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기업의 해외진출 동기를 요약하면
1. 세제상의 이점
2. 현지 정책의 외자우대
3. 신시장 개척
4. 현지의 풍부하고 저렴한 원재료와 에너지 자원
5. 소비시장 또는 그 인접지에서 생산함으로써 수송비 절감
6. 이윤의 차이
7. 현지의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
8. 현지 정부의 국내산업 보호정책에 의한 수출 감소 극복
9. 현지와 제 3 국의 무역의 유리성
현지의 선진기술 확보 현지 신시장 개척 현지와 제3국간의 지리적 인접성 소비시장 인접으로 수송비 절감 현지정부의 외자우대, 세제상의 이점 현지의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 및 원자제, 에너지 등 현지의 국내산업 보호정책, 저렴한 노동력과 세제혜택이 주 무기였으나 2008년부터 자국/외국기업 모두 25%로 통일. 즉, 외국기업 소득세 상승, 자국기업 소득세의 하락 기업의 궁극적 목적 돈이 되므로 글로벌 기업의 해외 진출 동기 이건산업의 삼림개발 락엔락의 중국 차통 태평양의 롤리타 렘피카 글로벌기업의 해외진출 유형 기술개발 및 제품의 개발 브랜드의 창출과 구축 원자재의 확보 표준화, 현지화 현지의 기존회사 인수합병 후 투자확장 국가, 공조직과 연계 진출 현지시장 개척 저임금을 활용한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그동안 글로벌화에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리의 기업 글로벌화의 핵심 동인은 기술력이었지만 이 전략은 한계에 맞닥뜨렸다. 상당수의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글로벌 마케팅에 실패하는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렇기 때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 보통 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해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려 할 때 보통 크게 두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데 하나는 기업이 모국 또는 타 국가에서 습득한 경쟁우위를 현지 시장에 이전해야 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현지 시장여건에 마케팅 활동을 적응시키는 현지화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은 이 두 가지 요인 중 어느 한 요인만 취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대적인 비중의 결정인데, 전자의 요인에 비중을 상대적으로 높게 두면 표준화 전략 즉, 순수한 의미에서의 글로벌(global) 전략을 택하는 것이다.
반대로 후자의 요인에 치중하면 현지화(local)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다. 표준화와 현지화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전략이 글로컬(glocal) 전략이다. 우선 글로벌 마케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현지에 ‘이전 가능한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경쟁우위란 그 기업만이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으로 브랜드, 제품력, 가격경쟁력, 유통력, 마케팅 노하우 및 경험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경쟁우위를 현지 시장에 이전하지 않고서는 기업들은 친숙하지 않은 현지 시장에서 생존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이전 가능한 경쟁우위’는 지역별로 달라질 수 있다. 한국 기업이 이전할 수 있는 경쟁우위는 선진국 시장에서는 다소 제한돼 있으나, 아시아 개발도상국 시장에서는 충분한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말해 한국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에는 선진국에서는 현지화 전략, 아시아 개도국에서는 표준화 전략이 적절할 것으로 추론된다. 이러한 표준화 전략은 시장 진입 초기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즉 현지화에 따르는 추가 비용을 절감하고 한국과 제3시장에서의 성공 모델을 이전함에 따라 실패에 따른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표준화 전략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초기 시장 성공 후 시장 확대를 위해서 다양한 세분시장에 진입해야 하는데, 이 경우 현지화가 필요할 수 있다. 맥도날드는 국내 시장 진입 초기에는 글로벌 제품과 브랜드를 국내에 이전하는 전략에 치중했으나, 추후 시장 확대를 위해 불고기 햄버거와 같은 현지화된 제품과 브랜드를 개발해야만 했었다. 한국 브랜드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면 오리온 초코파이가 중국의 유통환경에 맞는 포장을 개발하고, 미원이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구매력에 맞춰 소량 제품을 판매한다든지, 한국 전자 업체들이 중국에서 가라오케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복합 제품을 개발하는 전략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한국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은 시장권역별로 차별화된 방향으로 전개돼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현지화, 개도국에서는 표준화’ 전략이 한국 기업의 해외 마케팅 성공 사례의 공통적인 특성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글로벌 마케팅을 위해서는 표준화와 현지화 어느 하나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나 마케팅믹스 전략은 글로벌 마케팅 전략의 체계에 맞춰 전개되어야 한다.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도 예외가 아니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역할은 기업의 제품과 마케팅 프로그램을 고객 등 커뮤니케이션 타깃을 대상으로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소통시키는 일이다.
참고문헌 ; 해외진출 한국기업 디렉토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