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엔지니어링 플랜트 표준용어집 : 501-550

by 리치캣 2021. 11. 16.
728x90
반응형

엔지니어링 플랜트 표준용어집 : 501-550

no 국문(원어) 영문(full name) 의미(meaning)
501 아닐린점 Aniline Point 시료와 아닐린의 등량 혼합물이 완전히 균일하게 용해되는 온도를 말함.탄화수소의 아닐린점은 동일 분자량 일 때 Paraffine, Naphthene, Aromatics의 순서로 큰 값을 나타내고 동일계 기름이면 비등점이 상승함에 따라 상승함. 이 때문에 휘발유 및 등ㆍ경유의 성분 분석, 경유의 디젤지수의 산출 및 윤활유의 유종판정에 사용되기도 함.
502 아라비안 라이트 Arabian Light 사우디아라비아산 원유중 API도(미국 석유협회가 규정한 비중측정단위)가 34도인 원유. 중동 각 원유중에서 생산량이 많으며, 표준적인 상태에서 원유가격을 설정할 시의 기준원유로서 채용되고 있었지만 1985년 1월의 OPEC 제73회 임시총회에서 기준원유 가격제도로 변경됨.
503 아랍석유수출기구 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1986년 당시의 온건 3개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리비아에 의해 설립. 본부는 쿠웨이트에 있으며, 현재의 참가국은 10개국. OPEC(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가 석유정책을 협의하는데 반해 OAPEC은 아랍제국의 이익을 위해, 예를 들면 탱커수리용 도크의 건설과 해운 등 실제의 비지니스를 수행함.
504 아세안석유회의 ASEAN Ccouncil on Petroleum 1975년 설립된 아세안 5개 국영석유사 협력회의.
505 아연도금탄소강관 Galvanized Carbon pipe Piping안쪽에 아연을 도금판으로 Piping에서 떨어지는 미립자가 문제가 되는 경우 사용. 부식이 문제가 되는 Water line이나, Instrument Air의 경우(Instrument들이 미립자에 민감하므로 사용되어야 한다)에 사용됨.
506 아열대기후 Subtropical Climate 대체적으로 지중해성기후와 건조기후(스텝기후와 사막기후)가 속함. 지중해성기후는, 여름에는 아열대고압대의 영향을 받아 고온건조하며 겨울에는 편서풍대에 속하여 우기(雨期)가 됨. 지중해지역 외에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북위 34∼43°)나 남아메리카의 칠레 해안(남위 31∼37°), 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 분포. 건조기후는 사막기후와 스텝기후로 이루어짐. 사막기후의 특징은 비가 적고 기온의 일교차가 매우 크며, 주변에 약간의 강우가 있는 스텝기후가 분포. 인도대륙을 예로 들면, 최대의 한발상습지가 이 기후구역에 위치.
507 안전밸브 Safety Relief Valve(ASME) 급속개방 또는 POP타입 동작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적용방법에 따라 개방압력 이상에서 압력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밸브가 개방되는 동작특성을 가지는 압력해소 밸브. 액체 또는 압축성 유체에서 사용할 수 있음.
508 안전밸브제어 Controlled Safty Valve(DIN) 메인밸브와 제어장치로 구성. 설정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폐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갖춘 직동식 안전밸브를 포함,
509 안전예방조치요구서 Safety Preventive Action Request 안전 예방조치 요구서 (Safety Preventive Action Request)로 현장의 불안전상태와 행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행함.
510 안정성 Stability 연료(Bunker-C 유분)는 공장에서 출하되면 공기와 접하게 되는데 크래킹등 분해 공정으로 만들어진 연료 성분에는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이 많아서 저정시 공기와 접촉하여 검 및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런 검 및 침전물은 여과기 구멍을 막히게 하며, 연소실에 침전물을 형성시키므로 연료의 질을 나쁘게 함.
511 안정화 변환 효율 또는 안정화 효율 Stabilized Conversion Efficiency 규정된 광조사 조건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한 다음의 변환 효율. 주로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에 적용됨.
512 알짜 전력량 Net Energy 정해진 방향으로 흐른 알짜 에너지 즉, 전력량의 총계. (단위 : Wh)
513 알킬레이션 Alkylation 부탄을 원료로 초저황(30ppm이하), 고옥탄가(97)의 휘발유 첨가제 아킬레이트를 생산함고옥탄 휘발유 첨가제인 MTBE의 대체가 가능하고 자체만으로로 최고급 휘발유가 됨국내 휘발유의 황 함유 기준이 50ppm이나(경유는 30ppm), 실제 국내에서는 10~30ppm정도로 공급되었고초저황연료의 생산시설을 설립중, 2009년 부터 국제기준인 10ppm이하로 적용됨 황산재생공정(SAR)과 함께 설치됨부틸렌(탄소수 4개의 Olefin, 1-Butene/2-Butene)과 이소부탄(부탄의 이성질체)을 1:1로 반응시켜 고옥탄가의 이소옥탄(2,2,4-Trimethyl-Pentane, 옥탄가 100)을 제조하는 공정. Alkylation공정은 항공기용 고옥탄가 휘발유를 만들기 위해서 개발됐으며, 촉매로 순도 98%이상의 진한 황산을 사용하는 공정과, HF(플루오르화수소)를 사용하는 공정으로 나누어짐. 원료인 이소부탄은 보통 부탄에서 추출하며(일반 부탄에 약 20~25%정도 함유되어 있음), 부틸렌은 보통 RFCC, FCC공정 및 NCC에서 생산되므로 Alkylation공정은 일반적으로 FCC공정의 부속공정으로 건설되며 황산을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 폐황산을 재생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임.
514 알킬레이트 Alkylat 알킬레이션(Alkylation) 공정을 통해서 제조된 고옥탄가의 합성휘발유를 말함. 알킬레이트는 옥탄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올레핀화합물과 방향족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증기압 및 유황함량이 낮아 휘발유로서는 최고의 성능을 인정받고 있음.
515 알킬벤젠 술폰산염 Alkyl Benzene Sulfo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총칭임. 합성세제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포성, 침투성, 내산성이 좋고 경수에서도 세정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세제 외에도 염색제, 소화기, 부유선광 등의 용도로 쓰임. 그러나, 폐수에서는 거품이 일어나고 분해가 잘 되지 않아 2차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함. 최근에는 분해가 잘되는 직쇄상 알킬벤젠술폰산염을 사용하고 있음.
516 암거 Culvert 지표의 잔류수 또는 천층의 지하수를 배제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된 배수시설.
517 암모니아용액 Ammonia Solution 암모니아를 물에 녹여 만드는데, 발열하므로 냉각시키면서 녹임 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변화하고, 농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작음. NH3분자의 상태는 각종 실험결과로 알 수 있듯이 수산화암모늄 NH4OH의 존재로 생각되지 않으며, 물 분자가 첨가된 NH3 H2O와 NH4OH의 중간 상태에있는 것으로 봄. 무색 투명한 액체로, 암모니아 냄새와 자극적인 맛이 나고, 알칼리성을 보임. 가열하거나 강한 염기가 존재하면 용해도가 감소하여 암모니아를 잃음. 시약으로서도 중요하나, 의류의 세척이나 국소 자극제 흥분제 제산제 중화제 등 의약품으로서도 사용되며 고무 유리 등의 마개로 막아 밀폐하여 보존하는데, 진한 암모니아수는 온도가 상승하면 폭발하므로 서늘한 곳에 저장함. 여름철에는 마개를 뽑을 때 분출하여 눈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함.
518 암전류 Dark Current 빛을 비추지 않은 상태에서 태양전지에 흐르는 전류.
519 압력구동식응축수회수펌프 Pressure Powered Pump (Spirax Sarco의 Ogden Pump) Steam Trap과 같은 원리로 Condensate가 쌓이면 Float가 떠 올라 Condensate가 빠지게 됨. 주로 Steam Turbine Discharge쪽 Condensate를 빼는데 사용.
520 압력방출밸브 Pressure Relief Valve(ASME) 설정압력보다 높은 과도한 압력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밸브를 개방하고, 압력이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된 후 밸브를 닫아 더 이상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설계됨. POP타입 동작특성 또는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증가된 압력에 비례하여 밸브가 개방되는 동작특성을 갖음. 밸브의 설계 및 조작, 그리고 적용방법에 따라 압축성 유체 및 비압축성 유체 모두에 적용.
521 압축 천연가스 Compressed Natural Gas 천연가스를 냉동, 압축하여 액화한 LNG(액화 천연가스)와는 달리 고압으로 압축하여 압력 용기에 저장한 형태.
522 액화 Liquefaction 수소화 반응법. 고체연료를 이용한 기체 합성법, 또는 용매추출법등 방법으로 고체연료를 액화 탄화수소 및 기타성분들로 전환시키는 것.
523 액화석유가스 Liquefied Petroleum Gas 석유생산, 석유정제 또는 석유화학공업의 과정에서 부생되는 탄화수소를 분리 추출해, 상온상압에서 가스상태의 프로판, 부탄 등의 혼합기체를 가압 또는 냉각해 액화한 것. 가정용, 공업용, 내연기관용 연료, 도시가스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음.
524 액화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 지하 또는 해저의 가스전(석유광상)에서 뽑아내는 가스중 상온에서 액화하지 않는 성분이 많은 건성가스(Dry Gas)를 수송 및 저장의 용이성을 위해 액화한 것으로 보통 천연가스라고 함. 주성분은 메탄(CH4)으로 -162℃로 액화하면 체적은 원래의 1/600로 되어, 그 상태로 전용탱크에 수송되어 반지하 또는 지상의 대형 단열탱크에 저장됨.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 천연가스 산지의 LNG공장에서 액화하는 것을 LNG선으로 도입하여 이를 국내 LNG공장에서 기체화한 후 파이프를 통해 발전소나 수용가에 공급하고 있음.
525 약품주입량측정기 Calibration Pot Chemical Injection System등에서, 예를 들어 1분동안 Calibration Pot에서 Level이 떨어지는 길이를 보고 정해진 Injection Rate를 맞춤.
526 양수발전 Pump-Storage Power Gerneration 고지대에 저수지를 만들고 전력의 비수요기인 밤에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여기에 물을 모터펌프로 퍼올려 놓았다가 수요기에 저수지물을 낙하시켜 발전하는 방식. 우리나라의 양수발전은 팔당 등 세곳에 있음.
527 양수발전량 Energy Absorbed By Storage Pumping, Ene 발전하기 위하여 물을 상부로 퍼 올리는데 전동펌프에서 소비되는 전력량. 여기에서 보조기기와 펌프손실 등도 포함.
528 양수발전소 Pumped Storage Power Station: Pumped St 전력계통의 경부하시에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하부 저수지의 물을 상부 저수지로 양수하였다가 중부하시에 발전하는 일종의 수력 발전소.
529 양수발전소의 양수효율 Conversion Efficiency Of Pum 양수로 얻는 발전전력량과 양수전력량과의 비율.
530 양자 효율, 수집 효율 Quantum Efficiency, Collection Efficiency 단위 시간에 태양전지에서 외부 회로로 흘러나오는 전자 수의, 태양전지에 입사된 광자의 수에 대한 비율. 태양전지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안하여 보정한 것을 내부 양자 효율, 보정하지않은 것을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이라고 부른다. 입사되는 광자의 파장에 대한 함수로 양자 효율의 스펙트럼 특성을 할 수 있음.
531 양정 또는 리프트 Lift 밸브가 닫힘 위치에서 안전밸브 분출 중의 밸브 열림 위치까지 밸브 몸체의 축 방향으로으의 이동량.
532 양정식 안전밸브 Lift Safety Valve 안전밸브의 리프트가 밸브시트 입구지름의 1/40 이상 1/4미만으로 밸브몸체가 열렸을 때 유로면적 중에서 밸브시트 면적(커튼면적)이 최소가 되는 안전밸브.
533 어레이 기본 회로 Array Basic Circuit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모듈 열 또는 단위 병렬 회로를 병렬 또는 직렬로 접속한 회로. 태양광발전 어레이 전기 회로의 기본을 이룸.
534 어레이 기여율 (또는 태양 에너지 의존율) Fraction Of Total System Input Energy Contributed By Photovoltaic Array 종합 시스템 입력 전력량에서 어레이 출력이 차지하는 비율.
535 어레이 모의 전원 장치 Photovoltaic Array Simulator 태양광발전 어레이(태양전지 어레이)의 전류-전압 특성을 임의로 설정하여 모의할 수 있는 직류 전원 장치.
536 어레이 보호 장치 Array Protection Unit 소어레이 또는 어레이 회로에서 발생하는 접지(grounding), 단락, 과전류 등의 이상을 검출하여 이들을 분리, 제거하거나 경보하기 위한 장치.
537 어레이 손실 Array Capture Loss 태양광발전 어레이에서 발생하는 손실. 등가 1일 일조 시간과 등가 1일 어레이 가동 시간의 차이. (단위 : h/d)
538 어레이 지지대 Structures For Photovoltaic Array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기둥, 받침(가대) 등 공작물을 통틀어 부르는말.
539 어레이 집전 회로 Array Collection Circuit 모듈 열 또는 단위 병렬 회로의 출력을 모아 소어레이의 출력으로 합치거나, 또는 소어레이의 출력을 모아 어레이의 출력으로 합치기 위한 회로. 중계 회로가 포함됨.
540 어레이 출력 개폐기 Array Output Breaker 소어레이(sub-array)나 어레이의 출력단에 설치하여 부하측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개폐기.
541 어레이 출력 전력량 Array Output Energy 일정 기간 동안 태양광발전 어레이에서 발전되는 에너지 즉, 전력량. (단위 : Wh)
542 에너지 간격 (에너지 틈, 띠 틈, 띠 간격) Energy Gap, Band Gap 반도체의 에너지 띠(energy band) 중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띠의 나비 폭.
543 에너지 관리시스템 Energy Management System 경영적 차원에서 에너지 절약 방안을 발굴하여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에 따라 자체적으로 늘 평가·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함. EMS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국가표준(KSA 4000)으로 규정하고 있음.
544 에너지 밀도 Energy Density 전지의 에너지원으로 가장 중요한 에너지양을 의미하며, 전지의 에너지양은 와트시(Wh)로 표시됨. 전지를 크게 하면 에너지양도 증가하므로, 에너지양은 절대적인 양이 아닌 단위 체적당(Wh/l) 또는 단위 중량당(Wh/kg)으로 표시함
545 에너지 및 환경 디자인 리더십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미국 그린빌딩위원회에서 친환경 건축물을 인증하기 위한 규정, 건물의 환경에 관한 지표를 만들어 각각 점수를 매기고 등급을 부여하는 일종의 건물 품질 인증 기준
546 에너지 밸런스 Energy Balance 에너지 수급에 대한 통계를 작성할 때 에너지 밸런스는 플로(Flow)의 개념으로, 일정한 기간과 일정한 지역 안에 에너지 투입과 산출 간의 균형을 나타내는 표를 말함. 에너지 밸런스의 작성 대상 지역과 시간대는 일률적이지 않음. 대부분 한 나라를 대상으로 하는 연간 에너지 밸런스와 인접 국가들을 동시에 포함시키는 권역 에너지 밸런스가 작성됨. 에너지 밸런스는 통상 에너지원을 가로축, 에너지 수급량을 세로축에 나타내는 행렬(Matrix) 방식을 채택함.
547 에너지 사용제품의 친환경 설계 규정 Ecodesign Requirements For Energy Using Products 에너지를 사용하는 제품의 친환경 설계 의무화를 내용으로 하는 EU의 규제로, 2008년부터 적용되었음. 에너지를 사용하는 제품을 생산할 때 지켜야 할 지침으로, 제품 생산의 전 과정에 걸쳐 경제성뿐만 아니라 환경성도 향상되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함.
548 에너지 수입 의존도 Dependence Of Energy On Overseas 일반적으로 에너지 수입 의존도는 1차 에너지 공급량에서 순수입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말함. 국내 수입 의존도는 1차 에너지 소비 중 수입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549 에너지 시큐어리티 Energy Security 에너지는 국가경제를 뒷바침하는 데 불가결한 것이며, 국가의 안정보장과 깊이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안정적이고도 합리적인 공급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의미하며 에너지안보라고 함.
550 에너지 연구 기술 위원회 Committee On Energy Research And Technology IEA 사무국의 산하 조직으로, IEA 회원국 간 에너지 신기술 개발을 공동으로 연구하는 상설 위원회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