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글로벌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와 글로벌 마케팅관리 전략으로 표준화와 현지화에 대하여

by 리치캣 2014. 3. 19.
반응형

 글로벌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와 글로벌 마케팅관리 전략으로 표준화와 현지화에             대하여

 



 먼저, 글로벌 기업 즉 다국적기업이란, 국적을 뛰어넘어 경영이 이루어지는 범세계적인 기업을 지칭하는 말로, 세계기업이라고도 한다. 다국적기업은 자국의 시장만으로는 대량생산과 대량판매가 이루어지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해외에 시장을 개척하여 개척 현지에서 직접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군이다. 코카콜라, 제너럴 모터스(GM), 엑슨 석유, 쉘 석유, 바이엘 약품 등이 다국적기업이다. 글로벌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를 조사하기에 앞서 이러한 다국적기업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면 다국적기업은 다수 국가에서 활동하고 연구, 개발, 제조 활동을 통하여 피 투자 국가의 GNP 성장에 기여한다. 또 그 경영을 다수의 국적 인이 관리하고, 그 주식을 다수의 국적 인이 소유하며 국내 활동, 국외 활동의 구별 없이 이익 획득을 위한 장소와 기회만 있으면 어디든지 진출한다. 또, 세계 어디든 활동의 본거지로 보며 본국은 단지 그 활동의 한 분야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국가, 국적, 국경을 넘어 활동하므로 세계 각지에 분산되어 있는 영업의 거점에는 세계 각국의 국적을 갖는 현지 법인으로서의 기업이 각각 설립되고 유가 증권에 의한 간접 투자가 아니라 직접 투자에 의한 현지 사업 단위를 외국에 두고 생산 및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마지막으로 다국적 기업에서의 해외 사업 활동은 본사와는 상대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본사를 중심으로 통일적 원리에 따라 지배되고 수행된다.

 글로벌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에는 첫 번째로, 현지 정부의 국내산업 보호정책에 의한 수출 감소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또, 현지 정책이 외자를 우대하고 있고, 현지의 노동력이 저렴하고 풍부하며, 현지에 풍부하고 저렴한 원재료와 에너지 자원이 있고, 소비시장 또는 그 인접지에서 생산함으로써 수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현지와 제 3국과의 무역에 유리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크고, 이윤에서의 차이도 발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세제제도상에서의 이점도 있다. 위의 9가지 요인을 글로벌 기업이 해외진출을 하게 된 동기로 정리할 수 있다.

 한편, F.W.테일러는 시간동작연구를 통하여 가장 능률적인 작업방법을 발견, 각 작업자에게 표준화하기 위한 작업 지도 표를 작성함과 아울러, 표준시간을 설정하여 작업관리의 기초로 삼았다. 그리고 각 작업자가 표준시간을 공평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공구나 시설에 관한 최선의 방안을 연구하여 표준화하였다. 즉 과학적 관리법에서의 표준화란, 작업방법·작업시간·작업공구나 설비에 관한 과학적 조사에 의하여 ‘one best way’를 발견하고, 그것을 모든 작업자에게 표준화함을 뜻한다. 나아가서 표준화의 실시로 표준에서 일탈된 것에서만 관리의 초점을 맞추는 예외관리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정리하면 표준화란, 대량생산이나 대량구매를 가능하게 하고 과학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또는 소비자에 대한 품질보증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품·부품·품질·작업방법·공구·설비에서 경영의 방침·방법·절차에 이르기까지 최선의 기준이나 규격을 발견하고 통일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현지화란, 현지화란 해외에 투자 진출한 자회사가 독립된 경영주체로서 현지사회에 정착하여 가는 것을 말한다. 즉 본국의 경영방침과 시스템을 원형으로 삼되 마케팅, 생산, 조직, 회계 등 기업 활동 전 분야에서 현지사회에 적합한 독자적인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지사회에 융화함으로써 현지에서 성공적인 사업 활동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글로벌 마케팅관리 전략에서 제품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면 먼저, 제품표준화 전략과 현지화 전략이 있다. 제품의 표준화란 전 세계에 동일화된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말하며, 제품의 현지화란 현지 시장에 맞게 제품을 수정 및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제품 표준화는 규모의 경제와 연구개발의 경제성, 마케팅의 효율성, 소비자의 상표충성도, 생산국 및 기업 이미지 측면에서 볼 때 필요하다. 제품 표준화의 사례로는 가장 유명한 맥도날드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요즈음 ‘패션계 맥도날드’라고 불리는 유니클로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패션계 맥도날드라는 개념도 유니클로에서 나왔다.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똑같은 빅맥을 먹을 수 있는 것처럼 유니클로 매장에서는 같은 시즌에 표준화된 상품을 동일한 가격(환율 적용)에 판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는 기사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유니클로는 이러한 제품 표준화 사례에 긍정적인 예시로 들 수 있다.

 한편, 제품 현지화는 시장 간의 차이, 현지 정부의 법적규제 면에서 필요하다. “하이트 진로는 새로운 방식의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 신 시장 개척에 나서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인도에서는 현지 업체를 통해 병입 생산함으로써 현지인 공략을 강화하고, 미국에선 프로야구 구단과 제휴를 통해 새롭게 접근함으로써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하이트 진로는 올 시즌 동안 다저스 홈구장에서 하이트맥주와 함께 참이슬 소주도 처음으로 칵테일 형태로 판매한다. 참이슬 칵테일은 개막 초 3경기 만에 모두 팔려 다저스 측에서 급히 추가 요청할 정도로 현지인들에게 인기다. 참이슬 칵테일은 ‘아시안 브리즈 (Asian Breeze)’와 ‘골드러쉬 (Gold-Rush)’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레몬과 사과, 오렌지 등 시원하고 상큼한 과일의 향과 소주 특유의 진한 맛이 어우러져 캘리포니아의 더위를 잊게 해 현지에서는 야구경기 관전하는 맛을 더해준다는 평가다.” 라는 기사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하이트 진로 또한 현지화의 긍정적인 예시로 볼 수 있다. 결국 제품의 현지화란 차별화 혹은 현지 적응화의 의미를 가지며 각국의 문화와 생활을 이해하고 거기에 맞는 제품을 만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국제경영 과제를 하면서 내가 정말 자주 이용하는 유니클로, 하이트 진로 등의 기업들이 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고, 계속되는 경기 침체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그들이 어떻게 글로벌기업이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해답이 나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