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스·블루길 사료화로 ‘세 토끼’ 잡는다
토종 생태계 보호·농어촌 소득향상·일자리 창출 기대
올 예산 10억 투입 고흥서 ‘교란어종 사료화’ 시범 추진
“기존 수매·낚시대회 등 지속성 못 가져…사료화가 답”
입력날짜 : 2016. 02.03. 19:01
전북 임실 옥정호에서 3-4시간 수중작업으로 잡아 올린 배스들
근엄한 표정으로 국회 의정단상에 앉아 있어야 어울릴 현직 국회의원이 우리나라의 대표적 생태계 교란어종인 배스·블루길 퇴치에 앞장서고 있다. 단지 퇴치뿐만 아니라, 사료화를 통한 농어촌 소득향상과 토종 생태계 보전, 일자리 창출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밤낮없이 뛰고 있어 의정활동의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신문식 국회의원
화제의 주인공은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인 신문식(59) 의원. 그는 객관적으로 ‘물고기 전문 연구자’는 아니다. 하지만, 고흥 출신으로 평소 바다와 물고기에 미쳐(?) 살다보니 어느 덧 배스·블루길 등 웬만한 물고기에 대해서는 박사급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 주변의 평가다.
배스·블루길은 40여년전 국내에 들어와 이제는 거의 토착화 단계에 이른 생태계 교란어종이다. 번식력이 좋은 이 물고기들은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토종 소형 어류들까지 모조리 먹어치우며 생태계 피라미드의 하위층을 거의 없애버리다시피 하고 있다. 그 결과 플랑크톤 과영양화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현재 생태계 교란어종의 퇴치는 환경부가 주무부처로 관할하고 있지만, 4대강 및 몇몇 호소에 국한돼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인 전국 각 지역의 저수지·댐 등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파괴와 수질오염 등의 피해는 고스란히 양식어가와 농업용수를 이용하는 농업인에게 돌아가고 있다.
반면, 축산농가와 양식어가의 경우 사료값 인상에 따른 경영비 부담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 양식장에 사용되는 배합사료를 위해 수입되는 고가의 어분(물고기 가루)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반면 국내 어분 생산량은 감소 추세에 있어 국내 사료·비료업계는 그야 말로 고사위기에 처했다.
신 의원은 “이러한 문제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생태계 교란어종을 사료·비료화하는 것”이라며 “배스·블루길을 잡아 토종 생태계를 보전하고, 잡은 배스·블루길을 사료·비료화해 관련업계나 농·어업인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면 일거양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잡은 배스·블루길은 각 지자체에서 1㎏당 3천-5천원의 퇴치비를 지급하고 있으므로, 일자리 창출효과도 있다”면서 “그야말로 1석 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특히 “보통의 낚시방법이나 잠수해 작살을 이용하는 방법 대신 제가 개발한 방법을 통하면 누구든 배스·블루길을 쉽고 간편하게 잡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이 개발한 포획어구는 대략 10만원 정도의 경비로 직접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는 생태계 교란어종의 퇴치를 위해 ▲수매사업 ▲낚시대회 ▲인공산란장 등의 다양한 사업을 펼쳐왔다.
그동안 지자체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된 생태계 교란어종 퇴치사업은 ‘수매사업’이다. 수매사업은 주로 성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단기간에 높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내수면 어업생산량이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각 지자체 별로 소규모의 예산범위 내에서 추진한다는 한계로 인해 지속성을 가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 레저스포츠인 낚시의 대상으로 배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일부 지자체에서는 낚시대회를 통해 배스를 퇴치하고 있다. 인조 미끼를 사용하는 루어낚시의 경우 수질오염에 대한 영향이 적을 뿐만 아니라 포식성이 강한 배스의 습성을 이용한 낚시법으로 배스만을 선별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자체의 낚시대회가 대부분 1회성의 전시성 행사에 그쳐 근본적인 퇴치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배스의 번식 특성을 이용한 인공산란장은 자연 상태에서 산란을 유도한 후 수정란을 제거해 원천적으로 번식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배스 인공산란장은 1-2m 정도의 일정한 수심이 유지돼야 하고, 산란기인 4-6월에만 적용이 가능해 농번기 농업용수를 공급해야 하는 저수지의 경우 효과를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신 의원은 “결국 사료·비료화가 답이다”고 확언한다.
그는 “농가경영비에서 사료나 비료 등 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기준 38.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가에 매우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면서 “따라서 생태계 교란어종을 포획해 양질의 배합사료로 가공한 뒤 저렴하게 공급하는 한편 농가에는 배스 등을 활용한 액비(액체비료) 방안을 마련해 공급한다면 농·어가 경영비용 절감,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 환경오염 방지, 생태계 복원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기대했다.
전문가들은 생태계 교란어종의 사료·비료화를 위해서는 포획과 수집 단계에서의 정부 부처간 협업체계의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예컨대 포획단계에서는 내수면 어업을 행해왔던 어부, 낚시 동호인, 농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생태계의 회복을 위해서는 주요 하천, 호소뿐만 아니라 농촌의 소규모 저수지 등에서도 포획작업이 동시다발적이며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신 의원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1만7천427개에 달하는 저수지가 있으며 이 가운데 3천377개는 농어촌공사가 관리하고 1만4천50개는 지자체가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농업용수와 저수지 자체의 유지·관리에만 국한하고 있어 수질 및 수생태계 관리는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신 의원은 해양수산부·환경부·농림축산식품부 등과의 토론회를 거쳐 생태계 교란어종의 사료·퇴비화 시범사업을 위한 예산편성을 위해 기재부 설득에 나섰다. 그 결과 천신만고 끝에 생태계 교란어종의 사료·퇴비화를 위한 ‘시범조성사업’ 예산 10억원을 편성하는데 성공했다. 이 시범사업 예산은 외래어종이 많은 고흥 포두면 해창만 지역에 우선 투입될 예정이다. 1차 시범사업이 성공하면 2차로 10억원이 추가로 투입된다.
신 의원은 “교란어종 포획을 1차 산업이라고 한다면, 사료화 사업은 2차 사업, 배스 낚시 등 생태 체험형 관광은 3차 산업이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생태계 교란어종 포획사업은 각 지자체별 특성에 맞게 유형별 6차산업 모델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김진수 기자 jskim@kjdaily.com
서울=김진수 기자 jskim@kjdaily.com
'놀면서 일하기 > 창업 아이디어링 + 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료산업종합지원사업(생태계교란어종 사료화 시범사업) (0) | 2017.05.04 |
---|---|
양구군, 2017년 내수면어업활성화 각종 사업추진 (0) | 2017.05.04 |
캄보디아 산업단지 자료 모음 (0) | 2017.02.11 |
스몰펫 스튜디오 사진들. .. (1) | 2017.02.04 |
산업제품의 PFOS/PFOA&프탈레이트 분석방법실습 (0) | 2015.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