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블망원경에 대해서 컨셉설계,개발부터 사용상황
허블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은 NASA와 유럽우주정거장(ESA)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우주 망원경으로,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되어 현재까지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컨셉설계
허블 망원경은 지상 망원경과는 달리 대기권과 구름 등으로 인한 왜곡이 없는 공간에서 천체를 관측하며, 극도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도 560km의 극점궤도를 돌며 태양과 지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개발
허블 망원경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11개의 기기와 5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카메라와 분광계입니다. 카메라는 1993년에 위성에서 수리 작업을 하면서 초기에 발견된 오작동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2002년에 교체되었습니다.
사용상황
허블 망원경은 지구에서 관측할 수 없는 다양한 천체를 관측하며 우주 탐사 분야에 큰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유성, 은하계, 갈릴레오 위성 등의 천체를 관측하며, 이를 통해 우리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또한, 우주의 거리와 구조에 대한 연구, 행성의 대기권 구성 및 광학 관측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허블 망원경은 우주 탐사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제원
허블 망원경은 지상 망원경과 달리 지구의 대기권으로 인한 왜곡이 없는 우주 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경: 2.4m
초점거리: 57.6m
무게: 11,110kg
고도: 560km
제작과정
허블 망원경은 NASA와 유럽우주정거장(ESA)에서 공동으로 개발하였습니다. 1986년 4월 발사 예정이었으나 발사 타이밍에 맞추어 새로운 안정화 시스템을 개발해야 했기 때문에 발사가 지연되었습니다. 1990년 4월 24일, 스페이스 셔틀 디스커버리호에서 발사되어 대기권 밖으로 나가고, 10일간의 점검과 테스트 이후 4월 25일부터 공식적으로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관련 과학자 허블 망원경은 다양한 과학자들의 노력과 기술력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중요한 인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드워드 퍼셀: 허블 망원경의 발명자 중 한 명으로, 저명한 천문학자입니다.
잭슨 샤프: 허블 망원경의 설계 책임자 중 한 명으로, 장기간 NASA에서 일한 뒤 자사의 Aerospace Corporation으로 이직하여 망원경을 설계하였습니다.
데이비드 로스: 허블 망원경의 카메라를 개발한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로스카메라는 허블 망원경의 대표적인 기기 중 하나입니다.
조셉 위버: 허블 망원경의 분광계를 개발한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고해상도 분광을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였습니다.
허블 망원경은 주로 천문학 연구에서 사용됩니다. 대기권이 없는 우주 공간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지상 망원경과는 다르게 대기권으로 인한 왜곡 없이 우주의 실제 모습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주의 크기, 거리, 질량 등을 측정하고, 은하, 별, 행성, 감마선 버스트 등의 다양한 천체를 관측하며 우주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허블 망원경을 통해 얻은 이미지는 다양한 예술작품에서 영감을 받는 등 일반 대중들의 관심도 끌고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AI가 정리한 내용이고, 가능한 검토,검증을 하려고 노력하지만...모르는 분야는 검토가 불가한 것도 있어서... 2023년 현재 AI의 수준이 , 인간의 사실,진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상식을 벗어나거나 위배될 수도 있음을 명시합니다.
'리치캣의 미래 > 우주를 향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UFO를 보았다. (0) | 2023.07.30 |
---|---|
서해 바닷가에서 바라보는 별. 아마도 화성이나 금성 또는 목성일듯... (0) | 2023.05.17 |
좀티엔 해변에서 만난 목성과 금성 그리고 화성 (0) | 2023.02.06 |
세상은 넓고, 우주는 더 넓다. The world is wide, the universe is even wider. (2) | 2023.01.20 |
가자 ... 달나라로~~~ 아르테미스를 타고...... (0) | 2022.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