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경영학과 군사학

경제금융용어 32 : 분산원장기술

by 리치캣 2024. 4. 30.
728x90
반응형

Chatreey 미니 PC 인텔 셀러론 쿼드 코어 N100 포켓 컴퓨터, 3xHDMI 2.0 2x 기가비트 이더넷, 윈도우 11 와이파이 5

https://s.click.aliexpress.com/e/_DCkJwhP

 

128.16US $ 52% OFF|Intel 12th N100 Chatreey T8 Pro Mini PC Windows 11 Pocket Computer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높은 생산성】 Chatreey T8 

출처: https://richcat.tistory.com/entry/◈◈◈가성비-끝판왕-아이템-미니PC [리치캣의 현재 그리고 미래:티스토리]

 

분산원장기술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은 거래정보가 기록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공유(P2P; Peer-to-Peer)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 관리하는 기술이다. 전통적 금융시스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앙집중형

(centralized) 시스템은 원장을 집중 관리하는 3의 기관’(TTP; Trusted Third Party)

설립하고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예컨대 투자자들이

증권회사를 통해 거래하는 주식을 집중 관리하는 한국예탁결제원’(KSD)이 곧 제3의 기관

이다. 반면 분산원장기술에서는 다수 참여자가 거래내역이 기록된 원장 전체를 각각 분산

보관(decentralized)하고, 거래할 때마다 이를 검증하며 갱신하는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한 . 분산원장기술은 가상통화 발행처럼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거래의 기록 및 관리에도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public, permissionless)과 기업내부 또는 금융회사간 시스템처럼

허가받은 경우에만 접근할 수 있는 폐쇄형(private, permissioned)으로 나눌 수 있다. 분산원

장기술은 당초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통화(virtual currency)의 기반 기술로 개발되었

으나, 현재는 동 기술을 다양한 금융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중이다.

연관검색어 : P2P대출, 블록체인,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비트코인, 가상통화

분수효과

분수효과(trickle-up effect, fountain effect)란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저소득층과 중산

층의 소득을 먼저 늘려주면 이들의 소비 확대가 생산과 투자로 이어지면서 전체 경제활동

이 되살아나고 이로 인해 고소득층의 소득도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즉 분수에서

물이 아래에서 위로 솟아나는 것처럼 저소득층에서 시작된 소득과 소비 증대의 효과가

점차 상위 계층으로 확산되면서 전체 경제도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영국의 경제학자인 케인즈(J. Keynes)가 경제 활성화에 긴요한 총수요 진작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지출을 늘리

고 세금을 줄여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이는 분배보다는 성장에, 그리고

저소득층보다는 고소득층에 중점을 두어 경제정책을 운용해야 한다는 낙수효과와는

상반되는 개념이다.

연관검색어 : 낙수효과

불완전경쟁시장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칠 수 없는 상태를 완전경쟁이라 한다. 이는

경제주체의 자유로운 시장 진입과 퇴출,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 존재, 거래되는 재화

및 서비스의 동질성, 정보의 완전성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존재 가능하다. 현실에서는

이러한 요건이 충족되기 어려워 독점시장, 과점시장과 독점적 경쟁시장과 같은 형태의

불완전경쟁시장이 나타나게 된다. 하나의 공급자가 존재하여 재화 및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시장을 독점시장이라고 한다. 두 개 이상의 소수 공급자만이 서로 경쟁하는

시장을 과점시장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예로는 국내의 이동통신서비스, 자동차 시장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점적 경쟁시장에서는 다수의 공급자가 각기 특화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함으로써 독자적으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시장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다.

연관검색어 : 독점/과점, 자연독점

불태화정책

수출입거래나 국경간 자본유출입거래는 국내은행을 통해 국내통화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국내통화량이 변동하게 된다. 이러한 통화량의 변동은 금리와 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불태화정책(sterilization policy)이란 이처럼 해외부문으로부터의 외화유

입으로 인해 본원통화가 증가하고 그 결과로 금리나 물가가 중앙은행이 목표한 바와

다르게 변동할 우려가 발생할 경우, 중앙은행이 공개시장 조작이나 지급준비율 조정

등을 통해 본원통화의 증가를 상쇄시키는 정책을 말한다. 따라서 불태화정책의 수단은

일반 통화정책과 같지만 그 목적이 해외부문에서 비롯된 통화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 다르다. 불태화정책은 중앙은행 등의 외환시장 개입과 연관되어 이루어지

는 경우도 있다. 중앙은행이 환율 안정을 위해 외환시장에서 외환을 매입할 경우 그

반대급부로 원화대금이 거래 상대방에 지급되고 이에 따라 국내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중앙은행은 공개시장 조작 등을 통해 증가분을 회수(불태화)함으로써

통화량을 개입 전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관검색어 : 외환시장, 스무딩오퍼레이션

브레튼우즈체제

19447월 미국의 뉴햄프셔주 브레튼우즈에서 44개 연합국 대표들이 새로운 국제통

화제도 구축을 위해 체결한 협정에 따라 발족한 국제통화체제를 말한다. 이 협정을

체결하게 된 배경은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인한 금본위제도 붕괴, 무역규제 확대,

환율 불안정에 이어 1940년대 국제유동성 부족, 외환규제 확산 등으로 국제통화질서가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브레튼우즈체제는 국제통화제도의 본질적인 기능인

유동성 공급과 국제수지 조정 메커니즘을 미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와

조정가능 고정환율제도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각국은 달러를 대외준비자산으

로 보유하고 미국은 다른 나라가 보유한 달러에 대해 금태환을 보장하며, 각국의 고정환율에 조정이 필요한 경우 국제통화기금(IMF)과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제기구가 IMF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다. 1960

년대 들어 국제유동성 수준이 미국의 국제수지 상태에 따라 결정되고 환율 변경을

통한 불균형 개선이 쉽지 않은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1971년 미국이

달러화의 금태환을 정지하고 뒤이어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도로 이행함에 따라 브레튼

우즈체제는 사실상 붕괴하였다.

연관검색어 : 국제통화기금(IMF), 금본위제,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브렉시트(Brexit)

영국(Britain)과 탈퇴(Exit)의 합성어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뜻한다. 영국은

2016623일 유럽연합(EU) 탈퇴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를 통해 51.9%의 찬성으

EU 탈퇴를 결정하였다. 영국 국민들이 EU 탈퇴를 찬성하게 된 배경에는 200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남유럽국가 구제금융 지원, EU의 난민 포용정책 등으로 영국의

재정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회원국 노동자의 영국 이주에 따라 영국 고용시장이 악화되

는 데 대한 불만이 크게 작용하였다. 영국의 EU 탈퇴는 EU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EU조약에 의거 20173월 영국 정부가 EU 정상회의(European Council)에 탈퇴 의사를

공식 통보함으로써 개시되었다.

연관검색어 : 유럽연합(EU)

브릭스

2000년대를 전후하여 빠른 경제성장세를 보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5개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2001년 미국의 투자회사인 골드만삭스의 보고서

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BRICs)로서 세계의 생산과 인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브라질

(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을 지칭하기 위해 4개국 영문국명의

첫 글자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이들 4개국은 2006년부터 비공식적인 외무장관회의를

시작한 데 이어 2009년 첫 번째 정상회의를 개최한 이후 지속적으로 모임을 갖고 있다.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포함되면서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가 기존의 BRICs에서

BRICS로 바뀌었으며 이에 따라 브릭스의 지정학적 대표성이 부각되는 한편 이들 5개국 간 대화의 깊이와 폭도 더욱 넓어지고 있다. 브릭스는 현재의 경제성장 속도와 앞으로의

발전 전망에 비추어 신흥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높은 나라들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데, 실제로도 브릭스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거대한 영토와 노동력,

풍부한 지하자원 등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