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헛갈리는 내용.... ^^
수상함과 수중함은 또 차이가 있음, 단 잠수함으로 해상운송을 하는 경우는 군용만 있으니 참조
=======================================
해운관련 톤수 용어
선박의 크기를 표현하는데 옛날부터 톤수(Tonnage)가 사용되었음. 선박에 사용되는 Ton은 중량의 단위로서의 톤만이 아니고 용적의 개념으로도 Ton을 사용하고 있음.
그러므로 Ton이 쓰이는 용도에 따라 배의 중량을 나타내는 배수량 톤수, 배의 용적을 나타 내는 총톤수 및 순톤수, 배가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재화중량톤수, 선박의 종류별 가공공수에 의한 상대적 지표인 표준화물선 환산톤수의 5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
총톤수(GT, Gross Tonnage)
Capacity Tonage(용적톤)로서 상갑판 하부 및 상부의 모든 폐위장소(Enclosed Space)의 합계 용적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결정됨.
해당 국가별로 별도의 규정에 의해 100 ft3을 1톤으로 하여 측정되던 것이 1982년 7월 18일부로 발효된 IMO 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onnage Measurement of Ship, 1969)에 의하여 그 측정방법이 통일되었으며 군함이외의 대부분의 선박은 주로 이 총톤수로 그 크기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선박의 등록세, 검사수수료, 입거료(수리를 목적으로 도크에 들어갈 때의 사용료) 등의 기준이 됨.
순톤수(NT, Net Tonnage)
직접 영업행위에 사용되는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의 용적 및 여객의 수에 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총톤수와 마찬가지로 100 ft3을 1톤으로 하여 측정되던 것이 1982년 7월 18일부로 발효된 IMO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f Tonnage Measurement of Ships, 1969)에 의하여 그 측정방법이 통일되었으며, 순톤수는 직접 상행위를 하는 용적이므로 항세, 톤세, 등대 사용료, 검역수수료, 항만시설사용료의 기준이 됨.
재화중량톤수(Deadweight Tonnage: DWT)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을 말하며, 여기에는 화물, 여객, 선원 및 그 소지품, 연료, 음료수, 밸러스트, 식량, 선용품 등의 일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의 톤수는 재화중량톤수로부터 이들 각종의 중량을 차감한 것이 됨.
배수량톤수(Displacement Tonnage : DISPT)
물위에 떠있는 선박의 수면하 부피와 동일한 물의 중량이 배수톤수이며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의한 선박의 무게로 주로 군함에 쓰여지는 톤수.
표준화물선 환산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 CGT)
표준화물선으로 환산한 수정총톤으로 기준선인 1.5만DWT(1만GT) 일반화물선의 1GT당 건조에 소요되는 가공공수를 1.0으로 한 각 선종, 선형과의 상대적 지수로서 CGT계수를 설정하고 GT를 곱한 것으로 실질적 공사량을 나타낼 수 있는 톤수
'공부하기 > 경영학과 군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U+] U+tv 프라임라이트 쿠폰 사용 안내 (0) | 2021.10.01 |
---|---|
엔지니어링 용어집 (0) | 2021.09.29 |
해운 용어집,약어집 4 (0) | 2021.09.29 |
해운 용어집,약어집 3 (0) | 2021.09.29 |
해운 용어집,약어집 2 (0) | 2021.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