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골이 전후...
나치에 부역했던 사법계와 언론을 철저하게 응징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촉각을 세워보자.
한국도 내란에 부역했던 사법인과 언론인을 ....잔인하게 숙청해야 한다.
아름다운 숙청이 아니라...19금 수준이 아니라...
39금 수준의 잔인한 숙청이, 공개적인 숙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정권이 나에게 그 일을 맡겨준다면...
내 기꺼이 망나니가 되어 함박웃음을 머금고 칼춤을 추어 주겠다.
“모두 죽여라” | 전후 프랑스의 무자비한 나치 부역자 대숙청기
https://www.youtube.com/watch?v=YzTaLFle_w4
1. ⚔️ 반역과 처벌의 역사적 맥락

-
역사적으로 반역은 가장 중대한 범죄로 간주되며, 경우에 따라 전체 족속이 멸망하기도 했다.
-
전쟁에서 패배한 국가가 점령당할 때 반역자가 대규모로 생기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를 프랑스의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프랑스는 과거 청산을 통해 나치 부역자에 대한 숙청을 수행하며 독특한 경험을 남겼고, 이는 대한민국과의 비교에서 더욱 부각된다.
2. 🗺️ 제2차 세계대전과 프랑스의 패망

-
1939년 9월,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
많은 사람들은 나치가 프랑스까지 침공할 것이라고 확신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프랑스는 마지노선에 200만 명의 병력을 배치했기 때문이다.
-
하지만 나치는 1차 대전의 경험을 통해 기습 전략을 채택하였고, 아르덴 숲을 우회해 기습적으로 공격해 들어갔다.
-
단 6주 만에 파리를 함락시킨 나치의 기동전은 프랑스 육군의 고정 방어 체계를 압도하였다.
-
프랑스의 패망 이후 수백만의 병사가 독일 포로 수용소로 끌려가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고, 북서부 지역이 나치에 편입되는 등 가혹한 현실이 전개되었다.
3. 🗺️ 드골과 자유 프랑스의 저항 운동

-
프랑스 패망 후, 샤를 드골은 끊임없는 저항을 주장하며 런던으로 망명하였다.
-
드골은 해외 주둔군을 활용하여 자유 프랑스군을 조직하고, 연합군과 함께 나치에 저항할 길을 마련하였다.
-
그러나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하는 것은 해외 주둔군에게 리스크가 컸고, 드골은 외교적 설득으로 지원을 확보하였다.
-
1942년 BC 프랑스가 나치에 편입되면서 많은 해외 주둔군이 드골의 휘하로 편입되었고, 드골은 정식 군대인 자유프랑스 해방군을 조직하게 되었다.
-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200만의 연합군이 투입되었으며, 나치는 패퇴의 길로 들어섰다.
4. 🗼 파리 해방의 배경과 드골의 역할

-
드골은 연합군의 베를린 진격 소식에 충격을 받았으며, 이는 파리 해방을 요구하던 그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
연합군 사령부는 파리 회복보다 베를린 점령을 우선시했으며, 이는 결국 드골이 독자적으로 파리로 진격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
드골은 파리 주둔 독일군 사령관인 디트리 콜티츠에게 항복을 제안했으며, 이는 독일군의 신변 보호를 보장하겠다는 내용이었다.
-
콜티츠는 이미 독일의 상황이 악화되었음을 알고 있었고, 결국 히틀러의 명령을 무시하고 자유 프랑스 해방군에 항복함으로써 파리는 해방되었다.
-
파리 시민들은 드골과 자유 프랑스 해방군의 귀환에 열광하며, 이는 드골이 프랑스 구국의 영웅으로 등극하는 중요한 순간이 되었다.
5. 🔪 드골의 반역자 처벌과 숙청 과정

-
드골은 반역자들에 대한 피의 복수를 실행하기 위해 명령을 내렸다.
-
그는 "국가가 애국적 국민에게는 상을 주고 반역자에게 벌을 줘야 국민을 단결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
드골은 사법계와 언론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처벌을 진행하였으며, 5천 명 이상의 경찰과 400명 이상의 법관이 재판에 회부되었다.
-
나치 부역자 중 특히 가중 처벌받은 매춘 언론인들이 법정에 세워졌고, 이는 언론의 도덕성을 중시한 드골의 의도를 반영한다.
-
드골은 법계, 언론을 포함해 정치인, 군인, 관료, 교육자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숙청을 실행했으며, 필립 패튼과 피에르 라발은 특히 큰 처벌을 받았다.
6. ⚖️ 나치 부역자 숙청과 처벌의 과정

-
나치 협력자가 유명할수록 숙청이 더욱 가혹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
로베르 브라지아크는 청원 요청에도 불구하고 드골에 의해 극형을 면하지 못하고 총살당했다.
-
드골은 나치 부역자들을 조사하며, 체포된 인원이 약 100만 명, 재판에 회부된 자는 12만 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 과정에서 처형된 인원은 1만 명이 넘고, 4만 명이 유기징역, 5만 명 이상이 공민권을 박탈당했다.
-
프랑스는 전쟁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를 폐지하고, 과거의 잘못을 숨기고 살아온 부역자들을 지속적으로 처벌하고 있다.
7. 📜 프랑스의 반역자 청산과 한국의 현실 비교

-
프랑스는 체를 통해 반역자 청산을 진행하며 저항과 자주성을 재건했으며, 이는 프랑스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이 과정은 법과 정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이며, 나치에 맞선 저항 세력과 국민의 희생을 기려 사회적 연대를 강화했다.
-
그러나 프랑스의 과거사 청산에 비해 한국은 청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이 있으며, 이는 후손으로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문제로 여겨진다.
-
프랑스의 강점기와 한국의 일제 강점기 기간 차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나, 청산이 아예 없다는 점은 여전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놀기 > 꼰대와 라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또한 이기적이라고 해석하면 맞을까? (0) | 2025.03.13 |
---|---|
미-소 냉전시대에서...러-미 협력시대로의 변화... (0) | 2025.03.12 |
하물며 타일랜드 개도 넘지 말아야 할 선을 아는데... (0) | 2025.03.09 |
필리핀 팔라완 이와힉 (0) | 2025.03.06 |
우크라이나 을사조약. 한국도 그리 될 수 있다. 동맹??? 개나 줘라. 독고다이 세계가 된 걸 아직도 모르는가? (0) | 2025.03.05 |
댓글
리치캣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