 이상을 보낼 수 있는 펌프를 2대 이상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연속운전을 행하는 펌프로서 토출량(土出量)이 극단적으로 적어지면 수온이 상승하고 열의 의한 뒤틀림이 일어나며, 증기를 발생시켜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 또는 연소 흔적 등이 남을 수 있으므로 과열방지대책이 필요하다. 형식으로서는 증기 구동식의 왕복동식 펌프, 플랜져 펌프, 인젝터, 터빈 펌프 등이 있으나, 보통 전동의 다단 터빈 펌프(multistage pump)가 쓰여진다.

1906              []            화학반응시에 분해하지 않고 한 개의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이동할 수 있는 원자의 집단을 말한다. 메틸기        , 아미노기        , 수산기 -OH, 아세틸기        , 이 가운데 이온으로 되는 경향이 있는 것, 이를테면 NaOH -        등을 특히 근()이라 불러 구별하는 일도 있다. () 가운데의 어떤 것은 이온이 되지 않고 유리기로서 분리하는 일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를 R로서 또 양성기(금속성기) M으로, 음성기(산기) X로 표시하는 수가 있다.

1907              기계교반법 (High rate aeration process)                     오수를 기계력을 이용하여 교반하는 방법으로서 폭기나 floatation에 쓰인다. 종축회전식과 횡축회전식으로 나누며, 전자에는 액면 부근에서 날개를 회전시켜 교반하고 파장을 일으켜서 공기를 오수 중에 도입하는 것, 조의 저부에 있는 터빈의 회전과 송기에 의한 것, 관정부의 회전날개에 의해서 오수를 순환 시키는 것 등이 있다.

1908              기계식 수집차 [機械式收集車 machinery collection vechile]                    수집차의 목적을 대별하면 폐기물 적재의 작업성, 안전성의 향상과 그 감용ㆍ압축성능에 의하여 적재효율의 향상이다. 이들의 목적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써 주류를 보이고 있는 압입, 압축장치를 부착하고 있는 전용차가 기계식 수집차이다. 다른 이름으로 Packer라고 불려지고 있다. 최근의 경향으로서는 에너지 절약, 저소음 차량이 보급되고 있다. 압입식(회전판식, 하적회전식), 압축판식, 컨테이너식이 있다.

1909              기계식배기조 [機械式排氣槽, mechanical aeration tank]              에어레이숀 탱크

1910              기계적 증기 재압축(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저압 증기나 배출스팀을 터보 압축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고압으로 높여 증발 기내에 있는 잡열을 재 사용하는 방법 저압증기나 배출스팀을 분사기를 통해 고압증기와 혼합시켜 보다높은 고압증기로 만드는 비슷한 방법을 열압축이라 정의한다

1911              기계적 탈기법 (Mechanical deaeration method)          보일러등의 급수중에 용존하고 있는 산소나 탄산가스를 제거하고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급수를 탈기기내에 살포시키고, 100℃로 가열해서 용존가스를 분리시킨 가열식과 충진물 등을 넣은 조내로 급수를 살포 시키고, 높은 진공상태로 하여 급수의 비등에 의한 용존가스를 조외로 배출시킨 진공식이 있다.

1912              기계적 통풍 (Mechanical draft)                 화로내의 통풍은 굴뚝을 통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소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입 송풍기나 흡인 송풍기를 사용해서 강제적 통풍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통풍은 다음과 같이 대략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압입 송풍기로 굴뚝에 통풍하는 경우를 압입통풍, (2) 흡인 송풍기로 굴뚝에 송풍하는 경우가 흡인 통풍, (3) 압입 송풍기와 흡인 송풍기를 사용하여 굴뚝에 송풍하는 경우를 평형 통풍이라고 한다.

1913              기계적 폐기물 처리시설            폐기물 중간처리시설로 압축시설(동력 10마력 이상), 파쇄·분쇄 시설(동력 20마력 이상), 절단시설(동력 10마력 이상), 용융시설(동력 10마력 이상), 연료화시설, 증발·농축시설, 정제시설, 유수 분리시설, 탈수·건조 시설, 멸균·분쇄 시설을 포함한다.

1914              기계화농업                  농업 기계를 행하는 농업. 기계화된 농업은작업능률을 올려 노동량을 경감시키고심경이 가능하여 토지당 생산성이 높아지며수확물의 양 및 질 향상을 꾀할 목적을 갖는다. 한국 및 아시아 지역, 3세계 농업지역에서는 소규모 기계화 농업을 하고 있어 미국의 대규모 기계화 농업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1915              기고비 [氣固比]            가압 부상법의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기고비와 현탁물질 농도와의 관계를 미리 구하면 편리함. 부상 분리해야 할 현탁물질량을 S[g], 발생하는 기포량을 A[g]이라고 하면, A/S가 기고비임.⇒부상 분리장치,⇒현탁질.

1916              기공율 (Porosity)          다공질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기질과 그 고체내에 존재하는 공극 즉기공(Pore)과의 용적비를 말한다.

1917              기관차정비공장폐수 [機關車整備工場廢水]                     정비공장에서 기관차를 분해하여 그 부품을 가성 소다 용액으로 세정, 세수할 때 발생되는 폐수. 강알카리성으로 pH9.5~11. 120~130ppm의 유류가 함유됨.

1918              기기분석 [機器分析, instrumental analysis]                     분석정도가 높아 비교적 신속한 분석이 가능함. 공해의 조사, 연구, 방지에는 기기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1919              기내배양                     인공배양기를 사용하여 유기체를 기르는 방법이다. 생물체에서 끄집어낸 물질을 체외에서 재현시키기 위한 배양으로 체외배양이라고도 한다.

1920              기능성식품                  생체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식품. 식품이 생체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은 생체방어, 생체리듬 조달 등 다섯가지로 이에 상당하는 기능성 식품을 상정할 수 있다. 동맥경화 방지, 칼슘 흡수촉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에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에 가열, 가압, 탈수, 산소 반응 등 조작을 하거나 바이오테크놀로지로 가공하여 기능성을 높여 만든다.

1921              기단               기단(氣團)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광대한 범위에 걸쳐서, 기온·수증기량이 똑같은 공기의 덩어리를 기단이라고 한다. 기온이 낮은 기단을 한랭기단, 기온이 높은 기단을 온난기단이라 한다.

1922              기단(氣團)의 변질                    대륙에서 발현되는 한랭/건조한 기단(예를 들어 한국 부근에서는 시베리아 기단)이 대륙으로부터 동해로 다가오면, 밑의 해면으로부터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아 급격하게 변한다. 즉 온도가 상승하며 수증기 함유량이 증가해 구름이 형성되고, 기단은 점차 불안정해진다. 또한 태평양 쪽으로 나온 기단은 수증기량이 적은 건조한 기단으로 바뀌어 태평양 쪽에 건조한 날씨를 가져온다. 한편 한국은 서고동저의 기압배치로 한랭건조한 북서계절풍이 나타나고, 시베리아 기단의 주기적 강약에 따라 삼한사온 현상이 나타난다. 또 한국 상공의 강한 제트류를 타고 북극지방의 한파가 기압골을 따라 밀려 내려가면 심한 한파현상이 나타난다.

1923              기류건조방식 [氣流乾燥方式), stream dry methods]                    함수 오니를 소각 처리하기 위해서는 건조 매체와 오니와의 열교환면적이 커야 한다. 이것을 최대한 응용화한 것이 기류건조 장치부 소각로이다. 이것은 건조 오니와 필요한 조연량을 연소시켜서 발생시킨 고온 가스를 회전 충격식 분쇄기에 도입하고, 습윤 오니와 건조 오니의 혼합물을 공급하여 순간적으로 건조를 시키는 것이다. 건조된 오니를 사이클론 등으로 포집해서 일부는 혼합용으로 쓰고, 나머지를 소각로에서 소각시키는 방법이다.

1924              기류수송식흡수탑 [氣流輸送式吸水搭]                     활성산화 망간법.

1925              기름 [-, oil]                 석유사업법에서 정하는 원유(原油) 및 석유제품(石油가스를 제외한다)이 함유하는 유성혼합물을 말한다.

1926              기름오염                     육상에서는 주로 가솔린, 등유, 윤할유가 상수원으로 유입되거나 토양을 거쳐 지하수로 침투함으로써 땅을 오염시키므로 상수유입구 등을 항상 감시해야 한다. 그리고 석유에 의한 해양오염은 유출량이 많고 전 해양적인 넓이를 갖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석유의 대량유출은 유조선 사고, 해저유전의 유정 사고, 연안 저유시설의 사고등의 원인이 된다.

1927              기름유출[oil spill]                     유조선사고로 기름이 유출되거나, 고의로 방출하는 것. 1967년 이래 세계적으로 주요 기름유출사고(2,000톤 이상 유출)는 약 50건이 된다. 그 대표적인 기름유출사고는 1967 3 18일 토레이 캐년호가 Sevenstones에서 좌초되어 약 80,000톤의 기름이 유출되어, 영국의 코링윌, 콘윌, 센트아이브스 지방의 연안 1,000마일에 확산되어 2,100명의 군 · 민이 정화에 참여 했고 프랑스는 브르다뉴 지방 150마일에 걸친 기름오염으로 3,000명의 군 · 민이 참여했다. 1974 12 18일 일본 수도의 임해공업단지에 있는 어느 정유공장에서 약 45,000톤의 기름이 유출되어 23만여명의 인원이 복구에 동원되었다. 1989 3 24일 원유 120만 배럴을 실은 액손발데즈호가 알래스카 연안에서 좌초되어 약 25만 배럴의 원유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200Km 이상의 연안을 오염시켜 습지나 바다 새, 해양동물 등 생태계에 사상 최대의 피해를 초래했다. 항구일대의 물개 13%, 바다수달 28%, 10만 내지 64 5천 마리의 바다 새가 죽었다. 복구작업에 고용된 인원 15,000명이 6개월간 열악한 환경여건에서 고초를 겪었다.

1928              기름종개                     분포, 생육지 : 한반도(낙동강, 형산강)         형태 특성 : 몸 길이는 15cm이고 몸은 옆으로 납작하면서 길다. 특히 두 눈 사이가 아주 좁고, 비늘은 작으며 피부에 묻혀 있으나,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생태 특성 : 서식지는 하천의 중류나 상류의 모래가 깔린 곳으로 부착조류와 작은 절지동물을 먹고 산다. 산란은 5~6월에 한다.       특이사항 : 하천 중ㆍ상류의 모래가 깔린 곳에 서식하며, 부착 조류와 작은 수서 곤충을 먹는다. 산란기는 5~6월이다.

1929              기름처리제 (Cavitation)             유출된 기름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이다.        기름 분산제(oil dispersant, 유출유 분산제라고도 한다.)를 주로 하여, 기름 침강제, 집유제, 겔화제, 선박용품으로서 규격화된 분화분상형의 기름 분산제가 있다. 보통 계면활성제를 파라핀계용제 등에 녹이지만, 개중에는 물에 녹이는 것도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 끝에 붙은 친유기와 친구기가 물과 기름에 결합하여 물중에 유막을 분산시킨다.        추기에는 어독성이 나타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 되었지만, 1971년에 일어난 쥴리아나호의 기름유출사건 이후 규격화가 진행되어 저독성이 강조된 후 비이온계의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트르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으로 조합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1930              기름흡착제 (Oil absorbent)                       기름오염에 의한 피해의 확대를 막기 위하여 기름을 회수할 때 쓰이는 것으로 크기 약 50cm×50cm, 두께 약 1cm의 폴리우레탄이나 우레탄 foam 등의 재료로 만든 것이다.        이것을 유면에 떨어뜨려서 표층의 기름을 흡수 시킨다. 두꺼운 유흡착에는 충분한 효과가 없다. 또 기름을 흡착한 매트는 해상에 확산되기 쉽고, 쓰레기나 모래를 포함하는 기름을 흡착한 매트는 해저에 침하되거나 회수가 곤란하게 된다. 기름의 화학적 처리가 불가능할 경우에 많이 쓰인다.

1931              기문 저항 (Stomatal resistance)                식물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나 이산화탄소가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엽육세포 표면과 잎 표면에 대상물질의 농도차를 확산속도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주로 기공이 열리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수증기의 경우 기공이 열린 상태에서는 1∼2 s/㎝의 값을 보인다. 분자의 확산속도는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비례하므로, 이산화탄소의 1.56배가 된다.

1932              기밀용기 [機密容器]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뜻함.

1933              기반장치 [基盤裝置, aerator]                     기반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장치. 물을 공기 중에 살포하는 방식과, 수중에 공기를 불어 넣는 방식의 두가지가 있음. 전자에는 스프레이형, 가스켓형, 플레트형등이 있고, 후자에는 공기 확산형, 합력식형 등이 있음. 스프레이형으로 탄산 가스를 포함한 배수를 처리하면 가스의 70~80%가 공중에 방산되어 제거됨.

1934              기본배출부과금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황산화물, 먼지)의 배출량 및 배출농도 등에 따라 부과하는 금액*(2)       * 기준이내 배출량() × 오염물질 1㎏당 부과금액(황산화물 500, 먼지 770) × 연도별 부과금 산정지수 × 지역별 부과계수 × 농도별 부과계수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황산화물, 먼지)의 배출량 및 배출농도 등에 따라 부과하는 금액*(2)       * 기준이내 배출량() × 오염물질 1㎏당 부과금액(황산화물 500, 먼지 770) × 연도별 부과금 산정지수 × 지역별 부과계수 × 농도별 부과계수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황산화물, 먼지)의 배출량 및 배출농도 등에 따라 부과하는 금액*(2)       * 기준이내 배출량() × 오염물질 1㎏당 부과금액(황산화물 500, 먼지 770) × 연도별 부과금 산정지수 × 지역별 부과계수 × 농도별 부과계수

1935              기본진동 [基本振動, fundamental motion]                     m개의 질점을 가진 기본 진동계에서 m-1개의 질점을 고정했을 때 남은 1개의 질점의 자유진동을 고유진동이라고 함. m개의 질점계에서는 m개의 고유 진동을 가짐. 이 가운데 최소의 고유 진동을 기본 진동이라고 함. 음향공학에서는 주파수가 다른 순음이 다수 모인 복합음인 경우, 그 최저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가 되며, 이음이 기계의 기본 진동에 상당함.

1936              기상관측 표준화법                   기상관측의 원칙, 관측에 사용되는 측기 취급법, 관측 순서, 관측값의 정리와 보고 방법 등 관측에 필요한 사항을 간추려서 정리한 지도서로 관측지침이라고도 한다. 기상관측법은 국제적으로 통일된 것이어야 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세계기상기구(WMO)의 지침에 따라 기상청에서 지상기상관측지침, 고층기상관측지침 등을 발행하여 기상관측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1937              기상업무 [氣象業務]                 기상, 지상 및 수상(이하기상등이라 한다)의 관측, 기상등에 관한 예보와의 자료수집, 통계, 조사, 분석, 연구 및 이들의 부대업무를 말함.

1938             기상연소 [氣相燃燒 gas-phase combustion]                     연료 및 산화제(酸化劑: 통상적으로 공기)가 기체상태로 일으키는 연소를 말한다. 기체연료는 물론, 액체 및 고체연료는 함유 성분의 대부분이 증발 혹은 분해하여 기체로 연소하는 것이 많다. 기상연소는 크게 나누어 예혼합기체연소와 확산연소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사전에 연료와 산화제를 혼합하여 가연혼합기체를 만들어 연소를 시키는 것으로 반응속도를 율속시키는 연소로 단위용적당 연소율이 높지만, 역화의 위험이 있어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소형 가스연소기에 이용된다. 한편 확산연소는 연료와 산화제를 별도로 뿜어내 연소실에서 혼합시키면서 연소를 시키는 것으로써, 액체ㆍ고체연료에 있어서 기상반응은 거의 이 형태이다. 확산속도가 율속으로써 높은 연소율을 얻기 위해서는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을 양호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예혼합기체와 확산연소의 중간에 소량의 산화제를 예혼합시켜 본질적으로는 확산연소를 시키는 부분예혼합연소이다. 흐름의 상태로부터 층류난류로 분류된다. 공업적 연소에는 일반적으로 흐름 중에 조그만 회오리에 의하여 혼합이 활발한 난류상태가 일어난다.

1939              기상위성                     기상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 정지위성과 극 궤도 위성이 있으며, 가시 및 적외주사 방사계에 의해 구름의 분포·높이·움직임, 해수, 바람, 기온, 해면수온이 밝혀진다. 위성에 따라서는 기온이나 수증기의 입체적 분포, 탄산가스 농도 등도 관측된다.

1940              기상위성 (Meteorological satellite)             기상관측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으로 극궤도를 취하는 것과 정지궤도를 취하는 것과의 2동이 있다.        다목적 위성 기능의 하나로서 기상관측을 행하는 것(예를 들면 인도의 INSAT(통신ㆍ방송ㆍ기상))도 있다. 극궤도 기상위성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이 TIROS(Television and Infrared Observation Satellite)를 기상실험 위성으로 쏘아 올려서, TV 카메라로 관측한 구름의 화상으로부터 상당히 유용한 기상정보가 얻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개량형의 ESSA(Environmental Survey Satellite)로서 실용화에 들어갔으며, NOAA(ITOS : Improve TIROS Operation Satellite), NOAA(TIROS-N )을 거쳐서 현재에 이르렀다. 또 소련도 약간 늦게 기상실험 위성 COSMOS 시리즈를 거쳐서 1969년 이후 METEOR 시리즈에 의해 실용화 되었다.        한편 정지기상 위성은 극궤도 위성으로부터 약간 늦은 1974년부터 미국의 GOES, European Space Agency (ESA) METEOSAT, 일본의 GMS(Geo 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해바라기)가 각각 실용단계에 들어갔다. 이들의 위성의 전개는 WMO(세계기상기관) TIROS의 유용성을 근거로 1963년에 세워진 전지구 기상위성 관측망의 기본구상에 의한 것으로서, 2개의 극궤도 위성과 5개의 정지위성으로 된 것이다.        1984년 현재에는 소련의 정지기상 위성 이외는 모두 이 계획에 따라서 운용 중에 있다. GMS 해바라기는 4개의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1) 가시ㆍ적외 방사계에 의한 주야의 구름분포, 해면수온, 구름의 정상고도 등의 지구의 관측, 2) 상관측자료 전송 중계, 3) 위성에서 관측한 구름 사진의 모사전송 중계 및 4) 태양으로부터 방사되는 태양입자(전자, 양자, 알파입자 등)의 관측이다. 기상위성의 관측자료에 의하면 매일의 일기예보를 시작으로 장기예보나 해황정보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태풍ㆍ호우ㆍ호설 등 큰 기상재해에 연결된 기상의 예보, 경보가 신속하게 되며, 우주의 기상대로서 재해의 방지, 경감에 큰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1941              기상측기반 [氣象測器盤]           대기오염측정의 보조용으로서 풍향, 풍속, 온도, 습도 등의 네가지 요소를 일관 측정함. 또한 필요에 따라 텔레미터에서 발신하고, 자동 기록하는 측기반임. 풍향, 풍속계 외에 온도의 계측에는 백금 저항온도계를, 습도의 계측에는 모발습도계를 설치함. 풍향은 16방위(평균), 풍속은 0~10m/s(평균), 온도는 -20~40℃, 습도는 0~100%(상대습도)의 측정이 가능하고 사용 전원은 교류 100±10V, 50~60Hz±2Hz)가 사용됨.

1942              기상학 [氣象學, meteorology]                   대기중의 현상을 연구하는 지구물리학의 한 분야로서 기상현상을 이론적으로 취급하는 이론기상학(기상역학을 주로 한다), 천기도의 해석을 주로 하는 총관기상학, 강우기구나 비, 눈 등에 관한 물리를 취급하는 물리기상학 외에 대기 중의 광학현상을 취급하는 기상광학, 음의 이상전월 등을 취급하는 응용기상학 등이 있다.

1943              기생 [-, parasitism]                   그 종생물관계중 일방의 생물이 타방의 생물체내에 들어가거나 체표에 부착하던가해서 영향물을 취급하고, 타방의 생물 일방적으로 의존생활하는 것을 말함.

1944              기생진동 [寄生振動, parasitic oscillation]                     발진기나 증폭기가 예정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로 발진하는 진동을 말한다. 두개 이상의 진공관 또는 트랜지스터를 작용시킬 때에 특히 일어나기 쉽다.

1945              기수 [汽水 brackish water]                       하천과 담수와 해수가 혼합된 수역의 물로, 사막지대의 지하나 해변등지에서 발견되는 고농도의 염분이 함유되어 탈염처리를 하지 않으면 음용할 수 없는 물. 기수의 중등도 염분 농도는 500~18,700 mg/L (미국 육군규격 환경기술용어)이나,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쿠웨이트는 1987년 최초의 탈염처리시설을 건설하였으며 내륙 사막지대의 지하 대수층에서 취수한 기수의 염분 농도는 10,000 mg/L이었다.

1946              기수역            강물이 바다로 들어가 바닷물과 섞이는 곳으로 하구역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염분농도가 계절이나 강수량 등에 따라 0.5∼30%로 매우 크게 변화하여, 이러한 광범위한 염분농도에 적응할 수 있는 여러 생물들이 분포한다(보통 염도 0.5‰ 이하의 물은 담수, 30‰ 이상을 해수라고 한다).

1947              기술의 사전평가 [技術-事前評價, technology assessment]            〓 테크노로지 어시스먼트.

1948              기술장벽 협정             도쿄라운드에서 채택된 기술장벽협정(TBT)에서는 인간 및 동식물의 안전과 환경을 이유로 국제표준과 상이한 기술적 규제를 채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으며 환경이란 용어를 명시하고 있다. 게다가 이 협정에 대한 최근의 협정초안에서는 기술적 규제대상에 제품특성 뿐만 아니라 생산공정 및 방식도 포함시키고 있어 생산공정에 대한 기술규제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선진국이 수입상품에 대하여 높은 환경기준을 요구할 경우 환경관련 기술이 뒤진 개발도상국은 이를 맞추기 어려우므로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다. 상품의 기술교정, 기술명세에 대한 기준의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국가간의 상품이동에 대한 장애는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는 잠재적인 무역규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무역 규제적인 측면을 없애고 국제적인 표준화를 통하여 국제무역을 활성화하고 불필요한 국가간의 조절비용을 없애기 위한 것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이다. 이 협정의 내용은 표준화제도로서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 판정절차이며 지금까지는 생산된 최종제품에만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공정 및 생산방법 등에도 적용하는 품질보증체제를 중시하는 표준화제도가 공식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 공정 및 생산방법의 표준화에는 상품생산의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규제와 환경영향이 필수적으로 포함될 수밖에 없다. 기술장벽의 표준화작업은 현재 그린라운드의 중요한 내용을 차지하고 있는 ISO 18000(환경경영 시스템의 표준화 및 수명주기평가를 통한 환경성과검증), ISO 9000(품질 시스템 인증제도)의 근간이 되고 있다.

1949              기술평가 (TA: Technology Assessment)                     기술평가는 여러 가지 면에서 환경영향평가와 유사하다. 이는 특정한 공사보다는 새로운 기술이나 현존기술의 새로운 적용의 잠재적인 결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TA에서는 사회 및 환경영향에 관한 전분야를 포괄적으로 다루게 된다.

1950              기압 [-, amospheric pressure]                   대기의 압력. 한지점의 단위면적상에 연직으로 된 기주의 중량에 상당한다. 단위면적() 가하는 힘을 다윈(dyne)으로 표시한다. 단위에 상호관계는 1기압 1013.250mb=760mmHg이다. 기압은 고도와 함께 부수적으로 감소한다.

1951              기압경도력 (pressure gradient force)                     대기 중에서 두 지점 사이의 압력이 다를 때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즉 고기압에서 저기압 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기압경도는 기압의 거리에 대한 변화 비율(기압의 기울기)로 벡터이다. 따라서 방향과 크기가 있고, 그 크기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기압경도는 편의상 경도선의 길이에 대한 헥토파스칼로 나타낸다(1° 의 길이는 약 111 ). 그러나 보통 100 ㎞에 대한 hPa로 나타낸다. 수학에서는 경도의 방향을 말할 때 양이 작은 쪽으로부터 큰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정()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나, 기압경도의 경우에는 고기압으로부터 저기압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정으로 생각하는 일이 많다. 바람은 대체로 기압경도에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분다. 그 속도는 대체로 기압경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일기도 상에서 등압선 또는 등고선이 밀집되어 있는 곳은 기압경도가 큰 곳으로 바람도 강하다.

1952              기압급수 방식 (Pneumatic water supply system)           건물의 구조나 외관 등으로 고가 탱크가 설치될 수 없는 곳에 채용되어 지는 것으로, 기압급수탱크에 펌프로 물을 압입하고 압축시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높은 장소 까지 양수한다.        탱크내의 공기는 물에 녹아서 감소하고 압력이 저하되므로 공기압축기에 의해 때때로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소규모의 급수용으로 적합하다.

1953              기업 온실가스 배출정보 공개제도             기업이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시킨 온실가스 배출량과 종류 등 정보를 공개토록 하는 제도다. 현재 도입을 검토 중이며 공기업과 환경 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상장기업,전체 상장기업 순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전망이다.

1954              기업과 환경 보호 - 그린 마케팅 전략                     환경문제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등장함에 따라 상품명에그린’, ‘녹색’, 그리고환경을 보호하는과 같은 수식어를 붙인 환경 보전형 상품이 등장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절전 기능을 채택했거나 유해 전자파를 줄였다는 컴퓨터, 천연 암반 지하수로 만들었다는 맥주, 녹색 바람을 전한다는 에어컨, 천연 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수질을 보호한다는 세제, 유해 전자파 대신 건강에 이로운 음이온을 방출한다는 TV, 무공해 유기농법으로 생산했다는 쌀, 이 모든 것이 환경 보호를 내세운 상품 광고들이다. 물론 이들 상품중에는 광고 내용과 같은 것도 있겠고 그렇지 않은 상품도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 같은 광고를 심의, 규제할 법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들로서는 혼란을 겪을 때가 많다. 그런데 이 같은 상품의 환경 보전성 외에도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입할 때 참고할 사항이 하나 더 있다.        환경 상품도 환경 상품이지만 과연 그 기업이 환경 보전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느냐는 점이다. 환경 상품을 생산하면서 공해 물질을 내뿜는다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이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환경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홍보와 광고를 통해 자사의 사회적 이미지를 높이고 매출을 신장시키려는 것을 이른바그린 마케팅(Green Marketing)'이라고 한다. 그린마케팅은 환경문제에 대한 기업의 한 대응 방식이다.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업의 대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존의 사업 영역을 고수하면서 환경 문제에 대처하는방어적 대응과 기업이 환경문제에 대해 선도적 입장을 취하면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창조적 대응이 그것이다. 기업이 환경 문제를 창조적으로 대응할 경우 환경 문제는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그린 마케팅은 환경 문제를 능동적으로 대응해 기업의 사회적 기여를 높이고 매출 신장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환경문제에 대한창조적 대응인 셈이다. 세계 초일류 다국적 기업들이 기업 경영 방식을품질 경영에서환경 경영으로 바꾸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은 환경 문제가 기업 경영에서 얼마나 중요한 요인인가를 잘 말해 준다.        이러한 국제 환경 여건 변화에 따라 국내 대기업들도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이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는 않다. 주요 재벌 그룹 가운데 환경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그룹은 삼성, LG, 현대, 두산, 태평양 화학 정도이다.        국내 대기업 중에서는 페놀 유출 사고로 혼난 두산그룹이 1992 5깨끗한 환경 우리가 먼저라는 기치를 내걸고 환경 보전 강령을 채택한 바 있고, 삼성과 LG그룹 역시 환경 보전을 위한 노력을 다짐했다. LG화학은 그린제품 개발, 자원 재활용에 역점을 두고공해 없는 기업을 선언했다. 두산그룹은 1994 5월부터 그룹 내 30개 사업장을 환경 교육장으로 학생과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다. LG전자는 1994 4월 환경 선언 선포식을 갖고 청정연료 사용 확대, 전 사업장에 폐기물 소각로 설치, 산업폐기물 감량화 등의 구체적인 실천 지침을 밝혔다.        국내 제지 업체 가운데에서는 처음으로 한솔제지가 1993 7월 환경 헌장을 선포했다. 한솔제지는 오는 1997년까지 전 지종에 폐지를 30퍼센트 이상 배합해 쓴다는그린 530 계획을 환경 헌장에 명문화 시켰다. 대한항공 역시 1994 5환경과 항공의 조화라는 이념을 표방하고 기업 경영에 환경 보호 개념을 적극 도입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쌍방울도 1994 5월 환경 선언식을 갖고 국토 환경 보전에 앞장설 것을 결의했다.        최근 들어서는환경 기금을 적립하는 기업 역시 늘고 있다. 현재 환경 기금을 적립하고 있는 기업은 유한킴벌리, 풀무원, 엘지카드, 태평양화학 등이다.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운동을 전개해 온 유한 킴벌리는 1984년에 산림 자원 기금 5천만원을 산림청에 기탁한 것을 시작으로 환경 기금조성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육림 사업도 펼치고 있다.        식품업계 중에서는자연을 담는 큰 그릇이라는 기업 이미지를 내세우고 있는 풀무원이 1993년부터 전 제품의 포장지에지구 사랑마크를 부착하고 제품 판매액의 0.1퍼센트를 환경 보전 기금으로 조성하고 있다. 엘지카드 역시그린카드제도를 도입해 신용 판매액의 0.1퍼센트를 환경 보전 기금으로 조성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이처럼 환경에 많은 관심을 갖고 그린 마케팅 전략을 펴고 관련 분야 투자를 계속하는 것은 환경 문제가 기업의 사활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겠지만, 환경 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역시 중요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하나의 상품을 사더라도 이 상품을 만든 기업이 환경 문제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실천하는지 소비자들은 확인해 볼 일이다.

1955              기업내 벤처                기업이 종래와는 다른 시장에 진출하거나 새로운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을 목적으로 자사내에 설치하는 사업부 또는 그룹. '기업내의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 사업부제가 기존사업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데 비해 벤처 비즈니스(연구개발형 기업)의 정신을 대기업 내부에 불어넣음으로써 기업의 재생을 도모하는 전략으로,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사내에 벤처 그룹을 창설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실패한 예도 많으나 기업 내 벤처를 회사 전체의 성장을 북돋우는 원동력으로 만든 성공사례가 3M(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이다.

1956              기업에서의 환경문제                지금 인류는 깨끗한 환경을 삶의 기반으로 인식하고 환경보전을 위한 세계공동의 노력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은 세계경제발전에도 위협이 되고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각 나라의 당면한 사회적ㆍ경제적 과제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과제로 다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쾌적하고 풍요로운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인류의 여망에도 불구하고 대기와 수질, 토양과 해양에 공해오염이 확산되어 인간의 생존마저 어렵게 하는 상태까지 진전되고 있어, 대내적으로는 정부와 국민 그리고 기업이 다 함께, 대외적으로는 국제적 협력을 통한 지구차원의 환경대책이 요청되고 있으며 특히 이에 대한 기업의 역할과 참여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으로서도 지금까지 소홀히 해왔던 환경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실천해 나가야 할 때입니다. 국내외의 환경오염규제 강화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환경 규제는 점차 사전적규제로 변해가고 심지어는 국제협약을 통한 경제적 수단을 이용한 규제도 확대될 것이 확실시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업으로서는 환경투자를 언제까지나 비용으로만 인식할 수 없으며 환경오염규제만 만족시키는 소극적인 대응에서 탈피해야 할 것입니다. 환경오염문제를 기업이 앞장서서 선도적으로 이끌어가고 규제라는 제약조건을 신사업 창출의 기회로 삼아 추친해 나가는 창조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입니다.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환경 친화적인 환경적합제품을 생산하고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이윤을 남길 수 있도록 하며 적극적인 환경투자로 오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여건에 맞는 자연 보호 운동을 지역주민과 더불어 활발히 전개하는 등 자발적이고 선도적인 입장에 서서 환경문제를 풀어가야 할 것입니다.

1957              기여위험도 [寄與危險度]           귀속위험도라고도 함. 역학에 있어 역학(疫學)에 있어서 환율이나 사망율을 비교할 때 쓰는 지표, 예를 들면 다량흡연자(多量吸煙者)의 폐암사망율(인구1000) 1.66, 비흡연자 0.07일 경우, 기여위험도는 1.66-0.07=1.59이다.

1958              기온감율 (Lapse rate of temperature)                     기온이 고도와 함께 감소하는 비율로서 일반적으로 공기를 단열적으로 상승(팽창) 시킬때 , 공기의 온도가 고도의 증가와 함께 내려가는 비율을 단열감율이라고 말하며, 이 값은 공기의 수증기 함량에 따라 변화한다.        건조한 공기가 단열적으로 상승하면 1km당 약 10℃의 기온이 하강한다. 이 기온감율을 건조 단열 감율(dry adiabatic lape rate)이라고 말한다.        습한공기가 단열적으로 상승하면 이중 수중기의 일부가 응결하여 잠열을 방출한다. 이열에 의해서 기온이 내려가는 쪽은 건조단열 감율에 비하여 적게 되며, 1000mb, 0℃부근의 조건에서 1km 6℃가 된다. 이 감율을 습윤단열 감율(moist adiabatic lape rate)이라고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대기의 수증기량은 장소와 고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대기의 고도에 의한 온도 저하의 비율, 요컨대 기온감율은 습윤단열 감율과 건조단열 감율 사이에서 변화한다.

1959              기온역전 [氣溫逆轉, temperature inversion]                     대류권내에서, 특별한 조건에 의하여 기온이 높이와 함께 증가하는 현상을 말하며, 기온에 이와 같은 역전이 생기고 있는 층을 역전층이라 한다. 지면 부근의 공기가 현저하게 냉각될 때에 지면의 극히 가까운 곳에서 생기는 접지역전, 따뜻한 기괴(氣塊)가 찬 기괴(氣塊)위에 올라갈 때에 생기는 전선성역전과 고기압 속의 공기가 현저하게 내려 앉음으로써 생기는 침강성역전 등이 있다. 끝으로 접지역전층이 생기면 오염입자나 오염기체가 상공으로 사라지지 않으므로 스모그가 발생하기 쉽다.

1960              기저부하용 발전소(Base-load Power Station)           주로 기저부하대 소요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

1961              기저유량 ( 基底流量 base flow )               하천의 유출량중 지하수의 용출, 호소에서의 유출, 서서히 생기는 융설 등에 의한 것으로 강우가 없는 시기의 자연유량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저유량의 대부분이 지하수에서 유동된 것이다.

1962              기존화학물질               신규화학물질 유해성조사제도에서 원소, 천연으로 산출되는 화학물질, 방사성물질, 고용노동부장관이 환경부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화학물질에 등재되어 있는 물질을 말한다. 기존화학물질 외의 화학물질을 신규화학물질이라 하는데 신규 화학물질을 제조 또는 수입 시 유해성조사결과보고서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963              기준 배출량(Baseline)               기준 배출량(Baseline)이란 당사국의 배출량 추이(Trends)를 의미한다. 기준 배출량은 경제 성장률, 에너지 사용 증가율 그리고 에너지 효율개선 및 에너지 절약 등의 요인에 의해 증가, 감소 혹은 일정한 추세를 보인다. 특히 공동이행(JI), 청정개발체제(CDM) 프로젝트 수행 결과가 추가적인 점을 증명하기 위해 프로젝트 이행 이전의 기준 배출량이 결정돼야 한다.

1964              기준광속 [基準光速]                 기준셀을 통과한 빛.

1965              기준년도 (Base Year)                 감축목표 설정시 이용되는 특정연도를 지칭함. 선진국의 경우 1990년을 기준년도로 사용함. , 교토의정서가 제안하는 세가지 산업가스 :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 육불화황(SF6)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고 인공적으로만 만들어졌기에 1995년을 기준년도로 선택할 수 있다.

1966              기준배출량                  교토의정서 체제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배출량을 말한다. 기준배출량은 공동이행(JI)과 청정개발체제(CDM) 프로젝트 수행 결과 온실가스감축이 얼마나 이루어졌느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1967              기준셀 [基準-, reference cell]                    기준 가스를 넣는 용기.

1968              기준용량(BMD)            독성영향이 대조집단에 비해 특정 증가분(5%, 10% )이 발생했을 때, 이에 해당되는 노출량을 추정한 값을 말한다. 기준용량 하한 값이란 노출량-반응 모형에서 추정된 기준용량의 신뢰구간의 하한 값을 말하며 BMDL(Benchmark Dose Lower bound)로 나타낸다.

1969              기준표본                     어떤 생물의 이름을 처음 지을 때 사용한 표본으로 모식표본이라고도 하며 매우 중요한 표본이다. 신종의 특징, 그림 등을 첨부하여 학명을 허락받는다. 표본이 없어졌을 경우 새로 표본을 작성하면 신기준표본이라 부른다.

1970              기체막 [氣體膜, gaseous film]                   이를테면 수면위에 지방산의 단분자막을 만들고, 극도로 면적을 확장하면 표면압 F, 지방산의 분자 1개당의 표면적 A와 온도T와의 사이에 FA=kT(k는 볼쯔만상수)인 관계가 근이적으로 성립한다. 이와 같은 상태의 당분자막을 기체막이라 한다. 등배분칙으로, 수면상의 지방산의 분자는 2차원의 열운동을 하고 있으며,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이상기체에 해당하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술(上述)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막을 만들고 있는 물질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가 있다. 이 방법으로 구한 2,3의 단백질의 분자량값은, 다른 방법으로 측정한 값과 잘 일치하고 있다.

1971              기체상수 (gas constant)            단위 질량에 대한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은 pV=RT이다. 그리고 M g의 기체에 대해서는 pV=MRT가 된다. M 1 mol로 취하면, 표준 상태에서는 같은 부피가 되어 기체 종류에 무관한 상수가 된다.

1972             기체수송기 [氣體輸送機, gas transportation]                     통풍기, 송풍기, 압축기 등을 말함. 대기오염방지 장치와 수질 오염방지 장치의 부속 기계로서 많이 사용됨.

1973              기체연료 [氣體燃料, geaeous fuel]             기체 연료의 특징은 아주 적은 과잉 공기로 완전히 연소되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음. 또 연료 중에 유황이 함유되지 않은 것이 많아 연소 가스 중의        및 회분의 함량이 적어 먼지 발생률이 낮음.

1974              기체연료(Gas Fuel)                   기체형태의 연료로서 천연가스, 프로판 가스, 석탄 및 석유의 가스화 연료가 있다. 기체연료의 발열량에 따라 고열가스(9,400kcal/, 천연가스 등), 증열가스(2,800∼3,800kcal/, 수성가스 등) 및 저열가스(1,300kcal/, 발생로 가스, 용광로 가스 등)로 나뉘어진다. 고열가스는 최근 액화천연가스로서 대량 수입되어, 발전용 및 도시가스로서 중요하게 되었으며 석탄, 석유의 가스화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SNG)가 연구 개발중이다. 중열가스인 수성가스는 메탄올로 이는 합성석유의 원료로서 중요한데 수성가스의 변성, 증열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의 원료로도 된다. 저열가스는 공업용 및 발전용으로 중요하다. 장래의 크린가스로서 수소연료가 큰 연구과제로 되어있다. 기체연료는 고체 및 액체연료에 의해 탈류, 탈화되기 때문에 연소성, 취급 등의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1975              기체유속계 [氣體流速計, gas flow counter]                     가스 플로우계수관이라고도 함. 방사선 측정 장치의 일종으로 α, β, γ, X선 등의 계수에 사용됨.

1976              기체전지 [-電地]          산소, 염소 따위의 전극을 짜 맞추어 만든 전지. 가스전지(gas 電地)

1977              기초 대사 [-, basalmetabolism]                생체에너지대사는 근운동, 식물소화, 흡수, 환경온도, 그외에 생체의 활상태에 따라 변화하나, 기준상태에 있어서의 대사를 기준대사 또는 유지대사라고 한다. 측정은 정신적, 육체적 안정상태로서 식후 12~14시간후 일정결적실온에서 행한다. 기초대사량을 생명유지에 최소한 필요한 에너지 양이다.

1978              기초액 [基礎液, base solution]                  플라로그래피를 행할 때에 그 속에 시료를 가하는 전해질용액으로서, 적절한 플라로그램을 얻기 위해 필요한 성분조성을 갖는 용액을 말한다.

1979              기타부과량                  직접 요금이 부과되지 않았으나 타회계로부터 수입이 있는 수량 다른 원인자가 관로를 손상시켜 누수가 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된 수돗물과 급수차에 적재되는 수돗물 양에 대한 요금을 징수하는 경우에는 이 수량은 기타부과량에 산입함(수입이 있기 때문에 누수량에 산입시킬 수 없으며, 사용요금이 아니므로 요금수량에 넣을 수 없고, 분수량도 아니므로 기타부과량에 산입시키는 것이 타당함) 공원녹지용수, 공중화장실 등의 공공용 수량에 대해 해당시설 관리자(시청, 구청 등)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에는 기타부과량이 아니라 요금수량이 됨

1980              기타수질오염원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로서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1로 정하는 것을 말함

1981              기타여과                     모래 이외의 활성탄, 막 등 다공성 여재를 이용하는 정수(淨水)처리공정을 말한다.

1982              기타의 배수 [-排水]                  배수는 크게 생활배수, 산업배수, 기타의 배수로 구분할 수 있음. 가축의 사육이나 생산에 수반되어 배출되는 분뇨 및 잡배수, 산림·시가지 등에서의 자연적 오탁배수를 기타의 배수라함.

1983              기포교반조 [氣泡攪拌槽, bubble agitation tank]              물 또는 그외의 용액을 조에 투입하고 배출가스를 미세한 기포로서 분출하여  기포를 조 전체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교반기로 분산, 기액의 접촉을 밀접히 하고, 배출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물, 그 외의 용액에 흡수시켜 제거하는 장치.

1984              기포석출법 (Foaming extraction)               Floatation에 쓰이는 포말법의 일종으로 오수중에 용존한 공기를 석출시켜 기포를 형성하고 현악입자에 부착하여 부상 시키는 방법이다.        액을 가압하여 공기를 용해시키고 상압으로 누출 시킬때 기체발생을 이용한 가압법, 감압에 의해서 용존기체를 석출 시키는 갑압법, 비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포를 이용하는 비등법, 탄산나트륨등에 산의 첨가에 의해 발생한 탄산가스 등을 응용하는 화학반응법, 발효시 발생하는 기체를 이용하는 발효법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가압법으로, 가압부상분리법이 있다.

1985              기포성물질 [起泡性物質, foaming substance]                  물에 소량 첨가함으로서 물의 포립(泡立)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물질. 세제는 대표적인 기포성 물질임. 기포성 물질을 포함한 배수는 수면에 발생한 거품 때문에 수중으로의 햇빛의 조사(照射)와 물과 대기와의 접촉에 의한 대기주의 염소의 물로서 용해가 저지되고 하천의 정화가 방해됨. 거품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소포제(消泡劑)를 첨가해야 함. 보일러 내의 포립 방지에는 피마자유가, 배수의 포립 방지에는 오크틸 알콜 등이 사용됨.

1986              기포식 밀도계 (Agitation)          수조내에 삽입한 관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보내고, 관의 끝에서 기포를 방출하면 흡입하고 배출하는 관내의 배압은 액면에서 관의 선단까지의 수두압과 액의 밀도에 비례하므로 수두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서 배압을 측정하면 밀도를 알 수가 있다.        액면의 변화하여 수두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할때는 2개의 관을 사용하여 관선단의 깊이차를 일정하게 되도록 하면 그 배압의 차로부터 밀도를 알 수가 있고 농도계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공기압을 사용하므로 전공, 기록, 제어에 편리하지만 비등액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하고 유량변동이 많은 액에서는 동압의 영향을 받기 쉽다.

1987              기포접촉법 (Foaming contact method)                     부상에 쓰이는 포말법의 일종으로 오수 중에 기포를 불어 넣어서 수중의 floc에 기포를 부착 시키는 방법이다.        불어넣는 공기를 분산 시키기 위하여 교반장치를 사용한 기계교반법, 다공판, 세공 산기관으로 공기를 불어넣은 공기 흡입법, 오수의 낙하나 분사를 이용하여 기포를 형성하는 유체압법 등이 있다.

1988              기포탑 [氣泡塔, bubbling tower]                배기가스를 작은 기포로서 물 이외의 용액중에 통과시켜, 그액으로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을 흡수시켜 제거하는 장치. 압력 손실이 커서 대량의 가스처리에는 부적당함.

1989              기형아            발육이상 상태로 태어난 아이. 태아의 생리적 발육에 이상이 생기거나 정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심하면 유산 또는 사산되는 경우가 많다. 기형아의 발생요인은 내적 요인과 환경에 의한 외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적요인으로는 정자, 난자, 수정란 등에 기형을 발생시킬 만한 요인이 있는 경우 또는 염색체 유전인자나 염색체 이상에 의한 유전성 기형이 있다. 외적 요인으로는 모체의 감염이나 영양상태, 질병, 약물 등에 의한 경우와 유해물질의 중독에 의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산모가 납에 중독되면 뇌수종을 일으킨다. 우리나라의 경우 1년에 태어나는 신생아 70만명 중 7%가 기형아라고 한다.

1990              기형어            수은, 카드뮴등의 중금속에 오염된 호수나 강에서 발견되는 기형 물고기, 등이 흰 부분에서 중금속이 검출됨

1991              기형학            동식물의 기형을 연구하는 학문. 종종 있을 법한 선조의 형태나 선조와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이용된다.

1992              기화성방청제 [氣化性防淸濟, vapor phase inhibitor]                    상온(常溫)에서 승화(昇華)하여 금속 표면에 흡착피막(吸着皮膜)을 형성, 녹이 나지 않도록 효과가 있는 것을 통틀어 일컬음. 일반적으로 종이에 흡수시켜서 금속제품을 쌈. 약칭 비이 피이 아이(B.P.I) ().

1993              기획, 설계단계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에게 채워주는 일회용기저귀가 완전히 분해되기 위해서는 100년 이상, 비닐봉지는 30년이 경과되어야 합니다. 또한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는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마개부착형 캔제품, 그린컴퓨터, 썩는 비닐봉지, 그린냉장고등의 대체상품은 기획, 설계단계부터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환경적합제품입니다.          우리는 지금 그린제품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환경을 배려하고 환경보전을 감안한 상품과 서비스를 선호하는 녹색소비자(Green Consumer)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이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제품기획, 설계단계부터 환경적합제품을 고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생산, 사용시 뿐만 아니라 폐기시까지 고려한 저에너지, 저폐기물발생, 저공해제품 및 재활용, 재사용이 가능한 기획,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1994              기후               좁은 의미에서의 기후는 대개평균 상태의 대기로 정의하나 좀 더 엄격하게 수개월에서 수천년 또는 수백만 년의 시간 범위를 가지는 기간 동안 관련되는 온도, 강수량 및 바람과 같은 지상의 평균과 평균으로부터의 변동을 사용해 통계적으로 기술해서 정의한다. 전형적인 주기는 WMO(세계기상기구)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30년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기후란 통계적인 기술을 포함해 기후 시스템의 상태를 말한다.

1995              기후 및 청정대기 연합(CCAC)                   단기 체류성 기후변화 유발물질(SLCP)의 배출 저감을 위한 협의체로, 미국의 주도 하에 2012 2월 설립되었다.

1996              기후되먹임 [Climate feedback]                  기후시스템내의 존재하는 각 과정들 사이에서 최초의 과정의 결과가 두 번째 과정에 변화를 촉발하고 이 과정이 다시 최초의 과정에 번갈아 영향을 미치는 게 될 때 이러한 상호 작용 메커니즘을 기후되먹임이라고 부른다. 양의 되먹임은 원래의 과정을 증폭시키는 것을 말하며 음의 되먹임은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1997              기후모델                     기후를 형성하는 대기, 해양, 육지, 생물, 설빙 등 개개의 현상 혹은 현상 상호간의 관계를 기술하는 물리 법칙을 수식으로 양적인 표시를 하고, 컴퓨터로 일정 시간별 적분하여 과거·현재·미래 기후를 예측한 수치 예측 모델을 말한다. 이를테면 온실 효과 가스의 양을 변화시켜 그 영향을 평가하는 수치 실험에 이용된다. 모델 설정에 따라 갖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검증은 그 모델이 현재 및 과거의 기후 변동을 정확히 기술할 수 있는가 여부에 따른다.

1998              기후민감도 (Climate sensitivity)                 IPCC 보고서에서, 평형 실험에서의 기후민감도란 대기 중의 (상당) 이산화탄소 농도를 현재보다 2배로 만든 경우에 대한 전지구평균 표면 온도에서의 평형 변화와 관련된다. 좀 더 일반적으로는, 평형 기후민감도란 복사강제력(℃/Wm-2)의 단위 변화에 따르는 표면 기온의 평형 변화를 의미한다.          실제로, 평형 기후민감도의 계산을 위해서는 대기대순환 결합모델(기후모델)을 가지고 매우 긴 기간 모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효 기후민감도란 이러한 요구 조건을 잘 피한 관련 척도인 것이다. 비평형 조건을 이끌어 내기 위한 모델의 출력자료로부터 유효 기후민감도를 계산한다. 특정 시간에 있어서 되먹임의 강도를 측정한 것이며 강제한 내력이나 기후상태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1999              기후변동 [氣候變動 climate change]                     기온·강수량 등 기후요소를 10년 이상 수 십년에서 수 십만 이상 장기간에 걸친 변화를 관찰하여야 하며, 보통 30년 정도의 평균값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를 가리킨다. 기후변동은 지구대기의 열수지를 변동하는 요인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근래에는 지구온난화, 해면의 상승, 홍수 및 한발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2000              기후변동성 패턴 [Patterns of climate variability]                   기후시스템의 자연적인 변동성은, 특히 계절 규모와 그보다 긴 시간 규모상에서, 대기순환의 역학적 비선형 특성을 통하거나 육지 및 해양 표면과 상호 작용을 통하여 가장 선호하는 공간 패턴에서 현저하게 일어난다. 그러한 공간패턴을영역(regimes)” 또는모드(modes)”라고도 부른다. 이런 사례를 보면, 북대서양 진동(NAO), 태평양-북미 패턴(PNA), 엘니뇨-남방진동(ENSO), 남극 진동(AO)가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