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엔지니어링 플랜트 표준용어집 : 301-350

by 리치캣 2021. 11. 16.
728x90
반응형

엔지니어링 플랜트 표준용어집 : 301-350

no 국문(원어) 영문(full name) 의미(meaning)
301 Volume Bottle 그냥 작은 부피의 drum 또는 bottle로서, 특히 Critical한 Expander나 Compressor의 날개를 조정하는 Stator Vane Actuator에 사용되는 Instrument Air의 fluctuation의 없애기 위해 buffer로 사용되기도 함.
302 병렬 저항, 갈래 (분류) 저항 Shunt Resistance (RSH) 이상적인 태양전지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작용하는 저항. 병렬 저항은 주로 접합의 불순물과 결정의 품질에 따라 달라짐. 병렬 저항이 작아지면 변환 효율은 낮아짐. (단위 ; Ω)
303 보세창고 Bonded Warehouse 수입수속이 끝나지 않은 화물을 보관하는 창고로 이 창고에 보관하는 동안에는 관세가 붙지 않음.
304 보세창고인도 Bonded Warehouse Transaction 수출업자가 자기책임 아래 수입국의 보세창고까지 수출 화물을 반입해 두고, 현지에서 수입자를 물색하여 계약이 성립되면 상품을 인도하는 방식.
305 보일러자동제어장치 Automatic Boiler Control 보일러를 자동적으로 제어, 조정하는 장치로서 연료, 공기량을 제어하여 공연비(空燃比)를 가장 적합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급수량도 제어하는 등 보일러 전체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306 보조콘솔 Auxiliary Console 보통 Aux. Console로 불리기도 하는 이 console은 DCS(Distributed Console System)에 또는 밖에 설치되어 주요한 Alarm Instrument가 작동되면 전구에 불이 들어와 깜빡 거림으로써 알아 볼 수 있는 장치. ISA(Instrument Symbols and Identification)에 따르면, 원에 선에 하나 옆으로 그어 있는 것은 AC에서 보는 것을 의미함.
307 보호 콜로이드 Protective Colloid 소수콜로이드는 전해질을 첨가하거나 가열하면 안정성을 잃고 쉽게 응결하는데, 이 소수콜로이드에 친수콜로이드를 가하면 소수콜로이드의 안정성이 증가하여 소량의 전해질 첨가나 가열 등에 의해서는 쉽게 응결하지 않음. 이와 같이 소수콜로이드의 안정화에 친수콜로이드가 도움이 될 때, 이 친수콜로이드를 보호콜로이드라고 함. 이것은 친수콜로이드 입자가 소수콜로이드 입자를 싸서, 전체적으로는 친수콜로이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 예를 들면, 먹물에서는 탄소입자의 분산에 아교가 보호콜로이드로서 작용함. 보호콜로이드로서 강한 힘을 지닌 것으로는 젤라틴과 알부민 및 아라비아 고무 등이 있음. 보호콜로이드는 콜로이드 용액의 보존이나 제조를 위해 사용됨.
308 복사계 Radiometer 표준 전구나 절대 복사계를 이용하여 교정한 열전대(열전쌍, thermocouple) 또는 열전퇴(열전대의 묶음, thermopile)를 사용한 파장 의존성이 없는 열감지형 복사계.
309 복합 태양광발전 시스템 Hybrid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디젤 발전이나 풍력 발전 시스템을 조합하여 보조 전원으로 이용하는 시스템.
310 복합화력발전 Combined Cycle Power Plant 가스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Gas Turbine)을 돌려 발전하고 부산물인 배기가스(Hot Exhausted Gas)를 다시 열원으로 사용하여 증기터빈(Steam Turbine)을 돌려 발전하는 방식. 열효율이 높다는 것이 장점.
311 본선 인도조건 Free On Board 무역거래에 있어서 가격결정조건*인도조건의 하나로 수출화물을 본선(本船)에 적재할 때까지의 모든 비용(포장비, 도로운송료, 창고료 등)과 위험은 수출업자가 부담하고 일단 본선에 화물이 선적된 이후에는 수입업자가 책임을 지는 조건임.선박은 반드시 수입업자가 수배를 해야 하고 만약에 만선(滿船) 등의 이유로 지정선박에 화물을 싣지 못해도 수출업자는 책임을 지지 않음.
312 부대시설 OutSide Battery Limit 주공정시설과는 달리 생산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으나 주공정시설의 운전을 위하여 필요한 Control Room, 저장시설, 입출하시설, Utility 시설 등의 부대설비를 말함.
313 부드러운 기동 Soft-Start 출력 조절기의 기동하거나 정지하였다가 재기동할 때에 계통 또는 부하측에 대한교류 출력 전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 연성 기동이라고도 부름.
314 부분 부하 효율 Partial Load Efficiency 규정된 부하율에서 교류 줄력 전력과 직류 입력 전력의 비. 백분율로 나타냄. (단위 : %)
315 부분 충전 상태 Partial State Of Charge 축전지가 완전 충전에 이르지 않은 상태.
316 부분산화 Partial Oxidation 합성 가스 제조 기술의 하나로 부분 산화법
317 부식억제제 Corrosion Inhibitor 휘발유에 첨가되는 Corrosion Inhibitor는 휘발유의 저장 유통과정에서 공기중의 수분이 소량 흡수 용해되면 용기벽에 물방울을 분리시켜 연료탱크나 배관 등의 금속을 부식시키며 이로인해 생성된 녹이 필터를 막는 원인이 됨.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지방족아민, 술폰산염, 알킬아민인산염과 같은 극성 화합물이 주로 사용됨.
318 부식여유 Corrosion Allowance 사용 중 부식으로 인하여 손실될 것을 미리 예상하고 그 분량만큼 여유있게 두껍게 만드는 것.
319 부유물질 Suspended Solids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물질의 총칭. 콜로이드 입자로 부터 상당히 큰 현탁물까지 여러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보통 부유물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말함.
320 부유식 석유 생산 저장 기지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해양 Plant나 Drillship에서 뽑아낸 원유를 정제하고 이를 저장해서 Shuttle Tanker나 기타 이송 장소에 하역을 할 수 있는 특수선박, FPSO는 저장기능을 하누 선체구조(Hull)와 원유를 생산하고 처리기능을 하는 상부설비(Topsides)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장 능력에 따라 100만 배럴 미만의 소형, 100~150만 배럴의 중형, 150~200만 배럴의 대형, 200만 배럴 이상의 초대형으로 구분된다. 주요 석유업체들이 심해저 유전에 눈길을 돌리면서 FPSO가 각광받게 됨.
321 부적합 사항보고서 Non-Conformance Report 검사결과로서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에 대해서 잘못된 사항에 대한보고 서류
322 부정합 손실 Mismatch Loss 부정합은 불일치라고도 하며,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한 태양전지나 모듈의 최대 출력이 전류-전압 특성의 불균일성 때문에 각각의 단위 태양전지나 모듈의 같은조건에서 측정한 최대 출력 합계보다 작아져서 생기는 손실.
323 부조일 상정 기간 Assumed Non-Sunshine Period, Assumed No-Storage Period 축전지가 있고 보조 전원이 없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시스템을 설계하면서 연속하여 햇볕이 나지 않기 때문에 발전이 되지 않는다고 상정한 기간.
324 부타디엔고무 Butadiene Rubber 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고무로 탄성이 좋으며, 내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타이어 튜브 등 고무제품의 원료나 합성수지의 충격개량제로 사용함.
325 부하 전력 Load Power (Pl)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태양광발전 장치의 두 출력 단자에 연결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 (단위 : W)
326 부하 전류 Load Current (Il)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태양광발전 장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단위 : A)
327 부하 전압 Load Voltage (Vl)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태양광발전 장치 출력 단자에 연결한 부하의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 (단위 : V)
328 부하 정합 보정 계수 Load Matching Factor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출력이 최적 동작점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출력 전력량의 변동을 보정하는 계수.
329 부하요인 Load Factor 최대치를 반영하는 연속적인 사용이나 동 기간내에 일어나는 다른 특별한 수요에 기인하는 소비에 대한 특정한 기간(년, 월, 일 들)내의 소비비율.
330 분당 회전수 Round Per Minute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분당 회전하는 수를 나타냄.
331 분류식 Separate Sewer System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제하는 방식을 말함.
332 분말활성탄기술 Powdered Activated Carbon Technology 기존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PAC를 주입하여 흡착기능을 이용하는 처리 공정.
333 분산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Dispersed Photovoltaic System 분산 배치한 복수의 중ㆍ소 규모 태양광발전 시스템이나 태양전지 어레이를 마치 하나의 발전소와 같이 운전하는 시스템. 병렬 운전 분산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어레이 분산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2가지 방식으로 분류함.
334 분산 부하 태양광발전 시스템 Photovoltaic System For Distributed Multi-Load 소규모의 배전선을 설치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설치된 구내 이외의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부하에도 발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하고 구성한 시스템.
335 분쇄 Size Reduction 원료물질들은 부수거나, 갈거나 빠아서 작게 만드는 과정. 분쇄(crushing)는 비교적 거칠게 입자들을 분말화 하는 것을 통상 의미하여 이에 비해제분(grinding)과 미분화(pulverising)는 상대적으로 미세한 입자들을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함.
336 분출강하 Blow Down 분출압력과 분출정지압력의 차 또는 분출개시압력과 분출 정지압력의 차. DISTILLATION에서 BLOWDOWN이란 LIQUID OUTLET STREAM에서 COKE, SCALE, DIRT, SEDIMENT 등으로 인해 발생한 BLOCKAGE를 없애기 위해 일시적으로 FLOW의 속도를 높여 흐름을 원활히 하는 것.. 그러나 단순히 이러한 물질들을 밀집시키는 결과를 보일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BLOW BACK을 해주어야 함.
337 분출개시압력 Start To Discharge Pressure 입구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출구쪽에서 미량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이 검지될 때의 밸브 입구쪽 압력.
338 분출계수 Coefficient Discharge 안전밸브의 분출량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실제의 분출량과 이론 분출량의 비로 안전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의 마찰저항 등을 고려한 계수.
339 분출면적 Effective Discharge Area 안전밸브를 통과하는 유량을 결정하는 부분의 유로면적으로 공칭분출량의 계산에 사용하는 면적.
340 분출압력 Opening Pressure 안전밸브의 리프트가 순간적으로 증대하여 내부의 유체를 분출(Popping)할 때 밸브 입구족의 압력.
341 분출정지압력 Reseating Pressure;Closing Pressure 밸브 입구쪽 압력이 감소하여 밸브몸체가 밸브 시트와 재접촉할 때, 즉 리프트가 제로가 되었을 때의 입구쪽의 압력.
342 분해 납사, 분해 휘발유 Whole Cracked Naphtha RFCCU나 FCCU에서 생산되는 납사유분으로 옥탄가가 높아 Blending을 통해 바로 휘발유로 사용되므로 주로 분해 휘발유로 불리움.불포화 탄화수소(Olefin)의 함량이 높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343 분해경유 수소 처리시설 Light Cyclic Oil HydroTreating Unit RFCCU에서 생산되는 LCO(Light Cyclic Oil, 분해경유)는 경유 유분에 속하나 유황 함량이 높고 안정도가 낮아 본 시설에서 수소처리를 거친 후에야 저유황 경유로 사용이 가능함. 일반적인 원리는 경유 수첨 탈황 시설과 같으나, 반응조건이 GO-HDS Unit 보다 가혹하여(고온, 고압) 탈황반응 외에도 불포화 탄화수소의 포화반응이 일어나 처리된 제품의 안정도가 향상됨.
344 분해정제시설 Cracking Refinery Hydroskimming Refinery에 분해시설을 추가한 형태의 정유시설을 말하며, 분해시설은 주로 RFCC(Residue Fluid Catalystic Craclin) 나 FCC(Fluid Catalystic Cracking)를 말함.분해시설을 통해 부가가치가 낮은 연료유를 고부가가치의 경질제품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 수익성이 증대하며, 동시에 원유에 대한 의존도도 낮아져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
345 불꽃전향기 Flame Deflector Flaring Gas가 Nozzle에서 나갈때 Flame의 모양을 적절하게 해주기 위해서 Nozzle의 끝에 철판조각과 같은것을 붙여놓은 것.
346 불포화 탄화수소 Unsaturated Hydrocarbon 분자구조상 탄소-탄소 사이의 결합에 2중결합 또는 3중결합의 불포화 결합을 가진 화합물을 말하며, 불안정하여 중합, 축합 등의 반응이 쉽게 일어남.직쇄형의 Olefin계 탄화수소와 고리형의 Aromatic 계 탄화수소가 있음.
347 붕괴압력 Collapse Pressure Reactor나 Column내부에 있는 internal들은 그 column이나 Reactor 압력으로 제작할 필요는 없으며. 그 internal 앞뒤로 걸리는 Pressure Drop만큼만 견딜 수 있으면 됨. Internal의 mechanical Pressure를 의미.
348 브라인드 프렌지(맹판) Blind Flange 공장의 한 UNIT가 완공이 안되었다든가 혹은 언젠가 연결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LINE의 끝을 그냥 막지 않고 BLIND FLANGE로 막으면 나중에 그냥 연결하면 되므로 편함.
349 브이 Buoy 항만 내에서 부두외에 특별히 설치한 간이 계선(繫船) 시설물을 말함. 외항에 선박을 계류시켜 정박시키기 위한 설비로 강철로 만든 원통형의 부(浮)와 이것을 고정시키는 침종(沈鐘)으로 이루어져 있음. 브이는 수심이 낮아 대형 유조선의 부두 접안이 어려울 경우 주로 사용되며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안까지 유류를 수송함.
350 블랙벨트 Black Belts BB는 GB 상위벨트로 6시그마 방법론을 적용하여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획기적인 성과 창출을 주도하는 6시그마 전문가를 의미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