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면서 일하기/♣ goBLUEgoGREEN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4301-4400

by 리치캣 2023. 1. 6.
728x90
반응형

환경 및 무역 관련용어 모음집 environmental and trade terms : 4301-4400

번호                  용어                  해설

4301              부니[腐泥,saproper]                  수저에 생한 유기질이 풍부한 흑색 또는 흑갈색의 연니(軟泥)이다. 수체중의 생물외에 물밖에 산림등에서 유입되는 식물유체가 산소부족인 호저에서 분해된 것으로 생물의 형태를 갖지 못하는 것. 중요한 것은 화학적으로 강한 환원성을 가지며 때로는 다량의 유화수소가 발생하며 저생동물의 생활을 못하는 환경을 만든다. 이것은 해니(骸泥)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호수, , 내만( )등에 대량의 유기배수가 유입하여 생긴 적진물(積塵物)은 인간 활동으로 나오는 부니이다.

4302              부담금제도·배출부과금              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을 어긴 기업에 경제적 부담을 줌으로써 배출허용 기준 준수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로 1983 9 1일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부과대상이 되는 수질오염물질은 유기물질·부유물질·카드뮴·시안·유기인··6가크롬·비소·수은· PCB· 구리·크롬 등 12가지고, 대기오염물질은 황산화물·암모니아·황화수소·이황화탄소·먼지 ·불소·염화수소·염소·시안화수소·악취 등 10가지다. 부과금은 기본부과금과 처리부과금으로 나뉜다. 기본부과금은 배출허용 기준 준수여부와 상관없이 사업장 규모에 따라 부과된다. 물론 폐수배출량이 많거나 에너지 사용량이 많아 대기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사업장일수록 부과금을 많이 내게 된다. 이와 달리 처리부과금은 배출허용 기준을 초과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였을 경우 부과하는 금액으로 통상 배출부과금이라고 하는데 배출허용 기준을 초과하여 배출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을 사업자에게 부과하는 것이다.

4303              부댐 (auxiliary dam)                 월류형 홍수토의 감세지 내에 있는 도수에 필요한 하류 수위를 주거나 자유낙하식 홍수토의 물 쿠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댐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소형의 월류언

4304              부도               일반개요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댁아리 산 1561          면적: 358,000          토지소유현황: 사유         자연환경         지형·지질·경관          부도는 중성화산암류로 풍화층 두께가 두껍다.          육지식물·식생          개요          부도는 3개의 봉우리가 남북으로 연결된 섬이다. 해발고도는 다소 높지만 폭이 넓기 때문에 경사는 완만한 상태이다. 가운데 봉우리와 남쪽 봉우리 사이의 낮은 지대에는 가축을 사육하였던 흔적이 있으며 삼림 내에는 소로가 있는 점으로 볼 때 현재까지도 인간간섭이 가해지고 있는 곳이다.          출현종 및 주요종          부도에서 조사된 식물 종수는 총 192종이며 생육 가능한 종은 210종이다. 남방분자가 많은 것이 매우 특징적이다. 동맥나무를 비롯하여 총 14종이 생육하고 있어 조사된 무인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도가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각홀도와 함께 보존의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다.          특기사항          식생은 크게 5가지로 구분된다. 혼합활엽수림은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데 수관층의 주요 구성종은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졸참나무, 산벚나무, 소사나무, 물푸레나무, 굴피나무, 까치박달 등이다. 수관층의 높이는 가장 남쪽에 위치한 봉우리의 동사면에서는 약 10m이고, 서사면에서는 3m로 위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밀도는 높지만 흉고직경은 10cm 이내로 작은 전형적인 2차림이다. 피도는 100%에 달하기 때문에 관목층이나 초본층의 발달이 대체로 미약하다. 다만 남사면의 굴피나무림에서는 초본층의 피도가 80%에 이른다. 중앙 봉우리의 중심부에도 혼합활엽수림이 위치하고 있는데 수관층의 높이는 8m이다.           해안을 따라 고도가 낮은 지역에는 소사나무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소사나무군락은 동사면에서는 수관층의 높이가 4m에 달하나 서사면에서는 2.5m에 불과한데, 피도는 모두 90% 이상이다.          초지는 두 지역에서 나타나며, 중앙부의 초지는 목장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목본식물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교란형 초지이고, 남쪽 봉우리의 서사면에 발달한 초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좁은 면적이지만 곰솔림과 동백나무림이 있다. 특히 동백나무림은 분포면적이 넓지는 않으나 흉고직경은 4.3~8.1cm이며 약 20개체가 3지소에 나뉘어 자연적으로 생육하고 있다. 1998 9월 현재 열매가 많이 맺혀 있는 상태이다.          육상동물          개요          9 19일 아침 7 30분 덕적도 진리포구를 출발하여 오전 8 20분에 도착하여  부도에서는 3시간 15분 정도 이 일대의 조류를 조사할 수 있었다. 이날 부도 주변에는 어선들이 많이 모여들어 무인도라는 인상이 들지 않을 정도였다. 부도에는 실제로 사람이 살고 있지는 않으나, 비닐하우스 한 채가 바로 눈에 띠었고 그 주위에서 약간의 채소를 재배하던 흔적도 남아 있었다. 인근에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소형선박이 가끔씩 드나들기도 하는 것 같았다.          부도에 접근할 때부터 섬 정상으로부터 바다 위를 향해 쏜살같이 날고있는 두 마리의 매가 관찰되었다. 한 마리는 좀더 크고 한 마리는 작아 보였는데 한 쌍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전형적인 어미 새의 깃 색깔을 갖춘 두 마리의 매가 나타나 섬 정상부에 드러난 두 개의 바위 봉우리 주위를 선회하곤 했다. 이 주위에서 번식하는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          출현종          조류는 매(2), 조롱이(1), 벌매(9), 물수리(1), 잿빛개구리매(1), 재갈매기(10+), 어치(10+), 직박구리(10+), 쑥새(2), 노랑할미새(1)이고, 파충류는 대륙유혈목이(1)이다.          특기사항          조사 시간대의 기상조건에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나 이 섬은 위치상으로 매를 제외하고도 다양한 맹금류의 이동 경로상에 놓여있는 것 같다. 특히 벌매의 경우는 바다를 건너는데도 익숙한 맹금류인데 이곳을 통과하여 중국 해안으로 건너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벌매가 한두 마리씩 줄지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롱이와 물수리, 그리고 잿빛개구리매의 경우도 이동중의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관목림이 빽빽이 들어선 능선 부위에서는 어치와 직박구리가 여러 마리 울고 있었으나 정확한 개체수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부도에서 다시 배를 타고 떠나면서 이 섬의 서사면을 돌았는데, 이 쪽의 관목림과 풀밭들은 괭이갈매기를 비롯, 무인도에서 번식하는 조류 몇몇 종류들이 번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으로 보였다. 사람에 의한 훼방정도가 번식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무척추동물          개요          장구모양의 섬으로 조간대 대부분은 바위로 되어 있으며, 섬의 중간에는 굵은 모래펄과 낮은 바위들로 되어 있어 서식처가 다른 여러 종이 채집되었다.          출현종          연두군부, 줄군부, 애기털군부, 흰삿갓조개, 애기배말, 애기두드럭배말, 꼬마흰삿갓조개, 둥근배무라기, 개울타리고둥, 보말고둥, 눈알고둥, 갈고둥, 총알고둥, 댕가리, 주홍토끼고둥, 큰구슬우렁이, 맵사리, 피뿔고둥, 대수리, 검은줄좁쌀무늬고둥, 갈색띠매물고둥, 고랑딱개비, , 바위굴, 갯강구, 납작게 등이다.          우점종          둥근배무래기, 총알고둥, 맵사리, 대수리, 갯강구.          특기사항          묵도와 함께 옹진군의 다른 섬에 비교하여 많은 종이 채집되었으나, 좁쌀무늬총알고둥이 없는 등 빈약한 생물상을 보인다. 암반의 상층부의 전량 폐사한 조무래기따개비와 일부는 폐사하고 일부만 서식하는 굴로 보아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있어서 다량 폐사한 것으로 보인다.          해조류          부도에는 구멍갈파래, 까막살, 잎파래, 개지누아리, 붉은부챗살, 게발,

4305              부동수전(Unfreezable tap)          급수전의 일종이고 동결방지가 되게한 구조의 것. 외부배수식과 이젝터식의 2종이 있다.        어느 것이든 立上管內의 물을 배수하여 비게 만들 수 있는 까닭에 한냉지에서 동결에 의한 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림은 외부배수식의 것이고 급수전 핸들을 전부열고 다음에 부동핸들을 잠그면 배압변이 내려가 입상관내의 물은 배수구에서 외부로 유출되어 속은 비게 된다.       사용할 때에는 부동핸들을 열면 배압변이 작용하여1 배수는 바로 정지하고 사용상태로 된다.

4306              부등침하                     부동침하라고도 하는데 구조물의 기초지반이 침하함에 따라 구조물의 여러 부분에서 불균등하게 침하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부동침하의 원인은 지반이 연약한 경우, 연약층의 두께가 다른 경우, 건물이 이질지층에 걸려있을 경우, 지하수위가 변경되었을 경우, 지하에 매설물이나 구멍이 있을 경우 등 다양하다.

4307              부라인[brine]               응축기(凝縮器)

4308              부롯트[]                   필요에 따라 롯트를 적당한 양으로 나눈 것. 부롯트를 구성하는 양을 부롯트의 크기라 함(산업폐기물의 샘플링 방법).

4309              부메랑효과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직접 투자해 기술 협력 등을  한 결과 개발도상국의 생산력  수준이 높아져 개발도상국의  완제품이 역수입되고  선진국 산업에  타격을 입히는  . 선진국이 민간 차원의 경제 협력을 억제하고자 할 때 좋은 구실이 되는 경우가  많다.

4310              부분 연소법[部分燃燒法, partial combustion process]                석유화학에 있어서 탄화수소의 열분해, 탈수소, 합성가스의 생성반응 등에 필요한 반응열을, 원료인 탄화수소의 일부를 산소로 연소시켜 공급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테면 메탄을 1500℃로 단시간 가열하면 아세틸렌을 생성하지만 이것은 다음 식과 같은 커다란 흡열반응이다.        메탄 1mol을 완전연소하는 데는 2mol의 산소가 필요하지만 아세틸렌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메탄 1mol에 대하여 2/3mol 정도의 산소를 사용한다. 기타 에탄을 탈수소하여 에틸렌을 만들고, 또 석유의 부분연소로 합성가스        +CO를 만들고 있다.

4311              부분 포집률 (particle size efficiency, fractional efficiency)                 어떤 입자지름 범위의 입자에 대한 입자 포집률. 일반적인 공기 청정장치에서는 어떤 입자지름 범위의 입자만을 공기 청정장치로 포집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가스케이드 임팩터, 스크린, 확산 배터리 등으로 가능해진다.

4312              부분순환 [meromictic]              호수의 수직순환에서 수직순환이 일어나는 원인은 계절변화로 인한 대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표층수온이 변할 때 저층수온과의 밀도차에 의해 수직순환이 이루어진다. 부분순환이라고 하는 것은 영구적으로 성층이 만들어져 수직순환이 없으나 보통 심층과 표층수 사이의 화학적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부분적인 순환을 말한다.

4313              부산시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 변동내역 (98 12월까지)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부산광역시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광복동                대교동                SO₂, NOx, CO                중구 대교동 3 20 (부산시청)                '74                신규설치 (항목 '78 기준)                                SO₂, NOx, HC, CO, O₃                                '83.7                관리전환                광복동                                중구 신창동 1 9 (광복동사무소)                '85.10                위치이전                                SO₂,NOx, HC, CO, O₃,TSP                                '87.8                TSP 추가                                SO₂,NOx, HC, O₃,TSP                                '88.3                CO 폐기                                SO₂,NOx, CO, O₃,TSP                                '90.5                HC 폐기 및 SO₂, NOx, CO, O₃교체                신평동                장림동                SO₂, O₃                사하구 장림1 325-29 (장림1동사무소)                '79.6                신규설치                                                                '83.7                관리전환                                SO₂, NOx, HC, CO, O₃                                '84                항목추가 (CO, HC, CO)                신평동                SO₂, NOx, HC, CO, O₃, TSP                사하구 신평동 509 (() 대림정기)                '91                위치이전                신평동                SO₂, NOx,CO, O₃,TSP                사하구 신평동 509 (성광밴드)                '92.8                HC 폐기                                SO₂, NOx, CO, O₃, PM10                                '95                측정항목변경 (TSP→PM10)                감전동                감전동                SO₂, HC                북구 감전1 806-2 (감전1동사무소)                '79.6                신규설치                                SO₂, NOx, HC, CO, O₃                                '80.4                항목추가 (NOx, O₃, CO)                                SO₂, NOx, HC, CO, O₃, HV                                '83.7                관리전환, 항목추가(HV)                                SO₂, NOx, HC,O₃, HV                                '89.8                CO 폐기                                SO₂, NOx,O₃, HV                                '0.12                HC폐기                                SO₂, NOx,CO, O₃, TSP                                '92                항목추가(TSP, CO)                재송동                재송동                SO₂, NOx,CO, O₃, TSP                해운대구 재송1 1106-5 (재송1동사무소)                '97.2                신규설치                동삼동                동삼동                SO₂, NOx,CO, O₃, TSP                영도구 동삼도 1 (해양대파고관측소)                '96.1 ('96.7)                신규설치                연산동                명륜동                NOx                동래구 명륜동 641-15 (동래구보건소2층옥상)                '74                신규설치                명륜동                NOx, O₃                                '80.4                항목추가                                SO₂, NOx, HC, CO, O₃, HV                                '83.7                관리전환

4314              부산시 중금속 자동 측정망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4315              부산시 중금속 자동 측정망 (2000년대 대기오염 측정망 기본계획)           부산광역시             현 측정소명                구 측정소명                측정항목                위치                년도                비고                감전동                감전동                , 카드뮴 등 7개중금속                북구 감전1 806-2 (감전1동사무소)                '91.1                신규설치                덕천동                덕천동                                북구 덕천동 365-1 (부산지방환경청)                '91.3                신규설치                범천동                범천동                                진구 범천1 849-10(부산진구보건소)                '91.1                신규설치                온천동                온천동                                부산시 온천동                '91.1                신규설치

4316              부상 물질[浮上物質, floating substance]                     수질오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서 유지, 그리스, 왁스, 스컴 등이 주된 부상 물질임. 부상 물질량의 단위는 ppm으로 표시함.

4317              부상 분리 장치[浮上分離裝置]                   가압식 부상분리 장치

4318              부상 분리법[浮上分離法,floatation]             기름처럼 물보다 비중이 작은 것을 물 위에 띠워 물과 분리시키는 유분 분리법과 현탁 입자가 모여서 생기는 프록에 기포를 붙여서 물과의 비중차를 크게 하여 부상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음. 후자는 또 배수 속에 기포를 넣어 부착시키는 부유선광법과 가압 공기를 용해시킨 물을 감압시켜서 석출되는 기포(직경 30∼120μ)를 부착시켜서 부상시키는 가압 부상으로 나뉘어짐. 부선광법은 비교적 진한 액에 사용되며 기포프록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포집제(계면활성제 등)를 첨가함.

4319              부상 분리법의 용도(浮上分離法-用途, application of floatation]           부상 분리법을 배수처리에 응용한 예는 염색 공업 배수 처리, 도금 공장 배수 처리, 제지공장의 섬유 함유 배수 처리, 하수 처리, 하수 오니의 농축, 석유 정제 공장의 함유 배수 처리, 비누 공장 배수 처리, 카본을 함유한 배수 처리, 각종 기계 공장 배수 처리, 금속 압연 공장의 압연 냉각수 처리, 세탄 배수 중의 미분탄의 회수, 세탁 공장 배수 처리등이 있음.

4320              부상법[浮上法, floatation process]              부상(floatation process)은 폐수내의 고형물입자에다 대단히 작은 공기반응을 붙여 비중이 물보다 가볍게 만들어 혹은 비중이 물보다 가벼운 것을 그대로 수면에 뜨게해서 SCUM으로서 제거하는 폐수처리단위 공법이다. 도시하수처리장에서는 통상 별도의 부상지가 필요없고 1차 침전지에 Scum제거기(skimmer)를 설치하여 부상도 동시에 실시하나 공장폐수의 유입이 많은 경우에는 별개의 부상지가 요구될 수 있다.        하수처리과정 부상법.         1) 1차 침전의 전처리로서 채택될 수 있다.          2) 2차 침전의 전처리로서 1차처리로 이용될 수 있다.          3) 공장폐수와 도시하수를 혼압처리하기 전에 공장폐수를 전처리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다.

4321              부상분리 (flotation)                  수중에 현탁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부상시켜 분리하는 수처리법. 부유물질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을 때 또는 기포를 일게하여 겉보기 비중을 작게 할 수 있는 것(가압부상)에 적용된다.

4322              부생 생물[腐生 生物, saprotorophic organism, saprotropr]               생물의 유체(遺體)와 그 분해물, () 등을 영양으로 생활하는 미생물 및 동물, 부생자라고도 함. 부생은 미생물에 부식은 동물에 쓴다. 부식생동물에는, 부육식성. 잡식성에 있다. 미생물에는 종래영양세균, 방사균, 균류로된 부새균으로 강력한 부생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물(死物), 유기물에 의존하는 종속 영양생물은 생태계에의 부식연쇄를 구성하는 중요한 생물군이며 물질의 분리환원에 역할을 한다.

4323              부생가스                     석탄에 열을 가했을 때 부산물로 생성되는 가스로 주로 제철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의 공정등에서 많이 생성

4324              부생균[腐生菌,saprobe, saprophyte]                     염록소를 갖지 않은 생물유체등의 유기물 영양원에 의존하는 식물을 부생식물(사물기생식물)이라고도 부른다. 사실상 종속영양의 세균, 균류등의 부생균이 이에 해당한다. 부생균이라 하는 용어는 기생균(poorasite)에 대하여 쓰여진다. 부생균은 생태계에 관하여 물질환경에 있어 분해자로써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토양중에 유기물은 분해되어 암갈색무정형의 콜로이드상 고분자군으로 변화한다. 이 과정을 부식화라고 한다.

4325              부생연쇄(Saprophytic Chain)                     생물의 유체를 기점으로 부생영양(腐生營養)으로 생활하는 미생물의 연쇄이다. 포식연쇄, 기생연쇄라고도 하며, 식물연쇄의 하나의 기둥이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개념 및 내용보다도 포괄적은 부식연쇄 중에 포함해 취급한다. 미소하여 조사하기 힘든 생물군으로 구성되는 것은, 연쇄의 내용은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4326              부속기구 [Subsidiary body]                      당사국 회의를 돕기 위한 기구로 기후변화협약은 두 개의 상설 기구를 두고 있다: 이행을 위한 부속기구(SBI)와 과학기술적 자문을 위한 부속기구(SBSTA). 각각의 부속기구는 필요에 따라서 만들어 질 수 있다.

4327              부속서 I 국가(Annex Ⅰ Nation)                기후변화협약상 구속력 있는 감축의무를 부담하는 국가. 협약채택 당시에는 35개국이었으나, ''97년 제3차 당사국총회시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등 5개국이 추가로 가입하여 현재 40개국임.

4328              부속서 II 국가(Annex Ⅱ Nation)               Annex I 국가에서 동구권국가가 제외된 국가군으로 OECD 24개국과 EU.

4329              부수성[腐水性,saprobic saprobity]              하천호수, 해양의 표류수.복류수, 지하수 등이 수계주변으로부터 여러종류의 유입온도, 물량변화등에 의해 생물생존이 어려운 현상과 사물, 또 이를 극복한 생물을 말함. 자연이 이러한 부패성유기물의 유입과 그것에 의해 용존산소의 감소가 주인(主因)이 되어 일어난다. 하수, 산업배수에서는 독성물질에 의한 것을 외부수성이라 한다.

4330              부식[腐飾,corrosion]                 금속재료가 사용환경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금속이 아닌 상태로 되어 상실되어 가는 것을 말한다. 보통 부식생성물 쪽이 금속의 생태보다도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므로, 부식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당연하지만, 반응속도가 매우 늦으면, 실제상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수분이 없을 경우의 부식속도는 상온 부근에서는 대단히 작지만, 고온에서는 가수부식의 문제가 일어난다. 대체로 말하는 부식은 수분을 수반하는 조건에서의 부식을 말한다. 수중에 함유되는 산화제(수소이온, 용존산소)가 금속표면에서 환원되어, 그것과 같은 당량만큼의 금속이 이온화(산화)하여 상실되지만, 거의 모든 경우 양반응이 일어나는 장소는 다르다(국부전지를 형성하고 있다).

4331              부식성 부유생물 [腐食性 浮遊生物 saprotrophic plankton]             동물 플랑크톤 중에는 살아있는 식물 플랑크톤을 주 먹이로 하여 에너지를 얻고 있으나 고형물 덩어리나 유기 퇴적물(detritus)을 에너지원으로 살아가는 플랑크톤을 말한다. 이들은 빛이 없는 무광대에서 플랑크톤의 개체군은 이 방식을 통하여 개체군을 유지시키고 표층으로부터 저층까지의 에너지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적조에 의해 수화가 일어난 후 적조생물의 사멸 후 이를 에너지원으로 취하여 살아가는 종들도 있다.

4332              부식억제제(Corrosion Inhibitor)                 부식매질에 첨가하면, 금속의 부식속도를 크게 감소시킬수 있는 물질로서 방식제, 인히비터라고도 한다. 부식매질인 액이 순환사용될 경우에 소량 첨가하는 것이 보통이며, 액에 녹든가 분산하여 작용한다. 잘 실용되는 것은 크롬산염, 폴리인산염, 아질산나트륨 및 장쇄의 아민계유기물 등이다. 금속표면에 피막을 만들어, 표면을 부동태화시키든가 용존산소의 접근을 방해한다. 보일러 스케일의 산으로 씻는 것은 이 작용의 발달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

4333              부식연쇄(Detritus Food Chain)                  생식연쇄의 반대어. 잔사식물연쇄, 찌꺼기를 먹는 식물연쇄, 유기퇴적물 식물연쇄라고도 한다. 생물의 유체(遺體)등의 유기물을 영양원으로서 생활하는 미생물로서 Detritus Feeder, 그리고 그들의 포식자와 연속해서 먹고 먹히는 관계를 말한다. 이 연쇄는 토양이나 수계(水界)의 저토(底土) 있어서 시간적으로는 생식회로 보다 늦게 전개된다. 특히 육상생태계에서는 에너지 흐름의 90%이상이, 이 연쇄를 거쳐서 물질환원의 과정에 이르므로 중요시 되고 있다. 지상의 식물유체에서 시작되는 경우 이 연쇄가 담당하는 수순은, 미생물(종속영양 세균, 균류)로 부터, 부식성의 토양동물, 그들의 포식자로 구성된다. 영양단계가 계속되면 생식연쇄와도 연결되며, 복잡하게 얽힌 먹이망의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

4334              부식영양자 [腐食營養者 saprotrophs]                     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하는 세균이나 수생균을 부식영양자라고 한다. 이들의 기여로 생산자에게 또다시 이용되는 형태의 무기물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유기 퇴적물이 많은 층에서, 유기물로 오염된 수역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다른 이름으로 분해자 미생물이라고 불리고 그 기능에 따라 생태학적 무리로 간주되는데 이에는 다음의 네 가지 분류군이 포함된다. 이스트, 곰팡이를 포함하여 균류와 포자형성세균과 비포자형성세균, 섬유상 또는 사상 세균이 있고, 아메바, 섬모충, 무색의 편모충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4335              부식영양호 [dystrophic lakes, 腐植營養湖]                     호저가 부식니라는 특수한 진흙으로 되어 있는 강한 산성호수에는 휴민산(humic acid), 기타 부식질 콜로이드가 들어 있기 때문에, 물빛이 커피색으로 흐려져 있다. 이것은 호소 주위가 물이끼 습원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이질로부터 휴민산 등이 호수 속에 녹기 때문이다. 물은 유기산 때문에 흡착으로 부족하며, 칼슘이온도 매우 적다. 플랑크톤류는 일반적으로 적지만 접합조류인 물먼지말이 호수물이나 호니에 많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4336              부식토(Humus Soil)                  일반적으로 부식질을 20%이상 포함하고 있는 흑색의 토양을 말한다. 식물의 배양에 적합하기 때문에 식수나 화초의 육성 등에 쓰인다. 흙 속에 집적한 동식물의 유체나 그것들이 부패하여 생긴 부식을 함유하는 토양으로 흙 속의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부식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부식이 풍부한 흙은 유기성분이 많고 비옥하며, 흑색 또는 흑갈색을 띤다. 주로 온대(溫帶) 이북지방의 가장 표층부(表層部)에 발달한다. 이탄(泥炭)은 부식토의 일종이며, 석탄은 부식토가 변질한 것이다

4337              부식피로[腐蝕疲勞,corrosion fatigue]                     재료표면의 부식에 의해 피로파단이 크게 촉진되는 현상. 부식부분에의 변형력집중, 수분부착에 의한 금속표면 에너지의 저하 등이 원인이다.

4338              부엌세제에 빠진 바퀴벌레, 익사인가 질식사인가?           마치 기름을 바른 듯 반질반질한 갈색이나 검은색의 편평한 몸, 위험이 닥치면 앞가슴등판 밑으로 쏙 들어가는 작은 머리, 무는 모양의 입에 완두처럼 생긴 눈, 벽에 찰싹 달라붙거나 자유롭게 기어 다니기 좋은 발목 마디판.        바로 고생대 이래 생김새도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지금껏 살아온, 핵폭탄이 터져도 지구상에 살아남을 유일한 생물이라는 바퀴벌레다.        매분 매초, 지구 어디선가 벌어지고 있는 지긋지긋한 바퀴벌레와의 전쟁을 끝장낼 방법은 정녕 없는 것일까?        - 부엌세제는 바퀴 킬러?        혹시 부엌 바닥에서 뭔가에 푹 젖은 몸으로 죽어 있는 바퀴벌레를 본 적이 없는지.        더러운 하수구에서도 살아남는 녀석이 어쩐 일로 그런 신세가 되었는지 궁금하지 않았는가?        그런 장면을 발견하게 된다면 부엌세제의 뚜껑이 열려 있지, 않은지부터 점검해 보라.        그 운 나쁜 바퀴벌레는 유독성 스프레이가 아닌 것에 안심을 하고 겁 없이 부엌세제에 들어갔다가 생각지도 못한 변을 당한 것이다.        그럼 부엌용 세제가 바퀴벌레에게 치명적인 어떤 성분을 갖고 있다는 뜻일까?        - 부엌세제가 바퀴벌레의 숨구멍을 막는다.        쳐다보기도 싫겠지만 바퀴벌레의 몸을 가만히 살펴보자.        더러운 곳만 찾아다니는 것 같은데도 매일 목욕을 한 것처럼 반질반질 윤이 흐를 것이다. 그것은 바퀴벌레의 몸뚱이가 발수성 물질로 덮여 있기 때문이고, 따라서 여간해서는 익사하는 일이 없다. 하지만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인 부엌세제에 바퀴벌레의 몸이 젖으면, 표면의 발수성 물질과 세제가 밀착되면서 방수성을 잃게 된다.        그리고 세제로 몸 표면이 완전히 뒤덮인 바퀴벌레는 호흡할 수 있는 구멍이 단 한 곳도 남아 있지 않으므로, 결국 질식사하고 마는 것이다.        - 부엌용 세제뿐만 아니라 식용유도 마찬가지.        그러니 바퀴벌레약이 다 떨어졌는데 녀석들이 계속 출몰할 경우, 사용한 식용유를 모아놓았다가 바퀴벌레들이 잘 다니는 길에 놓아두면 효과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4339              부엌에서의 물절약 생활수칙                     1. 설거지통 이용으로 60% 절수  우리나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 중 5분의 1이 부엌에서 쓰이며 부엌의 물 낭비 요소로는 설거지나 야채 등 음식 재료를 씻을 때 물을 틀어놓는 습관이 가장 큼   - 물을 틀어놓고 흘려가며 설거지할 때 100리터 정도의 물이 쓰이는 설거지 감을 설거지통에 물을 받아 하면 최소 20리터의 물로도 가능   * 헹굼을 한 번 더 할 수도 있으므로 절수율은 여유있게 60%로 설정        2. 수도꼭지에 물 조리개를 부착하여 20% 절수   설거지나 음식 재료 세척시 물조리개를 통해 나오는 샤워수를 이용하면 짧은 시간에 세척 가능   - 같은 유량일지라도 샤워수 형태로 사용하면 접촉면적이 넓어 세척 시간이 짧아져 물 조리개 부착시 10∼20% 절수        3. 수도꼭지에 절수기 설치로 20% 절수   수도꼭지에 절수기를 부착하면 수압을 저하시켜 토수 유량을 줄일수 있으므로 2∼4리터의 물을 아낄 수 있음   - 수도꼭지에 부착·내장하여 사용하는 절수부속에는 포말 발생장치, 샤워수 발생장치, 감압판 등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함

4340              부에노스아이레스 행동계획 [BAPA (Buenos Aires Plan Of Action)]               1998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제4차 당사국 총회(COP4)에서 합의된 교토의정서의 미 합의 부분을 완성하고 개발도상국에서 건의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 6차 당사국회의까지 운영된다.

4341              부영양호[富營養湖,eutrophic lake]              호소는 빈영양호에서 중영양호를 거쳐 부영양호가 되고 최후에는 소지(沼地), 그리고 육지가 됨. 부양양호의 특징은 호수 속에 영향분이 많으며, 호수 바닥의 퇴적물도 많아 수심이 얕고 점점 호소에서 소지에 가까워지는 점임. 빈영양호가 부영양호로 되는데 보통 수 천년이 걸리지만 최근과 같이 공장이 배수, 가정 배수의 유입에 의하여 호소의 오염이 진행되면, 20∼30년 후 그 호소는 부영양호화 하는 것으로 추정됨. 호수의 부영양화가 진행되면 그 호수는 상수원으로는 부적당하게 됨.

4342              부영양화                     부영양화란 수중생물의 영양분이 증가한다는 의미입니다. , 깨끗한 물에 오염된 유기물질(질소나 인)이 흘러들어 오면 이것을 영양분으로 해서 해조류와 플랑크톤이 번식하게 되고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거의 다 쓰는데다 잡초나 침전물들이 밑바닥에 쌓여 결국 오염된 물로 변하게 됩니다. 이처럼 오염된 물질이 흘러 들어 하천이나 호수에서 부영양화가 발생하면 물이 악취를 풍기면서 썩기 때문에 물고기들이 살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수중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4343              부영양화[富營養化,eutrophication]             강과 바다 그리고 호수 등의 수역이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로 인하여 영양이 많아지는 현상. 강이나 바다, 호수 등에 유기물이 유입되면 물 속의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며, 분해 산물은 자연 생태계의 물질 순환의 사이클(생산-주로 녹색 식물에 의한 광합성, 소비-동물, 분해-박테리아)내에서 교환됨. 이 사이클이 순조로우면 자연은 균형이 잡혀 소위 자연의 자정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 됨. 그러나 예컨데 이 자정 능력을 넘는 대량의 유기물이나 염류가 강과 바다로 배출되면 위에서 말한 사이클이 완료되지 않고, 수역은 분해 산물 또는 이차 생성물 등의 영양 염류가 풍부해지며 특정 생물(적조플랑크톤 등)의 이상 발생이 일어남.

4344              부유 미립자[浮遊微粒子,floating fine particle]          〓부유 입자상 물질(浮遊 粒子狀 物質).

4345              부유 분진 농도 표시[浮遊粉塵濃度表示]                     절대적 표시 방법과 상대적 표시 방법이 있음. 절대적 표시 방법은 입자수 농도(粒子數 濃度), 질량 농도(質量 濃度)가 있음. 입자수 농도는 일정 용적(一定 容積)의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입자를 개/㎤로 표시하며, 질량농도는 일정용적의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량을 ㎎/㎥로 나타내며, 질량 농도는 ㎎/㎤로 나타냄. 입자수 농도는 분진의 크기나 비중에 관계없이 수()로만 나타냄. 질량 농도는 분진 입자의 크기나 비중에 크게 지배를받음. 따라서 입자의 크기와 비중이 같으면 양쪽 농도의 관계는 직접 모양으로 나타남. 그러나 입자의 크기와 비중이 같지 않으면 이 양쪽 농도의 관계는 전혀 관계가 없게 됨.

4346              부유 분진[浮遊粉塵, suspending dust, airborne dust]             분진은 보통 0.002μm에서 500μm까지 크기를 가진 고체 또 액체상태 물질로 강하분진. 부유분진으로 분류. 부유분진은 입자의 크기가 10μm이하의 공기중에 떠 있는 입자로, 입자가 작아 공기중에 떠다니며 호흡기를 통해 허파꽈리까지 도달 침착돼 진폐중등의 만성질환을 일으키며, , 카드뮴, 망간등과 같은 무서운 중금속이 포함되기도 한다. 환경보전법 대기환경기준치에서는 연간평균치 150μm/, 24시간평균치 300μm/㎥이하로 규정하며 24시간 평균치가 연3회 이상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고 정하고 있다.

4347              부유 분진의 질량농도[浮遊粉塵一質量濃度]                     부유 분진 농도의 표시

4348              부유 분진중의 금속 성분[浮遊粉塵中一金屬成分]              ()의 함유량이 몹시 높으며 그 다음이 아연(亞鉛), ()의 순서임.

4349              부유구조[浮遊構造,floating structure]                     예컨데 단조기의 기초(철근 콘크리이트 등)와 지면사이에 스프링 따위를 놓고 단조시의 진동이 대지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끔 배려한 구조. 단조기와 그 기초가 스프링 등에 의하여 대지에서 부유하고 있음으로 이 같이 명명됨.

4350              부유대수층 ( 浮游帶水層 perched aquifer )                     지하로 침투한 물이 주 대수층 상부에 렌즈상으로 발달된 불투수층 위에 축적되어 형성되는 소규모 자유면대수층으로서 주수대수층이라고도 한다.

4351              부유먼지                     입자의 지름이 0.1∼0.15㎛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입자의 지름이  10㎛이하인 입자상 물질은 '부유입자상물질'이라 하며, 대기의  입자상 물질 중에서  지름이 10㎛이상으로 무거워 곧장 지상으로 떨어지는 먼지를 '강하먼지'라 한다.

4352              부유물            육안으로 보아 판별되는 크기의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부유물은 주로 식물의 작은 조각 등이다. 이러한 부유물은 여과에 의해서 대부분 제거된다.

4353              부유물질(SS)                부유물질=지금 2㎜ 이하의 크기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부유물질은 수질 혼탁의 가장 큰 원인이며 특히 부유물질 농도가 높아지면 물고기가 먹이를 얻기가 힘들어지고 침전된 부유물질은 수생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뿐 아니라 모래 속의 수중 생물 산란 및 부화에 해롭다.

4354              부유물질[浮遊物質,suspended solids]                     입경 2mm이하.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 SS. suspended solids의 약칭. 또는 현탁 물질이라고도 함. 수중에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은 수질 오탁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하천에 오니상을 형성하거나 또 부유물이 유기 물질인 경우에는 이것이 부패하여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소비시킴. 또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하여 폐사시키며, 빛의 투과를 방해하고, 식물의 광합성에 장해를 줌. 어류의 산란장, 김 양식장 등에의 침착은 때때로 분쟁의 원인이 됨.

4355              부유물질농도[浮遊物質濃度,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수중에 분산되어 부유하고 있는 물질의 농도로서 물 오염의 유력한 지표이다. 하수처리에서는 직접생성오니량에 결부시키며 생물학적처리에서는 생물활성을 갖는 부유물질농도가 정화능력을 좌우하는 관수가 된다. 농도표시단위는 ㎎/ℓ로 측정법은 하수에서는 유리여과기법, 가라스휘이바 여지법(GFP), 원심분리법이 있다. 어떤 여과법도 여과후의 중량차를 검수량으로 나눈 것으로 원심분리법은 침전물의 건조중량으로 나눈 것이다.

4356              부유물질시험법[浮遊物質試驗法]                미리 무게를 단 유리 여과기에 일정량의 시료를 여과시킨 다음 함량으로 건조하여 무게를 달아 여과 전후의 유리 여과기의 무게차를 산출하여 부유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으로(정량 범위는 5㎎이상), 시험 방법은 KSM7,602거름 종이 5 C 또는 이와 동등한 규격의 거름 종이를 105∼110℃의 건조기 안에서 2시간 건조시켜 황산 데시케이터안에 넣어 방냉하고 항량으로 하여 무게를 정밀하게 담(). 시료 적당량을 취하여 흡인, 연과하고 여과가 끝난 유리 여과기의 아래층에 모으고 105∼110℃의 건조기 안에서 2시간 건조시켜 황산 데시케이터 안에 넣어 방냉하고 항량으로 하여 무게를 정밀하게 담. 여과전후의 유리 여과기 무게의 차를 구하여 부유 물질의 양으로 함. 부유 물질(/ℓ)=(b-a)        ,a : 시료여과 전의 유리 여과기 무게(). b:시료 여과 후의 유리 여과기 무게(). r:시료의 양(). · : 사용한 유리여과기는 황산-중크롬산 칼륨 혼액에 넣어 침전물을 녹인다음 세정함.

4357              부유법[浮遊法,floatation]           〓부상 분리법(浮上 分離法)

4358             부유분진분리[浮遊粉塵 分離, dust filtration]                    가스로부터 부유 분진을 분리, 제거하는 것.

4359              부유분진의입자수 농도[浮遊粉塵一粒子數 濃度]              〓부유 분진 농도의 표시.

4360              부유생물 시험(Plankton Test)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플랑크톤의 종류를 조사하여 각각의 개체수를 계수하는 시험, 플랑크톤 시험이라고도 한다. 수중의 플랑크톤에는 식물성인것과 동물성인 것이 있지만, 정성시험에서는 이들을 Plankton net 로 포집하여 이것을 검경(檢鏡)에 의해 그의 종류를 살펴 시료수의 특성을 판정하는 자료로 한다. 정량시험에서는 부유생물이 많을 때는 그대로 혹은 원심분리법으로 10~20배로 농축한다. 부유생물이 작을때는 다량의 시료를 Mambranc Filter로 여과해서 농축한다. 농축한 생물시험 시료는 잘 혼합해서 계선입(界線入) Slide Glass상에 취해 界線을 따라서 부유생물의 개수를 종류마다 계삭(計數)한다. 혹은 바둑판 모양의 선이 들어 있는 Mambrane Filter 위에 포집된 생물을 무작위로 선정한 시야(視野)에 대하여 같은 모양으로 계수한다.

4361              부유선광[浮遊選鑛,floatation]                    광석을 미분쇄하여 수중에 부유시켜 저부로부터 공기의 미세기포를 흡입하면 기포표면에 광선의 유용 성분이 흡착되어 부상함. 이 원리를 이용하여 광물의 품위를 높이는 방법을 부유선공이라 함. 이원리는 배수 처리에도 응용되며 부상 분리라고함. 배수 중의 부유물을 응집시킨 것을 기포 주변에 흡착, 부상시켜 액면에서회수하는 방법은 원리적으로는 부유 선광과 같음.

4362              부유입자상 물질[浮遊粒子狀 物質]             보통 부유입자상 물질이라 함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로서 그 입자와 크기가 10μm 이하의 것을 말함. 일반적으로 1시간치의 1일 평균치가 0.10/㎥ 이하이며 또한 1시간치가 0.20/㎥ 이하여야 함. 매연 분진 품(fume), 미스트 등이 이에 속함.

4363              부유제(Foaming Agent)             부상분리의 작용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를 말하며, 기포제, 포수제, 응집제 등으로 대별된다. 기포제는 현탁입자와의 기포접촉시에 거품의 분산과 안정을 돕는 것으로서 계면활성제나 해수 등의 무기염류가 사용된다. 포수제는 입자 표면을 소수성으로 하여 부유성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계면활성제, 올레인산 소다, 금속 이온의 염류 등이 쓰이고 있다. 응집제는 플록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무기염류나 수용성의 고분자가 사용된다.

4364              부이온[負一,anion]                    〓음이온〓아니온.

4365              부정비 화합물[不定比化合物, non-stoichiometric compound]                     성분원소의 비율이 간단한 정수비로 되지 않는, 즉 정비례의 법칙에 따르지 않는 화합물. 비화학량논적화합물, 베르틀라이트화합물이라고도 한다. 정비화합물, 즉 달토나이드 화합물에 대비시킨 말로서 부정비의 원인은 결정의 격자흡함이다. 화합물 MX에 대해 말하면 M 또는 X가 일정비보다도 과잉하게 격자사이에 들어가는 경우(침입형), M또는 X의 위치에 결함이 있는 경우(흡함형)에 부정비로 된다. M족원소, X족원소인 때 부정비 화합물이 되기 쉽다( ZnO, CdS ). ,  M이 두개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원소 특히 천이원소인 때에도 같다. 격자간에의 침입에서 생긴예로는        와 같은 수소화물이 있고, 또 격자점의 결함에 의하는 것에는        와 같은 산화물, 황화물 등이 알려져 있다. 모든 결정성무기화합물에는 이런 종류의 결함이 있기 마련이지만, 화학분석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만한 약간의 결합으로도 그 화합물의 특성이나 반응성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부정비화합물의 생성에는 X의 분압이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테면 PbS에서는        의 분압이 작으면 S결함이 생성하여 n형 반도체(半導體)이 되고, 분압이 높으면 Pb결함을 생성하여 p형 반도체(半導體)으로 된다. 부정비조성을 갖는 물질의 특성은 자성재료, 반도체재료, 촉매 등의 연구, 개발이 공헌하고 있지만, 또 천연의 황화물 특히 CuS Fe-S, Cu-Fe-S계의 부정비조성은 그 광물의 성인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4366              부정사용량                  수도사업자의 허가를 받지 아니한 수도용수, 계량기 조작 등의 방법으로 불법적으로 사용한 수량

4367              부진동[附振動,secondary undulation]                     만의 일단이 외해와 통하고 물이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을 경우내부의 물이 기상이나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일으키는 고유 진동이며 그 주기는 수분에서 수십분 정도이다.

4368              부착오염                     뿌려진 농약이 농작물의 겉에 묻어 남아 있는 오염을 말한다. 농작물의 부착오염은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농작물을 시장에  내놓기전 대개 20 -  30일 전까지만 농약을 치고 그 이후로는  쓰지 않으면 그래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작물의  겉에 묻어 있는 농약 성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에 의하여 분해가 된다. 또 한 가지는 소비자가  먹기 전에 잘 씻어내면 되고 음식물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없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오염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4369              부착조류(attached algae)           수체의 밑바닥과 바위에 붙어 자라는 조류를 말한다. 부유 조류의 대립되는 개념이다.

4370              부침식환형오일펜스[浮沈式丸型一]             오일 펜스는 대형화하면 중량이 증가하여 격납, 보관, 전장 등에 문제가 발생함. 이 오일 펜스는 사용장소를 정하고 미리 해저에 가라 앉혀 두고 사요시에 부상시켜 사용함. 펜스내에 압축공기를 송입하여 부상시킴. 또 공기 밸브를 개방하면 스스로의 무게를 침하됨. 부상시간은 50m의 해저로부터 부상시키는 데에 약 7분이 소요되며, 침하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같음. 오일 펜스의 길이는 150m(한 예)로 침하 및 부상 작업은 한사람으로 가능함.

4371              부틸 알코올[butyl alcohol]                        부탄올이라고도 함.        OH에 상당하는 지방족알코올의 총칭.

4372              부패[腐敗,putrefaction, spoilage]               미생물작용으로 단백질의 분해되는 현상을 일반에서 부패로 칭하나 식품위생의 영역에서는 식품이 미생물의 작용으로 그 관능적인 성상(性狀)에 변화를 받아 가식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부패라 한다. 부패는 주로 부패균(Pseudomonas. Achromobacter. Flavobacterium. Serratia. Proteuse, Bacillus. Clostridium)등 및 곰팡이, 효모(酵母)등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부패미생물은 대체로 혼재하여 작용을 나타낸다. 일반으로 가열 동결융해 등을 받은 식품은 생()식품에 비해 부패되기 쉬우나 이것은 식품의 단백질의 변성, 조직의 손상에 의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저 분자 화합물이 많이 포함되면 부패하기 쉽다. 부패로 인하여 부패 아민류가 생한다.

4373              부패균[腐敗菌,putrefactive bacteria]                     대장균, 고초균군(苦草菌群)clostridium, pseudomonas, 섬유소 분해균 등 소위 잡균이라 하는 일군의 세균을  칭함. 이들 균군은 유기물을 혐기적으로 불완전 분해하여 인돌, 유화수소, 아민류 등의 악취 가스를 발생함. 분해물 중의 독성을 가진 아민(20)이 식중독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됨. 중독증세는 발진, 구토, 이질 등의 나타나며 알레르기성이라고도 함. 이 중독의 원인체인 고등어, 꽁치 등에서 히스타민이 검출되고 있음.

4374              부패성 물질[腐敗性物質, putrefactive substance]                  산소의 결핍 상태로 생물체의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불완전 분해되어 황화수소나 메탄, 인돌, 아민류와 같은 악취가스로 분해될 때 그것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

4375              부패수의 탈취 방법[腐敗水一脫臭方法]                     활성탄에 의한 이취물(異臭物)의 흡착이나 이온에 의한 분해등이 유효함.

4376              부패조[腐敗槽,septic tank]          분뇨, 정화조 등으로서 오수 중의 부유 물질을 가라앉히는 것과 침전 오니를 혐기적으로 소화, 분해하는 것임. 구조는 통상 침전조와 같으나 침전 오니가 분해하는데는 충분한 체류 시간이 소요됨. 분뇨 정화조의 분조식(本槽式)이라는 것과 함께 설치된 것이 가장 많음.

4377              부패탱크                     단독 또는 다른 처리법과 조합시켜 오수처리를 하는 탱크를 말하며, 오수중의 부유물을 침전 분리하고, 침전한 오니를 탱크 바닥에 저류하여 혐기성 분해를 한다. 분뇨 정화조등에 많이 사용한다.

4378              부표생물 (Pleuston)                  C. Schroter(1902)에 의해서 만들어진 말로서, 적용예가 특히 넓다.        처음에 개구리 밥류, 물옥잠 등의 부표식물을 다음에 가다랭이 등의 외양성 부표동물을 포함시켰다.        최근에는 부표성의 남조류, 먹이를 잡을 때는 수면에 접촉하고 때로는 잠수하는 것, 그리고 때로는 대기중을 비상하여 활공하는 것 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4379              부품결함 보고             동일 연도 ․ 차종 ․ 배출가스 부품의 결함시정 요구 건수(무상 보증수리 실적) 50건 및 4% 이상인 경우, 의무적 결함시정(리콜) 명령

4380              부필터형법[Filter型法]            측정 성분을 흡수하는 적외선을 그 흡수 파장 이외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는 방식

4381              부하요인(Load Factor)               어느 기간중의 평균전력을 그 기간중의 최대전력으로 나눈 것으로 백분율로 표시되며 연부하율, 월부하율, 일부하율로 구분할 수 있다.

4382              부하율            어느 기간중의 평균전력을 그 기간중의 최대전력으로 나눈 것으로 백분율로 표시되며 연부하율, 월부하율, 일부하율로 구분할 수 있다.

4383              부하조정범위(TURN-DOWN RATIO)                     버너의 저연소와 고연소의 범위에서는 자유롭게 연소량의 조절이 가능한 비율을 말하며, 오일버너는 일반적으로 턴ㆍ다운비가 1:3∼1:5, 가스버너는 1:7∼1:10으로 버너 연소량의 조절범위가 넓어 조업조건에 따른 효율적인 연소를 할 수 있음.

4384              북경환경거래소(China Beijing Environment Exchange, CBEEX)                     중국이 2008년 설립한 탄소배출권 거래가 가능한 거래소. 북경환경거래소는 배출권 거래 외에도 에너지절약 및 오염저감, 환경보호기술거래, 에너지절약지표거래, 이산화황 과 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의 배출권 거래, 온실가스배출량 정보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4385              북극 안개                   1970년대 후반부터 북극 상공에 나타난 스모그이다. 북극 스모그라고도 한다. 지금까지는 북극은 남극과 함께 인간 사회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어 대기오염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던 점에서 큰 충격을 불러 일으켰다. 북극 안개에는 납, 비소, 아연, 망간 등의 금속이라든가 DDT, TCB, 프론, 클로루딘 등의 유기화합물이 포함되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물임이 분명했다. 북극에는 북반구 각지로부터 오염된 대기가 불어가서 모인다. 유럽측의 북극안개는 유라시아 고기압과 대서양 저기압의 사이를 흐르는 북유럽으로부터 북극을 향한 기류를 타고 대기오염 물질이 운반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북에서도 펭귄이라든가 바다표범으로부터 DDT라든가 PCB가 검추로디고 있다.

4386              북극해빙 [北極海氷 arctic sea ice]             북극해의 얼음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1978년 이래 알래스카 연안의 얼음이 10년마다 9%가 감소되었다. 잠수정을 이용해 조사한 과학자들은 지난 30년 북극해의 얼음이 40% 얇아졌다고 기록했다. 또 다른 과학자들은 약 15%로 추정했다. 이떤 과학자들은 2100년 여름쯤 북극해 얼음은 모두 녹아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 있다. 원인은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각국은 지구온난화방지협약에 대한 의무이행을 미루거나 국익을 앞세워 탈퇴하고 있다.

4387              북대서양진동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북대서양 진동은 아이슬란드근처의 기압과 아조레스(Azores) 근처의 기압의 서로 대비되는 변동으로 구성된다. 평균적으로, 아이슬란드의 저기압 지역과 아조레스의 고기압 지역 사이에 부는 편서풍은 유럽 쪽으로 전선 시스템을 동반한 저기압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와 아조레스 사이의 기압차는 수 일에서 수 십년의 시간 규모 상에서 섭동을 하는 현상을 보이므로 때때로 역전될 수도 있다.

4388              북대서양진동(North Atlantic Oscillation : NAO)             북대서양 진동은 아이슬란드근처의 기압과 아조레스(Azores) 근처의 기압의 서로 대비되는 변동으로 구성된다. 평균적으로, 아이슬란드의 저기압 지역과 아조레스의 고기압 지역 사이에 부는 편서풍은 유럽 쪽으로 전선 시스템을 동반한 저기압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와 아조레스 사이의 기압차는 수 일에서 수 십년의 시간 규모 상에서 섭동을 하는 현상을 보이므로 때때로 역전될 수도 있다.

4389              북미 대평원 지대                     아팔래치아 고지로부터 로키 산맥에 이르는 '세계의 빵바구니' 지대. 미국은 이곳의  밀가루, 옥수수, 면화 등을 세계에 수출하고 있다. 한편 물과 바람의 침식으로 표토 층이 유실된 경지가 3백만 에이커를 넘었고 지하수 고갈과  함께 미래의 식량 위기 를 예고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4390              북미, 유럽국가와의 환경협력                    선진 환경정책, 제도 및 환경기술의 도입을 통한 국내 환경개선을 도모하고자 북미와 유럽의 선진국가들과의 환경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미국, 캐나다, 프랑스, 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등의 국가와는 환경협력양해각서(MOU)를 체결하여 공동세미나 개최, 전문가 교류 및 공동협력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과는 1987 3 MOU를 체결한 이래 미국-아시아 환경파트너쉽(US-AEP)과 공동으로 대도시 시정장애 원인연구 등 9개 환경기술 협력과제를 추진한 바 있으며, 1998 9월에는 미국 무역진흥처(US-TDA)의 지원으로 20만달러 규모의금속광산 지역의 지하수 및 토양오염 복원 타당성 조사사업 추진에 합의, 국립환경연구원이 동 사업을 수행하였다. 2002 7월에는 기후변화 연구, 기술개발 등과 관련한 공동사업 추진을 목적으로 미국측 대표단이 방한하여 우리나라와 향후 기술실무회의 및 고위급회의 등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2002 11월에는 한미 기후변화 협력과제의 하나인 통합환경전략(온실가스 저감과 대기 오염방지를 통합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환경부-EPA 공동 워크샵을 개최하였고 그 결과 향후 공동연구사업을 추진키로 합의한 바 있다.        핀란드와는 한, 핀란드 환경장관회담을 계기로 환경정책 연수(‘02.11)를 실시하였다. -EU 기본협력협정 발효(’01.4.1) EU 대표부에 환경 공무원을 파견(‘02.4)하고, EU의 환경정책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국내 정책 수립에 참고하고 있으며, 환경정책연수와 기술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국내 환경정책의 선진화, 선진환경관리제도 및 기술의 도입 등을 위해 선진국들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4391              북방종개                     분포, 생육지 : 한반도(강릉 남대천 이북의 동해로 흐르는 하천)         형태 특성 : 몸 길이는 8~13cm 정도. 전체적으로 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특히 미병부도 가늘며 납작하다.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다. 입은 주둥이의 아래에 있고 입술은 육질로 되어 있으며 입수염은 3쌍이다. 눈은 머리 옆면 중앙 위쪽에 치우쳐져 있으며, 눈의 아래에 있는 안하극은 끝이 2개로 갈라져 있다. 색은 담갈색 바탕에 등쪽은 짙고 배쪽은 연하다.       생태 특성 : 하천 중ㆍ하류의 바닥이 모래인 곳에 서식하며 주로 수서곤충을 먹고 산다.       특이사항 : 하천 중ㆍ하류의 바닥이 모래인 곳에 서식하며, 주로 수서 곤충을 먹고 산다.

4392              북서태평양 해양보전계획(NOWPAP)                     북서태평양 해양보전계획=North West Pacific Action Plan의 약어로 북서 태평양 지역의 해양환경보전 협력사업의 하나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러시아 등  5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은 NOWPAP 이외에도 전 세계 해양을 12개 지역으로 나눠 해당 지역국가들이 참여하는 해양환경보전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4393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              북의 31°이북 태평양 지역의 해양환경 및 해양생물등에 관한 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1992년 설립된 국제기구로서 이해당사국간 연구의 계획·조정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및 러시아 등 6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는 1995년에 가입하였다.

4394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는 북위 31˚이북의 북태평양의 해양연구를 촉진, 협력하기 위해 창설된 기구로 해양환경, 지구기후변화, 해양생태계 등에 대한 연구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1973년부터 창설 움직임이 시작되어 1992년 캐나다, 일본, 미국의 조인으로 협약이 발효되고 중국, 러시아, 한국이 차례로 협약 조인함으로써 현재 6개국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부간 국제기구이지만 학술적인 성격이 강한 기구로 본부는 캐나다 시드니에 소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4 3차 회의부터 참석하기 시작하여 현재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연구원, 대학 등에서 전문가 20여 명이 과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97 6차 회의(부산), 2003 12차 회의(서울), 2004년 중기회의(제주)를 개최하는 등 동 기구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또한 2004 9월에는 한국해양학위원회(KOC) 산하에 PICES 국내위원회를 구성하여 PICES 관련 정부정책 자문과 연구 활동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4395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은 수도서울의 북쪽에 위치하여 북한산과 도봉산을 포함, 서울과 경기도의 3개시에 걸쳐 80.669km2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이령을 중심으로 남쪽의 북한산지역과 북쪽의 도봉산지역이 확연히 구분되며 주봉인 백운대 (836.5m)를 중심으로 남쪽으로 만경대, 보현봉 및 북악산으로 연결되는 주능선과 북쪽으로 인수봉, 우이암, 주봉, 자운봉 및 사패산으로 연결되는 주능선을 축으로 동서로 대별된다.        산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단단한 화강암의 지반이 대자연의 장구한 세월에 걸쳐 풍화침식 작용을 통하여 만들어진 크고 작은 암봉과 기암괴석이 있으며, 그 사이로 수 십개의 맑고 깨끗한 계곡이 형성되어 산과 물의 아름다운 조화를 빚어내고 그 조화속에 1,300여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북한산은 1983 4 2일 우리나라의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왕조의 좌의정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 화친에 강력히 반대했던 주전파의 대표 청음 김상헌 선생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과 함께 현 서울 소재 무악재를 넘어 경기도 벽제를 거쳐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갈 때 다시는 못 볼 것 같은 고국산천을 그리면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읊었다.        이 시조에서 삼각산은 백운대와 만경대, 인수봉이 마치 깍아 세운 세 개의 뿔과 같다 하여 고려시대부터 불리어진 북한산의 옛 이름이기도 하다.

4396              북한의 환경오염법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 관련법인 공해방지법이 제정된 해는 1963년이다. 단일법적 성격을 띤 공해방지법은 1977년에 환경보전법으로 개편된 후, 1991년에 한 차례 더 개편됨으로써 현재와 같은 복수법적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환경 관련법 제정 역사는 30년에 이르는 셈이다.        북한 최초의 환경 관련법은 언제 제정되었을까? 북한 최초의 환경 관련법인 [환경보호법]이 제정된 시기는 1986 4월이었다. 남한의 공해방지법이 1963, 그리고 환경보전법이 1977년에 제정되었으니까 이 보다는 십여년 이상 늦게 제정된 셈이다.        환경보호법은 1986 4월에 열린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7 5차 회의에서 채택되었다. 이 법이 제정된 동기는 북한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진 까닭도 있지만 국제사회의 흐름에 비추어 북한 당국이 환경 관련법 제정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모두 5 52조로 구성되어 있는 북한의 환경보호법은 매우 포괄적이며 구체적 사항을 명시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런 면에서 환경정책의 이념과 방향을 밝힌 남한의 환경정책기본법과 유사하다.        북한 환경보호법 제1장에는 환경보호 기본원칙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고, 2장에는 자연환경의 보존과 조성, 3장에는 환경오염방지, 4장에는 환경보호에 대한 지도원리, 그리고 제5장에는 환경피해에 대한 손해보상 및 제재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북한 환경보호법에 의하면 환경보호는 인민대중에게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환경을 보장하여 주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환경보호 사업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에 중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북한은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자연환경보호구] [특별보호구]를 두고 있는데 동식물, 지형, 기후뿐만 아니라 천연기념물과 명승고적까지 자연환경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천연기념물은 천연기념물보호법에 의해, 명승고적은 문화재관리법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있다.        북한 환경보호 사업의 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는 정무원이다. 그리고 정무원 산하에는 비상설 환경보호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북한 역시 남한과 마찬가지로 환경오염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환경 피해를 일으킨 기관이나 개인이 그 손해를  보상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북한의 환경보호법에는 수질이나 대기, 해양오염, 농약, 방사선 물질, 식품, 그리고 소음 및 진동에 관한 내용 역시 포함되어 있으나 분야별 개별법으로 관리하고 있는 남한과 달리 포괄적인 원칙을 선언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환경문제 양상이 남한보다 단순한 탓도 있겠지만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낮은 탓 때문으로 생각된다.

4397              북해의 바다표범 대량사 사건                   1988년부터 1989년에 걸쳐 북해에서 17천 마리 이상의 바다표범이 사망하여 유럽 여러 나라에 충격을 주었다. 당시 지역개체군의 85%를 넘는 수가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금속, 유기염소 화합물 등에 의한 해양오염으로 체력이 현저하게 떨어진 상태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 주원인으로  밝혀졌다. 1989년 알래스카 만의  발디즈 호 사건으로 물개들이 큰 피해를 입은 것처럼 최근  해양 포유류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가 많이 일어나 해양오염의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4398              분급[分級,classification]             입체(粒體)나 분체(粉體)의 입도(粒度) 또는 밀도의 구분을 분급이라 하며, 주로 공기나 물의 저항을 이용하는 조작을 가리키나, 넓은 의미로는 체에 의한 기계적인 분리도 포함됨. 고체 입자의 유체(流體)중에서의 침강(沈降) 속도는 입자경(粒子徑) 0.5∼2승에 비례하며, 입자와 유체의 밀도차의 0.5∼1승에 비례함. 분급의 원리는 배출 가스 중의 더스트의 침강 분리(沈降分離)나 배수 중의 부유 물질의 침강분리에도 적용할 수 있음. 공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급 효율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40∼90%. 분급에 사용하는 장치를 분급기(分級機)라고 함.

4399              분기공            압력을 받아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유황과 같은 가스나 수증기를 분출하는 지각에 뚫린 구멍. 화산지대에서 흔히 발견된다. 수증기는 분화 활동이 정지되었을 때 지표 가까이에 있는 마그마가 지하수를 가열하여 만들어진다.

4400              분뇨 저류조의 탈취[糞尿貯留槽-脫臭]                     먼저  저류조의 냄새를 물로 씻어 암모니아를 제거한 뒤, 오존을 이용하여  탈취하는 방법이 흔히 사용됨. 암모니아는  오존만으로는 그다지 탈취가 용이하지 않아, 물로 씻어 탈취함.  이 경우, 암모니아의 탈취 효율은 100%에 가까움. 오존을 이용한 분뇨취의 탈취는 오존취에 의한 분뇨취의 마스킹 효과도 큼.

반응형

댓글