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시사경제용어사전 2020 : 2501-2550

by 리치캣 2021. 1. 13.
728x90
반응형

시사경제용어사전 2020 : 2501-2550

2501|경제|최저한세제도|과세의 불공평을 완화하고 재정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조세지원이 불가피한 경우라 하더라도 최소한의 조세를 부담하게 하는 제도. 현행 세법은 여러가지 사회·경제적 정책목적상 개별세법과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각종 준비금의 손금산입   소득공제          비과세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 등을 해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금을 전혀 납부하지 않는 사업자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세부담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으로 세법에서는 세금을 전혀 내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소득자(개인·법인)에 대한 최저한세 제도를 두고 있다.                                                                                                                                                                                                                                                                                                                                                                                                                                                                                                                                                                                                                        

2502|경제|최적 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처음에 입안한 최적 정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이상 최적 정책이 아니게 되어 그 정책을 바꾸려는 유인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200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프레스컷(E. Prescott)과 키들랜드(F. Kydland)가 제기한 이론으로 민간이 중앙은행을 신뢰하지 못하는 이유로 작용한다.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겠다는 공약을 민간이 신뢰한다면 중앙은행은 실업을 유발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기대인플레이션이 변하면 공약했던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확장적 통화 정책을 시행하려는 유인을 갖게 된다. 이처럼 사람들의 기대가 바뀌자 중앙은행이 애초에 공약했던 최적 정책을 더 이상 시행하지 않고 다른 정책을 시행하고자 하는 유인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사람들은 더이상 중앙은행을 신뢰하지 않게 되어 중앙은행의 재량적 정책이 일관된 정책보다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2503|경제|최종 대부자|다른 곳에서 돈을 빌릴 수 없는 사람에게 돈을 빌려 주는 기관이라는 의미로 중앙은행이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시적인 지급 불능 상태에 빠진 금융 기관에게 발권력을 동원하여 자금을 대출해주는 기능을 말한다. 부분 지급 준비 제도 하에서 재무 상태가 나쁜 은행에서 파산에 대한 우려로 대량 인출 사태가 발생하면 금융 패닉으로 금융 시장 전체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중앙은행은 파산 위기에 있는 은행들에게 충분한 자금을 제공함으로써 위기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는 최종 대부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504|공공|최혜국대우|관세ㆍ항해 등 양국간 관계에서 지금까지 다른 나라에 부여한 대우 중 최고의 대우를 해주는 것을 말한다.     3국에 부여하고 있는 조건보다 절대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해주는 것이다. GATT는 최혜국 대우가 대표적인 일반원칙으로서 이에 대한 예외를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일단 두 나라 간 최혜국 대우를 적용하기로 하면 이 중 한 나라가 제3국과 보다 유리한 무역협정을 맺어도 그 효력은 별도의 합의 없이도 상대 최혜국 대우 국가에도 적용된다. 이는 최혜국 대우의 의미가 다른 나라와의 관계보다 불리한 대우를 하지 않는다는 포괄적 약속이기 때문이다. WTO 서비스협정에서 최혜국대우(2)양허표에 등재되지 않은 분야더라도 어떤 다른 나라보다도 어떤 회원국을 불리하게 대우해서는 안되며 한 국가에 부여한 대우는 그보다 불리하지 않게 즉시 그리고 무조건적으로 다른 회원국에게 부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505|공공|추가경정예산|예산이 국회에서 의결된 이후 새로운 사정으로 인해 소요경비의 과부족이 생길 때 본예산에 추가 또는 변경을 가하는 예산이다. 전쟁이나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한 경우  경기침체          대량실업 등 대내외 여건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법령에 따라 국가가 지급하여야 하는 지출이 발생하거나 증가하는 경우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거의 매년 추가경정예산이 편성되고 있으며 이는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실정이다. 추가경정예산은 국회의 예산 확정 이후 생긴 사유로 예산 금액을 증감 또는 변경시킨다는 점에서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한 후 국회의 심의ㆍ확정 전에 내용을 수정하는 수정예산과는 성격이 다르다.                                                                                                                                                                                                                                                                                                                                                                                                                                                                                                                                                                                                                                                

2506|공공|추곡수매제도|정부가 가격 안정과 수급조절을 위하여 정해진 가격에 따라 일정량의 쌀을 매입하는 제도이다. 미군정이 1946 1월 「미곡수집령」을 공포하여 농민으로부터 미곡을 수집하고 그것을 소비자에게 배급한 것을 시초로 볼 수 있다. 1948 8월 수립된 한국정부는 「미곡수집령」을 폐기하고 9월에 「양곡매입법」을 공포하고 추곡 수매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수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1949 7월 「식량임시긴급조치법」을 공포하여 배급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1950 2월 양곡 수급조절과 적정가격유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양곡관리법」을 제정 공포하였다. 그런데 「양곡관리법」에 의한 미곡 매입가격이 평균생산비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여 농민의 희생만 강요하였다. 농가소득을 향상시키는 한편 저임금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제3공화국 때부터는 수매가격은 인상하고        방출가격은 낮게 유지하는 이중곡가제를 시행하였다. 이로 인해 목표한 정책 효과는 얻을 수 있었으나 양곡사업의 적자액은 눈덩이처럼 늘어갔다. 이런 상황에서 우루과이 라운드 농산물 협상이 체결되어 쌀에 대한 정부수매 수준을 매년 줄어나가지 않으면 안되게 됨에 따라 기존 수매 제도를 개편하여 1997년부터 약정수매제도를 도입하였다. WTO/DDA(도하라운드) 협상에 따라 농가보조금 감축이 불가피하고 시장여건도 많이 변화하여 추곡수매의 기능이 크게 축소되었다고 판단하고 2005년부터는 추곡수매제도를 폐지하고 쌀소득보전직불제와 공공비축제 등을 도입하였다.                                                                                                                                                                                                                                                                                                                                                                                                                                                                                                                                                                                                                                                               

2507|금융|추심|어음이나 수표소지인이 거래은행에 어음과 수표의 대금 회수를 위임하고  위임을 받은 거래은행은 어음과 수표의 발행점포 앞으로 대금의 지급을 요청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추심이란 챙겨서 찾아 가지거나 받아낸다는 뜻으로 채무의 변제장소에 관한 용어다. 수표발행인 계좌에서 돈을 인출해 어음이나 수표를 제시한 사람에게 지급해야 하는 은행을추심은행이라고 한다.                                                                                                                                                                                                                                                                                                                                                                                                                                                                                                                                                                                                                                                                  

2508|금융|추심어음|채권을 추심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어음을 말한다. 보통 채권자가 채무자를 지급인으로 하고 자기 또는 자기의 채권자인 제3자를 수취인으로 하여 환어음을 발행하고 은행에 그 추심을 의탁한다. 수취인이 발행인의 채권자인 경우  채권의 추심과 채무의 변제가 동시에 실현되어 편리하다.                                                                                                                                                                                                                                                                                                                                                                                                                                                                                                                                                                                                                                                                 

2509|공공|추정가격|부가세와 관급자재부분 등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을 말하며 공사의 대략적인 규모를 산정하는데 사용된다. 추정가격은 국제입찰 대상여부의 판단기준이 되며 적격심사를 평가할 때 기초가 된다.                                                                                                                                                                                                                                                                                                                                                                                                                                                                                                                                                                                                                                                                        

2510|경영|출고조절행위|기업이 정당한 이유 없이 최근 추세에 비추어 상품 또는 용역의 공급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거나       정당한 이유 없이 유통단계에서 공급부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 또는 용역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로      공정거래법 312호에 해당한다. 이는 독점력을 바탕으로 한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행위의 한 유형으로 공정거래법상 불공정행위에 해당한다. ‘최근 추세에 비추어란 상당기간 동안의 공급량을 제품별ㆍ지역별ㆍ거래처별ㆍ계절별로 구분하여 판단하되 제품의 유통기한           수급의 변동요인 및 공급에 필요한 비용의 변동요인을 감안한다는 의미이고    공급량의 현저한 감소란 당해 품목의 생산량이나 재고량을 조절함으로써 시장에 출하되는 물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직영대리점이나 판매회사의 재고량 및 출하량을 합산한다. 그리고 공급량 감소 후 일정기간 이내에 동 품목의 가격인상이 있었는지 여부     공급량 감소 후 일정기간 이내에 당해 사업자(계열회사 포함)의 동 품목에 대한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이 증가하였는지 여부          공급량을 감소시킨 후 일정기간 이내에 당해 사업자(계열회사 포함)가 기존 제품과 유사한 제품을 출하하였는지 여부       원재료를 생산하는 당해 사업자(계열회사 포함)가 자신은 동 원재료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관련 제품을 생산하면서 타사업자에 대해서는 동 원재료 공급을 감소시켰는지 여부 등을 판단한다. ‘유통단계의 공급부족이란 주로 성수기에 최종 소비자가 소비하기 전의 각 유통과정에서 품귀현상이 있음을 말한다.                                                                                                                                                                                                                                                                                                                                                                                                                                                                                                                                                                                                      

2511|경제|출구전략(Exit Strategy)|"경기 부양을 위해 취했던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것.                                                                                                                                                                                                                                                                                                                                                                                                                                                                                                                                                                                                                                                                     

                                                                                                                                                                                                                                                                                                                                                                                                                                                                                                                                                                                                                                                                               

테이퍼링(tapering)이라고도 하는데 과잉 유동성으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사용한다."                                                                                                                                                                                                                                                                                                                                                                                                                                                                                                                                                                                                                                                          

2512|금융|출금전표 |은행이나 회사 등에서 돈을 지급할 때 예금주       금액 등을 적어 넣는 쪽지를 말한다. 지급전표로 불리기도 한다. 전표는 회계거래의 발생 사실을 전달하고 장부상의 증거자료로 보존하기 위한 일정 양식의 지표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통상적으로 거래의 발생일자    사유    거래내용          본인과 상대의 이름       금액    계정과목 등이 기록된다.                                                                                                                                                                                                                                                                                                                                                                                                                                                                                                                                                                                             

2513|공공|출연|어떤 사람이나 단체가 자기의 의사에 따라 돈을 내거나 의무를 부담함으로써 재산상의 손실을 입고 남의 재산을 증가시키는 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부행위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나 법률적으로는 비영리재단법인에 재산을 무상으로 내는 행위를 뜻한다. 세법에서는 출연이란 기부 및 증여를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상속재산 또는 증여재산을 공익법인에 출연하는 경우 그 재산가액을 과세가액 불산입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2514|공공|출연금ㆍ출자금|정부 출연금이란 국가가 해야 할 사업이지만 여건상 정부가 직접 수행하기 어렵거나 또는 민간이 이를 대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또는 국가가 재정상 원조를 할 목적으로 법령에 근거하여 민간에게 반대급부 없이 금전적으로 행하는 출연을 말한다. 정부 출연금은 민간에 대한 이전지출로 중앙관서의 장이 관리ㆍ운용하는 정부관리기금에 대한 기금 전출금이나 기업회계         비금융 공기업에 대한 경상 전출금           자본 전출금과는 구분된다. 정부출연기관은 정부가 출연금 예산으로 운영비와 사업비를 지원하는 기관으로서         편의상 다시 출연연구기관과 비연구 출연기관으로 나눈다. 출연연구기관은 한국개발연구원ㆍ한국교육개발원 등 주로 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을 말한다. 비연구출연기관으로는 한국소비자보호원ㆍ근로복지공단 등 연구 이외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정부 출자금이란 정부가 출자자로서 법인이 사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본에 대한 금전적 급부 행위를 말한다. 정부가 공익사업 또는 민간경제 운용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하는 민간법인의 주식 또는 출자증권을 취득하기 위하여 재정에서 출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정부가 출자하는 경우 전체 출자액(자본금)에 대한 출자자의 소유출자 비율          즉 출자지분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정부는 이자배당 등 출자수익을 얻는다. 정부 출자는 일반적으로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정부투자기관 등에 법정(수권) 자본금의 범위 내에서 행해진다.                                                                                                                                                                                                                                                                                                                                                                                                                                                                                                                                                                                                                 

2515|경영|출자|어떤 사업을 위해 자금을 내는 행위나 그 자금 자체를 지칭한다. 민법상의 조합    상법상의 각종 회사 등에 대하여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자본으로서 재산        노무나 신용을 내놓는 것 또는 그 행위에 대한 목적물을 말한다. 행위와 목적물에 따라 금전이나 그 밖의 동산ㆍ부동산ㆍ채권ㆍ무형재산권 등을 출자하는 재산출자    노무를 제공하는 노무출자           자기의 신용을 이용하는 신용출자 등이 있다.                                                                                                                                                                                                                                                                                                                                                                                                                                                                                                                                                                                                                                   

2516|경영|출자전환(부채출자전환)|기업이 채권 금융기관의 대출금을 주식으로 전환함으로써 과다한 부채로 인한 문제를 덜어주어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막는 것을 말한다. 출자전환은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당해 기업 주식으로 직접 전환하는 직접출자전환 방식과 투자자가 금융기관 매출 채권을 할인 매입 후 당해 기업 주식과 상계하는 간접출자전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출자전환은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시키고         금융기관의 부실 축소     국민부담 축소   국부의 해외유출 방지 및 실업문제 축소 등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융기관의 경우 BIS비율을 높이고   기업 정상화 및 회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기업 입장에서 무분별한 출자전환은 금융기관 보유지분 확대의 결과를 낳아 금융자본에 의한 산업자본 지배의 우려가 있을 수 있고    지배주주의 경영권 약화와 금융기관 간섭 증가로 경영권 부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 부실채권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투자자금이 장기적으로 묶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 출자전환을 보완하기 위해 배드뱅크ㆍ자산유동화회사 확충 등 부실채권을 매입할 수 있는 저변을 확대해야 하며        금융기관은 출자전환 주식을 매각하고       기업이 지분 감소를 회복할 수 있도록 출자전환 주식을 기업이 되살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출자전환을 할 경우 주식으로 전환된 현금을 언제 회수할지 모르는 막막한 상황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금융기관은 가급적 출자전환 이전에 자금을 회수한다.                                                                                                                                                                                                                                                                                                                                                                                                                                                                                                                                                                                         

2517|경영|출자총액제한제도|대규모 기업집단 또는 계열사가 자산의 일정범위 이상을 관련 회사에 출자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제도이다. 계열사간 과도한 출자로 대규모 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 왜곡을 억제하고 계열사간 동반부실화 위험 등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출자총액제한제도는 1987 4월부터 도입ㆍ시행되다 1998 2월 외환위기로 외국 기업들이 국내 알짜 기업들을 대거 사들이는 것이 우려되자 한때 폐지되었다. 이후 2001 4월 출자총액제한제 대상 그룹들의 출자비율(순자산 중 다른 기업에 출자한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 98 29.8%에서 2001 35.6%로 높아지자 2001 4월 출자총액상한을 순자산의 25%로 규제하여 다시 도입하였다. 2009 3 3일 국회본회의에서 출자총액제한제를 폐지하는 관련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2518|공공|취락지구|녹지지역ㆍ관리지역ㆍ농림지역ㆍ자연환경보전지역ㆍ개발제한구역ㆍ도시자연공원구역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구로 자연취락지구와 집단취락지구가 있다. 자연취락지구는 녹지지역ㆍ관리지역ㆍ농림지역ㆍ자연환경보전지역 안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취락지구이며       집단취락지구는 개발제한구역 안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취락지구이다. 주민의 집단 생활근거지로 이용되는 지역으로 주택신축 증ㆍ개축          용도변경 때 비()취락지구에 비해 혜택을 받는다.                                                                                                                                                                                                                                                                                                                                                                                                                                                                                                                                                                                                                                      

2519|경제|취약국가지수|"취약국가지수(Fragile States Index     FSI)는 미국의 싱크탱크인 평화기금회(Fund for Peace)와 미국 격월간 외교 전문지인 <포린폴리시(Foreign Policy)> 2005년부터 매년 선정해 발표하는 지수이다.                                                                                                                                                                                                                                                                                                                                                                                                                                                                                                                                                                                                                                                                  

                                                                                                                                                                                                                                                                                                                                                                                                                                                                                                                                                                                                                                                                               

안정적 국가 유지 능력이 취약한 국가들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의 지수로         4가지 부문의 총 12개 지표로 평가한다. 응집력 부문에서는치안 유지력지배 계층의 파벌화집단 간 갈등을 평가하고     경제 부문에서는경제 상태경제적 불평등인력 유출을 파악한다. 정치 부문에서는국가의 합법성공공서비스인권을 측정하고     사회 부문에서는인구 압박(일정 면적의 지역 안에 인구가 지나치게 많아 생활수준이 낮아져 느끼는 압박감) ⑪ 난민 및 국내 이동 인구외부 개입을 평가한다. 각 지표의 점수는 10점 만점이고    총점은 120점이다. 점수와 순위가 높을수록 그 국가의 취약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점수에 따라 각 국가를 위험군(90점 초과)    경고군(61~90) 안정군(31~60) 지속가능군(30점 이하)으로 구분한다.                                                                                                                                                                                                                                                                                                                                                                                                                                                                                                                                                                                                                                           

                                                                                                                                                                                                                                                                                                                                                                                                                                                                                                                                                                                                                                                                               

2020년 자료에 따르면      평가 대상 178개국 중 예멘         소말리아          남수단  시리아가 위험군 중에서도 취약도가 가장 높은위험 수준 매우 높음(Very High Alert)’ 단계에 포함되었다. 반면 핀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덴마크  아이슬란드 등은지속가능성 높음(Very Sustainable)’ 단계에 속했다.                                                                                                                                                                                                                                                                                                                                                                                                                                                                                                                                                                                   

                                                                                                                                                                                                                                                                                                                                                                                                                                                                                                                                                                                                                                                                               

한국은 프랑스    일본    우루과이          몰타 등과 함께 안정군 중매우 안정적(Very Stable)’ 단계에 포함되었다. "                                                                                                                                                                                                                                                                                                                                                                                                                                                                                                                                                                                                                                          

2520|경영|취약성 곡선|대재해와 같은 큰 자연 재해에 대해서는 토지 및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그 손실이 달라진다. 이를 취약성 요소(Vulnerability Component)라 하며    이를 나타내는 방식 중 하나로 취약성 곡선(Vulnerability Curve)이 있다.                                                                                                                                                                                                                                                                                                                                                                                                                                                                                                                                                                                                                                                                  

2521|경제|취업애로계층|"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 취업애로계층은 공식 실업자 뿐 아니라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희망자      취업자 중 추가취업희망자 등 사실상 실업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2522|경제|취업유발계수|특정 제품이나 산업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경우 경제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취업자수.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산업의 직접적인 노동 투입량 뿐만 아니라, 생산의 파급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노동량까지 포함한다. 가령, 자동차를 생산한다고 하면 이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노동량 뿐만 아니라 타이어나 부품 등 자동차와 관련한 수많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노동량까지도 포함해 측정한다.

2523|경제|취업자|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 취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을 말한다.

2524|공공|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 제도|"     학생이 학업에 필요한 학자금을 정부로부터 대출받아 재학기간동안 원리금 상환 부담없이 학업에만 전념하고         졸업 후 취업 등을 통해 소득이 발생한 시점부터 대출금을 분할하여 상환하는 제도다. 현재도 정부보증 학자금대출 제도가 운영되고는 있지만 매월 수십만원의 이자를 갚아야 하고        졸업후 취업이 안 되어 소득이 없더라도 상환기간이 도래하면 매월 원리금을 갚아야 한다. 정부는 학자금 상환에 대한 걱정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용 불황기 때 청년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2010 1학기부터 이 제도를 도입하였다."                                                                                                                                                                                                                                                                                                                                                                                                                                                                                                                                                                                    

2525|경제|치앙마이 이니셔티브|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이 외환위기 및 금융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1200억 달러 규모의 공동기금을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 통화교환협정. 2010 3 24일에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2000 5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된 ASEAN+3 재무장관회의에서 처음으로 체결되어   치앙마이 협정이라고도 불린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의 특정국가에서 외환 부족 사태 등 금융위기가 발생한 경우 IMF 등의 국제금융협정 및 국제기관에만 의존하지 말고 아시아 국가들이 자체적으로 장치를 마련하여 스스로 위기에 대응하자는 취지에서 처음으로 논의되었다. 양국간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면 어느 한쪽이 외환위기에 빠질 경우 다른 한쪽이 미 달러화 등의 외화를 일정조건에 따라 빌려줌으로써 위기 당사국의 외환유동성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526|경영|카니벌라이제이션(Cannibalization)|기능이나 디자인이 탁월한 후속제품이 해당 기업이 먼저 내놓은 비슷한 제품의 시장을 깎아먹는 경우나   해외의 값싼 노동력으로 제작한 저가 상품이 국내의 고가 제품을 밀어내는 상황을 의미한다.                                                                                                                                                                                                                                                                                                                                                                                                                                                                                                                                                                                                                                                              

2527|경제|카르텔(담합)|"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공동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거래조건          생산량 등을 결정하거나 제한함으로써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에 해당한다. 담합은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가격이나 거래조건을 사업자들이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시장경제질서를 왜곡하고 소비자들의 후생을 저해한다."                                                                                                                                                                                                                                                                                                                                                                                                                                                                                                                                                                                                                                     

2528|금융|카멜(CAMEL)|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ㆍ연방예금보험공사(FDIC) 등 연방은행감독기관이 197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은행검사시스템으로서 은행건전성 감독기준이다. 자본충실도(Capital Adequacy)ㆍ자산건전성(Asset Quality)ㆍ경영체계(Management)ㆍ수익성(Earning)ㆍ유동성(Liquidity) 등의 여러 경영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경영실태 평가방식이다. BIS비율이 위험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을 의미하는 계량지표인 데 비해        CAMEL은 경영관리 능력 등 비계량지표와 전반적인 경영효율성을 함께 분석해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평가한다. 예컨대      자본충실도를 평가할 때는 BIS비율 같은 계량지표 외에 경영진의 위험감시 및 통제 능력          자본증식 가능성 경영진이 추진하는 정책의 타당성과 같은 비계량 항목도 같이 따진다. 또 전반적인 재무상태와 영업능력 지배구조개선 추진상황   법규 준수 등이 경영관리 능력에 포함된다.                                                                                                                                                                                                                                                                                                                                                                                                                                                                                                                                                                                                      

2529|경영|카오스 이론(chaos theory)|미국의 수학자인 에드워드 로렌츠(E. N. Lorentz)가 날씨에 대한 시뮬레이션 중 발견한 수학적 이론으로서          흔히 대중적으로는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 주에 발생한 토네이도의 원인이 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나비효과로 유명하다. 카오스는 '혼란'을 의미하는데          겉보기에는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지만 나름의 규칙과 질서를 가지고 있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카오스 이론이다. 기업 경영의 측면에서는 경영상의 위기나 혼란을 기업 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다는 이론이다.                                                                                                                                                                                                                                                                                                                                                                                                                                                                                                                                                                                                                                                       

2530|경영|카이젠(가이젠)|카이젠은 개선(改善)이라는 한자의 일본식 표현이다. 개선의 사전적 의미는 나쁜 상황을 고쳐 나아지는 것을 말한다. 제조업 부문에서 이용되고 있는 용어로서의 카이젠은 공장의 작업자들이 중심이 되어 수행하는 소위 아래로부터(bottom-up)의 활동이다. 따라서 카이젠은 일반적인개선이라는 한자어와 구별하기 위하여 ‘kaizen’으로 표기되는 영어화된 일본어이다. 카이젠 활동의 내용은 생산 설비의 개조     공구의 개량 등 업무 효율의 향상과 작업 안전의 확보         품질 불량의 방지 등 생산과 관련된 전범위에 해당한다. 카이젠은 위로부터 명령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 스스로가 지혜를 내어 변화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업은 카이젠 활동을 대체적으로 QC(quality control) 서클 등의 형태로 지원한다. 카이젠은 한번 행해지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차례로 이어지는 지속성        연속성을 중시한다. 카이젠은 일본 제조업체가 해외에서 공장을 운영할 경우    일본에서 파견된 작업 트레이너가 현지 종업원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카이젠이 두루 통용된 계기는 1980년대에 MIT 대학을 중심으로 행해진 일본 제조업이 왜 강한가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학술적인 용어로서 강조되면서부터이다.         카이젠이 일본 제조업이 지닌 강점의 하나로서 자리매김할 정도였다. 한편      카이젠의 문제점은 과도한 경쟁으로 생산 현장의 제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톱다운 형식으로 행해질 우려다. 이는 현장 종사자들로부터 사례가 나타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531|금융|카페라떼 효과(Caffe Latte Effect)|"식사 후에 마시는 커피 한 잔 값을 아낄 경우          기대 이상의 재산을 축적할 수 있음을 나타냄                                                                                                                                                                                                                                                                                                                                                                                                                                                                                                                                                                                                                                                                 

. 즉 하루 카페라떼 한 잔 값의 소액의 돈이라도 절약해 장기적으로 꾸준히 모으면 목돈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                                                                                                                                                                                                                                                                                                                                                                                                                                                                                                                                                                                                                                                                       

2532|경영|카펜타식 재보험|카펜타식 재보험(Carpenter Cover)란 초과 손해액 재보험 특약이 변형되어 나타난 특약재보험의 한 형태이다. 이는 매년 보험요율이 출재사의 최근 몇개년도의 초과손해액 금액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에 기반하여 이와 관련된 재보험의 요율을 산정할 때 경험 요율을 적용하는 재보험이다. 미국에서는 화재보험과 같은 특정 보험 종목에서 카펜타식 재보험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2533|경영|카피레프트|자유소프트웨어연합(FSF: Free Software Foundation)의 창설자 리처드 스톨먼이 소수의정보독점에 대항하여 새로운 소유권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창안한 것이다.            소유권은 저자가 갖되 그것을 수정하고 자유롭게 배포하는 것은 공공의 소유로 하자는 것을 말한다. 카피라이트가 배타적인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의미하는 반면        카피레프트는 이를 다른 회사가 사용하도록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카피레프트는 지적재산의 보호를 고집하지 않고 이를 공유하고 널리 유통시켜 사회적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취지다. 그동안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해 온 미국이나 일본 기업들이 최근 자신의 신기술을 무상으로 제공한 뒤 이와 관련된 하드웨어를 국제 공공재로 만드는 카피레프트 전략으로 돌아서고 있다. 미국의 네스케이프사가 검색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배포하고 복제를 허용한 뒤 검색에 필요한 브라우저(검색장비) 시장을 제패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2534|사회|칵테일 위기(Cocktail of Risks)|여러 술이 혼합된 칵테일처럼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악재가 뒤섞여 일어나는 상황을 일컫는 말.                                                                                                                                                                                                                                                                                                                                                                                                                                                                                                                                                                                                                                                                             

2535|사회|칵테일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사람들이 칵테일 파티나 잔치 같은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사방이 시끄러운 와중에도  자신의 이름과 같이 스스로와 연관된 대화는 의식하지 않고도  들을 수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1950년대 당시 미국의 항공관제사들은 관제탑에 설치된 하나의 커다란 스피커에서 여러 조종사들의 이야기를 들어야 해서 직무수행에 어렴움이 많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2536|경제|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나라의 금융상품 등에 투자함으로써 수익을 내는 거래. 통상적으로는 금리 차 거래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는 채권이나 대출자산 등에 대한 투자에 국한되지만     보다 넓은 의미로는 주식이나 원자재         부동산 등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한 투자들을 두루 포괄한다.                                                                                                                                                                                                                                                                                                                                                                                                                                                                                                                                                                                                                                                      

"

2537|경영|캐쉬 카우(Cash Cow)|시장점유율이 높아 꾸준한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시장의 성장가능성은 낮은 제품이나 산업을 말한다. 즉 현재의 수익 창출이라는 측면에서는 안정적이지만, 미래 발전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제품의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을 토대로 각 사업단위의 위치 및 성과를 평가하여 계속 유지할 것인지, 철수할 것인지의 전략적 판단을 내릴 때 사용된다. 캐시 카우로 분류되는 제품이나 산업은 잘 다져진 브랜드 명성을 갖고 있고, 신규투자 자금이 많이 필요 없으며 현금흐름이 좋아 기업의 자금원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보스턴컨설팅그룹은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 높아 시장점유율 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경우를 ‘Star’, 시장성장률은 높지만 시장점유율은 낮아 이익을 기대하기 힘들고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투자 전략이 필요한 경우를 ‘Question Marks’, 시장성장률도 낮고 시장점유율도 낮은 경우를 ‘Dog’ 등으로 총 4단계로 분류하였다.

2538|경영|캐쉬백 서비스|구매자가 사용한 금액 중 일정비율을 적립하여 일정시점에 현금으로 전환하거나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용금액에 따라 포인트를 적립한 후 특정 사은품을 증정하는 서비스 방식과 구별된다.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시점에 현금으로 전환해주는 리얼캐시백 서비스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2539|사회|캐시몹(Cash Mob)|현금을 뜻하는 '캐시'와 무리를 뜻하는 ''의 합성어. '현금을 가진 군중'이란 뜻으로 SNS를 통해 모인 불특정 다수가 특정 가게에 몰려가 집단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행위를 말한다. 대형 상권에 밀려 존폐 위기에 놓인 동네 빵집 등 골목상권을 돕기 위한 것으로 지난 2012 324 '1회 세계 캐시몹의 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미국 클리블랜드의 변호사 앤드루 샘토이가 창안했다. 캐시몹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 특정 시간 상점에 모여 20달러 이상을 구매해야 하고, 주인에게 할인을 요구하면 안 된다. 또 쇼핑에만 몰두하지 않고 함께 참가한 사람 3명 이상과 대화를 나눠야 한다.

2540|경제|캐즘(Chasm)|첨단 기술 제품이 소수의 혁신적 성향의 소비자들이 지배하는 초기 시장에서 일반인들이 널리 사용하는 단계에 이르기 전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하거나 후퇴하는 현상. 원래 지리학적으로 지각변동에 의해서 생기는 균열로 인한 단절을 의미한다. 캐즘을 넘어서는 제품은 대중화되지만 그렇지 못한 제품은 일부 얼리어답터들의 전유물로 남게 된다.

2541|경제|캘리차이나|캘리포니아(California)와 차이나(China)의 합성어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실리콘밸리와 중국의 선전"   이 두 지역이 융합하고 있다는 뜻으로        호주 시드니대학교의 살바토레 베이본스(Salvatore Babones) 교수가 2017 11월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 기고문에서 처음 제시했다.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중국 선전의 인프라를 활용해 저렴하고 손쉽게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어 두 지역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현한 용어이다.                                                                                                                                                                                                                                                                                                                                                                                                                                                                                                                                                                                                                                                      

                                                                                                                                                                                                                                                                                                                                                                                                                                                                                                                                                                                                                                                                               

중국 선전은 1980년 경제특구로 지정된 이후 글로벌 IT 기업 및 기술의 집결지가 되었다. 애플의 아이폰을 위탁생산하는 폭스콘     중국 1위 스마트폰 생산업체 화웨이         중국의 대표적인 IT 기업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선전에 위치하고 있다."                                                                                                                                                                                                                                                                                                                                                                                                                                                                                                                                                                                                                                                         

2542|금융|캘린더 스프레드(Calendar Spread) |캘린더 스프레드는 동일한 기초자산         동일한 행사 가격          그러나 서로 다른 만기일을 가지는 옵션이나 선물에 대해 하나는 매도하고 다른 하나는 매수하여 구성하는 포지션이다. 대개 만기가 짧은 콜옵션 혹은 풋옵션을 매도하고         동시에 만기가 긴 콜옵션 혹은 풋옵션을 매입한다. 이러한 거래의 목적은 대체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득을 얻기 위함이며          혹은 자산에 내재된 변동성을 중화시키기 위해 활용된다.                                                                                                                                                                                                                                                                                                                                                                                                                                                                                                                                                                                                                               

2543|경영|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일반적으로는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구매시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공급자의 수가 매우 제한되어 정해진 소수의 공급업자로부터 구입하거나 아니면 구입을 포기해야 되는 시장을 의미한다. 캡티브 마켓이 존재한다는 건 특정 시장에서 독점이나 과점이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계열사 간 내부시장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대기업이나 금융지주사가 그룹 내부에 있는 계열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운영한다. 캡티브 마켓은 관련된 계열사들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그룹 차원에서는 해당 계열사뿐만 아니라 다른 계열사 고객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     캡티브 마켓을 만들기 어려운 기업이나 금융회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2544|금융|캥거루본드(Kangaroo Bond)|외국 정부나 외국 기업이 호주 국내 시장에서 호주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채권. 호주 현지법에 따라 발행되는 이 상품의 정식 명칭은 호주달러표시채권이다. 한편    외화채권은 일반적으로 나라별 특성에 따른 별명이 붙는다. 영국은 불독본드  미국은 양키본드 일본은 사무라이본드      중국은 팬더본드 홍콩은 딤섬본드 등으로 불린다.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외화채권으로는 아리랑본드와 김치본드가 있다.                                                                                                                                                                                                                                                                                                                                                                                                                                                                                                                                                                                                                  

2545|금융|커미티드 라인|"커미티드 라인(Committed line)은 유사시 금융기관이 타 금융기관으로부터 외화를 먼저 공급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다른 금융기관에 수수료를 내고    위기가 발생했을 때 외화를 우선적으로 공급받는 권리이다. 예기치 못한 경제 충격이 발생해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미국 달러나 일본 엔화 등에 대한 수요가 현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커미티드 라인은 금융기관들이 이러한 외화 수요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활용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통상 국내 시중은행은 외국 은행과 1년 단위로 커미티드 라인을 체결하고  기간을 연장하거나 상황에 따라 규모를 조정하기도 한다.                                                                                                                                                                                                                                                                                                                                                                                                                                                                                                                                                                                                                               

                                                                                                                                                                                                                                                                                                                                                                                                                                                                                                                                                                                                                                                                               

커미티드 라인 외에도 금융기관들이 유사시 달러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레디트 라인(Credit line)이 있다. 크레디트 라인은 금융기관 간 미리 설정해 둔 신용공여 한도 내에서 수시로 외화 자금을 빌려 쓰고 갚는 방식이다. 그러나 커미티드 라인과 달리  외화 대출을 요청받은 금융기관이 대출을 거부하면 외화 자금을 조달할 수 없다."                                                                                                                                                                                                                                                                                                                                                                                                                                                                                                                                                                                                                                                                  

2546|경영|커버넌트(Covenant)|계약을 체결할 때 특정한 행동을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하는 조항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뎃 커버넌트(debt covenant)는 은행이 기업에게 자금을 빌려줄 때 하지 말아야할 행동 등을 적어 놓은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은 차입자의 재무건전성 유지를 위해 자신이 거액의 자금을 빌려준 후에 차입자가 다시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자금을 빌리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넣고 있다.                                                                                                                                                                                                                                                                                                                                                                                                                                                                                                                                                                                                                                                                           

2547|금융|커버드 워런트(Covered Warrant)|커버드 워런트는 이를 보유하고 있는 주체에게 기초 자산을 특정 가격으로 특정일 혹은 그 이전에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초자산은 특정 주식         다양한 주식의 집합       인덱스   통화 등 다양한 범위를 아우른다.기존의 워런트와 달리       커버드 워런트는 발행주체를 기준으로 하여 기초자산인 주식의 발행회사가 아닌 제3자가 발행하는 워런트이다. 발행자인 금융기관은 기초자산을 전부 보유한 상태에서 발행하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워런트를 팔면서 기초 자산 구입에 대한 익스포져를 헷징(hedge or cover)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초자산의 보유와는 상관없이 제3자가 발행하는 워런트를 총칭하여 커버드 워런트라고 칭하기도 한다. ‘커버드 워런트는 옵션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나 분명한 차이점이 몇 가지 존재한다. ‘커버드 워런트는 옵션의 경우와 달리 최초 발행이 불가하고   오직 시장에서 구입만 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일반적인 계약 기간으로커버드 워런트'의 경우 주로 6개월에서 9개월로 계약이 성사되는 반면  옵션의 경우 대체로 1달에서 3달 정도의 기간으로 활발히 거래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2548|금융|커피출레이션(Capitulation)|"조건부 항복'이라는 뜻으로        급락세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희망을 버리고 항복하듯이 주식을 매도하는 현상.                                                                                                                                                                                                                                                                                                                                                                                                                                                                                                                                                                                                                                                                 

                                                                                                                                                                                                                                                                                                                                                                                                                                                                                                                                                                                                                                                                                

급락장에서 투자자들의 심리는 3단계로 나뉜다. 처음엔 그런 장이 아니라고 '부정(denial)'하다가   진정되지 않으면 '공포(fear)'로 바뀐다. 마지막에는 '무조건 항복(Capitulation)해 투매로 이어지게 된다. 커피출레이션 이후에는 남아 있는 매물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커피출레이션이 바닥의 신호로 여겨지기도 한다."                                                                                                                                                                                                                                                                                                                                                                                                                                                                                                                                                                                                                                                   

2549|금융|컨벡시티(Convexity)|채권 가격과 채권 이익률         채권의 듀레이션(이자율에 대해 채권 관련 투자 상품의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이 이자율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사이의 곡선 관계에 대한 측정값을 나타낸다. 이로인해 컨벡시티는 투자 포트폴리오 내의 채권이 시장 리스크에 어느 정도 그리고 어떤 규모로 노출되었는지 측정하는 투자 위험관리 도구로 사용된다.                                                                                                                                                                                                                                                                                                                                                                                                                                                                                                                                                                                                                                        

2550|경영|컨벤션산업(Convention Industry)|컨벤션(convention) ‘con’(함께     같이) ‘vene’(만나다)가 더해진 단어로     산업     학술    정치    문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집회         회의    연구회  전시회   문화 예술 공연  체육행사 등의 행위를 말한다. 컨벤션 산업은 전시와 국제회의에 관광과 이벤트까지 포함된 복합적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컨벤션 산업은 1차적으로는 컨벤션센터의 운영과 관련된 설비 및 서비스 관련 산업      전시 관련 산업만을 지칭하나      다양한 산업과 연계된 효과를 가지고 있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종합산업이자 지식ㆍ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촉진하는 지식기반산업이다. 컨벤션 산업은 개최 자체의 경제적 효과 이외에도 부수적으로 창출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주최측은 인쇄출판       회의장 임차      기자재 임대      우편통신          인건비  교통비  초청비  식음료비 등의 지출을 하게 되고     참가자인 수요자들은 문화 활동    쇼핑    관광 등 컨벤션 참가 이외의 목적에도 지출을 하기 때문에 소비유발이 큰 산업이다. 이외에도 성공적 국제회의 개최 과정 속에 형성된 인프라 구축   국가이미지 제고 정치적 위상 증대          사회 및 문화의 교류 등을 감안하면 그 효과는 매우 크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